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지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가사지론》은 유가행파의 교리를 담은 불교 논서로, 4세기경 완성되었다. 인도 유가행파와 관련 있으며, 보살의 수행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은 팔식, 아뢰야식, 삼성설, 유식설 등을 상세히 설명하며, 특히 보살도는 대승불교 수행의 지침으로 여겨진다. 현장의 번역을 통해 동아시아 불교에 소개되었으며, 티베트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현재는 산스크리트어 원본의 일부와 중국어, 티베트어 번역본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승 경전 - 범망경
범망경은 보살계를 중심으로 하는 대승 불교 경전으로, 보살의 10중대계와 48경계를 상세히 설명하여 대승 불교의 윤리적 기반이 되어왔으나, 산스크리트어 원본이 발견되지 않아 위경 논란이 있다. - 불교 계율 - 팔리 삼장
팔리 삼장은 상좌부 불교의 경전으로, 율장, 경장, 논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장은 승가의 규율을, 경장은 부처의 설법을, 논장은 불교 철학을 담고 있다. - 불교 계율 - 바라이죄
바라이죄는 불교 율장에서 출가 수행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어기는 죄목으로, 비구는 사바라이, 비구니는 팔바라이죄를 지켜야 한다. - 불교 논서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교 논서 - 직지심체요절
《직지심체요절》은 백운화상이 저술하고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된 불교 서적으로,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유가사지론 | |
---|---|
기본 정보 | |
제목 | 유가사지론 |
원제 | Yogācārabhūmi-śāstra (산스크리트어) |
다른 이름 | 요가사지론 (瑜伽師地論, 중국어) |
저자 | 미륵보살 |
번역자 | 현장 |
시대 | 당나라 |
분량 | 100권 |
내용 |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 수행 체계와 깨달음의 단계 제시 |
구성 | |
본지분 (本地分) | 5권 |
섭결택분 (攝決擇分) | 30권 |
섭석분 (攝釋分) | 30권 |
섭이문분 (攝異門分) | 20권 |
섭사분 (攝事分) | 13권 |
보살지도 (菩薩地道) | 《유가사지론》의 중요한 부분 |
결택분 (決擇分) | 《유가사지론》의 중요한 부분 |
영향 | |
주요 영향 | 유식학 및 선종 발전에 기여 |
참고 서적 | 《성유식론》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집론》 |
기타 정보 | |
범어 원본 | 현존하지 않음 |
티베트어 번역 | 존재 |
연구 현황 | 현대 학자들의 활발한 연구 진행 중 |
2. 역사
《유가사지론》은 팔식과 알라야식(저장 또는 근본 의식)과 같은 특정 유가행파 고유의 교리를 담고 있어 일반적으로 인도 유가행파와 관련이 있다.[1] 이 텍스트는 주류 불교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 저술과 강한 친밀성을 보이며, 많은 기술적 용어와 현상 분류(''법'')를 채택했다.[3]
《유가사지론》(YBh)은 크게 기본 부분과 부속 부분으로 나뉜다. 기본 부분은 전체의 49.9%를 차지하며, 대승불교 보살의 수행 단계를 다루는 17개의 지(地, bhūmi)를 설명하는 14개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17][18] 여기서 'bhūmi'는 유가행파 수행자가 요가 수행에서 성공하기 위해 숙달해야 하는 지식 분야를 의미한다.[19]
비록 초기 자료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유가사지론》은 서기 4세기에 최종적으로 완성된 것으로 여겨진다.[4] 전통적인 자료는 인도 사상가 아상가(ca. 300-350) 또는 보살 미륵을 저자로 지목하지만,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서로 다른 연대기적 텍스트 층과 다양한 저자를 가진 복합 텍스트라고 주장하며, 이는 아상가가 그들 중 하나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5][6]
학자들에 따르면 『유가사지론』은 아비달마구사론과 경량부의 저술과 같은 다른 북인도 불교 저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 또한, 『대승장엄경』, 『아비달마집론』, 『섭대승론』등 후기 유가행유식학파의 저술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유가사지론》은 동아시아 불교와 티베트 불교 번역에서 연구되고 전파되었다. 중국에서는 현장 (玄奘, 602?-664)의 저술이 《유가사지론》을 완전히 소개했다.[8] 이는 특히 특정 존재들이 각성을 얻을 수 있는 *고트라*, 즉 영적 성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개념을 둘러싸고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9] 수나라 (589-618) 말까지 중국 내 불교는 많은 뚜렷한 종파와 전통을 발전시켰다. 단 루스하우스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현장은 중국 불교에 스며든 많은 분쟁과 해석적 갈등이 중국어 번역본에서 중요한 텍스트가 없기 때문에 발생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그는 [현장]은 아상가가 쓴 유가행파의 불도 수행 단계에 대한 백과사전적 설명인 『유가사지론』(Yuqielun, 瑜伽論)의 완전한 판본이 모든 갈등을 해결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6세기에는 파라마르타(또 다른 주요 번역가)라는 이름의 인도 선교사가 부분적으로 번역했다. 현장은 인도에서 완전한 텍스트를 구하여 중국에 소개하기로 결심했다.[10]
《유가사지론》은 9세기에 삼예 사원에서 예셰스데와 코르 로 루이 걀찬이 인도 판디타 프라즈냐바르만, 수렌드라보디, 지나미트라와 협력하여 티베트어로 번역되었다.[11]
3. 구성
본서는 유가 수행자가 인식하는 대상(경계), 수행, 과(果)를 밝힌 것으로, 아뢰야식, 삼성 삼무성설, 유식설 등 다양한 문제가 상세히 설해져 있다.
《유가사지론》은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본지분에서는 삼승의 사상을 17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 섭결택분에서는 본지 중의 요의를 설명한다.
# 섭석분에서는 여러 경전의 의칙을 해석한다.
# 섭이문분에서는 경전 중의 여러 법의 명의를 해석한다.
# 섭사분에서는 삼장의 요의를 해석한다.
3. 1. 기본 부분 (本地分)
기본 부분(本地分)은 《유가사지론》의 가장 큰 부분으로, 대승 보살의 수행에 대한 정신적, 영적인 모든 단계를 다루는 17개의 지(地, bhūmi)를 연속적으로 설명한다. 각 지는 요가 수행자가 숙달해야 하는 지식 분야를 의미한다.
5식(五識)의 집(地)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 의식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제공하며, 그것들의 기반(āśraya), 성질(svabhāva), 대상(Ālambana), 수반되는 정신 작용(sahaya) 및 작용(karman)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21] 감각 지각은 물질적 기반(신체적 감각 능력)과 정신적 기반(아뢰야식)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한다. 정신적 기반은 잠재 의식으로, "모든 종자[마음과 정신 작용을 위한]의 소유자"(sarva-bījaka), "신체의 소유자"(āśrayopādātṛ), 그리고 도덕적으로 중립적이라는 "업의 성숙[범주]에 속하는"(vipāka-saṃgṛhīta) 것이다.[21]
본서는 유가 수행자가 인식하는 대상(경계), 수행, 과(果)를 밝힌 것으로, 아뢰야식설, 삼성 삼무성설, 유식설 등 다양한 문제가 상세히 설해져 있다.
5가지 조직 중 제1 본지분에서는 삼승의 사상을 17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부분 번역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본서에 영향을 받은 논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보살지와 같은 이름이며, 보살지에 기초하여 내용을 발전시킨 것으로 대승장엄경론 13권(mahāyānasūtrālaṅkārasa)이 있다.
3. 1. 1. 17지(地)
17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25]# 오식신상응지
# 의지
# 유심무사지
# 무심유사지
# 무심무사지
# 삼마해다지
# 비삼마해다지
# 유심지
# 무심지
# 문소성지
# 사소성지
# 수소성지
# 성문지
# 독각지
# 보살지
# 유여의지
# 무여의지
3. 2. 부속 부분 (攝決擇分, 攝釋分, 攝異門分, 攝事分)
부속 부분은 기본 부분을 보충하는 네 개의 '집' 또는 '요약'(saṃgrahaṇī)으로 구성되어 있다.[113]- '''Viniścayasaṃgrahaṇī'''''(결정의 요약): 기본편의 17가지 ''지''의 측면에 대한 논의와 해설('viniścaya')을 제공한다. 이 부분에는 아뢰야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사라밀경의 인용 및 활용이 포함되어 있다.[49]
- '''Vyākhyāsaṃgrahaṇī'''''(해설의 요약): 해석학 및 주석 기술, 수사학 및 논리적 논증('hetuvidyā')에 대한 지침서이다.
- '''Paryāyasaṃgrahaṇī'''''(관련 용어의 요약): 아함경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준 동의어 표현들을 정의한다.
- '''Vastusaṃgrahaṇī'''''(주제[선택]의 요약): 람베르트 슈미트하우젠 등은 이 부분이 가장 오래된 텍스트 층의 일부라고 주장한다.[49] 여기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된다.
- ''Sūtravastusaṃgrahaṇī'': 잡아함경에 포함된 각 경의 핵심 주제를 요약하고 설명한다.
- '율의 요약'(Vinayavastusaṃgrahaṇī)
- '아비달마 목록의 요약'(Mātṛkavastusaṃgrahaṇī)
중국어 버전에는 티베트어 번역본에 없는 아비달마 요약집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서는 유가 수행자가 인식하는 대상(경계), 수행, 과(果)를 밝힌 것으로, 아뢰야식설, 삼성 삼무성설, 유식설 외 다양한 문제가 상세히 설해져 있다. 제2 섭결택분에서는 본지 중의 요의를 설명하며, 제3 섭석분에서는 여러 경전의 의칙을 해석하며, 제4 섭이문분에서는 경전 중의 여러 법의 명의를 해석하고, 제5 섭사분에서는 삼장의 요의를 해석하고 있다.
4. 주요 내용
《유가사지론》은 유가행(yogācāra)의 관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아뢰야식설, 삼성 삼무성설(三無性說), 유식설(唯識說)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룬다. 특히 보살지는 대승불교 보살의 수행 단계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대승불교 수행의 중요한 지침으로 여겨진다.[38]
본서는 유가 수행자가 인식하는 대상(경계), 수행, 과(果)를 밝힌 것으로,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본지분: 삼승의 사상을 17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17지는 오식신상응지, 의지, 유심무사지, 무심유사지, 무심무사지, 삼마해다지, 비삼마해다지, 유심지, 무심지, 문소성지, 사소성지, 수소성지, 성문지, 독각지, 보살지, 유여의지, 무여의지이다.
# 섭결택분: 본지 중의 요의를 설명한다.
# 섭석분: 여러 경전의 의칙을 해석한다.
# 섭이문분: 경전 중의 여러 법의 명의를 해석한다.
# 섭사분: 삼장의 요의를 해석한다.
부분 번역본으로는 『보살지지경』 10권 (북량 담무참 역, 보살지), 『보살선계경』 9권 (유송 구나발마 역, 보살지), 『십칠지론』 5권(산실) (양(남조) 진제 역, 본지분 처음), 『결정장경』 3권 (양 진제 역, 섭결석분 처음) 등이 있다.
본서에 영향을 받은 논서로는 『현양성교론』 20권, 『대승아비달마집론』 7권, 『섭대승론』 (무착 저), 『섭대승론석』 (세친 저), 『불성론』 (세친 저), 『성유식론』 (호법 저) 등이 있다.
보살지와 같은 이름이며, 보살지에 기초하여 내용을 발전시킨 것으로 『대승장엄경론』 13권(mahāyānasūtrālaṅkārasa)이 있다.
4. 1. 보살지(菩薩地)의 구성
보살지는 세 개의 요가스타나(yogasthāna)와 열 가지 주제로 나뉜다.[39]5. 한국 불교와의 관계
한국 불교는 전통적으로 《유가사지론》을 중시해 왔으며, 원효, 의상 등 고승들이 이 논서에 대한 주석서를 남겼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유가사지론》은 수행과 교학 연구의 중요한 텍스트로 활용되고 있다.[40] 특히 진보적인 불교계에서는 사회적 실천과 개인의 수행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이 논서의 가르침을 재조명하고 있다.
6. 주석서
- 당나라 현장의 《유가사지론석(瑜伽師地論釋)》(K.0575, T.1580)
- 당나라 규기의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 신라 둔륜의 《유가론기(瑜伽論記)》(T.1828)
7. 관련 논서
참조
[1]
서적
Kragh 2013
[2]
서적
Kragh 2013
[3]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4]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5]
웹사이트
Yogācārabhūmi
2017-07-26
[6]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7]
서적
Kragh 2013
[8]
서적
Kragh 2013
[9]
서적
Kragh 2013
[10]
웹사이트
Xuanzang (Hsüan-tsang)
http://www.acmuller.[...]
2007-12-12
[11]
서적
Kragh 2013
[12]
서적
Kragh 2013
[13]
서적
Kragh 2013
[14]
서적
Kragh 2013
[15]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6]
서적
The Bodhisattva Path to Unsurpassed Enlightenment
Snow Lion (an imprint of Shambhala Publications)
2016
[17]
웹사이트
Summary of the Yogācārabhūmi-śāstra
http://www.acmuller.[...]
2024-06-09
[18]
서적
Kragh 2013
[19]
서적
Kragh 2013
[20]
서적
Kragh 2013
[21]
서적
Kragh 2013
[22]
서적
Kragh 2013
[23]
서적
Kragh 2013
[24]
서적
Kragh 2013
[25]
서적
Kragh 2013
[26]
서적
Kragh 2013
[27]
서적
Kragh 2013
[28]
서적
Kragh 2013
[29]
서적
Kragh 2013
[30]
서적
Kragh 2013
[31]
서적
Kragh 2013
[32]
서적
Samahita Bhumi: Das Kapitel über die meditative Versenkung im Grundteil der Yogacarabhumi
2009
[33]
서적
Kragh 2013
[34]
서적
Kragh 2013
[35]
서적
Kragh 2013
[36]
서적
Kragh 2013
[37]
서적
Kragh 2013
[38]
서적
Kragh 2013
[39]
서적
Kragh 2013
[40]
서적
Kragh 2013
[41]
서적
Kragh 2013
[42]
서적
Kragh 2013
[43]
서적
Kragh 2013
[44]
서적
Kragh 2013
[45]
서적
Kragh 2013
[46]
서적
Kragh 2013
[47]
서적
Kragh 2013
[48]
서적
Kragh 2013
[49]
서적
Kragh 2013
[50]
서적
Kragh 2013
[51]
서적
Kragh 2013
[52]
서적
Kragh 2013
[53]
서적
Kragh 2013
[54]
서적
Kragh 2013
[55]
서적
Kragh 2013
[56]
서적
Kragh 2013
[57]
서적
Kragh 2013
[58]
웹사이트
Nine Stages of Training the Mind
http://www.shambhala[...]
[59]
웹사이트
Achieving Shamatha by Dr. Alexander Berzin on StudyBuddhism.com
http://studybuddhism[...]
[60]
서적
Kragh 2013
[61]
서적
Kragh 2013
[62]
서적
Kragh 2013
[63]
서적
Kragh 2013
[64]
서적
Kragh 2013
[65]
서적
Kragh 2013
[66]
서적
Kragh 2013
[67]
서적
Kragh 2013
[68]
서적
Kragh 2013
[69]
서적
Kragh 2013
[70]
서적
Kragh 2013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Meditative Practices in the Bodhisattvabhūmi: Quest for and Liberation through the Thing-In-Itself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2013
[107]
서적
2013
[108]
서적
2013
[109]
서적
2013
[110]
서적
2013
[111]
서적
2013
[112]
서적
2013
[113]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114]
서적
The Foundation for Yoga Practitioners: The Buddhist Yogācārabhūmi Treatise and Its Adaptation in India, East Asia, and Tibet, Volume 1
Harvard University, Department of South Asian studies
2013
[115]
서적
대당서역기 제5권
[116]
웹사이트
석가방지
http://www.cbeta.org[...]
[117]
웹사이트
유가사지론 제1권
http://www.cbeta.org[...]
CBE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