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대공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대공국은 1156년 바이에른 공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된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주요 영토였다. 합스부르크 왕가는 혼인 정책과 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여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 등 유럽의 여러 지역을 지배했으며,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했다. 1521년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된 후, 오스트리아 대공국은 30년 전쟁,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등을 거치며 영토를 확장했다. 1740년 마리아 테레지아가 여대공이 된 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을 겪으며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 넘겨주었지만, 이후 폴란드 분할을 통해 영토를 넓혔다. 나폴레옹의 등장으로 오스트리아의 지위가 흔들리자, 1804년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황제를 칭하며 오스트리아 제국을 선포했다. 오스트리아 대공국은 도나우 분지에 위치했으며, 주변 국가들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성 로마 제국 - 자유제국도시
자유제국도시는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황제의 직접 통치를 받으며 독립적인 자치권을 가진 도시로, 재정적 지원, 특허장, 무력 등으로 자치권을 획득하여 제국 의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했으나 불평등한 지위였고, 내부적으로는 공화정 체제였으나 과두정치로 운영되며 계급 갈등이 잦았다. - 오스트리아의 역사적 지역 - 티롤 백국
티롤 백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며 분할되어 쥐트티롤은 이탈리아에, 오스트리아령 티롤은 독일계, 남티롤은 이탈리아계가 주를 이루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간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역사적 지역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은 1180년 슈타이어마르크 변경백국이 공작령으로 승격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를 거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후 분할되었다. - 오스트리아 관구 - 브라이스가우
브라이스가우는 독일의 지역으로 라인강 주변 평야, 슈바르츠발트 산기슭, 남부 슈바르츠발트 서쪽 사면, 카이저슈툴 언덕을 포함하며, 켈트족 거주 시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지니고 로마 제국, 알레마니아, 합스부르크 가문을 거쳐 바덴 대공국에 양도되었고, 포도주 생산으로 유명하며 프라이부르크가 주요 도시이고 샤우인슬란트 산이 대표적인 산이다. - 오스트리아 관구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은 1180년 슈타이어마르크 변경백국이 공작령으로 승격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를 거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후 분할되었다.
오스트리아 대공국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오스트리아 대공국 |
로마자 표기 | Archiducatus Austriae |
독일어 표기 | Erzherzogtum Österreich |
통칭 | 오스트리아 |
존속 기간 | 1453년–1804년 1867년–1918년 |
정치 체제 | 절대 군주제 |
소속 |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령 (1453년–1806년)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왕관령 (1526년부터) |
수도 | 빈 |
![]() | |
![]() | |
![]() | |
국가 모토 | A.E.I.O.U. ( 합스부르크 가문의 모토) "전 세계가 오스트리아에 종속된다" |
공용어 | 중부 바이에른어, 독일어, 르네상스 라틴어, 슬로베니아어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통화 | 컨벤션스탈러(1806년 이전) 오스트리아-헝가리 플로린(1867년–189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크라운(1892년–1918년) |
민족 | 오스트리아인 |
ISO 3166 코드 | 생략 |
주요 사건 | |
이전 사건 | 루돌프 4세 공작이 특권 대권을 위조함 |
이전 사건 날짜 | 1358/59년 |
시작 사건 | 프리드리히 3세 황제가 대공 칭호를 인정함 |
시작 날짜 | 1453년 1월 6일 |
사건 1 | 오스트리아 제국관구에 가입함 |
사건 1 날짜 | 1512년 |
사건 2 | 보름스 합의에 따라 페르디난트 1세가 섭정으로 임명됨 |
사건 2 날짜 | 1521년 4월 28일 |
사건 3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
사건 3 날짜 | 1740년–1748년 |
사건 4 | 오스트리아 제국 선포됨 |
사건 4 날짜 | 1804년 8월 11일 |
사건 5 | 신성 로마 제국 해체됨 |
사건 5 날짜 | 1806년 8월 6일 |
사건 6 |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
사건 6 날짜 | 1867년 8월 30일 |
사건 7 | 군주제 폐지 |
사건 7 날짜 | 1918년 11월 18일 |
이전 국가 | 오스트리아 공국 |
후속 국가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역대 지도자 | |
초대 대공 | 라디슬라우스 포스투무스 |
초대 대공 재임 기간 | 1453년–1457년 |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 | 프란츠 2세 |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 재임 기간 | 1792년–1806년 |
마지막 대공 | 카를 1세 |
마지막 대공 재임 기간 | 1916년–1918년 |
지도자 직함 | 대공 |
참고 | "오스트리아 대공" 칭호는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 통치자의 공식 명칭의 일부로 남아 있었음 |
2. 역사
1156년 바이에른 공국에서 분리되어 신성 로마 제국령으로 설립된 오스트리아 대공국은 바벤베르크 가문의 공작들이 1192년 이웃한 슈티리아 공국을 얻으면서 성장했다.[8] 1246년 바벤베르크 가문의 남계가 단절되고 보헤미아 국왕 오토카르 2세가 25년간 통치한 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루돌프 1세가 1278년 마르히펠트 전투에서 오토카르 2세를 패배시키고, 1282년 그의 아들들인 알브레히트 1세와 루돌프 2세에게 두 공국을 모두 봉토로 주었다.
이후 합스부르크 왕가는 혼인 정책을 통해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을 합병하고,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남부까지 다스리게 되었으며,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했다. 그러나 1521년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되었다.
1683년 헝가리 왕국 전성기 때의 영토를 회복했으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해외 진출을 포기하고 네덜란드 남부와 사르데냐를 얻었다. 이후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으로 사보이아 공국에게 사르데냐 섬을 주고 시칠리아를 얻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결과 파르마를 얻었으나, 이 지역은 에스파냐계 부르봉 왕가 방계에게 양도되었다.
카를 6세는 아들이 없어 딸에게도 상속을 가능하게 하는 국사조칙을 발표했으나,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의 사후 오스트리아 여대공, 헝가리 여왕, 보헤미아 여왕, 파르마 여공 등이 되려 하자, 프랑스, 바이에른, 프로이센 등이 이의를 제기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 결국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게 내주는 대신 합스부르크의 나머지 모든 영지를 상속받았다.
나폴레옹이 프랑스 통치자가 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위가 흔들리자, 프란츠 2세는 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선포하고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를 자칭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공식적으로 해체되면서 오스트리아 대공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재편되었다.
'''오스트리아 대공국 주요 사건'''
연도 | 사건 |
---|---|
1359년 | 루돌프 4세가 오스트리아 대공을 자칭 |
1438년 | 알브레히트 2세(오스트리아 영주로서는 알브레히트 5세)가 로마 왕에 즉위,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 |
1457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오스트리아 영주로서는 프리드리히 5세)가 오스트리아 대공 칭호를 제국법으로 공식화 |
1526년 |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 러요시 2세 전사. 페르디난트 1세 황제가 왕위를 획득, 헝가리 북부 및 서부 지배 |
1529년 | 제1차 빈 포위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 격퇴 |
1555년 |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
1618년 | 30년 전쟁 발발. 로마 가톨릭 세력으로 참전 |
1648년 |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보헤미아 탈환 |
1683년 | 제2차 빈 포위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 격퇴. 후퇴하는 오스만 제국군 추격, 대튀르크 전쟁 시작 |
1699년 |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헝가리 동부 및 남부, 트란실바니아 공국, 슬라보니아 획득 |
1701년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발발. 레오폴트 1세가 아들 카를(이후 카를 6세)을 왕위 계승자로 세우고 프랑스 부르봉 왕가와 스페인 왕위를 놓고 다툼 |
1714년 | 라슈타트 조약 체결, 남네덜란드 등 획득 |
1716년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에 승리, 서왈라키아, 북세르비아 및 북보스니아 획득 |
1740년 |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 즉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발발, 실레시아 상실 |
1756년 | 7년 전쟁 발발 |
1763년 |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 체결, 프로이센의 실레시아 지배 확정 |
1772년 | 제1차 폴란드 분할로 갈리치아 획득 |
1795년 |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크라쿠프 획득 |
1804년 |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황제 칭함(오스트리아 제국 성립) |
2. 1. 기원과 발전
합스부르크 왕가는 혼인정책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을 합병하였으며,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남부까지 다스리게 되었고,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하기에 이른다. 1246년 남계가 단절되고 보헤미아 국왕 오토카르 2세가 25년간 통치한 후, 합스부르크 왕 루돌프 1세가 마르히펠트 전투(1278년)에서 오토카르를 패배시키고[8] 1282년 그의 아들들인 알브레히트 1세와 루돌프 2세에게 두 공국을 모두 봉토로 주었다.1359년, 루돌프 4세가 오스트리아 대공을 자칭했다. 1438년, 알브레히트 2세가 로마 왕에 즉위하고,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했다. 145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오스트리아 대공의 칭호를 제국법으로 공식화했다.
2. 2.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합스부르크 왕가는 혼인 정책을 통해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을 합병하였으며,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남부까지 다스리게 되었다.[10]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하기에 이르렀다.[8] 그러나 1521년에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되었다.1683년에는 헝가리 왕국 전성기 때의 영토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해외 진출을 포기하였고, 네덜란드 남부와 사르데냐를 얻었다. 이후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으로 사보이아 공국에게 사르데냐 섬을 주고 시칠리아를 얻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파르마를 얻고, 이 지역은 에스파냐계 부르봉 왕가의 방계에게 양도하였다.
그러나 아들이 없던 카를 6세는 딸에게도 상속을 가능하게 하는 국사조칙을 발표했지만,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의 사후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헝가리 여왕, 보헤미아의 여왕, 파르마의 여공 등이 되려 하자, 프랑스와 바이에른, 프로이센 등이 이의를 제기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 결국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게 내주는 대신 이를 제외한 합스부르크의 모든 영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나폴레옹이 프랑스의 통치자가 되면서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이에 프랑스에 대항하던 여러 국가들이 프란츠 2세를 오스트리아 황제로 추대하자, 오스트리아 제국이 선포되었다.
1453년 주현절에 프리드리히 3세 황제는 미성년인 알브레히트 가문의 사촌인 라디슬라우스의 섭정으로서 마침내 대공 작위를 인정했다. 그 후 이 작위는 모든 합스부르크 황제와 통치자뿐만 아니라 비통치 왕족들에게도 수여되었지만, 여전히 황제 선거에서 투표권은 없었다.
프리드리히는 1477년 그의 아들인 대공 막시밀리안 1세와 부르고뉴 공국의 상속녀인 마리의 결혼을 주선함으로써 합스부르크 왕가의 유럽적 위상을 더욱 높였다. 1496년 막시밀리안의 아들인 펠리페 1세가 카스티야와 아라곤의 여왕인 후아나와 결혼한 후, 그의 아들인 카를 5세는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상속받게 되었다.[10]
그러나 카를의 동생인 페르디난트 1세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여 1521년 보름스 제국회의에서의 영지 분할에 따라 오스트리아 대공이 되었다. 그는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인접한 내부 오스트리아 지역인 슈티리아 공국, 카린티아 공국, 크라인 공국, 고리치아 백국의 섭정이 되었다. 페르디난트는 안나 공주와의 결혼을 통해 1526년 두 왕국을 상속받았다. 1531년부터 로마 왕이기도 했던 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분가(1780년부터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의 시조가 되었으며, 오스트리아 대공이자 보헤미아의 왕으로서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신성 로마 황제로 통치했다.[7]
'''합스부르크 가문 통치 시기 주요 사건'''
연도 | 사건 |
---|---|
1359년 | 루돌프 4세가 오스트리아 대공을 자칭 |
1438년 | 알브레히트 2세가 로마 왕에 즉위,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 |
1457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가 오스트리아 대공 칭호를 제국법으로 공식화 |
1526년 |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 러요시 2세 전사, 페르디난트 1세가 왕위를 획득하고 헝가리 북부 및 서부 지배 |
1529년 | 제1차 빈 포위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격퇴 |
1555년 |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
1618년 | 30년 전쟁 발발, 로마 가톨릭 세력으로 참전 |
1648년 |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보헤미아 탈환 |
1683년 | 제2차 빈 포위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격퇴, 대튀르크 전쟁 시작 |
1699년 |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헝가리 동부 및 남부, 트란실바니아 공국, 슬라보니아 획득 |
1701년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발발, 레오폴트 1세가 아들 카를(이후 카를 6세)을 왕위 계승자로 세우고 프랑스의 부르봉 왕가와 스페인 왕위를 놓고 다툼 |
1714년 | 라슈타트 조약 체결, 남 네덜란드 등 획득 |
1716년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1716년~1718년)에서 오스만 제국에 승리, 서왈라키아, 북세르비아 및 북보스니아 획득 |
1740년 | 마리아 테레지아가 여대공이 됨,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발발, 실레시아 상실 |
1756년 | 7년 전쟁 발발 |
1763년 |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 체결, 프로이센의 실레시아 지배 확정 |
1772년 | 제1차 폴란드 분할로 갈리치아 획득 |
1795년 |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크라쿠프 획득 |
1804년 | 프란츠 2세가 오스트리아 황제를 칭함 (오스트리아 제국 성립) |
2. 3. 근세 시대의 도전과 변화
합스부르크 왕가는 혼인 정책으로 부르고뉴 공국 대부분을 합병하고,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남부까지 다스렸으며,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했다. 그러나 1521년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되었다. 1683년에는 헝가리 왕국 전성기 때의 영토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해외 진출을 포기하고, 네덜란드 남부와 사르데냐를 얻었다. 이후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으로 사보이아 공국에게 사르데냐 섬을 주고 시칠리아를 얻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결과 파르마를 얻고, 이 지역은 에스파냐계 부르봉 방계에게 양도하였다. 카를 6세는 아들이 없어 딸에게도 상속을 가능하게 하는 국사조칙을 발표했지만,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의 사후 오스트리아 여대공, 헝가리 여왕, 보헤미아 여왕, 파르마 여공 등이 되려 하자, 프랑스와 바이에른, 프로이센 등이 이의를 제기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 결국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 내주는 대신 이를 제외한 합스부르크의 모든 영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프랑스 통치자가 되면서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이에 프랑스에 대항하던 여러 국가들이 프란츠 2세를 오스트리아 황제로 추대하자, 오스트리아 제국이 선포되었다.[8]연도 | 사건 |
---|---|
1438년 | 알브레히트 2세(오스트리아 영주로서는 알브레히트 5세)가 로마 왕에 즉위,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자리를 세습. |
1457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오스트리아 영주로서는 프리드리히 5세)가 오스트리아 대공 칭호를 제국법으로 공식화. |
1526년 |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 러요시 2세 전사. 페르디난트 1세 황제가 왕위를 획득, 헝가리 북부 및 서부 지배. |
1529년 | 제1차 빈 포위 공격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 격퇴. |
1555년 |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
1618년 | 30년 전쟁 발발. 로마 가톨릭 세력으로 참전. |
1648년 |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보헤미아 탈환. |
1683년 | 제2차 빈 포위 공격에서 오스만 제국의 공격 격퇴. 후퇴하는 오스만 제국군 추격, 대튀르크 전쟁 시작. |
1699년 |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헝가리 동부 및 남부, 트란실바니아 공국, 슬라보니아 획득. |
1701년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발발. 레오폴트 1세가 아들 카를(이후 카를 6세)을 왕위 계승자로 세우고 프랑스 부르봉 왕가와 스페인 왕위를 놓고 다툼. |
1714년 | 라슈타트 조약 체결, 남네덜란드 등 획득. |
1716년 |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에 승리, 서왈라키아, 북세르비아 및 북보스니아 획득. |
1740년 | 마리아 테레지아 여대공 즉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발발, 실레시아 상실. |
1756년 | 7년 전쟁 발발. |
1763년 |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 체결, 프로이센의 실레시아 지배 확정. |
1772년 | 제1차 폴란드 분할로 갈리치아 획득. |
1795년 | 제3차 폴란드 분할로 크라쿠프 획득. |
1804년 |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황제 칭함(오스트리아 제국 성립). |
2. 4. 오스트리아 제국으로의 전환
합스부르크 가문은 혼인 정책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대부분을 합병하였고, 헝가리, 보헤미아, 스페인과 이탈리아 남부까지 다스리게 되었으며, 1452년부터는 신성 로마 황제를 독점하기에 이르렀다.[8] 1521년에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할되었다. 1683년에는 헝가리 왕국 전성기 때의 영토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전쟁에서 해외 진출을 포기하였고, 네덜란드 남부와 사르데냐를 얻었다. 이후 사르데냐-시칠리아 교환으로 사보이아 공국에게 사르데냐 섬을 주고, 시칠리아를 얻었다.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파르마를 얻고, 이 지역은 에스파냐계 부르봉의 방계에게 양도하였다. 그러나 아들이 없던 카를 6세는 딸에게도 상속을 가능하게 하는 국사조칙을 발표하지만,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의 사후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헝가리 여왕, 보헤미아의 여왕, 파르마의 여공 등이 되려 하자, 프랑스와 바이에른, 프로이센등이 이의를 제기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지만, 결국 슐레지엔을 프로이센에게 내주는 대신 이를 제외한 합스부르크의 모든 영지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나폴레옹이 프랑스의 통치자가 되면서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프랑스에 대항하던 여러 국가들이 프란츠 2세를 오스트리아 황제로 추대하자, 오스트리아 제국이 선포되었다.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황제를 자칭하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를 자칭했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공식적으로 해체되고, 영토는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재편되었다.
3. 지리
서쪽으로는 오스트리아 상부 지역이 바이에른 공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인접한 인크바르텔 지역은 1778년 바이에른 계승 전쟁 중 오스트리아군에 점령되어 체신 평화 조약에 따라 대공령에 편입될 때까지 바이에른 공작의 영토였다. 1803년 독일 중재령 과정에서 오스트리아 대공은 잘츠부르크 선제후령과 베르히테스가덴 수도원장령에 대한 통치권도 획득했다.[7]
4.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Wappenrolle Österreich-Ungarns
(Unspecified, likely self-published based on context)
[2]
서적
Die Habsburger : Dynastie und Kaiserreiche
Beck
[3]
문서
Mottos of the Habsburg Empire
[4]
서적
A Compendious History of the House of Austria, and the German Empire, etc
https://books.google[...]
H. Serjeant
[5]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Habsburg Empir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he House of Austria – the Habsburgs and the Empire
http://www.habsburge[...]
Habsburger Net
2020-05-17
[7]
서적
History of all nations, from the earliest periods to the present time; or, Universal History: in which the history of every nation, ancient and modern, is separately given
https://books.google[...]
[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9]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7-22
[10]
서적
The Habsburg Empire: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4-25
[11]
서적
Die Habsburger : Dynastie und Kaiserreiche
Beck
[12]
문서
Mottos of the Habsburg Empire
[13]
서적
A Compendious History of the House of Austria, and the German Empire, etc
https://books.google[...]
H. Serjeant
[14]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Habsburg Empir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The House of Austria – the Habsburgs and the Empire
http://www.habsburge[...]
Habsburger Net
2020-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