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르문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르문간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거대한 뱀으로, '광대한 뱀' 또는 '광대한 강' 등의 의미를 지닌다. 주요 문헌으로는 《신 에다》, 《고 에다》 등이 있으며, 토르와 여러 번 조우한다. 특히 토르가 요르문간드를 낚는 이야기는 노르만 예술의 중요한 모티프가 되었으며, 라그나로크에서 토르와 요르문간드는 최후의 전투를 벌여 서로를 죽이는 것으로 묘사된다. 요르문간드는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2. 어원

"요르문간드"라는 이름은 시적인 칭호로, 접두사 ''요르문-''과 ''간드''라는 단어로 구성된다. 접두사 "요르문-"은 거대하고, 광대하며, 초인적인 것을 나타낸다.[2] "간드"는 고대 노르드어로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주로 길쭉한 개체나 초자연적인 존재를 가리킨다. 간드는 특히 뱀, 피오르, 강, 지팡이, 막대, 돛대, 남근, 속박 등을 의미할 수 있다(주로 "초자연적" 또는 "살아있는" 의미에서).[3][4] 따라서 "요르문간드"는 신화와 관련하여 "광대한 뱀", "광대한 강"(그가 거주하는 바다의 동의어), 세계수 위그드라실과 관련된 "광대한 지팡이 또는 막대", 그리고 "광대한 속박"(세계를 뱀이 칭칭 감고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것은 세상의 순환을 상징) 등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3][4]

3. 신화 속 이야기

요르문간드는 오딘에 의해 바다에 버려졌으나, 미드가르드를 휘감을 정도로 성장했다.[32] 토르는 휨르와의 낚시에서 요르문간드를 낚아 죽이려 했으나 실패했다.[33][34] 또한 우트가르드-로키의 궁전에서 고양이로 변장한 요르문간드를 들어 올리는 시험을 받았으나, 완전히 들어 올리지는 못했다.[35] 라그나로크 때 요르문간드는 바다에서 올라와 육지를 휩쓸고, 토르와 최후의 전투를 벌인다. 토르는 요르문간드를 죽이지만, 뿜어져 나온 독으로 인해 자신도 죽는다.[36][37][38]

3. 1. 주요 문헌

요르문간드가 등장하는 주요 문헌은 《신 에다》, 스칼드 시 〈후의 송가〉, 그리고 《고 에다》의 〈휘미르의 서사시〉 및 〈무녀의 예언〉이 있다. 그 외 중요도가 떨어지는 다른 스칼드 시에도 요르문간드의 케닝이 등장한다. 예컨대 〈토르의 송가〉에는 로키를 ‘바닷속 줄기의 아버지’라는 케닝으로 부르고 있다. 또한 고대의 회화석비에도 토르가 요르문간드를 낚아올린 신화를 묘사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3. 2. 토르와의 조우

18세기 아이슬란드 필사본에 묘사된 토르의 낚시 장면. 망치를 든 토르와 겁에 질린 휘미르가 보인다.


토르와 요르문간드는 몇 차례 만난다. 첫 만남은 토르가 티르의 아버지 휘미르와 낚시를 갔을 때이다. 휘미르가 미끼 제공을 거부하자, 토르는 휘미르의 황소 중 가장 큰 놈의 머리를 뜯어 미끼로 사용했다.[42] 토르는 튼튼한 줄과 큰 갈고리를 준비해 소머리를 미끼로 걸었고, 요르문간드가 이것을 물었다. 토르는 거대한 뱀을 물 밖으로 끌어냈고, 요르문간드는 입에서 과 피를 흘렸다.[42] 토르가 망치를 들어 뱀을 죽이려는 순간, 겁에 질린 휘미르가 낚싯줄을 끊어 요르문간드는 파도 속으로 가라앉았다.[42]

이 사건은 노르만 예술에서 유명한 모티프가 되었으며, 알투나 룬 석비, 아르드레 회화석비, 회르둠 석, 고스포르트 십자가 등 네 개의 회화석비에서 이 신화를 묘사한 그림이 발견되었다.[43]

3. 2. 1. 고양이 들어올리기

요툰족의 마법왕 우트가르다로키가 토르의 힘을 시험하기 위해 커다란 고양이를 들어 보라고 했다. 이 고양이는 사실 우트가르다로키가 마법으로 둔갑시킨 요르문간드였다.[41] 토르는 엄청나게 거대한 요르문간드를 들어올릴 수는 없었지만, 간신히 고양이의 다리 하나가 땅에서 떨어지게 만들었다.[41] 우트가르다로키는 자신의 속임수를 설명한 뒤, 고양이의 다리 하나라도 들어올린 토르의 힘이 대단하다고 말했다.[41]

토르가 고양이로 변장한 요르문간드를 들어올리는 모습. (로렌츠 프뢸리히)


토르가 거인 왕 우트가르다-로키를 만나 과업을 수행할 때, 우트가르다-로키는 토르의 힘을 시험하기 위해 마법으로 거대한 고양이로 변장한 요르문간드를 들어올리도록 했다. 토르는 고양이의 허리를 잡았지만 고양이의 발 하나가 바닥에서 떨어질 정도로만 들어올릴 수 있었다. 우트가르다-로키는 나중에 그의 속임수를 설명하며, 토르가 고양이를 들어올린 것은 뱀을 뻗어 거의 하늘에 닿게 만들었기 때문에 인상적인 업적이었다고 말했다. 고양이의 발 하나가 바닥에서 떨어지는 것을 본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에 떨었다.[5] 만약 토르가 고양이를 완전히 들어올렸다면, 그는 우주의 경계를 바꿨을 것이다.[6]

이 이야기는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 제46장에 나오는 내용으로, 토르가 우트가르드-로키의 궁전을 방문했을 때 "고양이를 들어올려 바닥에서 발을 떼어 보라"는 말을 들은 토르가 고양이의 몸통을 높이 들어 올렸지만, 바닥에서 떼어낼 수 없었다. 이 고양이는 사실 우트가르드-로키의 환술에 의해 고양이의 모습으로 보였던 요르문간드였다.[35]

3. 2. 2. 토르의 낚시 여행

토르와 요르문간드가 두 번째로 만난 것은 토르가 티르의 아버지 휘미르와 함께 낚시를 나갔을 때였다. 휘미르가 미끼를 주는 것을 거부하자, 토르는 휘미르의 황소 중 가장 큰 놈의 머리를 뜯어 미끼로 사용했다.[42] 이들은 휘미르가 광어를 잡으러 자주 가는 곳으로 가서 고래 두 마리를 낚았다. 그러나 토르는 싫다는 휘미르에게 계속 먼 바다로 갈 것을 요구했다.

토르는 튼튼한 줄과 큰 갈고리를 준비해 소머리를 미끼로 걸었다. 요르문간드가 미끼를 물자 토르는 거대한 뱀을 물 밖으로 끌어냈다. 요르문간드와 토르가 서로 마주 보자 요르문간드는 입에서 과 피를 흘렸다.[42] 토르가 망치를 들어 뱀을 죽이려는 순간, 겁에 질린 휘미르가 낚싯줄을 끊어 버렸다. 거대한 뱀은 파도 속으로 가라앉아 사라졌다.[42]

이 토르의 요르문간드 낚시는 노르만 예술의 유명한 모티프가 되었다. 알투나 룬 석비, 아르드레 회화석비, 회르둠 석, 고스포르트 십자가 등 네 개의 회화석비에서 이 신화를 묘사한 그림이 발견되었다.[43] 고스포르트의 두 번째 십자가 일부분으로 보이는 석판에도 황소 머리를 이용한 낚시 장면이 새겨져 있다.[44] 이 중에서도 아르드레 8번석이 가장 흥미로운데, 황소가 서 있는 집 안으로 들어가는 남자가 새겨져 있고 다음 장면에서는 고기잡이 작살을 준비하는 남자 두 명이 새겨져 있다.[45] 이 돌에 새겨진 그림은 8세기[43] 또는 9세기경에 만들어졌다. 만약 이 그림이 토르의 요르문간드 낚시 신화를 묘사한 것이 확실하다면, 스노리의 《신 에다》가 편찬된 1220년경까지 약 500여 년 동안 신화의 줄거리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된다.[45]

토르의 낚시 여행이 묘사된 알투나 룬석, 요르문간드를 묘사한 몇 안 되는 확인된 바이킹 시대 그림 중 하나

3. 2. 3. 라그나로크: 최후의 전투

요르문간드와 토르가 마지막으로 만나는 것은 최후의 전투 라그나로크 때라고 예언된다. 이때 요르문간드는 바다에서 기어나와 바다와 하늘에 독을 퍼뜨리고 다닐 것이다.[46] 토르는 요르문간드를 죽이지만, 그 자신도 뱀의 독에 중독되어 아홉 걸음을 걸은 뒤 쓰러져 죽게 된다.[46]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에다 시집 《무녀의 예언》을 바탕으로 묘사된 바에 따르면, 라그나로크가 도래할 조짐 중 하나는 요르문간드가 입에서 꼬리를 풀면서 바다가 격렬하게 요동치는 것이다. 바다는 범람하고 뱀은 육지로 쳐들어올 것이다.[1] 그것은 전진하며 독을 뿜어 공기와 물을 채울 것이고, 눈과 콧구멍에서 불꽃을 뿜으며 입을 크게 벌려 땅과 하늘에 닿는 펜리르와 함께 할 것이다. 그들은 무스펠의 아들들과 합세하여 비그리드 평원에서 신들과 맞서 싸울 것이다. 여기서 뱀과 토르의 마지막 만남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다. 토르는 결국 요르문간드를 죽일 것이지만, 뱀의 치명적인 독에 중독되어 아홉 걸음을 걷고 쓰러져 죽을 것이다.[15] 토르와 요르문간드의 마지막 전투는 다른 라그나로크의 장면들과 함께 고스포스 십자가에서 확인되었다.[12]

《길피의 속임수》 제51장[36]에서는, 라그나로크가 도래할 때 요르문간드가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오고, 그때 대량의 바닷물이 육지를 휩쓰는 모습이 이야기된다. 또한 같은 장[37] 및 《고 에다》의 《무녀의 예언[38]에서는 요르문간드와 토르의 싸움이 이야기된다. 토르는 묠니르를 세 번 던져 요르문간드를 살해하지만, 마지막에 뿜어져 나온 으로 토르는 사망하고, 결착은 함께 죽는 형태로 끝나게 된다.

4. 신화 분석

토르가 요르문간드를 낚는 이야기는 힌두교 신 인드라와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인드라는 베다 신화에서 용 브리트라를 죽였다.[16][17] 또한 이 이야기는 폭풍의 신이 뱀과 싸운다는 발트-슬라브 모티프와 관련이 있다.[18] 프레벤 뮐렌그라흐트 쇠렌센은 이 에피소드를 요르문간드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우주의 질서와 균형을 강조하기 위해 재구성된 토르의 젊은 시절의 실수로 분석했다.[19] 존 린도우는 요르문간드가 자신의 꼬리를 무는 행위를, 신들의 적이 묶여 있지만 라그나로크에서 풀려날 운명이라는 북유럽 신화의 묶인 괴물이라는 반복적인 주제의 일부로 펜리르의 속박과 비교한다.[20]

5. 대중문화 속 요르문간드


  • 히스토리 채널의 텔레비전 드라마 바이킹 시즌 6에 요르문간드가 등장한다.[23]
  • 2018년 갓 오브 워와 2022년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비디오 게임에서 요르문간드가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24]

참조

[1] 서적 The Prose Edda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2] 웹사이트 Jörmun- https://old-icelandi[...] 2022-11-16
[3] 간행물 Fornvännen 94 http://www.diva-port[...] 2022-11-16
[4] 웹사이트 Gand, seid og åndevind https://eldar-heide.[...] 2022-11-16
[5] 서적 Gylfaginning
[6] 서적 Introduction to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Gylfaginning
[8] 서적 The Poetic Edda: Essays on Old Norse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간행물 Two of Þórr's Great Fights according to Hymiskviða http://tango.bol.ucl[...] 1989
[10] 서적
[11] 서적 A Handbook to Eddic Poetry: Myths and Legends of Early Scandinav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Gods, Heroes, & Kings: The Battle for Mythic Brita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2-02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Gylfaginning
[16] 서적 Myth and Religion of the North: The Religion of Ancient Scandinavia Weidenfeld and Nicolson
[17] 서적 Les Dieux des Indo-Européen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8] 서적 Échanges et communications: mélanges offerts à Claude Lévi-Strauss à l'occasion de son 60ème anniversaire Mouton
[19] 서적
[20] 서적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Ox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471926 Jormungandr (2013 KN6)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18-10-17
[22] 웹사이트 MPC/MPO/MPS Archive https://www.minorpla[...] Minor Planet Center 2018-10-17
[23] 웹사이트 Vikings Season 6: What The Giant Serpent Creature Is https://screenrant.c[...] 2020-12-05
[24] 웹사이트 God of War: Ragnarok: Who is Jormungandr? https://www.spieltim[...] 2022-11-09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서적 北欧の神話伝説(II) 名著普及会
[2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9] 서적 アスガルドの秘密 北欧神話冒険紀行 東海大学出版会
[30]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筑摩書房
[31] 서적 虚空の神々
[3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9] 서적 길피의 속임수 (Gylfaginning)
[40] 서적 The Prose Edda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41] 서적 Gylfaginning
[42] 서적 Gylfaginning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Gylfaginn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