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르켄베르더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르켄베르더역은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으로, 1877년 7월 10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정차했으며, 1925년에는 전철화가 완료되어 S반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베를린 분단으로 인해 외곽순환선 열차가 정차했고, 1992년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서베를린 방면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현재는 S반 S1, S8 노선과 RB20 노선이 이 역에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교토역
    교토역은 JR, 킨테츠, 교토 시영 지하철 등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대규모 복합 환승역이자, JR 교토 이세탄 백화점, 호텔 등을 포함한 복합 시설을 갖춘 교토의 랜드마크이며, 국내외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허브이다.
  • 1877년 개업한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포츠담 중앙역
    포츠담 중앙역은 1838년 베를린-포츠담 철도 개통과 함께 건설된 프로이센 최초의 철도역으로, 냉전 시대 서베를린 통과 열차 운행을 거쳐 독일 통일 후 재건축되어 현재 포츠담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비르켄베르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비르켄베르더역 전경
비르켄베르더역 전경
역 종류Bf (독일 철도역 유형)
소재지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비르켄베르더
운영사DB Station&Service
소유주DB Netz
노선베를린 북부선 (Region=200-299)
승강장1개 섬식 승강장
선로 수2개
열차 운영사베를린 S반
요금 구역: 베를린 C/5154
건축가리하르트 브라데만
폐업일알 수 없음
전철화10px:
간선:
이전 역명1911-1927 비르켄베르더 (베치르크 포츠담)
재건축 년도1923/1924
현재 건물 건설현재 건물이 세워짐
웹사이트www.bahnhof.de
위치
브란덴부르크 내 위치
브란덴부르크 내 위치
독일 내 위치
독일 내 위치
유럽 내 위치
유럽 내 위치
운행 계통
DB 레기오 노르도스트RB 20: 호엔 노이엔도르프 베스트 - 오라니엔부르크
베를린 S반S1: 보르크스도르프 - 호엔 노이엔도르프
S8: - 호엔 노이엔도르프
기타 정보
과거 역명비르켄베르더 (베를린 인근)

2. 역사

1877년 7월 10일 베를린 북부선 남부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필수 정차역이었으며, 이후 근교선 교통량 증가로 1890년/1891년에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구간이 복복선화되고 근교선과 장거리선이 분리되었다. 1891년부터 근교선 운임이 도입되었고, 1892년에는 비르켄베르더역이 3급역으로 지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근교선 열차가 1시간에 1~2편성 운행했다. 종전 이후 북부선 용량 문제로 1918년 말 프로나우역-비르켄베르더역 구간 복복선화가 시작되었고, 이 과정에서 비르켄베르더역은 남쪽으로 이설되어 새로운 역사가 건설되었다. 1925년 근교선이 직류 제3궤조로 전철화되었고, 1930년대부터 S반이라는 명칭이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1945년 8월 18일 정상화되었으나, 전쟁 피해와 전쟁 배상으로 시설 규모가 축소되었다. 독일 분단 초기 베를린 외곽순환선 건설과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S반 운행 방식이 변경되었다. 1983년 비르켄베르더역 일대 열차선이 전철화되면서 S반 승강장과 인상선이 가공전차선으로 추가 전철화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1992년 5월부터 서베를린 방면 S반 운행이 복구되었다. 2010년대 중반 역사 상태가 악화되어 도이체 반에서 보수 공사를 진행 중이며, 2031년까지 S반 승강장과 지역간 열차 승강장을 분리할 계획이다.

2. 1. 초기 (1877년 ~ 1918년)

1877년 7월 10일 베를린 북부선 남부 구간이 개통되면서 비르켄베르더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구간을 하루 왕복 3회 운행하는 열차가 필수 정차했으며, 이 중 2회는 노이브란덴부르크까지 연장 운행했다.[5] 1877년 말, 베를린 근교 교통을 위해 버스를 철도에서 운행할 수 있게 개조한 차량(옴니버스 열차)이 도입되었고, 왕복 3회 추가 운행되었다.[6] 1890년/1891년에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구간은 복복선화되었고, 근교선과 장거리선이 분리되었다. 1891년 10월 1일부터 근교선 운임이 도입되었고,[7] 근교선 열차는 하루 8왕복에서 13왕복으로 운행 횟수가 증가했다.[8] 1892년 비르켄베르더역은 3급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당시 역 시설로는 분기기 12개소, 화물 적재 시설, 전용선 연결선이 있었다.[9]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는 근교선 열차가 1시간에 1~2편성 운행했다.[10]

2. 2. 역 신축 및 S반 도입 (1918년 ~ 1945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북부선의 수송량이 한계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1918년 말, 근교선과 장거리선 분리를 위해 프로나우역-비르켄베르더역 구간의 복복선화가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구간의 노선이 변경되었고, 철도 건널목은 고가화되거나 지하 통로로 대체되었다. 비르켄베르더역은 이때 남쪽으로 이전되었고 새로운 역사가 건설되었다.[11][12]

1925년, ET 169형 전동차 운행을 위해 근교선이 직류 제3궤조 방식으로 전철화되었다. 그 해 6월 5일에는 비르켄베르더역까지, 10월 초에는 오라니엔부르크역까지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3] 1930년대부터 S반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39년 베를린 남북 S반선 개통 이후에는 반제역까지 열차가 운행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1945년 8월 18일에 정상화되었다. 전쟁으로 인한 파괴 및 소련에 대한 전쟁 배상으로 시설 규모가 전쟁 이전에 비하여 상당히 축소되었다. 비르켄베르더역 이북의 장거리선과 S반선이 축소되었고 일부 건넘선이 철거되었기 때문에, 오라니엔부르크 방면 열차는 비르켄베르더역 인상선까지 진입한 다음 교행 열차를 기다렸다가 역으로 후진해야 했다.[12]

독일 분단 초기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건설되었다. 오라니엔부르크발 외곽순환선 경유 열차는 비르켄베르더역에 정차했다.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베를린 직통 S반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고, 외곽순환선 일부가 제3궤조로 전철화되어 S반 열차가 운행했다. 직류 전동차 S반은 20분 간격으로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블랑켄부르크역, 오스트크로이츠역을 경유하여 쇠네펠트 공항 및 슈핀들러스펠트역(야간, 주말) 방면으로 운행했다. 기관차 견인 열차는 베를린 외곽순환선 북서부 구간을 운행했으며, 팔켄하겐 바이 나우엔, 나우엔, 포츠담 방면으로 운행했다. 헤니히스도르프역에서 오라니엔부르크 및 이북으로 진행하는 열차도 일부 비르켄베르더역에 정차했다.

제3궤조와 가공전차선으로 동시에 전철화된 승강장, 2015년


1983년 비르켄베르더역 일대 열차선이 전철화되었다. 지역간 열차가 S반 승강장에 계속 정차할 수 있도록 S반 승강장과 인상선이 가공전차선으로 추가 전철화되었다. S반과 지역간 열차가 동시에 운행할 수 있도록 가공전차선은 항상 가압되어 있으나, 역 구내 가공전차선은 본선과는 절연되어 있다. 귀전 선로는 직류와 교류 전력망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14]

2. 4. 독일 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독일 재통일 이후 1992년 5월부터 서베를린 방면 S반 운행이 복구되었다.[12] 베를린 외곽순환선 방면 열차는 20분 배차 간격으로 계속 운행했으나(S10, 현재의 S8), 북쪽 종착역이 오라니엔부르크역에서 비르켄베르더역으로 단축되었다. 2014년에는 인상선이 개축되어 3선에서 2선으로 축소되었다.[15]

2010년대 중반, 역 천장에서 물이 새거나 지붕이 붕괴하는 등 역사 상태가 악화되었다. 도이체 반은 역사 시설 개선에 투자하지 않고 매각을 추진했다.[16][17] 2021년 11월 15일, 도이체 반은 역사와 승강장 보수공사를 시작했다. i2030 계획에서는 S반 승강장과 지역간 열차 승강장을 분리하여 2031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18] 이외에도 새로운 육교 건설 및 이와 연결되는 출입구 건설이 추진된다.[17]

3. 시설

비르켄베르더역은 1924년에 건설된 선상역사이다. 베를린 방면 선로는 역 건물 아래로 지나가며, 승강장과 대합실은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합실은 지상과 같은 높이에 있다. 역사 설계자는 베를린 S반의 여러 역을 설계한 리하르트 브라데만이다. 역사 외부 역명 표기는 건설 당시의 양식을 유지하고 있다.

건설 당시 벽면은 노란색이었으며, 이와 대조되는 붉은 벽돌로 천장을 건설했다.[19] 과선교 서쪽에서 역사 내부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하층부에는 신호소와 역무실이 있다. 출입문은 총 5곳이며, 이 중 3곳은 대합실, 2곳은 상업 시설로 연결된다.[19]

3. 1. 역사

현재의 역사는 1924년에 건설된 선상역사이다. 베를린 방면 선로는 역 건물 아래로 지나간다. 승강장과 대합실은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합실은 지상과 같은 높이에 있다. 역사 설계자는 베를린 S반의 여러 역을 설계한 리하르트 브라데만(Richard Brademann)이다.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대합실과 철거된 바르샤우어 슈트라세역 대합실은 브라데만의 초기 설계작에 속한다. 역사 외부 역명 표기는 건설 당시의 양식을 유지하고 있다.

건설 당시 벽면은 노란색이었으며, 이와 대조되는 붉은 벽돌로 천장을 건설했다.[19] 출발 통제실은 상층부에 위치해 있으며,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12] 과선교 서쪽에서 역사 내부로 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 과선교와 승강장의 직통 통로는 보수 문제로 철거되었다. 하층부에는 신호소와 역무실이 위치해 있다. 출입문은 총 5곳이며, 이 중 3곳은 대합실, 2곳은 상업 시설로 연결된다.[19]

전쟁이 끝난 후, 노선이 수용량 한계에 도달했음이 분명해졌다. 장거리 및 근교 교통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갖춘 프로나우와 비르켄베르더 사이의 4선 확장 공사는 1918년 말부터 비상 조치로 시작되었다. 노선은 변경되었고 모든 건널목은 제거되어 고가도로와 지하차도로 대체되었다. 비르켄베르더 지역에서 노선은 절개지로 지나갔다. 비르켄베르더역은 남쪽으로 이전되었고 새로운 역 건물을 받았다.

1925년에 근교 철도의 선로에는 측면에 부착된 버스바(busbar)가 장착되었고, 이 버스바에서 새로운 전기 동차의 전류 수집기가 구동을 위한 직류를 사용할 수 있었다. 베를린에서 호엔 노이엔도르프를 경유하는 전기 열차 운행은 6월 5일에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비르켄베르더까지 운행되었고, 10월 초에 오라니엔부르크역까지 구간이 이어졌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근교 노선에 "S-Bahn"이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열차가 베를린 슈체친역으로 운행되었다. 1939년 베를린 남북 터널이 개통된 후 S-Bahn 열차는 오늘날의 S1 S-Bahn 노선과 마찬가지로 노르트반에서 터널을 통과하여 베를린 반제까지 운행되었다.

3. 2. 신호소

1924년 역사 건설 당시 신 역사 부지에 Bis 신호소, 구 역사 부지에 Bib 신호소가 건설되었다.[20] 신호소 건물은 보존되어 있으며 브란덴부르크주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1963년 독일국영철도에서 GS II DR형 신호소를 도입하여 과거의 신호소 두 곳을 대체했다.[20]

Bi 신호소, 2016년

3. 3. 선로와 승강장

비르켄베르더역은 장거리선 비르켄베르더 바이 베를린역(Birkenwerder (b Berlin)), S반선의 비르켄베르더 바이 베를린 S반역(Birkenwerder (b Berlin) (S-Bahn)), 비르켄베르더 노르트역(Birkenwerder Nord)으로 나뉘어 있다. S반역은 섬식 승강장(4번, 6번)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역간 열차도 정차한다. S반선 북쪽으로 인상선 3선(14번, 16번, 18번) 및 급수선 1선(12번)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2014년 인상선 개축 이후 2선으로 축소되었다. 장거리선은 본선 2선(오라니엔부르크 방면 1번선, 호엔 노이엔도르프 방면 2번선), 추월선 1선(3번선), 인상선 및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다. S반역과 장거리선역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쇤플리스역에서 연결선을 통해서 S반역으로 진입할 수는 없다.

S반 승강장 외에도 급수선과 인상선은 제3궤조와 가공전차선으로 동시에 전철화되어 있다. 두 급전선은 모두 상시 가압되어 있으며, 귀전선만 공유하는 형태이다. 진입하는 열차의 종류에 따라서 베를린 S반의 기계식 자동 열차 정지 장치나 간선 철도의 PZB 보안 장치가 작동한다. 역 구내 가공 전차선은 본선과는 절연되어 있으며, 건넘선에 약 3 m 정도의 교류-교류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베를린 S반의 역 중 승강장에서 출발 통제가 진행되는 20곳의 역 중 하나이다.[22]

3. 4. 붉은 다리

2022년


붉은 다리(Rote Brücke)는 1925년에 건설되었으며, 역 북쪽 선로를 가로지르나 역 승강장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건설 당시의 색상에서 이름을 따 왔다. 브란덴부르크주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4. 접속 노선

노선 번호노선
6030베를린 북부선 S반선
6088베를린 북부선 장거리선
6089호엔 노이엔도르프 베스트역 방면 진출, 베를린 외곽순환선의 짧은 연결선
6090호엔 노이엔도르프 베스트역에서 진입, 베를린 외곽순환선의 긴 연결선
6091쇤플리스역 방면 진입, 베를린 외곽순환선의 짧은 연결선
6092쇤플리스역 방면 진출, 베를린 외곽순환선의 긴 연결선



짧은 연결선은 북부선과 외곽순환선의 북서쪽과 북동쪽에 건설되어 있으며, 긴 연결선은 남동쪽에 건설되어 있다.

5. 인접 정차역



다음과 같은 열차 노선이 이 역에 정차한다.[3]


  • RB20 노선: 포츠담 – 골름 – 헤니히스도르프 – 오라니엔부르크
  • 베를린 S반 S1 노선: 오라니엔부르크 – 비텐아우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포츠다머 플라츠 – 쇠네베르크 – 라트하우스 슈테글리츠 – 반제
  • 베를린 S반 S8 노선: 비르켄베르더 – 판코 – 프렌츠라우어 알레 – 오스트크로이츠 – 쇠네바이데 – 그뤼나우 – 조이텐 – 빌다우

참조

[1]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5
[2] 웹사이트 Two-system operation at Birkenwerder (next to Berlin) http://www.bueker.ne[...] 2016-09-06
[3] 웹사이트 Timetables for Birkenwerder station http://kursbuch.bahn[...]
[4] Default DBCatsURL
[5]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6]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7]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8]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9]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10]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11]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12] 서적 Berlins S-Bahnhöfe. Ein dreiviertel Jahrhundert https://archive.org/[...] be.bra
[13] 서적 Berliner Nordbahn.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VBN Verlag B. Neddermeyer
[14] 웹인용 Der elektrische Verbundbetrieb im Bahnhof Birkenwerder http://www.stadtschn[...] 2015-07-24
[15] 웹인용 Bekanntgabe möglicher Kapazitätseinschränkungen der Eisenbahninfrastruktur der Eisenbahnen des Bundes http://www.eba.bund.[...] 2015-02-01
[16] 뉴스 Bahn will Bahnhof verkaufen https://www.maz-onli[...] Märkische Allgemeine Zeitung 2024-01-19
[17] 뉴스 Bahnhof Birkenwerder bekommt einen zweiten Zugang https://www.moz.de/l[...] Märkische Allgemeine Zeitung Online
[18] 웹인용 Nordbahn / Heidekrautbahn https://www.i2030.de[...] 2020-10-10
[19] 서적 Richard Brademann. 1884–1965. Architekt der Berliner S-Bahn VBN Verlag B. Neddermeyer
[20] 웹인용 Birkenwerder http://www.stadtschn[...] 2015-07-24
[21] 웹인용 Das K44-Stellwerk http://blocksignal.d[...] 2015-07-24
[22] 웹인용 Drucksache 17/15669 http://pardok.parlam[...] 2015-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