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청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청우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사 지도자이다. 192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입단하여 중국 공농 홍군, 중국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중일 전쟁,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톈진 경비구 사령원, 베이징 군구 사령원을 역임했으며, 1955년 상장 계급을 받았다. 문화 대혁명 시기 실각했으나 복권 후 푸저우 군구 사령원, 정협 전국 위원회 부주석 등을 지냈다. 1955년 1급 팔일 훈장 등을 수여받았으며, 저서로 《양청우 회고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사망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 2004년 사망 - 박명근
    박명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기업인으로,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한국 전쟁에 참전, 공직 생활과 박정희 대통령 비서관을 거쳐 4선 국회의원 및 대한투자신탁 사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송덕비가 건립되었다.
  • 1914년 출생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1914년 출생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양청우
기본 정보
양청우
양청우
이름양청우
원어 이름杨成武
로마자 표기Yáng Chéngwǔ
출생1914년 10월 27일
출생지푸젠성 창팅
사망2004년 2월 14일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군 경력
복무 기간1929년 - 1983년
소속 군대중국인민해방군 육군
최종 계급상장
주요 지휘제3병단 사령원
제20병단 사령원
베이징 군구 사령원
방공군 사령원
총참모장 대행
푸저우 군구 사령원
주요 전투
참전국공내전
항일 전쟁
한국 전쟁
훈장
수훈1급 팔일 훈장
1급 독립자유 훈장
1급 해방 훈장
1급 홍성 훈장

2. 생애

양청우는 192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입단하고, 1929년 민서 농민 폭동에 참가하면서 중국 공농 홍군에 입대했다. 1930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홍군에서 여러 직책을 맡으며 장정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1]

중일 전쟁 시기에는 팔로군에서 활동하며 평형관 전투, 백단대전 등에 참전했고, 황토령 전투에서 아베 노리히데 일본군 중장을 사살하여 명성을 얻었다.[1]

국공 내전 시기에는 진차지 군구에서 여러 요직을 맡아 청풍점 전투, 석가장 전투 등을 지휘하며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기여했다. 1948년 이후 화북 야전군 제3병단 사령원, 제20병단 사령원을 역임하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참석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과정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톈진 경비구 사령원, 징진 위수구 부사령원 및 사령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중국 인민 지원군 제20병단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유엔군에 맞서 싸웠다.[1]

1952년 이후 화북 군구 참모장, 베이징 군구 사령원 등을 역임하고 1955년 상장 계급을 받았다.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주요 직책을 맡으며 금문 포격, 티베트 침공 작전, 중인도 국경 분쟁 등 여러 군사 작전을 지휘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총참모장 대리를 맡았으나, 린뱌오 등과 갈등을 겪으며 "양위푸 사건"으로 실각했다. 문화 대혁명 종결 후 복권되어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상무 위원 등을 역임하고, 푸저우 군구 사령원을 지냈다.

1983년부터 정협 전국 위원회 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 위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 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투쟁

1928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입단하였다. 1929년 민서 농민 폭동에 참가하면서 중국 공농 홍군에 입대하여 민서 홍군 제3로 지휘부 비서, 선전대 중대장을 맡았다.[1] 1930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 홍1군단 제4군 제3종대 간사, 제12사 비서, 연대 정치 위원, 교도대대 정치 위원, 홍11사 제32단 정치 위원, 홍2사 제4단 정치 위원, 홍1사 사단장 겸 정치 위원을 역임하며 중앙 소비에트 구역의 대 '위초'와 장정에 참가했다. 특히, 장정 중에는 노정교 탈취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1]

중일 전쟁 발발 후, 팔로군 제115사 독립단 단장, 독립 제1사 사단장 겸 정치 위원, 진차지 군구 제1분구 사령원 겸 정치 위원을 역임, 평형관 전투와 백단대전에 참가했다. 황토령 전투에서 일본군 몽강 주둔군 사령관 아베 노리히데 중장을 사살하여 큰 명성을 얻었다. 이후 중공 진차지 변구 제1지위 서기, 기중 군구 사령원을 지냈다.[1]

2. 2. 국공 내전 시기

대일전 승리 후, 양청우는 진차지 군구 제1야전군 기중 종대 사령원, 진차지 군구 제3종대 사령원 겸 정치 위원, 진차지 야전군 제2정치 위원, 중공 진차지 중앙국 위원을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청풍점 전투, 석가장 전투, 평한 북단 전투 등을 지휘하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1948년 이후에는 화북 야전군 제3병단 사령원, 제20병단 사령원이 되어 수원 전투를 지휘하고 평진 전역에 참전하여 중국 공산당의 승리에 기여했다. 또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회 전체 회의에 출석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과정에 참여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양청우는 톈진 경비구 사령원, 징진 위수구 부사령원 및 사령원을 역임했다. 베이징시 위원회 상무 위원, 톈진시 위원회 상무 위원, 중공 중앙 화북국 위원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인민 지원군 제20병단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동부 전선의 하계·추계 방어 전역에 참가했으며, 유엔군에 맞서 싸웠다.[1]

2. 4. 군사 지도자

1952년 이후, 화북 군구 참모장 겸 화북 군구 당위원회 서기, 부사령관 겸 징진 위수구 사령원을 역임했다. 1954년 9월 경, 베이징 군구 사령원에 임명되었다. 1955년, 상장 계급을 수여받았다.

중국 인민해방군 방공군 사령원, 인민 해방군 부총참모장, 제1부총참모장 겸 군사위원회 판공청 주임을 지냈으며, 1958년 금문 포격, 1959년 티베트 침공 작전, 1960년부터 1961년의 중국-미얀마 국경 경비 작전, 1962년 중인도 국경 분쟁, 1960년대의 베트남 지원을 지휘했다.

2. 5. 문화대혁명 시기

문화 대혁명 시기 뤄루이칭이 실각하자, 예젠잉의 추천으로 1966년 8월 2일 총참모장 대리에 임명되었다. 1967년 2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린뱌오 및 중앙 문혁 소조와 어느 정도 거리를 두어 린뱌오의 불만을 샀다. 1968년 3월 23일, 위리진·공군 정치 위원, 푸총비·베이징 군구 부사령관과 함께 실각되었으며, 이것은 "양위푸 사건"이라고 불렸다.

2. 6. 문화대혁명 이후

문화 대혁명 종결 후 복권되어,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상무 위원, 부비서장, 부총참모장을 역임했다. 1977년 11월부터 1983년 11월까지 푸저우 군구 사령원을 지냈다.

1983년 6월부터 1988년 3월까지 정협 전국 위원회 부주석, 문(文) 연구 위원회 주임을 역임했다. 중공 제8기 중앙 위원 후보, 제11, 12기 중앙 위원을 지냈으며, 제1, 2, 3기 중화인민공화국 국방 위원회 위원이었다.

3. 서훈

1955년, 1급 팔일 훈장, 1급 독립자유 훈장, 1급 해방 훈장을 수여받았다. 1988년, 1급 홍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는 1급 자유독립 훈장과 1급 전투영웅공훈 영예상을 수여받았다.

4. 저서


  • 양청우 회고록
  • 양청우 군사 문선

참조

[1] 웹사이트 解放军原代总参谋长杨成武上将昨逝世 享年90岁 https://www.chinanew[...] 2024-07-10
[2] 서적 Mao's Third Front: The Militarization of Cold War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 서적 An Ideological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Royal Collins Publishing Group 2020
[4] 서적 The Chinese Air Force: Evolving Concepts, Roles, and Capabilities http://ndupress.ndu.[...]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2012
[5] 문서 平松(1987年)、付表4ページ。
[6] 문서 唐(2003年)、113ページ。
[7] 문서 平松(1987年)、付表2ページ。
[8] 문서 平松(1987年)、付表1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