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의 특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드로 특권은 사도 바오로의 가르침에 근거한 바오로 특권과 구별되는 용어로, 교황이 성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가지는 권위를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특권은 세례받지 않은 두 사람 간의 유효한 자연 혼인, 또는 세례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 간의 유효한 혼인에 적용될 수 있다. 16세기 가톨릭 교회의 선교 활동과 함께 관련 규범이 발전해 왔으며, 20세기에도 혼인과 이혼 증가에 따라 사목적 필요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정되었다. 베드로 특권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청원인이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혼인 - 바오로의 특전
바오로의 특전은 결혼 당시 세례를 받지 않은 두 사람의 이혼에 대해 가톨릭 교회가 허용하는 것으로, 세례를 받지 않은 배우자가 세례를 받은 배우자를 떠난 경우, 세례를 받은 배우자가 새로운 결혼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 기독교의 혼인 - 혼인성사
혼인성사는 기독교에서 남녀의 결합을 신성하게 여기는 의식으로, 다양한 교파에서 결혼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각기 다른 해석과 전례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여러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베드로의 특전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교회법 조항 |
소관 | 혼인 |
위치 | 가톨릭 교회법 제1143-1150조 |
관련 문서 | 바울의 특전 |
상세 정보 | |
정의 | 개종하지 않은 배우자와의 혼인을 해소할 수 있는 특권 |
조건 | 개종하지 않은 배우자가 세례를 받지 않음 개종하지 않은 배우자가 평화롭게 살기를 거부하거나 가톨릭 신앙을 믿는 배우자의 종교적 교육을 방해 |
근거 | 1코린토 7,12-15와 그 이후의 교회법 발전 |
역사적 배경 | 신약성경의 가르침에 기초 에즈라기 10,1-14의 혼혈 혼인 해소 사례 |
효과 | 가톨릭 신자가 개종하지 않은 배우자와의 혼인을 해소하고 다른 가톨릭 신자와 혼인 가능 |
제한 | 교황의 권한으로만 행사 가능 |
2. 용어
"베드로 특전"(Privilegium Petrinum)이라는 용어는 사도 바오로의 가르침(고린도전서 7:12-15)에 근거한 바오로 특권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4][5] 베드로 특권은 성 베드로가 제시한 규칙이 아니라, 교황이 성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가지는 권위를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교회법 학자들은 "베드로 특권"이라는 용어가 부적절하다고 여기지만,[6]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앙의 특전"이 적용되는 혼인은 유효한 자연 혼인이다. 다른 성사를 유효하게 받으려면 세례가 필요하며, 혼인에는 두 사람이 함께 참여하므로, 둘 중 한 사람이 세례를 받지 않았다면 성사가 성립되지 않는다. 자연 혼인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지만, 확정되지 않은 것(''non ratum'')으로 분류되며, 개인의 더 높은 신앙적 선을 위해 해소될 수 있다.[7]
16세기에 선교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교황 바오로 3세(1537년 6월 1일 ''Altitudo''), 교황 비오 5세(1571년 8월 2일 ''Romani Pontifices''), 교황 그레고리오 13세(1585년 1월 25일 ''Populis'')는 일부다처제를 다루기 위해 새로운 규범을 개발했다. 이는 바오로 특전이 제공하는 범위를 넘어선 여러 새로운 "특전"을 승인한 것이었다.[9] 1917년 교회법전은 이를 전체 교회로 확대했으며, 20세기에 혼인과 이혼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결혼과 관련된 사목적 필요성이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배 규범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10]
베드로 특권에 따른 혼인 해소를 청원하는 사람은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
문서
Code of Canon Law, canon 1150
https://www.vatican.[...]
3. 자연 혼인
비세례자가 분리된 후라도 언제든지 세례를 받으면, 그 혼인은 성사가 되며 "신앙의 특전"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부부가 둘 다 세례를 받은 후에도 부부 관계를 갖지 않았다면, 확정되었지만 완성되지 않은 혼인(''ratum sed non consummatum'')은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교회법 제1142조에 따라 해소될 수 있다.[8]
4. 역사
1924년 교황 비오 11세는 1919년 제라드 G. 마쉬(세례를 받지 않은 자)와 프란세스 E. 그룸(세례를 받은 성공회 신자)의 몬태나주 헬레나에서의 결혼을 무효화했다. 이들은 1년 후 민사 이혼했다. 이것은 마쉬가 가톨릭 신자인 루루 라후드와 결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5] 사례가 너무 많아지자, 1934년 신앙교리성은 "최고 교황의 권위에 의한 신앙을 위한 결혼 무효화 규범"을 발표했다. 이는 세례를 받은 당사자가 유효한 자연 결혼을 하기 위해 면제를 받은 후 세례를 받지 않은 사람과 결혼한 가톨릭 신자인 경우에도 적용되었다. 1973년 12월 6일, 1934년 규범을 개정한 새로운 규범이 발표되었다. 이는 다시 2001년 4월 30일에 개정된 텍스트로 대체되었다.[10]
5. 조건
청원인 조건 혼인 당시 세례를 받았고 가톨릭 신자였던 경우 세례를 받은 기독교인과 혼인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곧 또는 미래에). 세례를 받지 않았거나 다른 기독교 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경우 가톨릭 교회에 입교하거나 세례를 받을 의사가 있거나, 세례를 받고 신앙생활을 하는 가톨릭 신자와 혼인할 의사가 있어야 한다.
참조
[2]
서적
Marriage in Canon Law: Texts and Comments, Reflections and Questions
https://books.google[...]
Gracewing Publishing
1988
[3]
간행물
Randall D. Noller, "Marriage, Divorce, and the Pauline Privilege"
http://www.catholicc[...]
[4]
웹사이트
Bruno Primetshofer, ''Petrine Privilege''
http://brillonline.n[...]
2013-08-31
[5]
서적
Eileen F. Stuart, ''Dissolution and Annulment of Marriage by the Catholic Church'' (Federation Press 1994), pp. 108-114
https://books.google[...]
[6]
서적
Orlando O. Espín, James B. Nickoloff (editor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2007), p. 1036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Arlington Diocese, "Dissolution of the Bond of Marriage – Favor of the Faith- Petrine Privilege"
http://www.arlington[...]
2013-08-31
[8]
문서
Code of Canon Law, canon 1142
https://www.vatican.[...]
[9]
웹사이트
see paragraph 4 of preface
https://www.vatican.[...]
[10]
간행물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Norms on the preparation of the process for the dissolution of the marriage bond in favour of the faith"
https://www.vatican.[...]
[11]
간행물
Diocese of Covington Tribunal, "Petition for Favor of the Faith – Petrine privilege"
http://home.catholic[...]
[12]
웹사이트
Diocese of Venice in Florida, "Application form for Petrine Privilege Dissolution "in favor of the Faith"
http://dioceseofveni[...]
2013-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