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를린 메세 노르트/ICC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메세 노르트/ICC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 철도역이다. 1916년 4월 1일에 개업했으며, 2면 3선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1944년 연합군의 폭격으로 도심선 연결선로가 파괴되었고, 냉전 시기 S반 보이콧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993년 12월 17일에 재개통되었다. 현재 S41, S42 (순환선), S46 노선이 이 역을 경유하며, 베를린 버스 M49, X34, X49, 139, 218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개업한 철도역 - 우라와역
    우라와역은 1883년 개업한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우라와구 소재 철도역으로, 도호쿠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쇼난 신주쿠 라인이 지나며 사이타마현 행정 중심지에 위치한다.
  • 1883년 개업한 철도역 - 아게오역
    아게오역은 사이타마현 아게오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다카사키 선의 철도역으로, 쇼난 신주쿠 라인 및 우에노 도쿄 라인을 통해 도카이도 본선 직결 운행이 가능하며, 1883년 개업 당시 현내에서 가장 오래된 역 중 하나이자 2023년 기준 다카사키 선 역 중 오미야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발트뷔네
    발트뷔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22,000명 이상을 수용 가능한 야외 원형 극장으로,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나치 시대 선전 장소로 사용되다, 이후 다양한 문화 행사와 록 공연장으로 명성을 얻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 및 베를린 필하모닉 여름 콘서트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란트베어 운하
    란트베어 운하는 페터 요제프 렌네가 설계한 베를린의 운하로, 슈프레 강에서 텔토 운하로 이어지며 36개의 교량이 있고, 관광 유람선이 이용되며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지나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장소이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베를린 메세 노르트/ICC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역명베를린 메세 노르트/ICC(비츨레벤)
역명2Berlin Messe Nord/ICC(Witzleben)
코드BMN
소재지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대합실
대합실
승강장
승강장
역사
개업일 (순환선)1916년 4월 1일
S반 복원1993년 12월 17일
S반 폐지1980년 9월 18일
운영 정보
승강장S반: 1면 2선
노선 정보
노선1베를린 순환선
영업 거리1모아비트 기점 31.2 km
전역1베스트크로이츠
전역 거리10.8
후역1베스트엔트
후역 거리11.2

2. 역사

1908년 베를린 지하철 2호선이 테오도어호이스플라츠역까지 연장되면서 순환선 상부를 카이저담교(Kaiserdammbrücke) 아래로 통과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지하철과 순환선 간 환승 편의를 위해 카이저담역(현재의 베를린 메세 노르트/ICC역) 일대에 새로운 역을 건설할 계획이 세워졌다. 건축가 아우구스트 브레트슈나이더(August Bredtschneider)가 역 설계를 맡아 3년간의 공사 끝에 1916년 4월 1일 역이 완공되었다. 개통 당시 역은 2면 3선 승강장 구조였으며, 역의 북쪽과 남쪽에는 거의 동일한 형태의 대합실 건물이 있었다. 동쪽 승강장에서는 도심선 방면 열차가, 서쪽 승강장에서는 순환선 방면 열차가 운행했다. 이 역 자체에는 선로 분기기가 없었고, 선로의 합류 및 분기는 인접한 베스트엔트역에서 이루어졌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으로 인해 샤를로텐부르크역 방면으로 연결되던 도심선 연결 선로가 파괴되었다. 이 선로는 전쟁이 끝난 후에도 복구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동쪽 승강장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냉전 시기 서베를린에서 벌어진 S반 보이콧으로 인해 승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1980년 동독 독일국영철도의 파업 이후로는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독일 통일 이후인 1993년 12월 17일에 이르러서야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운행 재개 계획에는 순환선 승강장의 지붕을 재건축하고 승강장 폭을 확장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기존 2면 3선 승강장의 중앙 선로를 순환선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으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동쪽 승강장으로 승객이 잘못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 설치되었다. 2015년 중반에는 동쪽 승강장으로 이어지던 통로가 철거되었다.[1]

3. 구조

역 건설 당시에는 승강장이 2면 3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역 북쪽과 남쪽으로 거의 동일한 대합실 건물이 있었다. 동쪽 승강장으로는 도심선 방면 열차가, 서쪽 승강장으로는 순환선 방면 열차가 운행했다. 이 역에는 별도의 분기기가 설치되지 않았고, 선로의 합류 및 분기는 다음 역인 베스트엔트역에서 이루어졌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베를린 폭격으로 인해 샤를로텐부르크역 방면으로 이어지는 도심선 연결 선로가 파괴되었고, 전쟁 이후에도 복구되지 않았다. 그 결과 동쪽 승강장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1993년 12월 17일 S반 운행이 복구되면서 순환선 승강장의 지붕이 재건축되고 폭이 확장되었다. 기존의 2면 3선 승강장 중 중앙 선로와 서쪽 승강장을 사용하여 현재의 1면 2선 섬식 승강장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순환선 열차가 이 승강장을 이용한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동쪽 승강장으로의 하차를 막기 위해 해당 승강장은 펜스로 막혔다. 2015년 중반에는 동쪽 승강장으로 향하는 통로가 철거되어 현재는 접근이 불가능하다.[1]

4. 운행 노선

베를린 S반 S41, S42(순환선), S46 노선이 운행한다.

베를린 버스 M49, X34, X49, 139, 218번과 환승할 수 있다.

4. 1. 인접 역

wikitext

베를린 S반
노선이전 역베를린 메세 노르트/ICC다음 역방면
S41베스트엔트하이델베르거 플라츠시계방향 순환
S42하이델베르거 플라츠베스트엔트반시계방향 순환
S46베스트엔트하이델베르거 플라츠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


5. 대중교통 연계

베를린 버스 M49, X34, X49, 139, 218번과 환승 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