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드르폴니르와 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드르폴니르와 수리는 북유럽 신화에서 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등장하는 존재들이다.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따르면, 위그드라실 꼭대기에는 지식을 가진 수리가 앉아 있고, 수리의 눈 사이에는 매인 베드르폴니르가 있다. 청설모 라타토스크는 위그드라실을 오가며 수리와 니드호그에게 험담을 퍼뜨린다. 학자들은 베드르폴니르의 역할과 북유럽 신화의 기원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맹금류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신화의 맹금류 - 자타유
    자타유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거대한 독수리로 라마의 친구이자 라바나의 시타 납치를 막으려다 죽었으며, 그의 희생은 라마의 시타 구출 여정에 영향을 주었고 용기, 헌신,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트롤
    트롤은 노르드 신화에서 유래하여 악마, 귀신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 신화적 존재로, 요툰의 한 종류로 묘사되며 인간에게 적대적인 특징을 갖고,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는 햇빛에 닿으면 돌로 변하는 늙고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는 괴물이나 인기 캐릭터, 온라인에서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노르드 신화의 생물 - 요르문간드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로키와 앙그르보다의 자식인 거대한 뱀으로, 오딘에 의해 바다에 던져졌지만 미드가르드를 둘러쌀 정도로 자라 꼬리를 물고 있으며, 토르와의 낚시 조우 및 라그나로크 전투, 꼬리를 문 모습으로 세상의 순환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전해진다.
베드르폴니르와 수리
개요
종류새, 노렌의 동반자
문화노르드 신화
별칭바람에 맞아 하얗게 된 자, 바람을 시들게 하는 자
이름
고대 노르드어Veðrfǫlnir
로마자 표기Wetheuopeulleunir
번역창백한 폭풍
관련 정보
연관된 장소위그드라실
관련된 존재흐레스벨그, 노렌
역할흐레스벨그의 소식을 노렌에게 전달

2. 문헌상의 출전

베드르폴니르와 수리에 대한 기록은 《고 에다》와 《신 에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그림니르(변장한 오딘)가 라타토스크라는 다람쥐가 위그드라실 위를 뛰어다니며 위에 있는 수리의 말을 전하고, 아래에 있는 니드호그에게 그 말을 전한다고 언급한다.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강글레리(변장한 길피 왕)가 높으신 분에게 위그드라실에 대해 묻자, 높으신 분은 물푸레나무 꼭대기에는 수리가 앉아 있고, 그 수리의 두 눈 사이에는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 있다고 답한다. 또한, 라타토스크가 물푸레나무 위아래로 뛰어다니면서 수리와 니드호그에게 중상모략을 퍼뜨린다고 설명한다.

2. 1. 《고 에다》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제32절을 보면 그림니르(변장한 오딘)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수리는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16장에 다시 언급되는데, 여기서 베드르폴니르가 함께 언급된다. 강글레리(변장한 길피 왕)는 옥좌에 앉은 높으신 분에게 위그드라실에 또다른 특징이 뭐가 있냐고 묻는다. 높으신 분은 이렇게 답한다.

:말해줄 것이 너무 많다네. 물푸레나무 꼭대기에는 수리 한 마리가 앉아있고, 그 수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 수리의 두 눈 사이에는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있다네. [중략] 라타토스크라는 청설모가 물푸레나무 위아래로 뛰어다니면서 수리와 니드호그에게 중상모략적 험담을 떠들어 화나게 만들지.[14]

베드르폴니르는 라타토스크(오른쪽 위) 근처의 독수리 위에 앉아 있으며, 오딘은 로렌츠 프뢸리히의 삽화(1895)에서 나무 위그드라실 위에서 자신을 희생하고 있다.

2. 2. 《신 에다》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16장에는 변장한 길피 왕이 높으신 분에게 위그드라실에 대해 묻는 장면이 나온다. 높으신 분은 위그드라실 꼭대기에 많은 것을 아는 수리가 앉아 있고, 그 수리의 두 눈 사이에는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 있다고 답한다.[14] 라타토스크는 물푸레나무(위그드라실) 위아래로 뛰어다니면서 수리와 니드호그에게 중상모략적 험담을 퍼뜨려 그들을 자극한다고도 설명한다.[14]

3. 신화 해석

존 린도우와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베드르폴니르와 수리에 대한 각자의 해석을 제시했다. 린도는 베드르폴니르가 오딘의 까마귀처럼 수리의 지식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 추측했고, 데이비드슨은 나무 꼭대기의 수리와 나무 뿌리의 뱀 모티브가 아시아의 우주론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3. 1. 존 린도우의 해석

존 린도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베드르폴니르(매)가 수리의 두 눈 사이에 앉아 있어야 하는 이유와 그 역할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린도는 베드르폴니르가 오딘의 까마귀처럼 수리의 지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날아가서 지식을 모아온 뒤 수리에게 전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9][1]

3. 2.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의 해석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나무 꼭대기에 앉아있는 수리와 나무 뿌리 근처의 뱀이라는 모티브가 아시아의 우주론들과 유사하다고 지적한다.[15] 데이비드슨은 노르드 우주론이 북아시아를 통해 아시아적 우주론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한다.[7] 또한, 데이비드슨은 일부 게르만족이 숲 속의 빈터에서 자신들의 신을 숭배했고, 하늘의 신은 특히 참나무와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앙의 나무는 그들에게 자연스러운 상징이었다"고 덧붙인다.[7]

참조

[1] 서적 2001
[2] 서적 2005
[3] 서적 1997
[4] 서적 1907
[5] 서적 1936
[6] 서적 2005
[7] 서적 1993
[8] 서적 虚空の神々
[9] 서적 2001
[10] 서적 2005
[11] 서적 1997
[12] 서적 1907
[13] 서적 1936
[14] 서적 2005
[15] 서적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