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퉁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퉁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 성 북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기원전 200년 한나라 시기에 평성으로 불렸으며, 북위 시대에는 수도였고, 이후 요나라, 금나라, 명나라 시대에 걸쳐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다퉁 시가 설치되었으며, 1982년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다퉁은 석탄 매장량이 풍부하여 중공업이 발달하였으며, 다퉁 탄광 그룹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윈강 석굴, 구룡벽, 화엄사 등 많은 역사적 유적지와 관광 명소가 있으며, 칼국수가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퉁시 - 항산
항산은 중국 오악 중 하나로, 도교적 색채가 강하며 북쪽에 위치해 비(非) 중국 민족의 지배를 받아 순례 역사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한나라 시대에 사찰이 세워졌으며, 오늘날에는 불교 사찰인 현공사가 유명하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다퉁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大同市 (Dàtóng Shì) |
기타 명칭 | 타퉁 |
별칭 | 없음 |
뜻 | 대동 (Great Unity, Great Togetherness) |
이전 이름 | 평청 (Píngchéng, Peaceful City County, Pacified City County) 시징 (Xījīng, Western Capital)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산시 성 (산서성) |
정부 소재지 | 핑청 구 |
행정 구역 등급 | 지급시 |
CPC 서기 | (미제공) |
시장 | 장지푸 |
지리 | |
면적 | 14,068 km² |
도시 면적 | 3,563 km² |
고도 | 1,042 m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3,105,591 명 |
도시 인구 | 2,030,203 명 |
도시 지역 인구 밀도 | auto |
경제 | |
GDP (2021) | CN¥ 1370억 (US$ 215억) |
1인당 GDP (2021) | CN¥ 44,110 (US$ 7,058)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037000 |
지역 번호 | 0352 |
차량 번호판 | 晋B |
행정 구역 코드 | 140200 |
ISO 3166-2 | CN-SX-02 |
웹사이트 | 다퉁 시 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중화민국 성립 후 다퉁현은 동서 2현으로 분할되었지만, 1949년 5월 공산군이 들어오면서 2현을 합병하고 다퉁 시를 성립하여 차하얼 성에 편입되었다. 1953년 산서성으로 관할이 변경되었고, 1993년 안북행서가 폐지되면서 현재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1982년까지 도시 성벽 일부가 남아 있었고, 그해 국무원이 발표한 국가역사문화명성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2008년 이전에는 약 10만 명이 구시가지에 살았다. 2008년 겅옌보 시장은 3km2 이상을 재개발하는 구시가지 재개발 계획을 결정했고, 이로 인해 "철거 시장"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겅옌보 시장과 그의 그룹은 3만에서 5만 명의 사람들이 구시가지에 남을 것으로 예상했다.
2013년 겅옌보 시장이 물러났을 당시, 도시의 많은 부분은 여전히 공사 중이었다. ''식스톤''의 수지에데는 겅옌보의 노력으로 "미완성 도시 중심부와 복잡한 유산"이 초래되었으며, "비판가들에게 이 도시는 보여줄 것이 거의 없이 막대한 돈을 썼다"고 평가했다.[10] 2020년까지 구시가지 인구는 3만 명 미만으로 줄었고, 주민들을 위한 정부 시설도 감소했다. 수지에데는 구시가지가 "여전히 지방 정부에 골칫거리를 안겨주고 있다"고 말했다.[10]
2. 1. 고대
전국시대 조나라의 판도였던 다퉁은 운중, 안문, 대군이 설치되었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 후 안문군의 관할에 있었고, 한나라 대에 군현제가 시행되어 기원전 200년 평성현(平城)이 설치되었다. 몽골과 가까운 다퉁은 농경 경제와 유목 경제 사이에 위치하여 양 문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유방은 다퉁 부근 백등산에서 흉노족 묵돌선우와 전투를 벌여 패배했다(백등산 전투).[4]선비족이 건국한 북위는 398년부터 494년까지 다퉁에 수도를 정하고 부근에 운강 석굴을 남겼다. 5대 10국 시대, 북방에서 세력을 키운 요나라에 의해 후진을 건국한 석경당은 연운 16주를 요에 할양했고, 요나라는 1044년에 서경대동부를 설치하였고, 1048년에는 대동현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행정구역의 변천을 거듭했지만 서경대동부라는 명칭은 금나라, 원나라에 이어 지금까지 사용되게 되었다.
명나라 시기 북원에 대항하기 위해 만리장성을 구축하는 등 방위정책을 보강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다퉁은 장성 부근 지역의 물류 중심지였다.[7] 명나라 시대에 고루와 구룡벽 같은 다퉁의 역사적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8][9]
2. 2. 북위 시대
남북조 시대 북위는 '''평성현'''(432년부터 439년까지는 '''만년현'''으로 개칭)을 재설치하고, 398년(천흥 원년)부터 494년(태화 18년)까지 수도로 삼았다. 부근에는 석굴 사원인 운강 동굴을 남겼다.[4] 운강 석굴은 이 기간 후반(460-494)에 건설되었다. 520년대 중후반에 평성은 북위 대군의 소재지였다.[5] 평성현은 효창 연간에 폐지되었으나, 북제에 의해 '''태평현(太平県)'''으로 재설치, 북주에 의해 '''운중현(雲中県)'''으로, 수 시대 개황 연간에 '''운내현(雲内県)'''으로 개칭되었다.2. 3. 중세
전국시대 조나라(趙)의 판도였던 다퉁은 운중, 안문, 대군이 설치되었다. 진나라에 의한 중국 통일 후 안문군의 관할에 있었고, 한나라 대에 군현제가 시행되어 평성현이 설치되었다. 몽골과 가까운 다퉁은 농경 경제와 유목 경제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 문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유방은 다퉁 부근의 백등산에서 흉노족 묵돌선우와 전투를 벌여 패배했다(백등산 전투).선비족이 건국한 북위는 398년부터 494년까지 다퉁에 수도를 정하고 부근에 윈강 석굴을 남겼다. 730년(개원 18년) 당나라는 운중현이라고 개칭하였다.
5대 10국 시대, 북방에서 세력을 키운 요나라에 의해 후진을 건국한 석경당은 원조의 대가로 연운 16주를 요나라에 할양했고, 요나라는 1044년(중희 13년)에 부도 중 하나로 서경대동부를 설치하였고, 1048년(중희 17년)에는 대동현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행정구역의 변천을 거듭했지만 서경대동부라는 명칭이 금나라, 원나라에 이어 지금까지 사용되게 되었다.
남북조 시대 북위에 의해 '''평성현'''(432년부터 439년까지는 '''만년현'''으로 개칭)이 재설치되었고, 398년(천흥 원년)부터 494년(태화 18년)까지 수도로 삼았으며, 부근에는 운강 동굴을 남겼다. 평성현은 효창 연간에 폐지되었으나, 북제에 의해 '''태평현(太平県)'''으로 재설치, 북주에 의해 '''운중현(雲中県)'''으로, 수나라 시대에는 개황 연간에 '''운내현(雲内県)'''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가 성립하자 618년(무덕 원년)에 북항주 주치(州治)가 되었다. 640년(정관 14년)에 운내현은 폐지되었고, 새로 '''정양현(定襄県)'''이 설치되어 운주 주치가 되었다. 730년(개원 18년)에 정양현은 '''운중현'''으로 개칭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 북방에서 세력을 키운 요나라의 원조로 후진을 건국한 석경당은 원조의 대가로 연운 16주를 요나라에 할양했고, 요나라는 1044년(중희 13년)에 운주를 승격시켜 부도 중 하나로 서경대동부를 설치, 1048년 (중희 17년)에 '''대동현'''이 신설되어 대동부 치소(治所)가 되었다.
1265년(지원 2년), 원나라는 운중현을 폐지하고 대동현에 편입시켰으며, 1288년 (지원 25년)에는 대동로 로치(路治), 명과 청나라 시대에는 대동부의 부치(府治)가 되었다.
2. 4. 명청 시대
전국시대 조의 판도였던 다퉁에는 운중(雲中), 안문(雁門), 대군(代郡)이 설치되었다. 진 통일 후 안문군 아래에 '''평성현(平城県)'''이 설치되었으나, 후한 말 폐지되었다. 몽골과 가까운 다퉁은 농경 경제와 유목 경제의 접점에 위치하여 양 문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전한 건국자 유방은 백등산에서 흉노묵돌 선우와 전투를 벌여 패배했다(백등산 전투).남북조 시대 북위는 '''평성현'''(432년부터 439년까지는 '''만년현'''으로 개칭)을 재설치하고, 398년(천흥 원년)부터 494년(태화 18년)까지 수도로 삼았으며, 부근에 운강 동굴을 남겼다. 평성현은 효창 연간에 폐지되었으나, 북제에 의해 '''태평현(太平県)'''으로 재설치, 북주에 의해 '''운중현(雲中県)'''으로, 수나라 개황 연간에 '''운내현(雲内県)'''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성립 후 618년(무덕 원년) 북항주 주치(州治)가 되었다. 640년(정관 14년) 운내현은 폐지되었고, '''정양현(定襄県)'''이 설치되어 운주 주치가 되었다. 730년(개원 18년) 정양현은 '''운중현'''으로 개칭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 요나라의 원조로 후진을 건국한 석경당은 연운 16주를 요나라에 할양했고, 요나라는 1044년(중희 13년) 운주를 서경대동부로 승격, 1048년 (중희 17년) '''대동현'''을 신설하여 대동부 치소(治所)로 삼았다.
1265년(지원 2년) 원나라는 운중현을 폐지하고 대동현에 편입시켰으며, 1288년 (지원 25년) 대동로 로치(路治), 명과 청나라 시대에는 대동부의 부치(府治)가 되었다. 명대에는 북원에 대항하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는 등 방위 정책을 강화했다. 다퉁은 장성 부근 물자 수송의 중계 지점 역할을 했다.
2. 5. 근현대
명나라 시기에는 북원에 대항하기 위해 만리장성을 구축하는 등 방위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다퉁은 장성 부근 지역의 물류 중심지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7] 명나라 시대에 고루와 구룡벽과 같은 다퉁의 많은 주목할 만한 역사적 건축물들이 건설되었다.[8][9]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다퉁현은 동서 2현으로 분할되었지만, 1949년 5월에 공산군이 들어오면서 2현을 합병하고 다퉁 시를 성립하여, 차하얼 성의 관할로 두었다. 1953년에 산서성의 관할로 변경되었고, 1993년에는 안북행서가 폐지되고 다퉁 시에 편입되어 현재의 행정구역이 성립되었다.
1982년까지 도시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었고, 그해에 국무원에서 발표한 국가역사문화명성 중 하나가 되었다.
2008년 이전에는 약 10만 명이 구시가지에 살고 있었다. 2008년에 겅옌보 시장은 3km2 이상이 재개발되면서 구시가지의 상당 부분을 재개발하기로 결정했고, 겅은 "철거 시장"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겅과 그의 그룹은 3만에서 5만 명의 사람들이 구시가지에 남을 것으로 예상했다.
2013년에 겅은 직위에서 물러났다. ''식스톤''의 수지에데는 당시 도시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공사 중이었고 겅의 노력으로 "미완성 도시 중심부와 복잡한 유산"이 초래되었으며, "비판가들에게 이 도시는 보여줄 것이 거의 없이 막대한 돈을 썼다"고 썼다.[10] 2020년까지 구시가지의 인구는 3만 명 미만으로 줄었고 주민들을 위한 정부 시설도 줄었다. 그해 수지는 구시가지가 "여전히 지방 정부에 골칫거리를 안겨주고 있다"고 말했다.[10]
3. 지리
다퉁 시는 산시성 최북단, 황토고원 동북쪽의 다퉁 분지에 위치한다. 상간허와 그 지류인 유허가 동쪽의 장자커우 시 방면으로 흐른다. 북쪽은 만리장성을 경계로 내몽골 자치구 우란차부 시의 펑전 시, 량청 현과 접하고, 남서쪽은 숴저우 시 및 신저우 시와 인접한다.[10]
다퉁 시의 행정 구역은 위도 39° 03'–40° 44' N, 경도 112° 34'–114° 33' E에 걸쳐 있다. 도시 지역은 3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과 남서쪽에만 통로가 있다. 지급시 내의 고도는 일반적으로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높아진다. 다퉁은 북서쪽으로는 우란차부 시(내몽골 자치구), 동쪽으로는 장자커우 시(허베이성), 남서쪽으로는 숴저우 시(산시 성), 남쪽으로는 신저우 시(산시 성)와 접한다.
다퉁 분지 근처에는 다퉁 화산호가 있다.
3. 1. 기후
다퉁은 대륙성 기후이자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스텝 기후(쾨펜 ''BSk'')를 보이며, 1000m 이상의 고도로 인해 길고 춥고 매우 건조한 겨울과 매우 따뜻한 여름을 보인다. 월 평균 기온은 1월 -10.5°C에서 7월 22.6°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7.33°C이다. 건조함과 고도로 인해 일교차가 큰 편이며, 연평균 13.2°C이다. 겨울에는 강수량이 거의 없고, 연 강수량의 3/4 이상이 6월부터 9월 사이에 내린다. 월별 가조시간 비율은 7월 54%에서 10월 66%까지이며, 연중 일조량이 풍부하여 연간 2,671시간(가능한 총 시간의 약 60%)의 햇빛을 받는다. 1951년 이후 최저 기온은 2023년 12월 16일 -31.9°C이고, 최고 기온은 2010년 7월 29일 39.2°C였다.[35][36][37]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9°C | 2.1°C | 9.2°C | 17.4°C | 23.7°C | 27.8°C | 28.9°C | 27.2°C | 22.4°C | 15.3°C | 6.2°C | -1.3°C |
일 평균 기온 (℃) | -10.5°C | -5.8°C | 1.5°C | 9.7°C | 16.5°C | 21°C | 22.7°C | 20.8°C | 15.2°C | 7.7°C | -1°C | -8.4°C |
평균 최저 기온 (℃) | -16.6°C | -12.4°C | -5.4°C | 2.1°C | 8.7°C | 14°C | 16.7°C | 14.9°C | 8.8°C | 1.4°C | -6.8°C | -14.1°C |
역대 최고 기온 (℃) | 11.2°C | 19.2°C | 25.3°C | 35.4°C | 36.1°C | 39°C | 39.2°C | 35.9°C | 34.7°C | 27.5°C | 21.9°C | 15.8°C |
역대 최저 기온 (℃) | -31.1°C | -27.6°C | -20.9°C | -16.1°C | -5.8°C | 2.9°C | 7.8°C | 2.8°C | -3.7°C | -11.5°C | -24°C | -31.9°C |
평균 강수량 (mm) | 2.1mm | 3.6mm | 8.9mm | 21mm | 32.8mm | 53.1mm | 96.9mm | 76.1mm | 60.2mm | 23.3mm | 8.3mm | 1.8mm |
평균 상대 습도 (%) | 53 | 46 | 42 | 38 | 40 | 50 | 64 | 68 | 64 | 57 | 54 | 52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8 | 2.2 | 3.6 | 4.3 | 6.6 | 11.2 | 12.5 | 11.1 | 8.8 | 5.5 | 3.1 | 1.7 |
평균 일조 시간 | 192.0 | 200.7 | 236.7 | 255.0 | 278.4 | 256.6 | 249.6 | 243.8 | 225.1 | 225.9 | 189.0 | 182.2 |
월별 일조율 (%) | 64 | 66 | 64 | 64 | 62 | 57 | 55 | 58 | 61 | 66 | 64 | 63 |
평균 적설일수 | 3.3 | 3.9 | 3.8 | 1.7 | 0.2 | 0 | 0 | 0 | 0.1 | 0.6 | 3.4 | 3.2 |
4. 행정 구역
(2003년 추산)
(/km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