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1502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나 볼로냐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교황 바오로 3세의 부름을 받아 로마로 가서 교황청에서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교황 비오 4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에도 참여했다. 1572년 교황 비오 5세가 선종한 후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어 그레고리오 13세가 되었다. 그는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그레고리오력을 도입하여 역법 개혁을 단행했다. 또한 예수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외교 및 정치 활동을 펼쳤으며, 예술을 후원했다. 1585년에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 그레고리력
    그레고리력은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제정하여 400년에 97번의 윤년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법이다.
  • 1502년 출생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502년 출생 -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의 탐험가이자 초대 필리핀 총독으로, 1565년 필리핀 탐험대를 이끌어 세부와 마닐라를 정복하고 스페인 식민 통치를 시작했으며, 가톨릭 개종과 마닐라를 수도로 선포, 마닐라 갤리온 무역 창출에 기여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르톨로메오 파사로티의 초상화
바르톨로메오 파사로티의 초상화 (, 프리덴슈타인 성, 고타)
본명우고 본콤파니
출생일1502년 1월 7일
출생지교황령, 볼로냐
사망일1585년 4월 10일 (83세)
사망지교황령, 로마
모토Aperuit et clausit (열고 닫았다)
교황 직위
직위로마 주교
재임 시작1572년 5월 13일
재임 종료1585년 4월 10일
이전 교황비오 5세
다음 교황식스토 5세
성직
사제 서품1558년 7월 31일
서품자지롤라모 마카베이
주교 성성1558년 8월 6일
성성자지롤라모 마카베이
추기경 임명1565년 3월 12일
추기경 임명자비오 4세
이전 직책
이전 직책비에스테 주교 (1558–1560)
스페인 특사 (1565)
사도 서명원 장관 (1565)
산 시스토 베키오 추기경 (1565–1572)
학력
모교볼로냐 대학교
서명

2. 생애 초기

우고는 볼로냐 출신으로, 볼로냐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530년에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이 대학교에서 법학 교관으로 있었으며, 카를로 보로메오와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등이 그의 제자였다. 36세에 교황 바오로 3세에 의해 로마로 불려가 교회법 관련 업무를 맡았다. 비오 4세 때 추기경으로 임명되었고, 트리엔트 공의회에도 참가했다.

2. 1. 유년기 및 교육

우고 본콤파니는 1502년 볼로냐에서 크리스토포로 본콤파니(1470-1548)와 그의 아내 안젤라 마레스칼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볼로냐 대학교에서 교회법과 시민법을 공부하여 1530년 28세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몇 년간 교회법과 시민법을 가르쳤으며, 제자로는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레지널드 폴, 가롤로 보로메오 등이 있었다.[1] 우고 본콤파니는 사제 서품을 받기 전에 자코모라는 이름의 사생아를 한 명 낳았지만, 서품 전이었기 때문에 자녀를 둔 마지막 교황이 되었다.[1]

2. 2. 성직 입문

교황 바오로 3세의 부름을 받은 우고 본콤파니는 로마로 가서 교황청의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교황 바오로 4세교황 비오 4세 치하에서 추기경으로 서임되었고, 트리엔트 공의회에 참여했다.[1] 스페인의 펠리페 2세 국왕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 훗날 교황 재임 기간 동안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주었다.[1] 그는 이단 혐의를 받은 바르톨로메 데 카란사 추기경을 조사하기 위해 스페인에 교황특사로 파견되었을 때 펠리페 2세를 만났다.

1552년, 우고 본콤파니는 아들 지아코모(또는 야코포) 본콤파니의 친부임을 인정했다.[2]

3. 교황 선출 (1572년)

교황 비오 5세가 선종한 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본콤파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위대한 개혁가인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업적을 이어받겠다는 의미에서 자신의 교황명으로 그레고리오 13세를 선택하였다. 새 교황을 뽑기 위해 열린 콘클라베는 개시한 지 24시간도 채 안되어서 끝이 났다. 많은 역사가는 이렇게 빨리 결론이 난 것은 본콤파니 추기경이 스페인의 지지를 강하게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1]

본콤파니 추기경의 선출은 당시 교회의 입장에서 볼 때도 적절한 선택이었다. 그는 과거의 몇몇 교황들과는 달리 흠 없는 인생을 살아왔으며, 개인적으로도 무척 검소한 삶을 살아 다른 사람의 귀감이 되었다. 이에 더해, 지식이 해박하고 지도력도 뛰어난 인물이었기 때문에 교회 내에 산적한 문제를 잘 처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1] 카를로 보로메오와 개혁을 원하는 추기경들은 본콤파니의 후보 지명을 받아들여 콘클라베에서 그를 지지했고, 스페인 측도 그가 스페인에서 교황 대사로서 성공을 거둔 점을 고려하여 그를 받아들일 만하다고 여겼다.[2]

4. 교황 재위 기간 (1572-1585)

1572년 5월, 교황 비오 5세가 사망한 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부온콤파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어 그레고리오 13세가 되었다. 즉위 후, 교회 개혁에 착수하여 트리엔트 공의회 결의를 철저히 시행하고, 금서 목록 작성 위원회를 임명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흉상


라비니아 폰타나의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초상화'' (캔버스에 유채, 개인 소장)


그레고리오 13세는 율리우스력의 오차를 수정하여 그레고리오력을 반포하였다. 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6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했으나, 실제 회귀년보다 약간 길어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발생했다.[15] 이로 인해 부활절 날짜가 부정확해지자, 그레고리오 13세는 알로이시우스 릴리우스와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게 새 역법 제정을 지시, 1582년 2월 24일 칙령을 통해 그레고리오력을 발표하고, 1582년 10월 4일 다음 날을 10월 15일로 지정하여 춘분을 3월 21일로 맞추었다.[18][19][20][21]

조선에서는 효종 때부터 시헌력을 사용해왔으나,[23]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그레고리오력이 채택되었다.[24] 고종은 1895년 11월 15일 조칙을 내려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 양력 사용을 공식화했다.[24][25][26]

오스만 제국보다 개신교 확산을 더 큰 위협으로 간주한 그레고리오 13세는 스페인 펠리페 2세잉글랜드 엘리자베스 1세 폐위 계획을 지원했다.[7] 1578년 토마스 스투클리의 아일랜드 상륙 시도는 실패했고,[7] 1579년 제임스 피츠모리스 피츠제럴드의 두 번째 데스몬드 반란은 스머윅 학살로 진압되었다. 1580년, 엘리자베스 1세 파문 교황 칙서 ''레그난스 인 엑셀시스''를 완화하여 가톨릭교도들이 여왕에게 외견상 복종하도록 권고했다.[8]

''Ugonottorum Strages'' 메달


1572년 프랑스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 발생 후, 테 데움 미사를 거행하고 기념 메달을 제작했다.[9] 조르조 바사리에게 학살 장면을 묘사한 프레스코화를 의뢰하기도 했다.

예수회를 적극 지원하여 유럽 각지에 대학교 설립을 지원했다. 예수회 설립 로마 대학교는 교황 후원으로 유럽 학문 중심지로 성장, 오늘날 그레고리오 대학교의 전신이 되었다. 신학교 설립을 지시하고 예수회 사제들을 교수로 등용했다.

이토 만쇼가 이끄는 덴쇼 소년사절단이 1585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를 만나는 모습.


1585년 3월, 덴쇼 소년사절단(천정견구소년사절)을 접견하고 일본 통치자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하여 온 사절단에게서 아즈치 병풍을 선물받아 바티칸에 전시했다.[10]

성 베드로 대성전 내 그레고리오 경당 건축, 1580년 퀴리날레 궁전 확장, 1575년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을 곡물 창고로 개조했다.[1] 사생아 아들 자코모를 산탄젤로 성 성주 겸 교황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베네치아 공화국과 스페인 펠리페 2세는 자코모에게 귀족 지위와 군대 장군직을 주었다. 소라 공국을 획득하여 자코모를 영주로 임명, 교황령과 나폴리 왕국 사이를 지키게 했다.[1]

4. 1. 교회 개혁

그레고리오 13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의를 철저히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주교와 추기경들에게 자신의 교구에 상주할 것을 명하고, 금서 목록을 갱신하는 위원회를 설립했다. 《교회법전》을 개정하고 기독교 순교록을 출판하는 등 가톨릭 교회의 쇄신을 위해 노력했다.[3] 예수회와 오라토리오회를 지원하여 가톨릭 교육 및 선교 활동을 강화했다.

1572년 5월, 교황 비오 5세가 사망한 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부온콤파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어 그레고리오 13세가 되었다. 교황이 된 그가 먼저 전력을 기울여 착수한 것은 교회 개혁이었다. 특히 트리엔트 공의회 결의의 실시를 철저히 했으며, 부재 주교가 문제로 지적되자 주교와 추기경은 자신의 담당 지역에 거주하도록 했다. 또한, 공의회 후에 실시하기로 결정되었던 금서 목록 작성을 실행하기 위해 위원회를 임명했다.

그레고리오 13세가 추진한 개혁의 주요 핵심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법령들을 그대로 실천에 옮기는 것이었다. 그는 근래에 새로 결성된 예수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였으며, 이를 위해 많은 새로운 대학교들을 설립하도록 하였다. 예수회에서 설립한 로마 대학교는 그레고리오 13세의 후원을 받으며 나날이 성장해갔으며 유럽 학문의 최고 중심지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대학이 바로 오늘날 그레고리오 대학교의 전신이다.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로마의 독일 기숙사를 시작으로 사제 양성을 위하여 많은 신학교와 기숙사를 세울 것을 지시하였으며, 교수로는 예수회 사제들을 등용하였다.

1575년에는 성 필립보 네리가 창립한, 오직 기도와 설교에만 매진하는 사제 공동체인 오라토리오회를 정식으로 인가하였다. 1580년에는 이냐치오 단티를 포함한 예술가들에게 바티칸을 장식하는 작업을 의뢰했고, 지도 갤러리를 주문했다.

또한 그레고리오는 13세기에 로마에 설립된 도미니크 신학원을 1580년 트리엔트 공의회의 권고에 따라 성 토마스 칼리지로 개편했다. 이 칼리지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교황청 대학교 ''안젤리쿰''의 전신이었다.

4. 2. 그레고리오력 도입

율리우스력은 기원전 46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1년을 365.25일로 정했으나, 실제 회귀년인 365.2422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발생했다.[15]

중세 유럽은 부활절이 달력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자주 변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부활절은 춘분 후 첫 보름을 지난 첫 일요일(또는 첫 보름과 겹치면 다음 일요일)로 정해졌는데, 춘분이 달력보다 앞당겨지면 부활절도 앞당겨지는 모순이 있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 당시 춘분은 3월 22일이었지만,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때는 3월 11일로 10일 차이가 났다.[16]

이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부활절 날짜를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해 천문학자 루이지 릴리오에게 새로운 역법을 만들도록 지시했다.[17] 릴리오는 1년을 365일 5시간 49분 12초(365.2422일)로 정하고, 4로 나누어지는 해는 윤년, 100으로 나누어지는 해는 평년, 400으로 나누어지는 해는 다시 윤년으로 정하는 방식을 제안했다.[23]

1582년 2월 24일, 그레고리오 13세는 칙령을 통해 그레고리오력을 발표했다.[18][19][20] 그레고리오력은 의사이자 천문학자인 알로이시우스 릴리우스[4][5]가 처음 작성하고, 예수회 사제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가 최종 수정을 하였다. 1582년 10월 4일 다음 날을 10월 15일로 지정하여 10일을 없애고, 춘분을 3월 21일로 맞추는 개혁이 단행되었다.[21] 정교회개신교는 처음에는 이 조치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그레고리오력은 계절에 가장 잘 맞는 역법이었기 때문에 16세기 말부터 널리 보급되어 18세기 초에는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채택되었다.[22] 오늘날에는 대부분의 국가가 그레고리오력을 사용하고 있다.

4. 2. 1. 그레고리오력과 한국

조선은 효종 때부터 시헌력을 사용해왔으나,[23]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그레고리오력이 채택되었다.[24] 고종은 1895년 11월 15일 조칙을 내려 음력 1895년 11월 17일을 양력 1896년 1월 1일로 정하고,[24] 양력 사용을 공식화했다.[25][26]

4. 3. 외교와 정치

그레고리오 13세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침략을 우려했지만, 개신교의 확산을 더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 그는 스페인펠리페 2세잉글랜드엘리자베스 1세를 폐위시키려는 계획을 지원했고, 이는 잉글랜드 개신교도들이 가톨릭 교회를 잠재적인 반역 세력으로 의심하게 만들었다.[7]

1578년, 그레고리오는 망명한 잉글랜드 및 아일랜드 가톨릭교도들의 요청에 따라 모험가 토마스 스투클리에게 함선과 병력을 지원하여 아일랜드 상륙을 시도했다. 그러나 스투클리는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앙 왕과 연합하여 모로코를 공격 (알카세르-키비르 전투)하는 바람에 실패했다.[7] 1579년에는 제임스 피츠모리스 피츠제럴드가 이끄는 또 다른 원정대가 아일랜드에 상륙하여 두 번째 데스몬드 반란을 일으켰으나, 스머윅 학살로 진압되었다.

1580년, 잉글랜드 예수회의 설득으로 1570년 엘리자베스 1세를 파문한 교황 칙서 ''레그난스 인 엑셀시스''를 완화하여, 가톨릭교도들이 여왕에게 외견상 복종하도록 권고했다.[8]

1572년 프랑스에서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이 발생하자, 그레고리오 13세는 테 데움 미사를 거행하고 기념 메달을 제작했다.[9] 조르조 바사리에게 학살 장면을 묘사한 세 개의 프레스코화를 그리도록 의뢰하기도 했다. 다만, 이는 프랑스 왕이 학살을 왕에 대한 반란 진압으로 선전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로마에서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 그레고리오 성당을 건축하고, 1580년에는 퀴리날레 궁전을 건립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장을 곡창으로 개조하기도 했다. 이러한 건축 자금은 교황령 내 자산 몰수 등으로 충당하여 귀족들의 반감을 샀다. 서자 자코모 부온콤파니를 산탄젤로 성 성주, 교황령 국무장관 등으로 등용하여 베네치아 공화국과 스페인 왕의 환심을 사기도 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교황관은 그레고리오 13세 시대의 것이다.

4. 3. 1. 예수회 지원과 동아시아 선교

예수회는 그레고리오 13세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크게 성장했다. 교황은 예수회를 위해 유럽 각지에 많은 대학교를 설립하도록 지원했다. 특히 예수회에서 설립한 로마 대학교는 교황의 후원에 힘입어 유럽 학문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으며, 이는 오늘날 그레고리오 대학교의 전신이 되었다. 또한 교황은 사제 양성을 위한 신학교 설립을 지시하고, 예수회 사제들을 교수로 등용했다.

그레고리오 13세는 덴쇼 소년사절단(천정견구소년사절)을 접견한 첫 교황이기도 하다. 1585년 3월, 일본의 통치자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하여 온 덴쇼 소년사절단은 교황에게 아즈치 병풍을 선물했고, 이는 바티칸 내부에 전시되었다.[10]

4. 4. 예술 후원

그레고리오 13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 안에 웅장한 그레고리오 경당을 짓도록 했으며, 1580년에 퀴리날레 궁전을 확장했다. 또한 1575년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을 곡물 창고로 개조했다.[1]

그는 교황이 되기 전에 볼로냐에서 얻은 사생아 아들 자코모를 산탄젤로 성의 성주이자 교황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은 교황의 환심을 사기 위해 자코모에게 귀족 지위를 주었고, 스페인의 펠리페 2세는 그를 자기 군대의 장군으로 등용했다. 그레고리오 13세는 또한 소라 공국을 획득하여 그곳의 영주로 자코모를 임명하여 교황령과 나폴리 왕국 사이를 지키도록 하였다.[1]

5. 죽음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1585년 4월 5일에 열병을 앓았고, 4월 7일에는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평소처럼 개인 미사를 집전했다. 4월 8일과 9일에는 회의를 진행할 정도로 회복된 것처럼 보였지만,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4월 10일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나타나 침대에 눕게 되었고, 식은땀을 흘리고 맥박이 약해졌으며, 사망 직전에 종부성사를 받았다.[12]

참조

[1]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Ugo Boncompagni http://www.fiu.edu/~[...] Fiu.edu 2007-12-03
[2] 웹사이트 New from 1552: Ugo Boncompagni (=Pope Gregory XIII) confirms his paternity of son Giacomo https://villaludovis[...]
[3] 간행물 Commentary on the Rule of Life Teresian Charism Press, ICS Publications
[4]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Calendar We Have Today? https://www.whoinven[...] 2018-09-01
[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loisius Lilius http://www.newadvent[...]
[6] 서적 Earth Science Clearwater Christian College
[7]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Thomas Stukeley (c.1525–78) Ashgate
[8] 간행물 The History of Irish Catholicism Dublin
[9]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www.ccel.org/[...] Charles Scribner's Sons
[10] 서적 Capitalscapes Folding Screens and Political Imagination in Late Medieval Kyoto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11] 문서 The Popes
[12] 웹사이트 Sede Vacante 1585 http://www.csun.edu/[...] 2016-03-18
[13] 웹사이트 Gregory XIII pope https://www.britanni[...]
[14]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15] 서적 세상을 바꾼 최초들 하늘연못 2006-08-24
[16] 백과사전 태양력 두산백과
[17] 서적 세상을 바꾼 최초들 하늘연못 2006-08-24
[18] 뉴스 '[역사 속의 인물] 현재의 양력 만든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1-02-24
[19] 웹사이트 Inter Gravissimas http://www.bluewater[...]
[20]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21]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22] 백과사전 태양력 두산백과
[23] 백과사전 태양력 두산백과
[24] 서적 한국 최초 101장면 가람기획 1998-09-10
[25] 서적 한국 최초 101장면 가람기획 1998-09-10
[2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고종 실록 33권, 고종 32년 음력 1895년 11월 15일 http://sillok.histor[...]
[27]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28]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I. Modern Christianity. The German Reformation http://www.ccel.org/[...] Charles Scribner's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