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화국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1955년 8월 20일에 창설되어 1975년까지 존재했던 남베트남의 해군이다. 1952년 프랑스 해군에서 기원하여, 미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규모를 확장했다. 연안 경비 임무를 수행하며, 1960년대에는 해군력 증강을 통해 1973년에는 4만 2천 명의 병력과 1400척의 함선을 보유했다. 1969년부터 시작된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미국의 지원이 축소되었고, 1974년 파라셀 군도 해전에서 패배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해군은 해체되었고, 일부 함선은 미국으로 탈출하거나 베트남 인민군 해군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군
베트남 공화국군은 1955년 베트남 공화국 수립과 함께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 및 베트콩과 싸웠으나, 부패와 낮은 사기 등으로 1975년 베트남 공화국 붕괴와 함께 해체된 군대이다. - 1975년 폐지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1975년 폐지 - 옥인동
옥인동은 1914년 옥동과 인왕동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옥류동천이 흐르던 지역으로 일제강점기 옥인정으로 불리다가 해방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수성동 계곡, 박노수 가옥, 윤동주 하숙집 터 등이 있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다. - 1952년 설립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1952년 설립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베트남 공화국 해군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베트남 공화국 해군 |
| 로마자 표기 | Hải quân Việt Nam Cộng hòa |
| 별칭 | HQVNCH |
| 창설일 | 1952년 |
| 해체일 | 1975년 4월 30일 |
| 소속 국가 | 남베트남 |
| 군종 | 해군 |
| 역할 | 해상 통제 |
| 규모 | 1973년: 42,000명, 1,400척의 함정, 보트 및 기타 선박 |
| 본부 | 사이공, 남베트남 |
| 표어 | 조국 - 대양 (Tổ quốc — Đại dương) |
| 군가 | 해군 베트남 행진곡 (Hải quân Việt Nam hành khúc) |
| 기념일 | 8월 20일 |
| 지휘부 | |
| 지휘 체계 | 베트남 국가군 (1952-1955) 베트남 공화국군 |
| 주요 지휘관 | 쩐반촌 까오반비엔 람응우온탄 충떤깡 |
| 전투 | |
| 참전 | 베트남 전쟁 캄보디아 내전 파라셀 제도 전투 |
| 군기 | |
![]() | |
![]() | |
![]() | |
2. 역사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1952년 프랑스 해군(Marine nationale프랑스어)의 지원으로 시작되었다. 1955년 8월 20일, 프랑스군으로부터 해군 방위 임무를 인수받아 22척의 함정과 약 2,000명의 장병으로 정식 창설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26일 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으로 개칭되었다.[15]
1956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의 해상 침투에 대응하기 위해 연안 해상선단을 편성했다. 이 부대는 지역군 소속의 비정규 부대와 현지 어부들로 구성되었으며, 초기에는 해군이 아닌 지역군의 지휘를 받다가 1965년에 해군으로 이관되었다.[15][17]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 해군의 지원을 받아 현대화와 확장을 거듭했다.[15] 1961년에는 23척의 함선과 약 5,000명의 인원을 보유했으나, 이후 훈련 시설, 수리 기지, 지원 시설 확충 등을 통해 1964년에는 44척의 함선과 8,100명의 인원으로 성장했다.[16]
1967년 말에는 장병 16,300명, 함선 65척, 강에서 전투를 담당하는 부대(River Assault Group)의 정 232척, 범선 290척, 기타 정 52척 규모로 확장되었다. 1968년부터는 자체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교육 과정을 개선하고 확장했다.[16]
1969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ACTOV(베트남에 대한 가속화된 이양)라는 해군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해군의 강 함대와 연안 함대가 단계적으로 베트남 공화국 해군에 이양되었다.[5] 1970년 말까지 미 해군은 베트남 전역에서 모든 작전 활동을 중단했고, 1972년 8월에는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연안 레이더 시설까지 인계하여 연안 경비 임무가 완전히 이양되었다.[18]
1974년 1월 19일, 파라셀 군도(서사군도)에서 중국 해군과 해전을 벌였다.[19] 이 해전에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중국이 파라셀 군도를 점령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도 종말을 맞았다. 일부 함선은 함장 킴 도(Kiem Do)의 지휘 아래 필리핀으로 탈출하여 필리핀 해군에 편입되었고,[6][7] 나머지는 자침되었다.[8]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1963년 쿠데타 당시 호떤꾸옌(Hồ Tấn Quyền) 대령이 동료 장교들에게 처형당하는 사건[3]과 1965년 쿠데타 시도[4] 등 정치적 사건에도 연루되었다.
2. 1. 설립 배경
베트남 공화국 해군의 기원은 1952년 프랑스 해군(Marine nationale프랑스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49년에 체결된 엘리제 협정에 따라 1954년까지 베트남 내 군 조직의 지휘권이 프랑스에서 베트남국 정부로 이전될 예정이었고, 이에 따라 베트남국군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베트남국 정부의 요청으로 해군은 1955년 8월 20일까지 프랑스군이 방위를 책임지기로 결정되었다. 1955년 8월 20일, 22척의 함정과 약 2,000명의 장병으로 국군의 일부로서 해군이 설치되었고, 같은 해 10월 26일 베트남 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에는 미국에서 파견된 남베트남 주재 미국 군사원조 고문단의 지원을 받아 더욱 확장되었다.[15]2. 2. 연안 경비 및 확장
1956년[16],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은 해상을 이용해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에 병력 및 장비를 침투시키기 시작했다. 이에 대응하여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연안 해상선단(Lực Lượng Hải Thuyền)을 편성했다. 이 부대는 지역군 소속 비정규 부대와 임시로 징용된 현지 어부들이 자신의 정크선을 가지고 편성한 부대로, 비무장지대 주변 해역을 경비했다. 이 부대는 후에 연안부대(Duyên đoàn)로 이름이 바뀌었고, 1900km의 해안선을 경비했다. 그러나 연안부대는 해군이 아닌 지역군의 지휘를 받았으며,[15][17] 1965년이 되어서야 해군으로 이관되었다. 당시 규모는 100척을 넘었다.[16]1950년대 후반, 미국 해군의 지원과 훈련을 받으면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현대화와 확장을 거듭했다.[15] 1961년 당시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23척의 함선, 다수의 중형 상륙함, 197척의 소형정, 그리고 약 5,000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매년 증가하는 위협에 대해서는 부족한 전력으로 여겨졌고, 1962년부터 1964년까지 더욱 빠른 확장이 추진되었다. 훈련 시설, 수리 기지, 각종 지원 시설 등이 새로 설립되었고, 통신 설비 및 환경이 개선되었으며 조직 구조 및 제도 개혁도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함정 수는 44척, 인원은 8,100명으로 증가했다.[16]
이후에도 해군 전력 증강은 계속되어 1967년 말에는 장병 16,300명, 함선 65척, 하천 전투단(River Assault Group, RAG)의 정 232척, 범선 290척, 기타 정 52척 규모로 확장되었다. 1968년부터는 교육 과정의 개선 및 확장을 우선시하여, 미국으로부터의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능한 인력을 공급하고자 했다. 1968년 말에는 지원 계획 완료에 따라 지원받았던 미국 해군의 물자 등이 그대로 공화국 해군에 제공되었다.[16]
2. 3. 베트남화 정책과 미국의 지원 축소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1969년 초에 공식적으로 채택한 "베트남화" 정책의 해군 부문은 "ACTOV(베트남에 대한 가속화된 이양)"라고 불렸다. 이 정책은 미국의 강 함대와 연안 함대를 단계적으로 이양하고 다양한 작전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이양하는 것을 포함했다.[5] 1969년 중반, 미국 기동강상전투부대가 철수하고 강습정 64척을 베트남 공화국 해군(VNN)에 이양하면서 VNN은 강습 작전에 대한 단독 책임을 맡게 되었다. 1969년 10월 10일, 사이공 해군 조선소에서 80척의 강정순찰정(PBR)이 VNN에 이양되었으며, 이 PBR들은 제212기동부대의 일환으로 4개의 강정순찰대(RPG)로 나뉘었다.[5]1970년 말까지 미 해군은 베트남 전역에서 모든 작전 활동을 중단했고, 최종적으로 293척의 강정과 223척의 강습정이 VNN에 인계되었다.[18] 1970년부터 1971년 사이에는 베트남 연안 및 주변 공해상의 경비 활동도 중단되었다. 미국 해군은 이러한 작전을 VNN에 다시 위임하기 위해, 4척의 미국 해안경비대 커터, 레이더 피켓함으로 1척의 호위 구축함, 1척의 상륙함, 그리고 여러 군항 시설, 기뢰전 함정, 다양한 지원 함정 등을 인계했다. 1972년 8월, 미국군이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16곳의 연안 레이더 시설을 공화국 해군에 인계함으로써 연안 경비 임무가 완전히 인계되었다.[18]
2. 4. 파라셀 군도 해전과 종말
1974년 1월 19일, 베트남 공화국 해군 함선 4척이 파라셀 군도(서사군도) 소유권을 놓고 다낭에서 동쪽으로 200nmi 떨어진 곳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함선 4척과 해전을 벌였다.[19] 이 해전에서 베트남 공화국 해군 ''Nhựt Tảo'' (HQ-10)은 침몰했고, ''Lý Thường Kiệt'' (HQ-16)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Trần Khánh Dư'' (HQ-4)와 ''Trần Bình Trọng'' (HQ-5)는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19] 그 결과, 중국이 파라셀 군도를 점령했다.1975년 봄,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 북부와 중부 지역 전체를 점령했고, 1975년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었다.[6] 그러나 킴 도(Kiem Do) 함장은 비밀리에 35척의 베트남 해군 함정과 다른 선박들로 구성된 소함대를 조직하여 3만 명의 선원, 가족, 민간인들을 태우고 미국 제7함대와 합류, 필리핀 수빅만으로 탈출하는 계획을 실행했다.[6] 이 함선들 대부분은 나중에 필리핀 해군에 편입되었지만,[7] LSM ''람 Giang''(HQ-402), 연료 수송선 ''HQ-474'', 군함 ''케오 응어아''(HQ-604)는 공해상에서 다른 배로 옮겨 탄 후 자침되었다.[8]
2. 5. 쿠데타와 정치적 사건
호떤꾸옌(Hồ Tấn Quyền) 대령은 응오딘지엠(Ngô Đình Diệm) 대통령의 충실한 지지자였다. 1963년 1963년 남베트남 쿠데타에서 지엠을 지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1963년 11월 1일 아침 동료 베트남 공화국 해군 장교들에 의해 처형되었다.[3]1965년 남베트남 쿠데타 당시 반란군은 사이공 해군 조선소(Saigon Naval Shipyard)에 있는 베트남 공화국 해군 본부를 포위했는데, 이는 베트남 공화국 해군 사령관 중떤깡(Chung Tấn Cang)을 체포하려는 시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실패했고, 깡은 반군이 함선을 장악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함대를 냐베 기지(Nhà Bè Base)로 이동시켰다.[4]
3. 조직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함대 사령부, 소함대, 해병대, 수중폭파대, 훈련 시설, 사이공 해군 조선소 등으로 구성되었다.
함대 사령부는 함정 및 선박의 전투 준비 태세를 해군 작전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했으며, 연안 지역, 하천 지역 및 룽삿 특별지역(Rung Sat Special Zone)에 함정을 배치하고 일정을 수립했다. 모든 함대 사령부 함정은 사이공(Saigon)을 모항으로 하여 배치 후 복귀했다.
소함대는 순찰 소함대(제1소함대)와 지원 소함대(제2소함대)로 나뉘었다. 제1소함대는 순찰 함정, 제2소함대는 지원함정으로 구성되었다.
해병대는 1954년 응오딘지엠 수상에 의해 창설되어 프랑스 해병 특수부대의 훈련을 받았다. 1970년 이후 닉슨 독트린에 따른 베트남화 정책으로 크게 성장, PAVN 공격이나 침공 지점에 배치되는 기동성 높은 정예 부대로 활약했다.
수중폭파대(리엔도안응으어이냐이)는 소규모 수중작전대로, 미국 수중폭파대(UDT) 및 해군 특수전단(Navy SEALs)의 훈련을 받아 창설되었다.
훈련 시설은 해군 본부 교육국과 사이공, 나트랑(Nha Trang), 깜란만(Cam Ranh Bay)의 교육 센터들로 구성되었다.
사이공 강 남서쪽의 사이공 해군 조선소는 1863년 프랑스군이 설치한 보급 수리 기지가 모체로, 1969년 당시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업단지가 함께 있었다.
3. 1. 함대 사령부
베트남 공화국 해군 함대 사령부는 함정 및 선박의 전투 준비 태세에 대해 해군 작전 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했다. 함대 사령관은 연안 지역, 하천 지역 및 룽삿 특별지역(Rung Sat Special Zone)에서 작전할 함정을 배치하고 일정을 수립했다. 모든 함대 사령부 함정은 사이공(Saigon)을 모항으로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배치 후에는 사이공으로 복귀했다. 배치될 경우, 작전 통제권은 해당 지역 사령관이 맡았으며, 함정들은 다음 항구에서 작전을 수행했다.[10]| 지역 | 항구 |
|---|---|
| I 연안 지역 | 다낭(Đà Nẵng) |
| II 연안 지역 | 냐짱(Nha Trang) / 퀴년(Qui Nhơn) |
| III 연안 지역 | 붕따우(Vũng Tàu) / 컨터(Cần Thơ) / 쩌우덕(Châu Đức) |
| IV 연안 지역 | 안토이 해군기지(An Thoi Naval Base) / 푸꾸옥(Phú Quốc) |
| 룽삿 특별지역(Rung Sat Special Zone) | 냐베 기지(Nhà Bè Base) |
3. 2. 소함대 (Flotillas)
베트남 공화국 해군은 순찰 소함대와 지원 소함대, 두 개의 소함대(Flotilla)로 구성되었다.[10]제1소함대는 순찰 함정으로 구성된 4개의 함대(Squadron)로 편성되었다. 순찰 함정 유형에는 LSSL과 LSIL이 포함되었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강역 또는 룽삿 특별지역(Rung Sat Special Zone)에서만 운용되었지만, 때때로 4개의 해안 지역에 배치되기도 했다. 작전 임무 수행을 위해 순찰 소함대의 절반은 항상 배치되어야 했으며, 함정은 일반적으로 각 순찰 임무에 40일에서 50일 동안 해상에 머물렀다. 강역에 배치된 함대사령부 소속 순찰함정은 해상포격지원(naval gunfire support)을 제공하고 강역의 주요 수로를 순찰했다. 한 강 순찰대는 캄보디아 국경과의 메콩강에서 호송 호위 임무를 맡았다.[10]
제2소함대는 남베트남 전역의 해군 부대와 기지를 지원하는 두 개의 함대로 나뉜 지원함정으로 구성되었다. 지원함정은 함대사령관의 행정 통제하에 있었고, 합동참모본부 중앙지원사령부의 명령에 따라 작전하는 베트남 공화국 해군(VNN) 참모차장(Logistics)의 작전 통제를 받았다.[10]
3. 3. 해병대

베트남 공화국 해군(VNN)은 1954년 응오딘지엠 수상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프랑스 해병 특수부대(Commandos Marine)에 의해 훈련받은 해병대(해병사단)를 운용했다. 해병사단의 기원은 1953년 프랑스에서 훈련받은 해군 사령부 소속 베트남 해병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954년 당시 수상 겸 국방장관이었던 응오딘지엠에 의해 편성되었다.
1970년 이후 닉슨 독트린에 기반한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CIDG이 해체되고 남베트남 해병대 등 정예 부대로 전환되면서 크게 성장했다. 이들은 독립적인 중부 고원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베트남 레인저를 대체하며 지원병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정예 부대가 되었다. 해병사단은 PAVN의 공격이나 침공 지점에 배치되는 기동성이 높은 정예 부대로, 베트남화에 따른 전략적 전환과 함께 일반 예비역 부대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훈련 수준은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베트남화를 감독한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미 육군 대장은 남베트남 공수사단과 해병사단에 필적할 만한 부대가 PAVN에는 없었다고 평가했다.[1]
3. 4. 수중폭파대
수중폭파대남베트남 해군은 소규모 수중작전대인 Liên Đoàn Người Nhái|리엔도안응으어이냐이vi를 보유하고 있었다.[1] 1961년부터 미국의 수중폭파대(UDT) 및 미 해군 특수전단(Navy SEALs)의 훈련을 받아 창설되었으며, 미 해군 특수전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1]
3. 5. 훈련
베트남 공화국 해군의 교육 시설은 해군 본부에 위치한 교육국과 사이공, 나트랑(Nha Trang), 깜란만(Cam Ranh Bay)에 위치한 교육 센터들로 구성되었다.[10] 베트남 공화국 해군의 훈련은 이들 해군 사령부에 설치된 훈련소에서 실시되었다.[16]3. 6. 사이공 해군 조선소
사이공 강 남서쪽, 남중국해에서 약 30km 지점에 위치했으며, 면적은 약 57acre이었다. 당시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공업단지가 함께 있었다. 1863년 프랑스군이 설치한 보급 수리 기지가 그 모체가 되었다. 1969년 당시 약 18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었다.[16]4. 계급
남베트남군 계급 및 계급장 문서 참고.
계급 휘장은 장교의 계급을 나타낸다.
부사관 및 병 계급 계급장
5. 역대 지휘관
| 취임 년도 | 이름 |
|---|---|
| 1955년 | 레꽝미 |
| 1957년 | 쩐반컨 |
| 1959년 | 호딴꾸옌 |
| 1963년 | 중떤캉 |
| 1965년 | 쩐반펀 |
| 1966년 9월 | 까오반비엔 |
| 1966년 11월 | 쩐반컨 |
| 1974년 | 람응언타인 |
| 1975년 3월 24일 | 중떤캉 |
참조
[1]
서적
Fiscal Year 1972 Authorization for Military Procur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Acquisition for the Safeguard ABM, and Reserve Strengths. Hearings, Ninety-second Congress, First Session, on S. 939 (H.R. 8687)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
웹사이트
All Hands
https://books.google[...]
[3]
서적
A Death in November: America in Vietnam, 1963
E. P. Dutton
[4]
뉴스
Hours in an Anxious Saigon: How Anti-Khánh Coup Failed
https://timesmachine[...]
1965-02-21
[5]
리다이렉트
Headquarters MACV Monthly Summary October 1969
https://www.vietnam.[...]
Headquarters United States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1970-01-01
[6]
서적
Counterpart: A South Vietnamese Naval Officer's War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7]
백과사전
The Navy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www.mrfa.org/[...]
2010-08-26
[8]
서적
Jane's Fighting Ships
[9]
서적
Vietnam: A Country Study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0]
서적
Command Histories and Historical Sketches of the Republic of Viet Nam Armed Forces Divisions
http://www.buttondep[...]
1974-01-01
[11]
서적
Military Uniforms: A Manual of United States and Foreign Armed Forces Uniforms, Insignia and Organizations (DOD PAM 1-14)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Defense
2022-07-02
[12]
서적
Uniforms of Seven Allies (DOD GEN-30)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Defense
2022-07-02
[13]
서적
Military Uniforms: A Manual of United States and Foreign Armed Forces Uniforms, Insignia and Organizations (DOD PAM 1-14)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Defense
2022-07-02
[14]
서적
Uniforms of Seven Allies (DOD GEN-30)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Defense
2022-07-02
[15]
웹사이트
Organizations and Progressive Activities of the Republic of Vietnam Navy
http://www.mrfa.org/[...]
2010-08-25
[16]
서적
Command Histories and Historical Sketches of the Republic of Viet Nam Armed Forces Divisions
http://www.buttondep[...]
1974-01-01
[17]
서적
Dai Uy Hoch : "a legend in remote seas" : U.S.N. military advisor to the Junk Force, Phu Quoc, Vietnam : "the strangest war armada in naval history"
Xulon Press
[18]
웹사이트
The Navy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www.mrfa.org/[...]
2010-08-26
[19]
서적
Counterpart: A South Vietnamese Naval Officer’s War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
서적
ジェーン海軍年鑑
Jane's Information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