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잡염은 불교 용어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번뇌를 가리키는 마음 작용을 의미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대번뇌지법, 대불선지법, 소번뇌지법의 18가지 마음작용을 잡염으로 보며, 유가유식행파와 법상종에서는 번뇌심소와 수번뇌심소의 26가지 마음작용을 잡염으로 정의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는 번뇌로 분류되는 마음작용들을 잡염(雜染)이라고 하며, '''잡염심소'''(雜染心所)라고도 부른다. 유가유식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도 번뇌로 분류되는 마음작용들을 잡염심소라고 부른다.
2. 부파불교의 잡염심소
2. 1. 설일체유부의 잡염심소
(6가지)치(癡), 방일(放逸), 해태(懈怠), 불신(不信), 혼침(惛沈), 도거(掉擧) 번뇌에 오염된 마음과 함께 일어나는 작용 대불선지법
(2가지)무참(無慚), 무괴(無愧) 불선(不善)한 마음과 함께 일어나는 작용 소번뇌지법
(10가지)분(忿), 부(覆), 간(慳), 질(嫉), 뇌(惱), 해(害), 한(恨), 첨(諂), 광(誑), 교(憍) 소승불교에서 번뇌를 나누는 기준으로, 특정한 번뇌 (주로 소번뇌지법)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일어나는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