맨위로가기

번뇌의 다른 이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뇌의 다른 이름은 불교 문헌에 나타난 다양한 번뇌의 명칭과 의미를 정리한 표를 제공한다. 표에는 68가지 명칭이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각 명칭이 《유가사지론》, 《집론》, 《잡집론》, 《대승의장》 등 어떤 문헌에서 언급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의 동의어 - 악행
    악행은 불교 용어로, 불선한 행위를 의미하며, 초기 불교에서는 3악행으로, 대승 불교에서는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정의된다.
  • 번뇌의 동의어 - 소해
    소해는 특정 주제에 대한 역사, 현황, 쟁점, 미래 전망 등을 다루는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번뇌의 다른 이름

2. 번뇌의 명칭과 의미

여러 불교 문헌에서 언급되는 번뇌의 명칭
순번명칭의미문헌
1(蓋)번뇌는 수행하는 이의 착한 마음을 내지 못하게 한다는 뜻.[1]유가사지론, 성유식론, 집론·잡집론
2개전(蓋纏)개(蓋)는 착한 마음을 덮는다는 뜻. 전(纏)은 속박하여 자유롭지 못하다는 뜻.기타 문헌
3객진(客塵)번뇌는 모든 법의 체성(體性)에 대하여 본래의 존재가 아니므로 객(客)이라 하고, 미세하고 수가 많으므로 진(塵)이라 함.기타 문헌
4객진번뇌(客塵煩惱)번뇌는 본래 마음의 성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밖에서 들어온 것처럼 일시적인 현상.기타 문헌
5(結)번뇌가 중생을 묶어 미혹의 세계에 가두고 벗어나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6결사(結使)번뇌가 중생을 얽매어 생사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괴롭힘.기타 문헌
7(繫)중생을 미혹의 세계에 묶어 자유롭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8(垢)더러운 때와 같이 마음을 더럽힘.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9구애(拘礙)번뇌가 중생을 얽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10구예(垢穢)번뇌가 마음을 더럽히고 깨끗하지 못하게 함.기타 문헌
11(匱)번뇌가 중생을 얽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12(根)번뇌가 모든 악행의 뿌리가 됨.유가사지론
13노(勞)번뇌가 몸과 마음을 지치게 하고 괴롭힘.기타 문헌
14(惱)번뇌가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어지럽힘.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15(漏)번뇌가 중생을 생사의 세계에 머물게 하고, 6근(根)을 통해 새어 나와 문제를 일으킴.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16독(毒)번뇌가 중생의 마음을 해치고 선한 마음을 없앰.기타 문헌
17독전(毒箭)번뇌가 독화살처럼 사람을 해침.기타 문헌
18두각(頭角)번뇌의 생각이 머리에 뿔처럼 솟아남.기타 문헌
19망염(妄染)번뇌가 허망하고 헛된 마음으로 물들임.기타 문헌
20(縛)번뇌가 중생을 묶어 자유롭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21번뇌객진(煩惱客塵)번뇌가 객(客)과 같이 본래 마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들어와 마음을 어지럽힘.기타 문헌
22번뇌구(煩惱垢)번뇌가 때와 같이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23번뇌염법(煩惱染法)번뇌가 마음을 물들여 깨끗하지 못하게 함.기타 문헌
24번뇌잡염(煩惱雜染)번뇌가 여러 가지 나쁜 마음과 섞여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25무명(無明)진리를 알지 못하고 어리석어 마음이 어두움.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26사(使)번뇌가 중생을 부려 마음대로 하게 함.집론·잡집론, 대승의장
27상해(常害)번뇌가 항상 중생을 해침.유가사지론
28(生)번뇌가 이미 다하여 더 이상 생겨나지 않음.기타 문헌
29(燒)번뇌가 불처럼 마음을 태우고 괴롭힘.유가사지론
30소유(所有)번뇌가 중생에게 속해 있음.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31소해(燒害)번뇌가 불처럼 마음을 태우고 해침.집론·잡집론
32(受)번뇌를 받아들여 괴로움을 느낌.기타 문헌
33수면(隨眠)번뇌가 잠자는 것처럼 마음속에 숨어 있다가 나타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34수번뇌(隨煩惱)근본 번뇌에 따라 일어나는 여러 가지 번뇌.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35악행(惡行)번뇌로 인해 나쁜 행동을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36(愛)탐욕과 애착으로 인해 괴로움이 생김.기타 문헌
37애(礙)번뇌가 깨달음을 방해함.기타 문헌
38애염(愛染)애착과 탐욕으로 인해 마음이 더러워짐.기타 문헌
39애욕(愛欲)애착과 욕망으로 인해 괴로움이 생김.기타 문헌
40(軛)번뇌가 멍에처럼 중생을 얽매어 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함.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41(熱)번뇌가 불처럼 마음을 뜨겁게 달구고 괴롭힘.집론·잡집론
42염(染)번뇌가 마음을 물들여 깨끗하지 못하게 함.기타 문헌
43염구(染垢)번뇌가 때와 같이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44염오(染污)번뇌가 마음을 더럽히고 깨끗하지 못하게 함.기타 문헌
45염오무지(染汚無知)번뇌로 인해 진리를 알지 못하고 어리석음.기타 문헌
46(汚)번뇌가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47유(流)번뇌가 흐르는 물처럼 중생을 휩쓸고 괴롭게 함.대승의장
48유쟁(有諍)번뇌가 다툼을 일으키고 마음을 어지럽힘.유가사지론
49(子)번뇌가 괴로운 결과를 낳는 원인이 됨.기타 문헌
50잡염(雜染)번뇌가 여러 가지 나쁜 마음과 섞여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51장(障)번뇌가 깨달음을 방해함.대승의장
52장애(障礙)번뇌가 깨달음을 방해함.기타 문헌
53(諍)번뇌가 다툼을 일으키고 마음을 어지럽힘.유가사지론
54(箭)번뇌가 화살처럼 마음을 꿰뚫어 고통을 줌.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55(纏)번뇌가 얽히고 설켜서 마음을 묶고 괴롭힘.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56정사(正使)번뇌가 중생을 부려 마음대로 하게 함.기타 문헌
57조림(稠林)번뇌가 빽빽한 숲처럼 마음을 가리고 어지럽힘.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58주올(株杌)번뇌가 그루터기처럼 마음속에 박혀 뽑기 어려움.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59진구(塵垢)번뇌가 먼지와 때처럼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60진로(塵勞)번뇌가 먼지와 같이 마음을 더럽히고 피로하게 함.기타 문헌
61(取)번뇌가 집착을 일으켜 괴로움을 만듦.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대승의장
62치연(熾然)번뇌가 불길처럼 맹렬하게 타오름.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63폭류(暴流·瀑流)번뇌가 홍수처럼 마음을 휩쓸고 파괴함.유가사지론
64(行)번뇌가 여러 가지 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기타 문헌
65(惑)번뇌가 진리를 알지 못하게 하고 마음을 어지럽힘.대승의장
66혹구(惑垢)번뇌가 때와 같이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67혹잡염(惑雜染)번뇌가 여러 가지 나쁜 마음과 섞여 마음을 더럽힘.기타 문헌
68(火)번뇌가 불처럼 마음을 태우고 괴롭힘.유가사지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