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토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타토스크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다람쥐로, 세계수 위그드라실을 오가며 독수리와 니드호그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며, "드릴 이빨" 또는 "구멍 뚫는 이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문헌상으로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언급되며, 신화 해석에 따라 파괴와 재생, 분쟁 조장, 위험 경고 등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마블 코믹스, 비디오 게임, 소설, 모바일 게임, 음악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다람쥐 - 칩과 데일
칩과 데일은 디즈니의 대표적인 다람쥐 캐릭터 듀오로, 대비되는 성격으로 코믹한 스토리를 만들어내며 1980년대 탐정 사무소 운영 시리즈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고, 가구 디자이너 이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가공의 다람쥐 - 다람이
다람이는 텍사스주 출신의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암컷 다람쥐로, 스폰지밥 네모바지의 등장인물이며, 가라데를 좋아하고 다양한 발명품을 만들며 이글루 돔에서 생활한다. - 말하는 동물 - 파프니르
파프니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용으로, 원래 인간이었으나 보물을 탐하여 용으로 변했으며, 영웅 시구르드에게 죽임을 당하고 탐욕과 저주의 상징으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친다. - 말하는 동물 - 피터 래빗
베아트릭스 포터가 만든 피터 래빗은 동화 《피터 래빗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의인화된 동물 캐릭터와 섬세한 그림으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아 다양한 미디어 믹스와 상품으로 제작되며 인기를 얻고 있다.
| 라타토스크 |
|---|
2. 어원
"라타토스크"라는 이름은 "라타"(''rata-'')와 "토스크"(''-toskr'')라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토스크"는 보통 "엄니"를 뜻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드브란두르 비그푸손은 "라티"(''rati-'')가 "여행자"를 의미하며, 오딘이 사용한 송곳 라티도 같은 뜻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라타토스크"가 "여행자 엄니"나 "기어오르내리는 엄니"를 의미한다고 보았다.[19]
소푸스 부게는 "라타토스크"가 고대 영어에서 온 차용어이며, "쥐 이빨"을 뜻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의 다른 단어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게는 "토스크"가 고대 영어 ''tūsc''의 변형이며, "라타"는 고대 영어 ''ræt''(쥐)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20]
하지만 Albert Sturtevant는 부게의 주장에 반박했다. 그는 〈높으신 분이 말하기를〉에서 오딘이 시예의 봉밀주를 얻기 위해 암벽에 구멍을 뚫을 때 "라타"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지적하며, "라티"는 "뚫는 것"을 의미하는 노르드어 고유 단어라고 주장했다.[20]
Sturtevant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부게의 주장이 타당해 보일 수 있지만, 노르드어 고유명사 "툰네"(''Tunne''; 노르드 조어 ''*Tunþē''에서 유래)가 “특이한 ''이빨''을 가진 사람"을 뜻한다는 점을 들어 "토스크"의 게르만조어 형태를 제시하며 부게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라타-토스크"에만 이 단어가 나타난다는 것이 반박 증거가 될 수 없으며, 노르드어에는 한 번밖에 언급되지 않는 다른 단어들도 많다고 덧붙였다.[21]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라타토스크"를 "송곳 이빨"(Jesse Byock, Andy Orchard, Rudolf Simek[17]) 또는 "뚫는 이빨"(John Lindow[18])로 해석한다.
2. 1. '라타' (Rata)의 의미
"라타토스크"라는 이름은 "라타"(''rata-'')와 "토스크"(''-toskr'')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토스크"는 일반적으로 "엄니"를 의미한다고 여겨진다. 구드브란두르 비그푸손은 "라티"(''rati-'')가 "여행자"를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오딘이 사용한 송곳 라티 역시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보았다. 비그푸손에 따르면 "라타토스크"는 "여행자 엄니" 또는 "기어오르내리는 엄니"를 뜻한다.[19]소푸스 부게는 "라타토스크"가 고대 영어에서 비롯된 차용어이며, "쥐 이빨"(rat-tooth)을 의미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부게는 "토스크"라는 성분이 노르드어의 다른 어휘에서는 단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토스크"란 고대 영어의 ''tūsc''가 변형된 것이며, "라타"는 고대 영어의 ''ræt''("쥐")에 해당한다고 보았다.[20]
Albert Sturtevant는 고대 노르드어 "라타"가 〈높으신 분이 말하기를〉에서 오딘이 시예의 봉밀주를 얻기 위해 암벽에 "천공"(구멍뚫기)을 할 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부게의 가설은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에 따르면 "라티"는 노르드어 고유의 어휘이며, "뚫는 것"이라는 의미라고 판단해야 한다.[20]
Sturtevant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의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부게의 "토스크"에 대한 이론은 맞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Sturtevant는 결론적으로 그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Sturtevant는 노르드어 고유명사 "툰네"(''Tunne''; 노르드 조어 ''*Tunþē''에서 유래)가 “특이한 ''이빨''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를 통해 "토스크"의 게르만조어 형태를 제시했다. Sturtevant는 “이 말이 "라타-토스크"에 단 한 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가정에 대한 적절한 반대 증거가 될 수 없다. 노르드어에는 단 한 번밖에 언급되지 않는 어휘가 이 외에도 많다”는 결론을 내렸다.[21]
현대의 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여 "라타토스크"란 "송곳 이빨"(Jesse Byock, Andy Orchard, Rudolf Simek[17]) 또는 "뚫는 이빨"(John Lindow[18])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2. 2. '토스크' (Toskr)의 의미
"토스크"(-toskr)는 일반적으로 "엄니"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푸스 부게는 "토스크"가 고대 영어 ''tūsc'' (tusk|엄니fri)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며, "쥐-이빨"을 의미한다는 가설을 세웠다.[20][4] 부게는 "토스크"라는 성분이 노르드어의 다른 어휘에서는 단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20][4]그러나 Albert Sturtevant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의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부게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노르드어 고유명사 "툰네"(''Tunne''; *Tunþē|gem에서 유래)가 “특이한 ''이빨''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라는 점을 들어 "토스크"의 원시 게르만어 형태를 제시하며 반박했다.[21][5] Sturtevant는 “이 말이 "라타-토스크"에 단 한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가정에 대한 적절한 반대 증거가 될 수 없다. 노르드어에는 단 한번밖에 언급되지 않는 희귀어가 이 외에도 많다”고 결론 내렸다.[21][5]
현대의 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여 "라타토스크"란 "송곳 이빨"(Jesse Byock, Andy Orchard, Rudolf Simek[17][1]) 또는 "뚫는 이빨"(John Lindow[18][2])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2. 3. 종합적인 해석
"라타토스크"라는 이름은 "라타"(''rata-'')와 "토스크"(''-toskr'')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토스크"는 대부분 "엄니"(tusk)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구드브란두르 비그푸손은 "라티"(''rati-'')가 "여행자"를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오딘이 사용한 송곳 라티 역시 같은 요소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비그푸손에 따르면 "라타토스크"는 "여행자 엄니" 또는 "기어오르내리는 엄니"를 뜻한다.[19]소푸스 부게는 "라타토스크"가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차용어이며, "쥐 이빨"(rat-tooth)을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부게는 "토스크"라는 성분이 노르드어의 다른 어휘에서는 단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부게는 "토스크"란 고대 영어의 ''tūsc''가 변형된 것이며, "라타" 성분은 고대 영어의 ''ræt''("쥐")에 해당한다고 보았다.[20]
Albert Sturtevant는 고대 노르드어 "라타"가 〈높으신 분이 말하기를〉에서 분명히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오딘이 시예의 봉밀주를 얻기 위해 암벽에 구멍을 뚫었을 때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게의 가설은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에 따르면 "라티"는 노르드어 고유의 어휘이며, "뚫는 것"이라는 의미라고 판단해야 한다.[20]
Sturtevant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의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에 부게의 "토스크"에 대한 이론은 맞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Sturtevant는 결론적으로 그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Sturtevant는 노르드어의 고유명사 "툰네"(''Tunne''; 노르드 조어 ''*Tunþē''에서 유래)가 “특이한 ''이빨''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를 통해 "토스크"의 게르만조어 형태를 제시했다. Sturtevant는 “이 말이 "라타-토스크"에 단 한 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가정에 대한 적절한 반대 증거가 될 수 없다. 노르드어에는 단 한 번밖에 언급되지 않는 어휘가 이 외에도 많다”는 결론을 내렸다.[21]
현대의 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여 "라타토스크"란 "송곳 이빨"(Jesse Byock, Andy Orchard, Rudolf Simek[17]) 또는 "뚫는 이빨"(John Lindow[18])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3. 문헌상 출전

라타토스크는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모두 언급되는 다람쥐이다.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오딘이 "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라타토스크가 위그드라실 위아래를 오가면서 나무 꼭대기의 수리와 뿌리 아래의 니드호그 사이에 말을 전한다고 설명한다.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16장에서는 높으신 분이 물푸레나무 꼭대기에 많은 것을 아는 수리 한 마리가 앉아 있고, 그 수리의 눈 사이에는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라타토스크라는 청설모가 물푸레나무 위아래를 뛰어다니며 수리와 니드호그를 화나게 하는 중상모략적 험담을 떠든다고 설명한다.[8]
3. 1. 고 에다
《고대 에다》의 시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오딘은 "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라타토스크가 위그드라실 위아래를 오가면서 나무 꼭대기의 수리와 뿌리 아래의 니드호그 사이에 말을 전한다고 언급한다.위와 동일한 내용이 《고대 에다》의 시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한번 더 언급된다.[6][7]
3. 2. 신 에다
《신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 제16장에서 높으신 분은 물푸레나무 꼭대기에 많은 것을 아는 수리 한 마리가 앉아 있고, 그 수리의 눈 사이에는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라타토스크라는 청설모가 물푸레나무 위아래를 뛰어다니며 수리와 니드호그를 화나게 하는 중상모략적 험담을 떠든다고 설명한다.[24]4. 신화 해석
루돌프 지메크는 라타토스크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세계수의 모습을 자세히 묘사하는 역할만 한다고 보았다.[25][9]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청설모가 나무를 갉아먹는 것을 두고 계속 파괴하고 다시 성장하는 순환을 나타내며, 변화하는 세계수를 상징한다고 추정했다.[26][10] 존 린도우는 이그드라실이 한쪽은 썩고 네 마리의 수사슴과 니드호그에게 갉아 먹히며, 언어적 적대감을 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가에서 악의적인 말을 전해 분쟁을 일으키는 존재는 높은 지위가 드물기에, 신화에서 이 역할이 보잘것없는 동물에게 주어졌다고 보았다.[18][2]
리처드 W. 토링턴 주니어와 케이티 페럴은 유럽 청설모(Sciurus vulgaris)가 위험에 반응해 내는 경고음을 듣고, 사람이 욕을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7][11]
4. 1. 세계수의 윤색
루돌프 지메크에 따르면, 라타토스크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세계수의 신화적 광경을 자세히 묘사하는 역할을 한다.[25]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청설모가 나무를 갉아먹는 존재이며, 이는 연속적인 파괴와 재생의 순환을 보여주고, 변화무쌍한 세계수라는 존재를 상징한다고 보았다.[26] 존 린도우는 사가에서 악의적인 말을 전해서 사람들을 흥분시키거나 싸움을 일으키는 존재가 높은 지위에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그런 점이 신화에서 이 역할이 상대적으로 보잘것없는 동물에게 주어졌는지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18]리처드 W. 토링턴 주니어와 케이티 페럴은 라타토스크의 역할이 위험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지르는 청설모(Sciurus vulgaris)의 습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사람이 그 소리를 듣고 청설모가 자기 욕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27]
4. 2. 파괴와 재생의 순환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라타토스크가 나무를 갉아먹는 행위가 연속적인 파괴와 재생의 순환을 상징하며, 변화무쌍한 세계수의 존재를 상정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26][10]4. 3. 분쟁 조장과 사회적 의미
존 린도우는 라타토스크가 악의적인 말을 전달하여 분쟁을 일으키는 존재라고 설명한다. 사가에서 이런 역할은 높은 지위에 있는 존재가 맡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신화 속에서 상대적으로 보잘것없는 동물인 다람쥐에게 이 역할이 주어졌다는 해석이 있다.[18][2]이는 사회 내 소통 과정에서 정보 왜곡과 허위 사실 유포가 갈등을 유발하고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중요하지만, 악의적인 의도로 왜곡된 정보를 퍼뜨리는 행위는 건전한 토론을 방해하고 사회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리처드 W. 토링턴 주니어와 케이티 페럴은 라타토스크의 이러한 역할이 위험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지르는 청설모(Sciurus vulgaris)의 습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추측한다.[27][11] 이는 근거 없는 정보나 악의적인 소문이 사회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4. 위험 경고의 기원
루돌프 지메크에 따르면, 라타토스크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세계수의 신화적 광경을 자세히 윤색하는 기능이 있을 뿐이다."[25]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청설모는 나무를 갉아먹는 존재이며, 이는 연속적인 파괴와 재생의 순환, 변화무쌍한 세계수라는 존재를 상정하는 것이라고 본다.[26] 존 린도우는 “사가에서, 악의적인 말을 전해서 사람들을 흥분시키거나 싸움을 일으키는 존재가 높은 지위에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그런 점이 왜 신화의 이 역할이 상대적으로 보잘것없는 동물에게 주어졌는지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한다.[18]리처드 W. 토링턴 주니어와 케이티 페럴은 “라타토스크의 역할은 아마 위험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지르는 청설모(붉은다람쥐)의 습성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사람이 그 소리를 듣고 청설모가 자기 욕을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상상해 보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27]
5. 대중 문화 속의 라타토스크
라타토스크는 마블 코믹스, 비디오 게임, 소설, 모바일 게임, 음악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등장한다.
5. 1. 마블 코믹스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로, 라이언 노스의 The Invincible Squirrel Girl (2015) 7호[12]와 8호[13]에 처음 등장했다. 이후 스쿼럴 걸 War of the Realms 타이인 이슈([https://share.marvel.com/sharing/issue/drn:src:marvel:unison::prod:af009867-cedf-4495-8cfc-cb42095c9ea0 The Invincible Squirrel Girl #43] ~ [https://share.marvel.com/sharing/issue/drn:src:marvel:unison::prod:0e2f5c9a-bf88-41f1-a843-047e903e938c #46])와 스쿼럴 걸 픽션 팟캐스트인 [https://www.siriusxm.com/blog/marvels-squirrel-girl/ Marvel's Squirrel Girl: The Unbeatable Radio Show]에도 출연했다.5. 2. 비디오 게임
''La-Mulana 2''에서 라타토스크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보스 적으로 나온다. 처음에는 약하지만, 이후 전투에서 더욱 강해지고 더 많은 능력을 얻는다. 게임 내 설정 상 라타토스크는 흐레스벨그에 의해 만들어진 환상이며, 흐레스벨그는 영원한 감옥에 갇혀 있다.5. 3. 소설
캐서린 룬델의 소설 《Impossible Creatures》에는 라타토스크(Ratatoskas)가 캐릭터로 등장한다.[14]5. 4. 모바일 게임
라타토스크는 모바일 게임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의 오리지널 캐릭터이며, 스토리의 8번째 책에서 주요 캐릭터이다.5. 5. 음악
아이슬란드 바이킹 메탈 밴드 스칼몰드의 여섯 번째 앨범인 Ýdalir과 스웨덴 바이킹 메탈 밴드 브라더스 오브 메탈의 세 번째 앨범 ''Fimbulvinter''에 라타토스크에 대한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14]참조
[1]
서적
Orchard (1997:129), Simek (2007:261), and Byock (2005:173)
[2]
서적
Lindow (2001:259)
[3]
서적
Guðbrandur (1874:483)
[4]
서적
Sturtevant (1956:111)
[5]
서적
Sturtevant (1956:111–112)
[6]
서적
Thorpe (1907:23)
[7]
서적
Bellows (1936:97)
[8]
서적
Byock (2005:26)
[9]
서적
Simek (2007:261)
[10]
서적
Davidson (1993:68–69)
[11]
서적
Thorington Jr. and Ferrel (2006:142)
[12]
서적
The Unbeatable Squirrel Girl
https://share.marvel[...]
[13]
서적
The Unbeatable Squirrel Girl
https://share.marvel[...]
[14]
웹사이트
https://bookmurmurat[...]
[1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55頁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38頁
[17]
서적
Orchard (1997:129), Simek (2007:261), and Byock (2005:173)
[18]
서적
Lindow (2001:259)
[19]
서적
Guðbrandur (1874:483)
[20]
서적
Sturtevant (1956:111)
[21]
서적
Sturtevant (1956:111–112)
[22]
서적
Thorpe (1907:23)
[23]
서적
Bellows (1936:97)
[24]
서적
Byock (2005:26)
[25]
서적
Simek (2007:261)
[26]
서적
Davidson (1993:68–69)
[27]
서적
Thorington Jr. and Ferrel (2006:1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