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해군은 필리핀의 해상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 조직이다. 고대 필리핀 원주민들은 이미 해상 전투와 무역에 능숙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스페인 해군의 일부로 활동했다. 필리핀 혁명 당시에는 혁명군에 합류하여 해군력을 구축했으며, 미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해군력을 발전시켰다. 현재 필리핀 해군은 함대와 해병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부대와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설립 - 서울구치소
    서울구치소는 법무부 교정본부 산하의 구치소로 미결수 등을 수용하며, 경성감옥에서 시작하여 명칭과 위치 변경 후 1987년 의왕시로 이전했고, 주요 인사 수감 및 사형 시설 보유로 논란이 있다.
  • 1898년 설립 - 동래고등학교
    1898년에 설립된 동래고등학교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공립 고등학교로,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명문 고등학교로서 민족 얼 앙양, 민주 정신 함양, 정의 사회 구현, 창조 역군 육성을 교육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 인재를 배출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필리핀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필리핀 해군 휘장
필리핀 해군 휘장
영어 명칭Philippine Navy, PN
표어바다를 보호하고, 미래를 확보한다
창설일1898년 5월 20일
병력 규모
현역24,500명 (필리핀 해병대 10,300명 포함)
예비군15,000명
장비
전투함90척
보조함16척
유인 항공기25기
무인 항공기8기
지휘 구조
소속필리핀군
본부해군 기지 호세 안드라다, 록사스 대로, 말라테, 마닐라, 필리핀
지휘부
국방부 장관길베르토 테오도로
필리핀군 참모총장로메오 S. 브라우너 주니어, PA
해군 사령관RADM 호세 마. 암브로시오 Q. 에스페레타, PN
필리핀 해군 부사령관RADM 호세 마. 암브로시오 Q. 에스페레타, PN
해군 참모총장RADM 앨런 M. 하비에르, PN
해군 주임 원사MCPO 로시말루 D. 갈가오, PN
상징
깃발 및
페넌트
깃발
패치
전투 및 작전
주요 전투필리핀 혁명
미서전쟁
필리핀-미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공산주의 반란
모로 분쟁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
스카버러 쇼울 대치
마라위 전투
술루 및 셀레베스 해의 해적 퇴치 작전
관련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필리핀 해군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스페인인들이 필리핀에 도착하기 전, 고대 필리핀 원주민들은 이미 발랑가이(balangay)를 이용하여 해상 전투, 약탈, 무역, 해적 행위, 여행 및 통신에 종사했다.[4] 1970년대 후반 부투안(Butuan), 아구산 델 노르테(Agusan del Norte)에서 발랑가이 함대가 발견되었다.[5]

란타카(Lantaka) 대포를 장착한 고대 전함 카라코아(Karakoa) 또는 코르코아(Korkoa)


비사야 원주민 전함인 카라코아(Karakoa) 또는 코르코아(Korkoa)는 뛰어난 품질을 자랑했으며, 일부는 스페인인들이 반란을 일으킨 부족과 네덜란드, 영국군에 대한 원정에 사용했다. 더 큰 노 젓는 배 중 일부는 각 측면에 최대 100명의 노잡이와 무장한 군인들을 태울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선체 앞이나 뒤에 적어도 하나의 란타카(lantaka) 대포가 장착되어 있었다. 프라우(praos)라고 불리는 필리핀 범선은 이중 돛을 가지고 있어 수면에서 100피트 이상 높이까지 올라가는 것처럼 보였으며,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 배들은 이중 아웃리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더 큰 범선 중 일부는 아웃리거가 없었다.[6]

서기 1174년에서 1190년 사이에 중국 정부 관리인 저우주쿠아(Chau Ju-Kua)는 "중국의 복건성 해안을 습격하는 잔혹한 약탈자" 그룹을 보고했는데, 그는 이들을 "피쇼예(Pi-sho-ye)"라고 불렀고, 이들은 타이완 남부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서기 1273년, 마투안린(Ma Tuan Lin)이 쓴 또 다른 저술은 마르키 드에르베 드 생드니(Marquis D’Hervey de Saint-Denys)가 번역한 것을 통해 비중국인 독자들에게 알려졌는데, 타이완 남부 출신으로 여겨지는 피쇼예(Pi-sho-ye) 약탈자들을 언급하고 있지만, 이 약탈자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외모가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관찰했다.

1365년 마닐라 전투는 루손(Luzon) 왕국과 마자파히트 제국(Majapahit)의 군대 사이에 마닐라 인근 어딘가에서 발생한 불확실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전투이다. ''나가라크레타가마(Nagarakretagama)''[7]에 따르면, 사루동(Saludong) 주변 지역 정복 주장이 있지만, 톤도 왕국(Kingdom of Tondo)이 독립을 유지하고 다른 통치자에게 예속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루손 왕국이 승리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는 루손이 성공적으로 침략당했지만 나중에 독립을 되찾았을 수도 있다.[8][9]

루손과 그 왕국 출신인 루손(Luzones) 사람들은 결국 동남아시아에서 해군 강국이 되었고, 루손 용병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의 전쟁에 사용되었다. 말라카(Malacca)의 전 술탄은 1525년 루손의 함대를 이용하여 포르투갈로부터 도시를 탈환하려고 했다.[10] 유명한 루손 사람 중 한 명인 레지모 데 라자(Regimo de Raja)는 말라카의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테멩궁(Temenggung) 또는 주지사 겸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핀토(Pinto)는 16세기 필리핀에서 포르투갈과 싸운 이슬람 함대에 많은 루손 사람들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1539년 필리핀인(루손 사람)은 바탁-미낭카바우(Batak-Menangkabau) 군대의 일부를 구성하여 아체(Aceh)를 포위 공격했고, 카이로 총독 술레이만(Suleiman)의 조카인 터키의 헤레딤 마파메데(Heredim Mafamede)가 수에즈에서 파견한 아체 함대의 지휘 아래 포위 공격을 해제했다.

핀토는 또한 1511년 포르투갈 정복 후 몰루카 제도(Moluccas Islands)에 남은 말레이 사람들의 지도자가 루손 사람이었다고 말하며,[13] 피가페타(Pigafetta)는 그들 중 한 명이 1521년 브루나이 함대를 지휘했다고 기록한다. 그러나 루손 사람들은 무슬림 편에서만 싸운 것이 아니었다. 핀토는 그들이 1538년 무슬림과 싸운 필리핀 원주민 중에도 있었다고 말한다.[13]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루손 사람들은 1547년 버마 왕이 시암을 침략하는 것을 도왔다. 동시에 루손 사람들은 시암 왕과 함께 싸웠고, 아유타야(Ayuthaya) 시암 수도 방어에서 버마 왕의 코끼리 군대와 맞섰다.[14] 루손의 군사 및 무역 활동은 남아시아의 스리랑카까지 미쳤으며, 루손에서 만들어진 룽산 문화(Lungshanoid) 토기가 매장지에서 발견되었다.[15]

1571년 6월 3일의 방쿠사이 전투(Battle of Bangkusay)는 스페인 제국(Spanish Empire)의 파시그 강 삼각주 점령과 식민화에 대한 현지인들의 마지막 저항을 의미하는 해전이었다. 이곳은 마닐라 라자 왕국(Rajahnate of Maynila)과 톤도(Tondo)(역사적 정치체)의 원주민 정치의 중심지였다. 마카베베스(Macabebes)의 우두머리 타릭 술레이만(Tarik Sulayman)은 스페인과 동맹을 맺기를 거부하고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가 이끄는 스페인군에 대한 공격을 방쿠사이 해협(Bangkusay Channel)에서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타릭 술레이만의 군대는 패배했고, 술레이만 자신도 사망했다. 방쿠사이에서 스페인의 승리와 톤도의 라칸둘라(Lakandula)와 레가스피의 동맹은 스페인이 도시와 인근 마을 전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했다.

2. 1. 스페인 식민지 이전 시대

스페인인들이 필리핀에 도착하기 전, 고대 필리핀 원주민들은 이미 발랑가이(balangay)를 이용하여 해상 전투, 약탈, 무역, 해적 행위, 여행 및 통신에 종사했다.[4] 1970년대 후반 부투안(Butuan), 아구산 델 노르테(Agusan del Norte)에서 발랑가이 함대가 발견되었다.[5]

비사야 원주민 전함인 카라코아(Karakoa) 또는 코르코아(Korkoa)는 뛰어난 품질을 자랑했으며, 일부는 스페인인들이 반란을 일으킨 부족과 네덜란드, 영국군에 대한 원정에 사용했다. 더 큰 노 젓는 배 중 일부는 각 측면에 최대 100명의 노잡이와 무장한 군인들을 태울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선체 앞이나 뒤에 적어도 하나의 란타카(lantaka) 대포가 장착되어 있었다. 프라우(praos)라고 불리는 필리핀 범선은 이중 돛을 가지고 있어 수면에서 100피트 이상 높이까지 올라가는 것처럼 보였으며,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 배들은 이중 아웃리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더 큰 범선 중 일부는 아웃리거가 없었다.[6]

서기 1174년에서 1190년 사이에 중국 정부 관리인 저우주쿠아(Chau Ju-Kua)는 "중국의 복건성 해안을 습격하는 잔혹한 약탈자" 그룹을 보고했는데, 그는 이들을 "피쇼예(Pi-sho-ye)"라고 불렀고, 이들은 타이완 남부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서기 1273년, 마투안린(Ma Tuan Lin)이 쓴 또 다른 저술은 마르키 드에르베 드 생드니(Marquis D’Hervey de Saint-Denys)가 번역한 것을 통해 비중국인 독자들에게 알려졌는데, 타이완 남부 출신으로 여겨지는 피쇼예(Pi-sho-ye) 약탈자들을 언급하고 있지만, 이 약탈자들이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외모가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관찰했다.

1365년 마닐라 전투는 루손(Luzon) 왕국과 마자파히트 제국(Majapahit)의 군대 사이에 마닐라 인근 어딘가에서 발생한 불확실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전투이다. ''나가라크레타가마(Nagarakretagama)''[7]에 따르면, 사루동(Saludong) 주변 지역 정복 주장이 있지만, 톤도 왕국(Kingdom of Tondo)이 독립을 유지하고 다른 통치자에게 예속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루손 왕국이 승리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는 루손이 성공적으로 침략당했지만 나중에 독립을 되찾았을 수도 있다.[8][9]

루손과 그 왕국 출신인 루손(Luzones) 사람들은 결국 동남아시아에서 해군 강국이 되었고, 루손 용병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의 전쟁에 사용되었다. 말라카(Malacca)의 전 술탄은 1525년 루손의 함대를 이용하여 포르투갈로부터 도시를 탈환하려고 했다.[10] 유명한 루손 사람 중 한 명인 레지모 데 라자(Regimo de Raja)는 말라카의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테멩궁(Temenggung) 또는 주지사 겸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핀토(Pinto)는 16세기 필리핀에서 포르투갈과 싸운 이슬람 함대에 많은 루손 사람들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1539년 필리핀인(루손 사람)은 바탁-미낭카바우(Batak-Menangkabau) 군대의 일부를 구성하여 아체(Aceh)를 포위 공격했고, 카이로 총독 술레이만(Suleiman)의 조카인 터키의 헤레딤 마파메데(Heredim Mafamede)가 수에즈에서 파견한 아체 함대의 지휘 아래 포위 공격을 해제했다.

핀토는 또한 1511년 포르투갈 정복 후 몰루카 제도(Moluccas Islands)에 남은 말레이 사람들의 지도자가 루손 사람이었다고 말하며,[13] 피가페타(Pigafetta)는 그들 중 한 명이 1521년 브루나이 함대를 지휘했다고 기록한다. 그러나 루손 사람들은 무슬림 편에서만 싸운 것이 아니었다. 핀토는 그들이 1538년 무슬림과 싸운 필리핀 원주민 중에도 있었다고 말한다.[13]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루손 사람들은 1547년 버마 왕이 시암을 침략하는 것을 도왔다. 동시에 루손 사람들은 시암 왕과 함께 싸웠고, 아유타야(Ayuthaya) 시암 수도 방어에서 버마 왕의 코끼리 군대와 맞섰다.[14] 루손의 군사 및 무역 활동은 남아시아의 스리랑카까지 미쳤으며, 루손에서 만들어진 룽산 문화(Lungshanoid) 토기가 매장지에서 발견되었다.[15]

1571년 6월 3일의 방쿠사이 전투(Battle of Bangkusay)는 스페인 제국(Spanish Empire)의 파시그 강 삼각주 점령과 식민화에 대한 현지인들의 마지막 저항을 의미하는 해전이었다. 이곳은 마닐라 라자 왕국(Rajahnate of Maynila)과 톤도(Tondo)(역사적 정치체)의 원주민 정치의 중심지였다. 마카베베스(Macabebes)의 우두머리 타릭 술레이만(Tarik Sulayman)은 스페인과 동맹을 맺기를 거부하고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가 이끄는 스페인군에 대한 공격을 방쿠사이 해협(Bangkusay Channel)에서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타릭 술레이만의 군대는 패배했고, 술레이만 자신도 사망했다. 방쿠사이에서 스페인의 승리와 톤도의 라칸둘라(Lakandula)와 레가스피의 동맹은 스페인이 도시와 인근 마을 전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스페인 식민 시대 동안 스페인군은 필리핀 군도의 방위와 치안을 전적으로 책임졌으며, 스페인 해군은 해상 경비를 수행하고 육군에 대한 해상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 스페인 식민 초기에는 해군 부대의 대부분이 정복자들과 원주민 보조병들로 구성되었다.

17세기 후반 스페인 제국기를 게양한 ''후앙가'' 전함의 삽화. ''Historia de las islas e indios de Bisayas'' (1668)에서 보조 함선으로 묘사되었으며, 스페인어로 ''joangas'' (또는 ''juangas'')로 알려져 있음.


스페인 해군의 갤리온선, 브리간틴, 갤리, 그리고 기타 함선 외에도, 현지에서 건조된 마닐라 갤리온선이 외국과 현지 침략자로부터 군도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은 함대를 구성하는 함선 중 하나였다. 함선의 대부분 승무원은 필리핀인이었고, 장교들은 스페인계였다.

1646년 마닐라 해전에서 18척의 우수한 네덜란드 함대에 맞서기 위해 급히 전함으로 개조된 두 척의 마닐라 갤리온선인 ''엔카르나시온''과 ''로사리오'' (화가의 상상도)


마닐라 해전은 스페인령 필리핀에서 가장 초기의 해전 중 하나이다. 1646년 스페인 동인도 제도 해역에서 벌어진 5차례의 해전으로, 스페인 제국군은 네덜란드 공화국군의 마닐라 침공 시도를 여러 차례 격퇴했다. 이는 80년 전쟁 중에 벌어진 일이다. 스페인군은 두 척, 나중에는 세 척의 마닐라 갤리온선, 한 척의 갤리선, 네 척의 브리간틴으로 구성되었다. 스페인군은 세 개의 독립적인 함대로 나뉜 19척의 네덜란드 전함으로 구성된 함대를 무력화시켰다. 스페인군은 네덜란드 함대에 큰 피해를 입혀 네덜란드의 필리핀 침공을 포기하게 만들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선원들이 스페인인과 필리핀인으로 혼합 구성되었고, 전원 필리핀인으로 구성된 자원 봉사 대대도 있었다. 필리핀인들은 스페인의 해외 군대, 특히 스페인 왕립 해군의 큰 부분을 차지했다.

2. 3. 필리핀 혁명 시대

필리핀 혁명 발발 당시, 스페인 군대와 해군 소속 필리핀인들은 반란을 일으켜 스페인에서 필리핀으로 충성을 바꿨다. 필리핀 공화국은 해군력이 필요했고, 이는 필리핀 혁명가들이 비악나바토 헌법에 조항을 포함시키면서 처음으로 마련되었다. 이 조항은 정부가 사략선이 적국 선박을 공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16]

1898년 5월 1일, 조지 뒤이 제독이 혁명 해군에 최초로 인계한 함선은 파트리시오 몬토호 제독의 레이나 크리스티나호에서 가져온 소형 핀네이스였으며, '마그달로'호로 명명되었다.[16]

필리핀 해군은 필리핀 혁명의 두 번째 단계에서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이 혁명 해군을 창설하면서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스페인으로부터 획득한 8척의 소형 스페인 증기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함선들은 9센티미터 함포로 개장되었다. 레온 아파시블레, 마누엘 로페즈, 글리세리아 마렐라 데 비야비센시오 등 부유한 사람들이 톤수가 더 큰 5척의 선박을 기증했다. 900톤급의 섬 간 담배 운반선인 '콤파니아 데 필리피나스'호(해군 기함 '필리피나스'호로 개명)는 쿠바계 필리핀인인 빈센테 카탈란이 선장을 맡았고 필리핀 해군 제독으로 임명되어 함대를 강화했다. 여기에 중국에서 구입한 증기선과 부유한 애국자들이 기증한 기타 선박들이 추가되었다.[16][17]

이후 아파리, 레가스피, 발라얀, 칼라판, 카비테 산 로케 항에 해군 기지가 설립되어 함선의 모항 역할을 했다.[17]

1898년 9월 26일, 아기날도는 파스쿠알 레데스마 선장(상선 선장)을 해군국 국장으로 임명했고, 안헬 파비에 선장(상선 선장)이 그의 보좌관이 되었다. 말로로스 헌법이 제정된 후, 해군은 외교부에서 전쟁부(이후 전쟁해군부로 알려짐)로 이관되었고, 마리아노 트리아스 장군이 이를 이끌었다.[16][17]

필리핀과 미국 간의 긴장이 1899년 마닐라 전투에서 폭발하고 미국이 해군에 대한 봉쇄를 계속하자 필리핀 해군은 쇠퇴하기 시작했다.[16]

2. 4. 미국 식민 시대

미국 식민 정부는 필리핀에서 해안 경비 및 운송국을 설립하여 치안 유지를 목표로 했다. 이 기관은 필리핀 경찰 부대를 군도 전역에 수송하고, 밀수와 해적행위를 막는 역할을 했다.[16] 미국은 이 국과 관세국, 이민국, 섬 간 운송국, 해안 및 측지 조사국, 등대국 등에 많은 필리핀 선원들을 고용했다.[16] 미국은 또한 전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마닐라 해양학교''를 재개교하여 필리핀 해양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애너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의 방식을 채택했다.[16] 미국 해군사관학교는 1919년에 첫 필리핀 견습사관을 받아들였고, 필리핀인들은 예전에 스페인 해군에 입대할 수 있었던 것처럼 미 해군에 입대할 수 있게 되었다.[16]

1930년경 카비테 해군 조선소 상공을 비행하는 미 해군 보트 O2U 콜세어 수상기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이 아시아 함대를 철수시키면서 필리핀은 자체적인 해군력이 부족했다.[16] 이에 필리핀은 마닐라 무엘레 델 코도 항구에 본부를 둔 5척의 고속 소니크로프트 해안 경비정(CMB)와 PT 보트(일명 Q-보트)로 구성된 연안 순찰선(OSP)에 의존하여 일본의 해상 공격을 막아야 했다.[16][17]

1941년 12월 10일 일본의 공습 후 불타오르는 상글리 포인트 카비테 해군 기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아시아 함대가 사용했던 마리벨레스 해군 기지


1935년 필리핀 연방 정부는 국가방위법을 통과시켜 국가 안보를 강화하려 했으나, 이 법은 해군력의 필요성을 간과하고 해상 방어를 미국 아시아 함대에 의존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비판을 받았다.[16]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연안 순찰선(OSP)의 PT 보트에 대해 "이러한 함선으로 구성된 비교적 소규모 함대는...적대적인 세력이 신중하게, 그리고 소규모 부대 단위로 접근하도록 하는 데 명확한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8]

전쟁 기간 동안 OSP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싸웠다. 이들은 적함에 대한 대담한 공격과 급습을 통해 "모기 함대"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Q-보트 중대는 바탄의 해안 시설을 향해 날아오는 9대의 일본 급강하 폭격기 중 3대를 격추시키는 공을 세웠다.[19] OSP는 또한 마닐라가 개방 도시로 선포되었을 때 필리핀과 미국 정부 고위 관리들을 마닐라에서 코레히도르로 대피시키는 작전에도 참여했다.[20]

1942년 4월 9일 이후 항복하지 않은 연안 순찰대원들은 필리핀 연방군 정규군 및 게릴라 부대와 함께 일본군에 대한 게릴라전을 펼쳤다.[16] 전쟁이 끝날 무렵, 병력의 66%가 은성훈장 등을 수여받았다.[16]

2. 6. 독립 이후 시대

라하 솔리만(Rajah Soliman)은 1960년부터 1964년까지 필리핀 해군의 기함으로 활동했다.


1945년, 필리핀 해방 이후 해상경찰대(OSP)는 조세 안드라다(Jose Andrada) 소령의 지휘 아래 재활성화되어, 생존한 OSP 베테랑들과 추가 모집 인원들을 중심으로 재편 및 재건되었다.[16][17] 1947년 필리핀 대통령 마누엘 로하스(Manuel Roxas)는 94호 행정명령을 발표, OSP를 필리핀 육군, 경찰, 공군과 동등한 주요 사령부로 격상시켰다. OSP는 필리핀 해상 순찰대(Philippine Naval Patrol)로 개칭되었고, 1951년 1월 5일 필리핀 해군(Philippine Navy)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해군의 초대 사령관인 조세 안드라다는 초대 준장(Commodore) 겸 참모총장이 되었다.[16][17] 같은 해 해군의 해상 항공 부대인 해군 항공 그룹(Naval Air Group)이 창설되었다.

1950년, 국방장관 라몬 마그사이사이(Ramon Magsaysay)는 해병대 대대를 창설하여 공산주의 후크발라합(Hukbalahap) 운동에 대한 상륙 작전을 수행했다. 이듬해 엘피디오 키리노(Elpidio Quirino) 대통령은 389호 행정명령을 발표하여 필리핀 해상 순찰대를 필리핀 해군으로 재지정했다. 필리핀 해군은 모든 해군 및 해병대, 전투함, 보조선, 해군 항공기, 해안 시설 및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지원 부대들로 구성되었다.[16]

필리핀 해군은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투 지원 및 호송 작전을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서는 필리핀 파병대를 수송했다. 1958년 1월, 필리핀 해군은 1946년 해방 이후 처음으로 미국과 합동 해군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은 "볼워크 1호 작전(Operation "Bulwark One")" 또는 "볼워크 훈련(Exercise "Bulwark")"으로 알려진 항만 방어 훈련이었으며, 필리핀 해군 장교가 지휘했다. 1960년대에 필리핀 해군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잘 장비된 해군 중 하나였다.

2. 7.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 필리핀 해군 본부 함대 사열 당시 BRP 라자 라칸둘라(PF-4)와 BRP 안드레스 보니파시오(PF-7)


1967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대통령직 시절, 해군의 해상법 집행 기능은 필리핀 해안경비대로 이관되었다. 이러한 임무는 1998년 해안경비대가 대통령 직속 기관, 그리고 나중에는 교통부 산하 독립 기관이 된 후에도 해안경비대에 남아 있었다.[16]

1970년대부터 정부는 공산주의 반란에 대응해야 했고, 이는 필리핀 육군과 필리핀 공군의 강화로 이어진 반면, 해군 작전은 병력 수송, 함포 사격 지원, 그리고 봉쇄에 국한되었다.[16]

이 기간 동안 주요 교전 중 하나는 1974년 홀로 전투였는데,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과의 충돌로 홀로 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21][22] 해군 소장 로물로 에스팔돈은 나중에 표류한 홀로 주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데려가기 위해 홀로 부두에 해군 함선을 보내고, 홀로 재건 노력에 큰 역할을 한 공로로 홀로 시로부터 칭찬을 받았다.[23][24]

2. 8. 민주화 이후 시대

냉전 종식과 1991년 피나투보 산의 분화는 필리핀 내 미군 기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화산재와 용암류로 인해 클라크 공군기지(Clark Air Base)는 폐쇄되었고, 필리핀 상원은 수빅 해군기지에 대한 새로운 조약을 거부했다.[25][26] 이는 코라손 아키노(Corazon Aquino) 대통령의 임대 계약 연장 시도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내 미군 주둔을 사실상 종식시켰고, 지역 안보 공백 및 경제/군사 원조 중단을 야기했다.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침범에 대한 우려는 1995년 중국이 미스치프 환초에 군사기지를 건설하면서 제기되었다. 필리핀 해군은 BRP ''시에라 마드레''를 세컨드 토마스 암초에 좌초시켜 대응했다.[27][28]

같은 해, 필리핀군이 미스치프 환초의 중국 시설 사진을 공개하면서 영토 방위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과잉 군사 시설 매각에 관한 법률 통과로 군 현대화 시도가 이루어졌고, 필리핀군 현대화 법이 통과되었다.[29]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AFP 현대화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98년, 필리핀-미국 방문군 협정(VFA)이 체결되어 미군 방문 및 발리깐 훈련 등 협력 기반이 되었다.[30]

2011년 분쟁 지역에서 사건이 발생하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2012년 스카보러 암초 대치 이후, 중국은 스카보러 암초가 싼사 시의 일부로 영구히 남을 것이라고 통보했다.[31][32][33]

필리핀 해군은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주문했다.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존재와 관련된 사건들은 필리핀이 국제해양법재판소(ITLOS)에 남중국해 중재 사건을 제기하게 만들었다.[34] 2012년, 개정 필리핀군 현대화 법이 통과되어 새로운 AFP 현대화 계획이 시작되었다.[35] 2020년 3월,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에서 복무했던 함정을 포함한 4척의 함정을 퇴역시켰다.[37]

3. 조직

마닐라에 위치한 필리핀 해군 본부의 항공 사진


마닐라 만에서 해상 차단 작전 훈련을 실시하는 필리핀 해군의 강체 곤돌라 보트


2018년 훈련 중 AW109E 해군 헬리콥터가 필리핀 해군의 타락급 상륙함에 접근하는 모습


2018년 11월 스파이크-ER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실사격 시범 중 미사일을 장착한 MPAC Mk. III 공격정


2020년 림팩(RIMPAC) 기간 중 AW109E 해군 헬리콥터와 함께 비행 작전을 수행하는 호세 리살(Jose Rizal, FF-150)함


필리핀 해군은 국방부(DND)의 관할 하에 운영된다. 필리핀군(AFP)의 구조 하에서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필리핀 해군 소속 장교인 경우) 사성 장군/제독이 되며 최고위 군 장교이다. 최고위 해군 장교는 해군 참모총장이며, 보통 중장 계급을 가진다. 해군 참모총장은 의장 다음으로 계급이 높으며, 공군 및 육군 참모총장과 함께 의장의 지휘를 받는다. 해군 참모총장은 해군의 행정 및 작전 상태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진다. 미국 해군에서 해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직책은 해군 작전사령관이다.[17][38]

현재 해군은 필리핀 함대와 필리핀 해병대(PMC)라는 두 개의 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다. 7개의 해군 작전 사령부, 5개의 해군 지원 사령부, 7개의 해군 지원 부대로 더 세분화되어 있다.[38] 해군이 보호하고 방어해야 하는 광대한 영해를 고려할 때, 해군 자원의 최적 배치는 이러한 부대의 존재가 신속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적절한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달성된다.[17][38]

필리핀 함대, 또는 간단히 "함대"는 필리핀 함대 사령관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고, 해병대는 해병대 사령관(CPMC)에게 보고한다. 해군 참모총장은 두 사령부 모두에 대해 행정 및 작전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17]

3. 1. 지휘부

대통령 봉봉 마르코스필리핀군의 최고사령관이다. 국방장관은 길베르토 테오도로이며, 국가안보보좌관은 에두아르도 아뇨 장관이다. 대통령 군사 고문은 로만 A. 펠릭스(Roman A. Felix) 장관이다. 필리핀 군 총참모장은 육군 대장 로메오 브로너 주니어이다. 해군 사령관은 소장 호세 마. 암브로시오 Q. 에스펠레타(Jose Ma. Ambrosio Q. Ezpeleta)이다.

3. 2. 주요 부대

필리핀 해군은 해상 전투 및 방위, 연안 방어, 수송 및 상륙 작전, 해양 연구, 특수 작전, 그리고 해군 예비군 관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38]

필리핀 함대(PHILFLEET 또는 PF)는 해양 전투 부대(OCF), 연안 전투 부대(LCF), 수송 상륙 부대(SAF), 해군 기상 해양 센터(NMOC 또는 NAVMETOC), 함대 지원 그룹(FSG), 해군 항공단(NAW), 잠수함 그룹(SG), 함대 훈련 및 교리 센터(FTDC)를 포함한다.[38] 해군 항공단(NAW)은 항공 정찰 및 해상 순찰 작전뿐만 아니라 공중 지원 및 미래 잠수함 작전을 총괄하며, 잠수함 그룹(SG)은 훈련, 교리 개발 및 해군의 전반적인 해상 잠수함 전략을 포함한 미래 잠수함 및 수중 작전을 담당한다.[38]

필리핀 해병대(PMC)는 해군의 주요 해병대, 합동 병과 및 상륙 작전 부대이며, 해군 특수 작전 사령부(NAVSOCOM)는 해군 특수 작전을 담당한다. 해군 특수 작전 사령부는 2020년 필리핀 함대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사령부가 되었다.[39]

2018년 SEACAT 훈련 중 NAVSOG


해군 작전 사령부는 전국의 7개 사령부로 나뉘어 전체 해군 및 해양 작전을 담당하며, 북부/남부 루손 해군, 서부/중부 해군, 서부/동부 민다나오 해군(NAVFOREASTM), 함대 해병 준비 부대가 있다.[38]

해군 지원 사령부는 해군 및 해상 작전의 지속 가능성을 담당하며, 해군 함정 시스템 사령부 (NSSC), 해군 교육훈련 및 교리 사령부 (NETDC), 해군 예비군 사령부 (NAVRESCOM), 해군 전투 공병 여단 (NCEBde), 해군 설비 사령부 (NIC)로 나뉜다.[38] 해군 교육훈련독트린 사령부(NETDC)는 필리핀 해군의 교육 기관으로, 해군 인원에게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여 발전적인 해군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40] 해군전투공병여단(NCEBde)은 함대-해병대 작전을 지원하는 전투 공병 및 수륙양용 건설 임무를 맡고 있으며, 필리핀 해병대와 함께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이 주장하는 분쟁 중인 암초와 섬의 해군 주둔지 인원 충원 및 경비를 담당한다.

해군 지원 부대는 물류, 인사, 재정, 관리, 민군 협력 작전 및 의료 서비스를 포함한 해군의 전반적인 지원을 담당하며, 보니파시오 해군 기지, 필리핀 해군 민군 협력 작전 그룹, 해군 정보 통신 기술 센터, 함대-해병 전쟁 센터, 필리핀 해군 본부 및 본부 지원 그룹, 해군 정보 및 보안 부대, 필리핀 해군 재정 센터, 해군 물류 센터, 해군 인사 관리 센터의 9개 그룹으로 나뉜다.[38]

3. 3. 해군 항공단 부대

필리핀 해군 항공단은 비행 부대와 비행 부대 이외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비행 부대는 제30 해군 고정익 항공단과 제40 해군 헬리콥터 항공단, 제71 해상 무인 항공 정찰 비행대로 나뉜다. 제30 해군 고정익 항공단은 제31 경량 유틸리티 순찰 비행대와 제32 해상 초계 및 정찰 비행대로 구성된다. 제40 해군 헬리콥터 항공단은 제41 해상 타격 헬리콥터 비행대와 제42 대잠 헬리콥터 비행대로 구성된다.

비행 부대 이외 부대는 제21 그룹 지원 비행대, 해군 항공전 교육 및 교리 센터, 항공기 검사 및 정비 비행대, 제62 항공 전투 시스템 비행대, 제63 군수품 및 자재 공급 비행대가 있다.

4. 계급 구조

wikitext

계급 그룹장군/기함 장교고급 장교저급 장교
필리핀 해군[41]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50px
대장중장소장준장대령중령소령중위소위견습장교



계급 그룹상급 부사관하급 부사관
필리핀[42]
50px
50px
50px
50px
50px
colspan=2 rowspan=2|
50px
50px
상사 (Master chief petty officer)원사 (Senior chief petty officer)상사 (Chief petty officer)일등병조 (Petty officer, first class)이등병조 (Petty officer, second class)삼등병조 (Petty officer, third class)상병 (Seaman first class)일병 (Seaman second class)이병 (Apprentice seaman)


4. 1. 장교

wikitable

계급 그룹장군/기함 장교고급 장교저급 장교
필리핀 해군[41]
대장중장소장준장대령중령소령중위소위견습장교


4. 2. 부사관 및 병

계급 그룹상급 부사관하급 부사관
필리핀[42]colspan=2 rowspan=2|
상사 (Master chief petty officer)원사 (Senior chief petty officer)상사 (Chief petty officer)일등병조 (Petty officer, first class)이등병조 (Petty officer, second class)삼등병조 (Petty officer, third class)상병 (Seaman first class)일병 (Seaman second class)이병 (Apprentice seaman)


5. 장비 목록

필리핀 해군의 장비 목록은 필리핀 해군의 장비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필리핀 해군 퇴역 함정 목록 문서도 참고할 수 있다.

필리핀군 현대화법 문서도 참고할 수 있다.

필리핀 해군(PN)의 호위함 안토니오 루나(FF-151). 마닐라 남항에서 촬영된 사진


=== 함정 ===

필리핀 해군의 함정 명칭은 "BRP"(Barko ng Republika ng Pilipinas, 필리핀 공화국의 함선)라는 약자로 시작되며, 함정의 이름은 주요 인물이나 장소를 기리는 경우가 많다.[52][53] 필리핀 해군은 현재 90척의 전투함과 16척의 보조함을 운용하고 있다.

필리핀 해군의 ''미구엘 말바르'' 호위함(FF-06). HD 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에서 진수됨.

  • 호세 리잘급 호위함 2척[52]
  • 콘라도 얍급 초계함 1척 및 추가 도입 예정[53]
  • 자신토급 연안 초계함 3척


연안 전투함으로 호위함 2척, 코르벳 1척, 연안 순찰함 7척을 보유하고 있다. 근해 전투함으로는 미사일 고속정 10척, 고속 공격정 41척, 순찰정 4척을 보유하고 있다. 상륙 전투함으로는 상륙함(LPD) 2척, 상륙함(LST)/물류지원함 5척, 상륙정(LCU) 20척을 보유하고 있다. 지원함으로는 보조함 16척, 기타 함정 5척이 있다.

2021년 2월 9일, 8척+1척의 샬다그 Mk.V 함정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었다. 2023년에는 사이클론급 고속 공격 순찰 연안 함정 2척이 추가되었고, 2024년 9월 17일에는 이스라엘로부터 아세로급 FAIC(선체 8번 및 9번) 4차분 2척이 인도되었다.

=== 항공기 ===

필리핀 해군은 33대의 유인 항공기와 25대의 무인 항공기(UAV)를 보유하고 있다. 이 항공 자산들은 주로 해상 정찰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해군 작전을 위한 준비 및 제공을 담당한다. 해군 항공대의 본부는 카비테 시티의 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에 있다.

해군 항공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제32 해상 순찰 및 정찰 비행대대(비치크래프트 킹 에어 C-90)
  • 해군 항공대 MF-30(BN-2A 아일랜더)
  • 해군 항공대 MH-40(레오나르도 AW159 와일드캣, 어거스타웨스트랜드 AW109E 파워, MBB Bo 105C)
  • 제71 해상 무인 항공 정찰 비행대대(보잉 인시투 스캔이글)
  • 해군 항공학교 NATS-50(세스나 스카이호크 172M 및 로빈슨 R22 베타 II)


미 해군 ''그린 베이''함(LPD-20)에서 비행 작전 중인 필리핀 해군 AW109


필리핀 함대 방위 박람회(PFDX) 2023에서 촬영된 K745 블루 샤크 어뢰를 장착한 필리핀 해군(PN)의 AW159 와일드캣 헬리콥터

5. 1. 함정

필리핀 해군의 함정 명칭은 "BRP"(Barko ng Republika ng Pilipinas, 필리핀 공화국의 함선)라는 약자로 시작되며, 함정의 이름은 주요 인물이나 장소를 기리는 경우가 많다.[52][53] 필리핀 해군은 현재 90척의 전투함과 16척의 보조함을 운용하고 있다.

  • 호세 리잘급 호위함 2척[52]
  • 콘라도 얍급 초계함 1척 및 추가 도입 예정[53]
  • 자신토급 연안 초계함 3척


연안 전투함으로 호위함 2척, 코르벳 1척, 연안 순찰함 7척을 보유하고 있다. 근해 전투함으로는 미사일 고속정 10척, 고속 공격정 41척, 순찰정 4척을 보유하고 있다. 상륙 전투함으로는 상륙함(LPD) 2척, 상륙함(LST)/물류지원함 5척, 상륙정(LCU) 20척을 보유하고 있다. 지원함으로는 보조함 16척, 기타 함정 5척이 있다.

2021년 2월 9일, 8척+1척의 샬다그 Mk.V 함정에 대한 계약이 체결되었다. 2023년에는 사이클론급 고속 공격 순찰 연안 함정 2척이 추가되었고, 2024년 9월 17일에는 이스라엘로부터 아세로급 FAIC(선체 8번 및 9번) 4차분 2척이 인도되었다.

5. 2. 항공기

필리핀 해군은 33대의 유인 항공기와 25대의 무인 항공기(UAV)를 보유하고 있다. 이 항공 자산들은 주로 해상 정찰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해군 작전을 위한 준비 및 제공을 담당한다. 해군 항공대의 본부는 카비테 시티의 다닐로 아티엔자 공군 기지에 있다.

해군 항공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제32 해상 순찰 및 정찰 비행대대(비치크래프트 킹 에어 C-90)
  • 해군 항공대 MF-30(BN-2A 아일랜더)
  • 해군 항공대 MH-40(레오나르도 AW159 와일드캣, 어거스타웨스트랜드 AW109E 파워, MBB Bo 105C)
  • 제71 해상 무인 항공 정찰 비행대대(보잉 인시투 스캔이글)
  • 해군 항공학교 NATS-50(세스나 스카이호크 172M 및 로빈슨 R22 베타 II)


6. 기지

(카비테 해군 기지)카비테 시루손섬필리핀 함대 사령부카밀로 오시아스 해군 기지
(산 비센테 해군 기지)산타 아나, 카가얀주루손섬수빅 해군 기지수빅, 잠발레스주루손섬라파엘 라모스 해군 기지
(막탄 해군 기지)라푸라푸시비사야스해군 기지호세 안드라다 해군 기지
(산 안토니오 아바드 요새)마닐라NCR필리핀 해군 사령부.호세 프란시스코 해군 기지
(보니파시오 해군 기지)타구이그NCR일부는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로 개발됨헤라클레오 알라노 해군 기지
(상글리 포인트)카비테 시루손섬해군 항공 그룹 사령부파스쿠알 레데스마 해군 기지
(산 펠리페 요새)에르네스토 오그비나르 해군 기지
(포로 포인트 해군 기지)산 페르난도, 라우니온주루손섬북부 루손 해군 부대 사령부레오비길도 간티오키 해군 기지
(산 미구엘 해군 기지)산 안토니오, 잠발레스주루손섬해군 교육, 훈련 및 교리 사령부 사령부나르시소 델 로사리오 해군 기지
(발라박 해군 기지)팔라완주 발라박섬, 팔라완주루손섬에밀리오 리와낙 해군 기지
(파가사 해군 기지)칼라얀 제도, 팔라완주루손섬아폴리나리오 할란둔 해군 기지
(푸에르토 프린세사 해군 기지)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주루손섬칼리토 쿠나난 해군 기지
(울루간 해군 기지)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주루손섬줄하산 아라사인 해군 기지
(레가스피 해군 기지)레가스피, 알바이주루손섬남부 루손 해군 부대 사령부알폰소 팔렌시아 해군 기지
(기마라스 해군 기지)기마라스주비사야스디오스코로 파파 해군 기지
(탁로반 해군 기지)레이테주 탁로반, 레이테주비사야스펠릭스 아폴리나리오 해군 기지
(다바오 해군 기지)다바오시민다나오섬동부 민다나오 해군 부대 사령부로물로 에스팔돈 해군 기지
(잠보앙가 해군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서부 민다나오 해군 부대 사령부리오 혼도 해군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후안 마글루얀 해군 기지
(바투바투 해군 작전 기지)팡리마 수갈라, 타위타위주민다나오섬해병대 기지루디아르도 브라운 해병대 막사
(마닐라 해병대 기지)타구이그루손섬필리핀 해병대 사령부그레고리오 림 해병대 막사
(테르나테 해병대 기지)카비테주 테르나테루손섬해병대 기본 학교 캠퍼스 포함아르투로 아순시온 해병대 막사
(잠보앙가 해병대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도밍고 델루아나 해병대 막사
(타위타위 해병대 기지)타위타위주민다나오섬캠프 테오둘포 바우티스타 장군술루주 홀로민다나오섬


6. 1. 주요 해군 기지

(카비테 해군 기지)카비테 시루손섬필리핀 함대 사령부카밀로 오시아스 해군 기지
(산 비센테 해군 기지)산타 아나, 카가얀주루손섬수빅 해군 기지수빅, 잠발레스주루손섬라파엘 라모스 해군 기지
(막탄 해군 기지)라푸라푸시비사야스해군 기지호세 안드라다 해군 기지
(산 안토니오 아바드 요새)마닐라NCR필리핀 해군 사령부.호세 프란시스코 해군 기지
(보니파시오 해군 기지)타구이그NCR일부는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로 개발됨헤라클레오 알라노 해군 기지
(상글리 포인트)카비테 시루손섬해군 항공 그룹 사령부파스쿠알 레데스마 해군 기지
(산 펠리페 요새)에르네스토 오그비나르 해군 기지
(포로 포인트 해군 기지)산 페르난도, 라우니온주루손섬북부 루손 해군 부대 사령부레오비길도 간티오키 해군 기지
(산 미구엘 해군 기지)산 안토니오, 잠발레스주루손섬해군 교육, 훈련 및 교리 사령부 사령부나르시소 델 로사리오 해군 기지
(발라박 해군 기지)팔라완주 발라박섬, 팔라완주루손섬에밀리오 리와낙 해군 기지
(파가사 해군 기지)칼라얀 제도, 팔라완주루손섬아폴리나리오 할란둔 해군 기지
(푸에르토 프린세사 해군 기지)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주루손섬칼리토 쿠나난 해군 기지
(울루간 해군 기지)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주루손섬줄하산 아라사인 해군 기지
(레가스피 해군 기지)레가스피, 알바이주루손섬남부 루손 해군 부대 사령부알폰소 팔렌시아 해군 기지
(기마라스 해군 기지)기마라스주비사야스디오스코로 파파 해군 기지
(탁로반 해군 기지)레이테주 탁로반, 레이테주비사야스펠릭스 아폴리나리오 해군 기지
(다바오 해군 기지)다바오시민다나오섬동부 민다나오 해군 부대 사령부로물로 에스팔돈 해군 기지
(잠보앙가 해군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서부 민다나오 해군 부대 사령부리오 혼도 해군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후안 마글루얀 해군 기지
(바투바투 해군 작전 기지)팡리마 수갈라, 타위타위주민다나오섬해병대 기지루디아르도 브라운 해병대 막사
(마닐라 해병대 기지)타구이그루손섬필리핀 해병대 사령부그레고리오 림 해병대 막사
(테르나테 해병대 기지)카비테주 테르나테루손섬해병대 기본 학교 캠퍼스 포함아르투로 아순시온 해병대 막사
(잠보앙가 해병대 기지)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도밍고 델루아나 해병대 막사
(타위타위 해병대 기지)타위타위주민다나오섬캠프 테오둘포 바우티스타 장군술루주 홀로, 술루주민다나오섬


6. 2. 주요 해병대 기지

필리핀 해병대의 주요 기지는 다음과 같다.

명칭위치설명
루디아르도 브라운 해병대 막사
(마닐라 해병대 기지)
타구이그루손섬필리핀 해병대 사령부
그레고리오 림 해병대 막사
(테르나테 해병대 기지)
카비테주 테르나테루손섬해병대 기본 학교 캠퍼스 포함
아르투로 아순시온 해병대 막사
(잠보앙가 해병대 기지)
잠보앙가시민다나오섬
도밍고 델루아나 해병대 막사
(타위타위 해병대 기지)
타위타위주민다나오섬
캠프 테오둘포 바우티스타 장군술루주 홀로민다나오섬


참조

[1] 웹사이트 PGMA's Speech during the 105th Founding Anniversary of the Philippine Navy http://www.ops.gov.p[...] 2008-06-06
[2]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1 Routledge 2021-02-25
[3] 뉴스 Duterte orders PHL Navy: Blow pirates in Sulu Sea, Celebes Sea 'to kingdom come' https://www.gmanetwo[...] 2024-03-25
[4] 웹사이트 What is the Balangay? http://www.balangay-[...] Kaya ng Pinoy Inc. 2012-07-21
[5] 뉴스 Archeologists to resume excavation of remaining Balangay boats in Butuan http://www.pia.gov.p[...] 2012-05-28
[6] 문서 It was integrated to the Spanish Empire through pacts and treaties (c.1569) by Miguel López de Legazpi and his grandson Juan de Salcedo. During the time of their Hispanization, the principalities of the Confederation have already developed settlements with distinct social structures, cultures, customs, and religions.
[7] 논문 The Study of The Artistic Antiquities of Dutch India Harvard-Yenching Institute
[8] 웹사이트 Pailah is Pila, Laguna http://blog.bayangpi[...] 2006-11-29
[9]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bibingka.[...] 1996-10-26
[10] 서적 Decada terciera de Asia de Ioano de Barros dos feitos que os Portugueses fezarao no descubrimiento dos mares e terras de Oriente William Henry Scott
[11] 서적 A History of Singapore: 1819–1975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An Account of the East, from the Red Sea to Japan, Volume 2 https://books.google[...]
[13] 서적 The Travels of Mendes Pinto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
[14] 문서 Ibidem, page 195.
[15] 서적 Quest of the Dragon and Bird Clan; The Golden Age (Volume III)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hilippine Navy http://www.navy.mil.[...] Philippine Navy
[17] 웹사이트 THE PHILIPPINE NAVY http://www.dlsu.edu.[...] De La Salle University-Manila (ROTC)
[18] 서적 The War in the Pacific: Fall of the Philippines U.S. Government Printing House
[19]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Battle for Bataan, 1942 https://bataancampai[...] 2014-02-22
[20]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Philippine Navy http://www.navy.mil/[...]
[21] 뉴스 Lesson from '70s Jolo: War and martial law won't solve the problem http://www.rappler.c[...] 2017-05-08
[22] 뉴스 ARMM gov: Martial Law killings a 'painful part of our history as Moros' https://www.philstar[...] 2018-09-24
[23] 웹사이트 THAT WE MAY REMEMBER: February 7, 1974: The Jolo-caust https://www.mindanew[...] 2016-02-08
[24] 웹사이트 From Jolo to Marawi https://opinion.inqu[...] 2017-05-26
[25] 뉴스 PHILIPPINE SENATE VOTES TO REJECT U.S. BASE RENEWAL https://www.nytimes.[...] 1991-09-16
[26] 웹사이트 CLOSURE OF U.S. MILITARY BASES IN THE PHILIPPINES: IMPACT AND IMPLICATIONS http://apps.dtic.mil[...]
[27] 뉴스 A Game of Shark and Minnow https://www.nytimes.[...]
[28] 뉴스 Manila Sees China Threat On Coral Reef https://www.nytimes.[...] 1995-02-19
[29] 웹사이트 Flashback: The AFP's modernization plans in 1995 http://adroth.ph/fla[...] 2011-10-15
[30]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HILIPPINES https://2009-2017.st[...]
[31] 웹사이트 TIMELINE: The Philippines-China maritime dispute https://www.rappler.[...] 2016-07-12
[32] 뉴스 Philippines and China Ease Tensions in Rift at Sea https://www.nytimes.[...] 2012-06-18
[33] 뉴스 China to ramp up development on disputed island https://www.rappler.[...] 2012-11-11
[34] 웹사이트 The South China Sea Arbitration https://www.asil.org[...] 2016-11-18
[35] 뉴스 Philippines to get frigates, gunboats, helicopters as tension simmers https://www.reuters.[...] 2014-12-17
[36] 뉴스 China military planes land on PH reef http://globalnation.[...] 2018-04-17
[37] 뉴스 Philippine Navy decommissions two legacy corvettes, two fast attack craft https://www.janes.co[...] 2021-03-08
[38] 웹사이트 Philippine Navy website http://www.navy.mil.[...] Navy.mil.ph 2010-03-24
[39] Facebook Philippine Navy Naval Special Operations Command https://www.facebook[...]
[40] 웹사이트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Command http://www.netc-navy[...] netc-navy.edu.ph 2010-03-24
[41] 웹사이트 Philippine Navy Ranks https://navy.mil.ph/[...] 2024-09-01
[42] 웹사이트 Philippine Navy Ranks https://navy.mil.ph/[...] 2024-09-01
[43] 웹사이트 Philippines to buy two new South Korean warships for P28B https://www.philstar[...] 2021-12-28
[44] 웹사이트 Philippine Navy To Acquire 2nd Pohang-Class Corvette From South Korea https://www.navalnew[...] 2021-11-25
[45] 웹사이트 Gov’t allots P62-B for more 'choppers, offshore vessels https://www.pna.gov.[...] 2021-12-08
[46] 뉴스 US to transfer patrol boats, airplanes to Philippine military https://www.philstar[...] 2024-07-16
[47] 뉴스 4 US patrol boats to beef up PH Navy's defense capabilities https://www.pna.gov.[...] 2024-07-16
[48] 웹사이트 Missile boats to boost PH Navy's capability to defend key waters https://www.pna.gov.[...] 2021-05-15
[49] 웹사이트 U.S. To Transfer Cyclone-Class Patrol Ships To Philippine Navy https://www.navalnew[...] 2023-03-28
[50] 웹사이트 Navy to commission 2 US-donated vessels https://newsinfo.inq[...] 2023-08-02
[51] 뉴스 PH gets 2 more Israeli-made missile boats https://www.pna.gov.[...] Philippine News Agency 2024-09-23
[52] 뉴스 함체도 무기도 국산…최신예 군함 필리핀 수출 https://imnews.imbc.[...] 2020-05-22
[53] 뉴스 한국이 기증 필리핀 초계함, 6·25영웅 이름 붙여 재취역 https://www.donga.co[...] 2019-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