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융지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윈청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하동, 하중으로도 불렸으며, 역사적으로 포판현, 하동현, 영제현 등의 명칭으로 불리었다. 1994년 현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온대 기후에 속하며, 3개 가도와 7개 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을 기반으로 경공업과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오로봉, 포진도, 관작루 등 관광 명소가 있다.
이 지역은 과거 하동(河東) 또는 하중(河中)으로 불렸으며, 양귀비, 유종원, 마원 등 역사적 인물들의 고향으로도 알려져 있다.[1]
2. 역사
옛 이름은 '''포판(蒲阪)'''으로,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이 이곳에 도읍을 정했다고 전해진다.[1] 진나라가 분열된 후 전국 시대에는 위나라에 속하여 포읍(蒲邑)이라 불렸다.[1]
진나라 때 '''포판현(蒲阪県)'''이 설치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명칭에 변화가 있었다. 수나라 때는 '''하동현(河東県)'''이, 명나라 때는 '''포주(蒲州)''' 직할이 되었으며, 청나라 때인 1728년에는 영제거(永済渠)의 이름을 따 '''영제현(永済県)'''으로 개칭되었다.[1] (자세한 명칭 변천은 하위 문단 참고)
1900년 의화단의 난 당시, 반란군을 지원했던 청나라 황족 장친왕 재훈은 8개국 연합군이 베이징에 입성하자 이곳 포주로 피난했다가 결국 자진하여 목숨을 끊었다.[1]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8년에는 주변의 안읍현, 해우현, 임기현과 합병되어 운성현이 되었다가 1961년 다시 영제현으로 분리되었다.[1] 1994년 1월, 현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영제시(永濟市)'''가 되었다.[1]
2. 1. 명칭 변천
융지시의 옛 이름은 '''포판(蒲阪)'''으로,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의 도읍지였다고 전해진다.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칭이 변화하였다.
| 시대 | 연도 | 명칭 | 비고 |
|---|---|---|---|
| 순 임금 시대 | 포판(蒲阪) | 전설상 순 임금의 도읍지로 전해짐. | |
| 전국 시대 | 포읍(蒲邑) | 진나라 붕괴 후 위나라에 속함. | |
| 진나라 | 포판현(蒲阪県) | 현(県)으로 처음 설치됨. | |
| 전한 | 포반현(蒲反県) | 개칭됨. | |
| 신나라 | 포성현(蒲城県) | 개칭됨. | |
| 후한 | 포판현(蒲坂県) | 다시 개칭됨. | |
| 수나라 | 596년 (개황 16년) | 하동현(河東県) | 포판현을 폐지하고 신설. |
| 명나라 | 1369년 (홍무 2년) | 포주(蒲州) 직할 | 하동현을 폐지하고 포주 직할로 편입. |
| 청나라 | 1728년 (옹정 6년) | 영제현(永済県) | 포주가 포주부(蒲州府)로 승격되고, 관할 구역은 영제거(永済渠)의 이름을 따 개칭됨. |
| 중화인민공화국 | 1958년 | 운성현 | 영제현이 안읍현, 해우현, 임기현과 합병됨. |
| 중화인민공화국 | 1961년 | 영제현(永済県) | 운성현에서 분리되어 재설치됨. |
| 중화인민공화국 | 1994년 1월 | 영제시(永濟市) | 현급시로 승격하여 현재에 이름. |
(작성할 내용 없음)
3. 지리
3. 1. 기후
융지시는 온대 기후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4.6°C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평균 27.5°C), 가장 추운 달은 1월(평균 -0.1°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482.5mm이고, 강수는 주로 여름철(7월, 8월)에 집중된다. 겨울철에는 눈이 내리기도 하며, 연평균 강설일수는 약 10.3일이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63%이며,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155.2시간이다.
아래는 융지시의 상세한 기후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평년값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극값은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4. 행정 구역
융지시는 3개 가도(街道)와 7개 진(鎭)을 관할한다.
| 구분 | 행정 구역명 (한글) | 행정 구역명 (한자) |
|---|---|---|
| 가도(街道) | 성서가도 | 城西街道중국어 |
| 성북가도 | 城北街道중국어 | |
| 성동가도 | 城东街道중국어 | |
| 진(镇) | 우향진 | 虞乡镇중국어 |
| 경두진 | 卿头镇중국어 | |
| 개장진 | 开张镇중국어 | |
| 고로진 | 枵栳镇중국어 | |
| 포주진 | 蒲州镇중국어 | |
| 한양진 | 韩阳镇중국어 | |
| 장영진 | 张营镇중국어 |
5. 경제
융지시의 광공업은 경공업이 중심이며, 역내에서는 인, 석회석, 석영사, 마노, 백운석, 철, 금, 구리, 납, 아연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생산한다.
또한 중국 북차 집단 산하 기업인 영제 전기공사가 위치하여, 철도 차량용 견인 전동기를 생산하여 중국 전역의 철도에 공급하고 있다. 이 회사는 히타치, 도시바, GE 등 해외 기업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시안에는 히타치와의 합작 기업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농어업 분야에서는 밀, 면화, 민물고기가 주요 생산품이다. 이 지역의 특산물로는 상락주(桑落酒), 포시(蒲柿), 황하 대 잉어 등이 유명하다.
6. 문화
하동(河東) 또는 하중(河中)이라고도 불린 이 지역은 양귀비, 유종원, 마원 등 여러 역사적 인물들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문화 유적으로는 도교 명산인 오로봉(五老峰)과 고대 황하 나루터였던 포진도(蒲津渡) 유적이 있으며, 포진도에서 출토된 당나라 시대의 거대한 철우(鐵牛)는 특히 유명하다.
6. 1. 관광 명소
- '''오로봉'''(五老峰): 도교의 명산으로, 동화산(東華山)이라고도 불렸다. 인근의 고포주(古蒲州)와 함께 국가중점풍경명승구로 지정되어 있다.
- '''포진도'''(蒲津渡): 고대 황하의 주요 나루터였다. 포진도와 나루터 바로 동쪽에 있는 포주 고성 유지는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 근처에서는 한 개의 무게가 약 60ton에 달하는 당대 '철우(鐵牛)' 4개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큰 주철제 문물로 여겨진다.
- '''포주 고성'''(蒲州古城): 당나라 시대에 전국 15도 중 하나인 '''하동도'''(河東道)의 치소(治所, 행정 중심지)가 설치되어 산시성 일대를 관할했던 곳이다. 그 유적인 성벽과 성문의 유구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 '''관작루'''(鹳雀楼): 당나라 시인 왕지환의 시 관작루에 오르다(登鹳雀楼)에 나오는 "욕궁천리목,갱상일층루"(欲窮千里目,更上一層樓, 천 리 먼 곳까지 보고 싶어, 다시 누각 한 층을 오르네)라는 구절로 유명한 누각이다. 본래 포진도 근처에 있었으나 원나라 시대에 소실되었고, 1997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 '''보구사'''(普救寺): 원나라 시대의 희곡인 『서상기』(西廂記)의 배경이 된 장소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19
[2]
웹사이트
永济人民政府
http://www.yongji.go[...]
2013-05-28
[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4]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5]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