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비테나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비테나우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철도역으로, 1877년 북부선 간선 철도역으로 개업하여 S반과 U반이 환승하는 역이다. 역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1984년 S반 운행 중단과 재개, 1986년 재복선화 공사를 거쳐 U8 노선이 개통되었다. 현재 S반과 U반 승강장, 버스 환승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지역간 철도 정차 승강장 추가 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교토역
교토역은 JR, 킨테츠, 교토 시영 지하철 등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복합 환승역이자, JR 교토 이세탄 백화점, 호텔 등을 포함한 복합 시설을 갖춘 교토의 랜드마크이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라이니켄도르프구의 건축물 - 베를린 테겔 공항
베를린 테겔 공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했던 공항으로, 1948년 건설되어 냉전 시기 서베를린의 주요 공항으로 기능했으며, 2020년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개항으로 폐쇄되었다. - 라이니켄도르프구의 건축물 - 베를린 프로나우역
베를린 프로나우역은 베를린 북부선 상에 위치한 베를린 S반의 역으로, 1910년 개통 이후 장벽 건설로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재통일 후 복구되어 현재 S1 노선이 운행 중이며 버스와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
베르나우어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 지하철 8호선에 있는 역으로, 1930년에 개통되었으나 전쟁과 장벽 건설로 인해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는 베를린 노면전차 및 버스와 환승할 수 있다.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
베를린 야노비츠브뤼케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과 U반의 환승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폐쇄되었다가 재개통되어 현재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베를린 비테나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베를린 비테나우 |
원래 이름 | Berlin-Wittenau (Wilhelmsruher Damm) |
유형 | Hp (정류장) |
위치 | 독일 베를린 라이니켄도르프구 |
노선 | Nordbahn (북부선) 10px U8 |
승강장 수 | 1개 |
선로 수 | 2개 |
연결 | VBB: 베를린 B/5656 |
역 코드 | 도이체 반: 6824 |
DS100 코드 | BWIN |
카테고리 | 4 |
건축가 | 북부선: Ernst Schwartz, Karl Cornelius, Alfred Lücking 10px Rainer Rümmler |
개업일 | 북부선: 1877년 7월 10일 10px 1994년 9월 29일 |
전철화 시작일 | 1925년 6월 5일 |
이전 이름 | 1877-1893: Dalldorf 1893-1906: Dalldorf (Nordbahn) 1906-1911: Wittenau (Nordbahn) 1911-1994: Wittenau (Nordb) |
사진 | |
![]() | |
![]() | |
서비스 | |
S-Bahn | S1: 바이트만슬루스트 - 빌헬름스루 S85: 바이트만슬루스트 - 빌헬름스루 |
U-Bahn | U8: 라트하우스 라이니켄도르프 |
노선 정보 (S-Bahn) | |
노선 | 베를린 북부선 |
영업 거리 | 베를린 북역 기점 8.2 km |
이전 역 | 빌헬름스루 |
이전 역 거리 | 2.6 km |
다음 역 | 바이트만슬루스트 |
다음 역 거리 | 1.3 km |
노선 정보 (U-Bahn) | |
노선 | 베를린 지하철 8호선 |
영업 거리 | 보딘슈트라세 기점 16.6 km |
이전 역 | 라트하우스 라이니켄도르프 |
이전 역 거리 | 1.1 km |
2. 역사
비테나우역은 1877년 7월 10일 개업 당시 비테나우의 당시 이름이었던 달도르프역(Dalldorf)으로 불렸다. 개통 당시에는 단선이었으며, 1891년에 열차선이 복선화되었다. 1893년 크레멘선 개통 후 달도르프 지역에 베를린 카를본회퍼네르펜클리니크역이 개설되면서 달도르프(노르트반)역이 되었다. 이후 지역 이름 변경으로 1906년에는 비테나우(노르트반), 1911년에는 Wittenau (Nordb)로 변경되었다.[2]
1912년에는 열차선과 근교선을 분리하는 복복선화가 완료되었고, 1925년 근교선은 제3궤조집전식으로 전철화되어 베를린 S반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열차선과 S반선이 단선으로 축소되었고 운전 취급 기능은 베를린 바이트만슬루스트역으로 이전되었다.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S반 승객 감소로 시설 투자가 축소되었다가, 1984년 서베를린 BVG에 S반 운영권이 넘어가면서 영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승객 항의로 운행이 재개되었고, 1986년부터 재복선화 공사가 진행되어 승강장이 남쪽으로 연장되고 U8과의 환승이 고려되었다.
1994년 9월 U8 종착역이 완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으며, 녹색과 노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하고 나무를 모티브로 한 기둥으로 꾸며졌다. U8 노선 연장 계획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단시일 내 실현 가능성은 낮다.
2. 1. 초기 역사 (1877년 ~ 1945년)
1877년 7월 10일, 베를린 북부선의 간선 철도역으로 처음 개업했을 당시에는 '달도르프'(Dalldorf)역으로 불렸다. 1891년 노선이 복선화되었고, 1912년 장거리 열차선과 근교선을 분리하는 복복선화가 완료되었다. 1906년 지역 이름 변경에 따라 역명이 비테나우(Wittenau)로 변경되었다.[2] 1925년 제3궤조 집전식 전철화가 완료되어 베를린 S반에 편입되었다.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열차선과 S반선은 복선에서 단선으로 축소되었다. 이와 함께 운전 취급 기능도 다음 역인 베를린 바이트만슬루스트역으로 이전했다.[2]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한 S반 보이콧으로 S반 승객 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S반을 운영했던 독일국영철도는 시설 투자를 축소했다. 1984년 1월 9일 서베를린 BVG가 서베를린 S반 운영권을 넘겨받으면서 이 구간은 영업을 중단했다. 승객들의 항의로 1984년 10월 1일 게준트브루넨-프로나우 구간이 복구되었다.[2] 1986년부터 북부선 구간의 선로 용량을 늘리기 위해 재복선화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승강장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메르키셰스 피어텔(Märkisches Viertel) 방면 버스 환승과 당시 계획 중이던 U8과의 환승이 고려되었다. U반 계획은 S반 영업권 양도 이전부터 진행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역으로만 불릴 예정이었으나, 1984년 이후에는 S반과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계획되었던 이름 빌헬름스루어 담은 부역명으로 유지되었다.[2]2. 3. 재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1986년부터 북부선 구간의 선로 용량 증대를 위한 재복선화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승강장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메르키셰스 피어텔 방면 버스 환승과 당시 계획 중이던 U8 노선과의 환승이 고려되었다. U반(U-Bahn) 계획은 S반(S-Bahn) 영업권 양도 이전부터 진행되었기 때문에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역으로만 불릴 예정이었으나, 1984년 이후에는 S반과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계획되었던 이름 '빌헬름스루어 담'은 부역명으로 유지되었다.[2]1960년대 메르키셰스 피어텔 주택 단지 계획 당시에 베를린 지하철 노선 연장이 계획되어 있었다. 1980년대 중반 U8 계획에서 비테나우역으로 곡선을 그리면서 진입하여 메르키셰스 피어텔의 서쪽으로 진입하는 노선이 구체화되었다. 1994년 9월 24일 U8의 종착역 비테나우역이 완공되었으며, 같은 해 9월 29일에 영업을 시작했다.[2]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다. 1980년대에 건설된 베를린 지하철 역사의 색상 사용과는 다르게 녹색과 노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다. 역사 중앙부 기둥은 나무를 모티브로 삼아서 꾸며졌다. 빌헬름스루어 담 도로 아래에 있으며 S반과 환승 통로가 있다.[2]
S반과 U반 역은 메르키셰스 피어텔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인 '빌헬름스루어 담'이라는 부역명을 받았다. 이 명칭은 1995년 5월 28일 '비테나우 (크레메너 반)' 역이 카를본회퍼네르벤클리니크 역으로 개명된 후에도 유지되었다.[2]
U8 노선의 메르키셰스 피어텔 방면 연장은 여전히 계획되어 있으나, 단시일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
3. 구조
비테나우역은 베를린 S반과 U반 승강장, 그리고 버스 환승 시설을 갖추고 있다.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으며, 1980년대 베를린 지하철 역사의 주 색상인 녹색과 노란색을 사용했다. 역사 중앙 기둥은 나무를 본떠 만들었다. 빌헬름스루어 담 도로 아래에 위치하며 S반과 환승 통로가 연결되어 있다.[1]
베를린 버스 M21, X21, X33, 122, 124, N8번과 환승할 수 있다.[1]
3. 1. S반 승강장
베를린 북부선의 복복선 구간에 위치하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1986년 재복선화 공사 때 승강장이 남쪽으로 연장되어, 메르키셰스 피어텔(Märkisches Viertel) 방면 버스 환승이 편리해졌다.[2]3. 2. U반 승강장
역사는 라이너 륌러가 설계했다. 1980년대에 건설된 베를린 지하철 역사의 색상 사용과는 다르게 녹색과 노란색을 주 색상으로 사용했다. 역사 중앙부 기둥은 나무를 모티브로 삼아서 꾸몄다.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 도로 아래에 있으며 S반과 환승 통로가 있다.[1]3. 3. 환승 시설
S반과 U반 승강장 사이에는 환승 통로가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다. 빌헬름스루어 담(Wilhelmsruher Damm) 도로 아래에 있으며, 베를린 버스 M21, X21, X33, 122, 124, N8번과 환승할 수 있다.[1]4. 향후 계획
베를린 내각의 장기 계획에는 이 역에 지역간 철도 정차 승강장을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3] 도이체 반은 2012년에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부터 비르켄베르더역까지 베를린 북부선 열차선 복원에 필요한 조사를 진행했다.[4]
U8 노선의 메르키셰스 피어텔 방면 연장 계획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단시일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
참조
[1]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eb.archive.[...]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5
[2]
서적
Berliner Nordbahn –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Neddermeyer, Berlin
2002
[3]
웹인용
Stadtentwicklungsplan Verkehr, Netz des ÖPNV Planung 2025
http://stadtentwickl[...]
Land Berlin, Senatsverwaltung für Stadtentwicklung
2012-01-26
[4]
웹인용
Berlin–Rostock bald viel schneller?
http://dmm.travel/ne[...]
2012-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