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번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번뇌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모두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으로, 근본번뇌와 함께 마음을 어지럽히는 번뇌를 의미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19가지 심소법을 수번뇌로 분류하며,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에서는 6가지 근본번뇌 외에 20가지 수번뇌를 제시한다. 수번뇌는 견혹과 수혹으로 분류되며,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함께 소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 집착
  • 번뇌 - 결 (불교)
    결은 불교에서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몸과 마음을 묶어 자유를 얻지 못하게 하는 결박을 뜻하며, 여러 경전과 논서에서 9결, 3결, 4결, 5결, 10결, 98결, 108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수번뇌
개요
종류번뇌
범위아비달마
참고근본번뇌
구분구생기분별기
용어
한자隨煩惱
표준 중국어suí fánnǎo
영어derivative afflictions, secondary afflictions, subsidiary afflictions, sequent kleśa-trials, associated kleśa-trials
팔리어upakkilesa
산스크리트어upakleśā, paryutthāna
티베트어nye ba'i nyon mongs pa

2. 부파불교의 수번뇌

설일체유부에서는 근본번뇌수면(隨眠)이라고 하며, 6수면((貪)·(瞋)·(慢)·무명(無明)·(見)·의(疑))을 제시한다. 이 근본번뇌와 상응하거나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19가지 심소법(心所法)을 수번뇌로 분류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 따르면, 6가지 근본번뇌와 대선지법(大善地法)에 속한 10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30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이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의 (受)·상(想)·사(思)·(觸)·욕(欲)·염(念)·작의(作意)·승해(勝解)·삼마지(三摩地)의 9가지와,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의 (尋)·사(伺) 2가지를 합한 총 11가지 마음작용은 근본번뇌를 비롯한 번뇌 또는 불선과 상응하면 수번뇌가 되고, 선과 상응하면 선이 된다.

나머지 19가지 마음작용은 그 자체가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번뇌이므로 언제나 수번뇌이다.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이 19가지를 지말번뇌 또는 지말혹으로서의 수번뇌로 들고 있다.

19가지 수번뇌는 다음과 같다.


  •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중 5가지: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
  •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 무참(無慚)·무괴(無愧)
  •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諂)·(誑)·(憍)
  •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 2가지: 수면(睡眠)·악작(惡作)

2. 1. 설일체유부의 수번뇌

설일체유부에서는 근본번뇌수면(隨眠)이라고 하며, 6수면((貪)·(瞋)·(慢)·무명(無明)·(見)·의(疑))을 제시한다. 이 근본번뇌와 상응하거나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19가지 심소법(心所法)을 수번뇌로 분류한다.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 따르면, 6가지 근본번뇌와 대선지법(大善地法)에 속한 10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30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이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의 (受)·상(想)·사(思)·(觸)·욕(欲)·염(念)·작의(作意)·승해(勝解)·삼마지(三摩地)의 9가지와,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의 (尋)·사(伺) 2가지를 합한 총 11가지 마음작용은 근본번뇌를 비롯한 번뇌 또는 불선과 상응하면 수번뇌가 되고, 선과 상응하면 선이 된다.

나머지 19가지 마음작용은 그 자체가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번뇌이므로 언제나 수번뇌이다.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이 19가지를 지말번뇌 또는 지말혹으로서의 수번뇌로 들고 있다.

19가지 수번뇌는 다음과 같다.

  •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중 5가지: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
  •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 무참(無慚)·무괴(無愧)
  •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諂)·(誑)·(憍)
  •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 2가지: 수면(睡眠)·악작(惡作)

2. 2. 《법온족론》, 《품류족론》, 《구사론》, 《현종론》의 설명

설일체유부의 논서들에 나타난 수번뇌(隨煩惱)에 대한 정의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 논서는 공통적으로 수번뇌를 근본번뇌와 함께 마음을 오염시키는 번뇌, 또는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번뇌로 본다.

《아비달마법온족론》에서는 고타마 붓다가 바라문에게 설한 가르침을 인용하여, 탐(貪)·진(瞋)·치(癡)·분(忿)·한(恨)·부(覆)·뇌(惱)·질(嫉)·간(慳)·광(誑)·첨(諂)·무참(無慚)·무괴(無愧)·만(慢)·과만(過慢)·만과만(慢過慢)·아만(我慢)·증상만(增上慢)·비만(卑慢)·사만(邪慢)·교(憍)·방일(放逸)·오(傲)·분발(憤發)·교망(矯妄)·궤사(詭詐)·현상(現相)·격마(激磨)·이리구리(以利求利)·악욕(惡欲)·대욕(大欲)·현욕(顯欲)·불희족(不喜足)·불공경(不恭敬)·기악언(起惡言)·낙악우(樂惡友)·불인(不忍)·탐기(耽嗜)·변탐기(遍耽嗜)·염탐(染貪)·비법탐(非法貪)·착탐(著貪)·악탐(惡貪)·유신견(有身見)·유견(有見)·무유견(無有見)·탐욕(貪欲)·진에(瞋恚)·혼침(惛沈)·수면(睡眠)·도거(掉擧)·악작(惡作)·의(疑)·몽궤(瞢憒)·불락(不樂)·빈신(頻申)·흠거(欠呿)·식부조성(食不調性)·심매열성(心昧劣性)·종종상(種種想)·부작의(不作意)·추중(麤重)·저돌(觝突)·도철(饕餮)·불화연성(不和軟性)·불조유성(不調柔性)·불순동류(不順同類)·욕심(欲尋)·에심(恚尋)·해심(害尋)·친리심(親里尋)·국토심(國土尋)·생사심(生死尋)·능멸심(凌蔑尋)·가족심(假族尋)·수(愁)·탄(歎)·고(苦)·우(憂)·요(擾)·뇌(惱) 등 수많은 수번뇌를 구체적으로 열거한다. 이들 중 하나라도 영원히 끊으면 불환을 얻는다고 설한다.

《품류족론》에서는 수번뇌를 행온(行蘊)에 속한 마음작용(심소법) 중 수면(隨眠)을 제외한 모든 염오심소(染污心所), 즉 염오성의 마음작용으로 정의한다. 이는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난 번뇌만을 의미한다.

《구사론》과 《현종론》에서는 수번뇌를 근본번뇌인 수면과 수면을 제외한 염오심소행온(染污心所行蘊)으로 정의한다. 즉, 《구사론》에서는 수번뇌가 마음을 뇌란(惱亂)시킨다는 점에서는 근본번뇌를,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난다는 점에서는 지말번뇌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현종론》에서는 근본번뇌가 번뇌상(煩惱相)을 완전히 갖추고 있어 마음을 요란(擾亂)시키는 반면, 지말번뇌는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나서 마음을 요란(擾亂)시키므로 번뇌상을 완전히 갖추지 못하여 단지 '수번뇌'라고 부른다고 설명한다.

《구사론》과 《현종론》에서는 (纏)과 번뇌구(煩惱垢)를 수번뇌의 대표적인 예로 제시하며, 특히 10전과 6번뇌구가 지말번뇌에 속한다고 본다.

3. 대승불교의 수번뇌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근본번뇌의 종자(種子)적 측면을 수면이라고 하며, 6근본번뇌로 (貪) '''·''' (瞋) '''·''' (慢) '''·''' 무명(無明) '''·''' 의(疑) '''·''' 부정견(不正見)을 제시한다.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이들 6가지 근본번뇌는 모두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에 속하고, 번뇌심소는 오로지 이들 6가지 근본번뇌들로 이루어져 있다.

심소법에 속한 51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6가지 근본번뇌와 선심소(善心所)에 속한 11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34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이들 34가지 마음작용 중 변행심소(5가지)에 속한 작의(作意) '''·''' (觸) '''·''' (受) '''·''' 상(想) '''·''' 사(思)의 5가지와 별경심소(5가지)에 속한 욕(欲) '''·''' 승해(勝解) '''·''' 염(念) '''·''' 삼마지(三摩地) '''·''' 혜(慧)의 5가지와 부정심소(4가지)에 속한 수면(睡眠) '''·''' 악작(惡作) '''·''' (尋) '''·''' (伺)의 4가지의 총 14가지의 마음작용들은 무엇과 상응하느냐에 따라 번뇌(煩惱)가 되기도 하고 선(善)이 되기도 하는데, 근본번뇌를 비롯한 번뇌 또는 불선(不善)과 상응한 경우에는 번뇌가 되므로 따라서 수번뇌가 되며 선(善)과 상응한 경우에는 번뇌가 아닌 선(善)이 된다.

이와는 달리, 34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14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20가지 마음작용은 그 자체가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나서 생긴 번뇌이기 때문에 언제나 수번뇌이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이 20가지 마음작용을 수번뇌로 보았다. 20가지 수번뇌는 다음과 같다.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이들 20가지 수번뇌는 심소법의 세부 그룹인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를 이루고 있는데, 수번뇌심소는 다시 다음과 같이 3그룹으로 세분된다.


  •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의 10가지 모두: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해(害) '''·''' 교(憍)
  •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의 2가지 모두: 무참(無慚) '''·''' 무괴(無愧)
  •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의 8가지 모두: 도거(掉擧) '''·''' 혼침(惛沈)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실념(失念) '''·'''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

3. 1. 유식유가행파의 수번뇌

유식유가행파에서는 근본번뇌 외에 20가지 수번뇌를 제시한다. 20가지 수번뇌는 다음과 같다.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6근본번뇌는 (貪)·(瞋)·(慢)·무명(無明)·의(疑)·부정견(不正見)을 말한다.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이들 6가지 근본번뇌는 모두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에 속한다.

심소법에 속한 51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6가지 근본번뇌와 선심소(善心所)에 속한 11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34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이들 34가지 마음작용 중 변행심소(5가지)에 속한 작의(作意)·(觸)·(受)·상(想)·사(思)의 5가지와 별경심소(5가지)에 속한 욕(欲)·승해(勝解)·염(念)·삼마지(三摩地)·혜(慧)의 5가지와 부정심소(4가지)에 속한 수면(睡眠)·악작(惡作)·(尋)·(伺)의 4가지의 총 14가지의 마음작용들은 무엇과 상응하느냐에 따라 번뇌(煩惱)가 되기도 하고 선(善)이 되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34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14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20가지 마음작용은 그 자체가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나서 생긴 번뇌이기 때문에 언제나 수번뇌이다.

유식유가행파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20가지 수번뇌는 심소법의 세부 그룹인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를 이루고 있는데, 수번뇌심소는 다시 다음과 같이 3그룹으로 세분된다.

  •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의 10가지: 분(忿)·한(恨)·부(覆)·뇌(惱)·질(嫉)·간(慳)·광(誑)·첨(諂)·해(害)·교(憍)
  •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의 2가지: 무참(無慚)·무괴(無愧)
  •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의 8가지: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해태(懈怠)·방일(放逸)·실념(失念)·산란(散亂)·부정지(不正知)

3. 2. 《유가사지론》, 《집론》·《잡집론》, 《성유식론》의 설명

유가사지론》에서는 수번뇌번뇌의 다른 이름, 혹은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번뇌로 보며, 특히 (貪)·(瞋)·(癡)의 3수번뇌를 강조한다. 《유가사지론》 제89권에 따르면, 수번뇌는 탐불선근(貪不善根)·진불선근(瞋不善根)·치불선근(癡不善根)·분(忿)·한(恨) 등의 모든 잡예사(雜穢事), 즉 더러움으로 오염된 것을 말한다.

집론》과 《잡집론》에서는 수번뇌가 마음을 따라 뇌란(惱亂)시킨다고 설명한다. 모든 번뇌를 수번뇌라고도 하는데, 이는 번뇌가 마음을 따라다니면서 요동시켜 오염시키고 해탈과 장애를 끊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고타마 붓다는 "긴 밤 동안 탐·진·치에 의해 마음이 요동치고 오염되었다"고 설하였다.

성유식론》에서는 수번뇌를 근본번뇌의 분위차별(分位差別) 또는 등류성(等流性)으로 규정하고, 20가지 수번뇌를 소·중·대의 세 그룹으로 분류한다. 20가지 수번뇌는 다음과 같다.

《성유식론》에서는 이들 외에도 많은 수번뇌가 있지만, 이 20가지가 근본번뇌는 아니면서 세력이 강하고 두드러진 번뇌이기 때문에 별도로 수번뇌심소로 설정했다고 설명한다.

4. 수번뇌의 성질과 단멸

수번뇌는 근본번뇌와 마찬가지로 견혹과 수혹으로 분류된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모든 수번뇌가 견혹과 수혹의 측면을 모두 가지며,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함께 끊어진다고 본다. 수번뇌 중 일부는 가유(假有)이고 일부는 실유(實有)이다. 가유인 수번뇌는 특정한 근본번뇌에 의존하여 발생한다. 예를 들어 분, 한, 뇌, 해, 질은 진(瞋); 부는 (貪), (癡); 광, 첨, 교는 탐; 간은 탐; 방일은 해태, 탐, 진, 치; 실념은 염, 치; 부정지는 혜, 치; 산란은 탐, 진, 치를 따른다.

수번뇌의 단멸은 근본번뇌의 단멸과 함께 이루어지며, 점진적인 수행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6근본번뇌가 10근본번뇌로 세분되고, 다시 10근본번뇌가 3계 5부 분별에 의해 128근본번뇌로 세분되며, 이 가운데 112근본번뇌 즉 112혹이 견혹에 해당하며 16근본번뇌 즉 16혹이 수혹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지말번뇌로서의 수번뇌는 6근본번뇌 혹은 세부적으로는 128근본번뇌(128혹)를 따라 일어난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질 때 수번뇌도 함께 끊어진다.

성유식론》 제6권에 따르면, 20가지 수번뇌는 모두 분별기이기도 하고 구생기이기도 하다. 즉 견혹이기도 하고 수혹이기도 하다. 달리 말하면, 20가지 수번뇌는 견혹의 측면과 수혹의 측면을 모두 가진 번뇌로, 20가지 수번뇌의 견혹의 측면은 견도에서 그 모두가 한꺼번에 끊어지고, 수혹의 측면은 수도에서 점진적으로 끊어진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수번뇌가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나는[隨起]' 번뇌이기 때문이다. 즉, 근본번뇌견혹이면 따라 일어난 수번뇌도, 이 수번뇌가 가유인지 또는 실유인지에 상관없이, 항상 견혹이고, 근본번뇌가 수혹이면 따라 일어난 수번뇌도, 이 수번뇌가 가유인지 또는 실유인지에 상관없이, 항상 수혹이기 때문이다.

```text




5. 한국 불교의 관점

참조

[1] 검색 親里尋 https://www.google.c[...] 구글 CBETA 2013-05-09
[2] 검색 倒染心 https://www.google.c[...] 구글 CBETA 2013-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