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저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저가는 1437년 루카스 벨저가 설립한 상사에서 시작된 독일의 상인 가문이다. 벨저 가문은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등과 무역을 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에 고리대금업을 하여 부를 축적했으며, 특히 리스본을 중심으로 외국 무역 특권을 획득했다. 1517년에는 야콥 벨저가 뉘른베르크에 회사를 설립하여 가문의 거점으로 삼았다. 벨저 가문은 베네수엘라 식민 계획을 추진했으나 실패하고, 슈말칼덴 전쟁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으며 쇠퇴했다. 주요 인물로는 필리피네 벨저, 마르쿠스 벨저 등이 있다. 벨저 가문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 무역에도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의 귀족 가문 - 푸거가
푸거가는 직물 거래로 시작해 광산 사업과 은행업으로 확장하며 유럽 왕족에게 자금을 대출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선출에 관여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독일의 상업 및 금융 가문으로, 푸게라이 건설과 예술 후원 등 사회적 기여를 했으나 왕실 채무 불이행과 가문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현재는 귀족으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 가문 - 벨프가
벨프가는 9세기 말 롬바르디아에서 시작하여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편에 서며 세력을 확장했고, 바이에른, 작센 등을 지배하며 하노버 선제후를 거쳐 영국 왕위를 계승하여 하노버 왕가를 열었으며, 현재까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가문이 그 혈통을 잇고 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 가문 - 잘리어가
잘리어 가문은 7세기에 등장하여 신성 로마 제국을 다스린 왕조로, 1024년 콘라트 2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면서 시작되었고 서임권 투쟁으로 인해 1125년 하인리히 5세의 사망으로 통치가 종료되었다.
벨저가 |
---|
2. 역사
벨저 가문은 13세기부터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공직을 맡으며 상인 가문으로 성장했다. 15세기에는 레반트 등과 광범위한 무역을 펼쳤고, 남부 독일, 이탈리아, 앤트워프, 런던, 리스본에 지점을 두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뉘른베르크와 오스트리아 대공국에 분가가 정착하여 뉘른베르크 춤 조례에 따라 내부 평의회에 대표되기도 했다.
1437년 루카스 벨저와 그의 동생들은 벨저 형제 상사를 설립했고, 루카스의 아들 안톤 벨저는 펠링 가문과 함께 벨저-펠링 상사를 설립했다. 이들은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등과 교역하고 합스부르크가에 고리대금을 제공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특히 리스본을 거점으로 1505년 동인도 항해에 자금을 지원하는 등 활발한 대외 무역을 전개했다.
1517년, 안톤 벨저의 동생 야콥 벨저는 뉘른베르크에 새 회사를 설립하여 상품 거래를 중심으로 19세기까지 가문을 이어갔다. 안톤 벨저 사후, 바르톨로메우스 벨저는 베네수엘라 식민 계획을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1532년 귀족이 된 후에는 합스부르크가와 부르봉 왕가 사이에서 등거리 외교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1546년 슈말칼덴 전쟁으로 인해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해 큰 타격을 입었다.
1519년 황제 선거에서 카를 5세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대가로, 벨저 가문은 1528년 마드리드 조약에서 아프리카 노예 무역과 아메리카 대륙 정복에 대한 특권을 얻었다. 같은 해 3월, 베네수엘라 지방을 할양받아 클라인 베네치아(''작은 베네치아'')를 개발하려 했으나, 탐욕적인 행위로 통치권을 빼앗겼다. 바르톨로메우스 벨저의 아들 바르톨로메우스 VI. 벨저는 필리프 폰 후텐과 함께 베네수엘라를 탐험했지만, 1546년 엘 토쿠요에서 처형되었다.
1528년부터 1556년까지 7차례의 원정을 통해 벨저 가문은 베네수엘라 해안에서 금을 찾고 원주민들을 노예로 삼는 등 약탈과 착취를 일삼았다. 그러나 이러한 식민지 건설은 향후 아메리카 대륙 내 무역으로 이어졌으며, 코로, 마라카이보, 보고타와 같은 도시 건설에 기여했다.
바르톨로메우스 벨저의 뒤를 이은 마르쿠스는 제국 화폐 주조 관리관을 역임하기도 했으나, 경영은 회복되지 못하고 1614년 그의 사망 다음 날 파산 선고를 받았다.
2. 1. 초기 역사 (13세기 ~ 15세기)
벨저 가문의 역사는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가문의 구성원들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공직을 맡았다. 이후 이 가문은 저명한 상인으로 널리 알려졌다.[4] 15세기에는 바르톨로뮤와 루카스 벨저 형제가 레반트 등과 광범위한 무역을 하면서 남부 독일과 이탈리아, 앤트워프, 런던, 리스본에도 지점을 두었다.[4] 15세기와 16세기에는 벨저 가문의 분가가 뉘른베르크와 오스트리아 대공국에 정착했으며, 이들은 뉘른베르크의 춤 조례에 의해 내부 평의회에 대표되었다.루카스 벨저의 아들 안토니(1518년 사망)는 바스쿠 다 가마가 발견한 동쪽으로 가는 해상 항로를 사용한 최초의 독일인 중 한 명이었다.[4]
2. 2. 전성기 (15세기 ~ 16세기)
1437년, 루카스 벨저(Lucas Welser)는 두 동생들과 벨저 형제 상사를 수립했다. 루카스의 아들 안톤 벨저(Anton Welser)는 아내의 가문인 펠링 가문과 함께 벨저-펠링 상사를 설립하였다. 벨저 가문은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등의 국가와 상품거래 및 합스부르크가에게 고리대금을 하여 막대한 부를 쌓았다. 특히 리스본을 중심으로 외국 무역 특권을 획득하여 1505년 동인도 항해에는 총액의 절반 이상을 벨저 가문에서 출자하였다.[4]1517년 안톤 벨저의 동생 야콥 벨저(Jacob Welser)는 뉘른베르크에 새 회사를 설립하고 새로운 가문의 거점으로 삼았다. 이는 상품거래의 주요업무를 위하여 19세기까지 존속하였다. 안톤 벨저가 죽은 이후, 바르톨로메우스 벨저(Bartholomeus V. Welser)는 베네수엘라 식민계획을 기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532년 귀족으로 일컬어졌을 때부터 고리대금업의 거점을 옮기고 합스부르크가와 프랑스 부르봉 왕가 사이에서 등거리외교를 펼치며 가문의 안녕을 보우하고자 하였으나 이마저도 잘되지 않았다. 또한 1546년 발발한 슈말칼덴 전쟁에서 각 참전국들에게 빌려준 대출금이 회수되지 않아 큰 타격을 입었다.[4]
2. 3. 아메리카 대륙 진출과 베네수엘라 식민지배 (16세기)
1519년 황제 선거에서 카를 5세는 벨저 가문으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1528년 마드리드 조약에서 카를 5세는 벨저 가문에게 아프리카 노예 무역과 아메리카 대륙 정복에 대한 특권을 부여했다. 1528년 3월, 벨저 가문은 베네수엘라 지방을 할양받았다.[5]바르톨로메우스 V. 벨저는 카를 5세에게 거액의 돈을 빌려주었고, 그 대가로 1528년 베네수엘라 주를 담보로 받아 클라인 베네치아(''작은 베네치아'')로 개발했다. 그러나 탐욕적인 행위로 인해 벨저 가문은 황제의 통치가 끝나기 전에 통치권을 빼앗겼다. 그의 아들 바르톨로메우스 VI. 벨저는 필리프 폰 후텐과 함께 베네수엘라를 탐험했으며, 1546년 엘 토쿠요에서 지역 스페인 총독 후안 데 카르바할에 의해 처형되었다.


1528년부터 1556년까지 7차례의 ''엔트라다스''(원정)를 통해 벨저 가문은 지역 문명을 약탈하고 착취했지만, 이러한 식민지 건설은 향후 아메리카 대륙 내 무역으로 이어졌다. 베네수엘라의 초대 총독이었던 암브로시우스 알핑거 (1529–1533), 니콜라스 페더만, 게오르크 폰 슈파이어는 베네수엘라 해안에서 금을 찾으려다 실패한 후 현지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포획하여 노예로 삼았다. 벨저 가문은 코로, 마라카이보, 보고타와 같은 도시 건설에 기여했다.[5]
2. 4. 쇠퇴 (16세기 ~ 17세기)
1517년, 안톤 벨저의 동생 야코프는 뉘른베르크에 신 회사를 설립하여 뉘른베르크의 벨저 가문을 열었는데, 이는 상품 거래를 주요 업무로 하여 19세기까지 존속했다.안톤의 사망 후, 1518년부터 바르톨로메우스가 이어받아, 베네수엘라 식민 계획(Provincia de Venezuela)을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1532년에 귀족 반열에 오른 시점부터 고리대금업에 중점을 두고, 합스부르크와 프랑스 부르봉 왕가 사이를 오가며 안정을 꾀했지만 실패했다. 슈말칼덴 전쟁 이후, 막대한 대여금이 회수 불가능해지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바르톨로메우스를 이은 마르쿠스는 한때 제국 화폐 주조 관리관에 취임했지만 경영은 회복되지 않았고, 1614년 그의 사망 다음 날 파산 선고를 받았다.
3. 주요 인물
4. 벨저 가문과 노예 무역
벨저 가문은 1523년 카리브해에서 노예 무역을 시작했는데, 이는 그들이 산토도밍고에서 자체적인 설탕 생산을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역사가 줄리아 로스에 따르면 "1532년, 벨저 가문은 울름 출신의 해외 대리인 세바스티안 렌츠를 통해 산후안데라 마구아나 부서에 있는 설탕 공장 산타 바르바라를 3427USD, 202 아로바의 설탕, 그리고 4명의 노예를 주고 매입했다."[5] 노예는 동물과 같은 범주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아프리카 노예 노동자에 대한 초기 비인간화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후 15년 동안 수천 명의 노예 아프리카인들이 아메리카로 수송되었다.
참조
[1]
서적
Welser
Duncker & Humblot, Leipzig
1896
[2]
간행물
Welser
1905
[3]
논문
"The Welser Phantom": Apparitions of the Welser Venezuela Colony in Nineteenth- and Twentieth-Century German Cultural Memory
https://cloudfront.e[...]
2018
[4]
간행물
Welser
[5]
서적
2017
[6]
웹사이트
Fugger und Welser Erlebnismuseum
https://www.fugger-u[...]
2024-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