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난트 1세는 1503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564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다. 그는 형인 카를 5세로부터 오스트리아 통치권을 넘겨받았으며, 1556년 황제에 즉위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통해 루터교와 가톨릭교의 공존을 규정했다.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오스만 제국과 대립했고,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절대 군주제를 강화했다. 예술 후원자로서 빈과 프라하를 발전시켰으며, 15명의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1527년 헝가리 전역
    1527년 헝가리 전역은 모하치 전투 이후 루이 2세 사망으로 헝가리 왕위 계승을 놓고 페르디난트 1세와 서포여이 야노시가 쟁탈전을 벌이면서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 트란실바니아로 분열된 사건이다.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세상이 망할지라도 정의를 행하라
    세상이 망할지라도 정의를 행하라는 정의를 옹호하는 격언으로, 다양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나타나 사회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관련 논쟁이 존재한다.
  • 16세기 신성 로마 황제 - 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으로서, 부르고뉴 공국과의 결혼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을 넓혔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16세기 신성 로마 황제 - 막시밀리안 2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2세는 16세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종교적 관용 정책과 예술 장려를 통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갈등 완화를 시도했으나 외교적 한계도 드러냈다.
  • 오스트리아의 역사 - 프란츠 요제프 1세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48년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여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절대주의 통치를 강화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역사 - 페르디난트 1세 (오스트리아)
    페르디난트 1세는 179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1835년 황위에 올랐으나, 간질 발작으로 인해 국무협의회에 의해 실질적인 통치가 이루어졌고, 1848년 퇴위 후 프라하에서 사망한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이다.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페르디난트 1세
원어 이름Ferdinand I
출생일1503년 3월 10일
출생지카스티야 연합왕국 알칼라데에나레스
사망일1564년 7월 25일
사망지오스트리아 대공국
매장지성 비투스 대성당
종교가톨릭교회
서명
통치
신성 로마 황제재위: 1556년 8월 27일 – 1564년 7월 25일
대관식: 1558년 3월 14일, 프랑크푸르트
선임자: 카를 5세
후임자: 막시밀리안 2세
로마인의 왕재위: 1531년 1월 5일 – 1564년 7월 25일
선임자: 카를 5세
후임자: 막시밀리안 2세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 왕대관식: 1527년 11월 3일 (헝가리 왕국), 1527년 2월 24일 (보헤미아 왕국)
재위: 1526년 – 1564년 7월 25일
선임자: 러요시 2세
후임자: 막시밀리안 2세
오스트리아 대공재위: 1521년 4월 21일 – 1564년 7월 25일
선임자: 카를 1세
후임자:
오스트리아 본토: 막시밀리안 2세
내오스트리아: 카를 2세
전오스트리아: 페르디난트 2세
가문
왕가합스부르크가
아버지필리프 미남왕
어머니카스티야 여왕 후아나
결혼 및 자녀
배우자안나 야기에워 (1521년 5월 26일 결혼, 1547년 1월 27일 사망)
자녀엘리자베트, 폴란드 왕비
막시밀리안 2세
안나, 바이에른 공작비
페르디난트 2세, 오스트리아 대공
마리아, 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부인
막달레나
카타리나, 폴란드 왕비
엘레오노레, 만토바 공작부인
마르가레테
요한 대공
바르바라, 페라라 공작부인
카를 2세, 오스트리아 대공
우르술라 대공녀
헬레나 대공녀
요한나, 토스카나 대공비
기타
모토Fiat iustitia, et pereat mundus (정의가 실현되게 하라, 세상이 멸망할지라도)

2. 생애

페르디난트는 1503년 알칼라데에나레스에서 카스티야의 필리프 1세와 카스티야의 후아나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외조부인 아라곤의 페르디난트 2세와 같은 이름, 생일, 문화를 공유했으며, 외조부의 총애를 받았다.[11] 1506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외조부 페르디난트 2세가 왕자의 후견인이 되었다. 그는 왕실에서 자라며 문학, 과학, 언어 교육을 받았고, 성장하여 예술과 학자들을 후원하는 군주가 되었다. 다만, 젊은 성인이 될 때까지 독일어를 배우지 못했다.[11]

1518년 여름, 페르디난트는 형인 카를이 카스티야의 새 국왕으로 임명된 후 플랑드르로 파견되었다. 1519년 외조부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하고 형 카를 5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자, 페르디난트는 오스트리아 세습 영토의 통치를 맡았다. 그는 1521년부터 1564년까지 오스트리아 대공이었다. 그는 형을 지지했지만, 자신의 영토를 강화하기도 했다. 그는 삶의 후반기에 독일어와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독일 영주들과 가까워졌다.

1515년 비엔나 제1회의에서 결정된 조건에 따라, 1521년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 블라디슬라프의 딸인 안나 야기에우온과 결혼했다. 헝가리와 보헤미아는 모두 선거 군주제였으며,[14] 의회는 국왕을 결정할 주권을 가지고 있었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매제인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 의회에 왕위 선거 후보로 참여할 것을 신청했다. 1526년 10월 24일,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를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했다.

헝가리 왕위는 페르디난트와 잔 야폴야 사이의 왕조 분쟁 대상이었다. 1526년 12월 17일 포조니에서 열린 의회에서 페르디난트는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되었다.[15] 1527년 11월 3일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크로아티아 귀족들은 1527년 체틴 선거에서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받아들였다.[16]

페르디난트는 1527년 타르칼 전투와 1528년 시나 전투에서 야폴야를 격파했다. 야폴야는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에게 지원을 요청하여 헝가리를 오스만 제국의 속국으로 만들었다. 1529년 술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지원하여 페르디난트의 수도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비엔나 공방전). 1532년 또 다른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격퇴되었다. 그해 페르디난트는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맺어 헝가리를 서쪽의 합스부르크 지역(왕립 헝가리)과 동쪽의 잔 야폴야의 영토(동부 헝가리 왕국)로 분할했다.

1538년 나지바라드 조약에서 페르디난트는 자녀가 없는 야폴야를 설득하여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하게 했다. 그러나 1540년 야폴야가 사망하기 직전 아들 2세 요한 지그문트를 낳았고, 그는 즉시 의회에 의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페르디난트는 헝가리를 침공했지만, 술레이만 1세는 페르디난트를 헝가리 중부에서 몰아냈다. 이후 헝가리 전쟁이 계속되었다.

1531년 페르디난트는 로마 왕으로 선출되어 제국에서 카를 5세의 지정된 상속자가 되었다. 카를 5세는 1556년 퇴위했고, 페르디난트는 1558년 국회의 비준을 받아 "황제 선출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3]

1547년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을 진압한 후 그는 보헤미아 도시의 특권을 제한하고 도시 당국을 통제하기 위해 새로운 관료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보복했다. 페르디난트는 반종교개혁을 지지했고, 1551년 예수회으로, 1556년에는 프라하로 초청했다. 1561년 페르디난트는 프라하 대교구를 부활시켰다.

1564년 페르디난트는 에서 사망하여 프라하성 비투스 대성당에 묻혔다.

2. 1. 어린 시절

1503년 3월 10일 알칼라데에나레스(오늘날의 스페인 마드리드주)에서 태어났다. 1506년 9월 24일 아버지 펠리페 1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어머니 후아나마저 정신 불안으로 인해 외조부이자 아라곤 국왕 페란도 2세 밑에서 자랐다. 페르난도 2세와 생일이 같은데다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많은 귀여움을 받았다.[71]

플랑드르에서 성장한 친형 카를 5세와 달리 스페인에서 성장기를 보냈기 때문에 외국인과 다름없는 형을 제치고 외조부를 비롯한 스페인의 귀족들이 그를 후계자로 생각하기도 했다. 그러나 1516년 페르난도 2세가 서거하면서 1517년 9월 친형 카를이 카를로스 1세로 스페인 국왕에 즉위하게 된다. 카를 측의 견제와 압박으로 인해 1518년 여름에 플랑드르에 있는 메헬렌 궁으로 거처를 옮겼다.[71] 플랑드르는 고모 마르가레테가 통치하고 있었으며 그곳에서 생활하며 프랑스어를 익혔다.

그의 어린 시절에는 음악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유아였을 때, 외할머니인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는 신생아를 돌보는 24명의 하인 중 4명이 음악가여야 한다고 명령했다. 1505년 이사벨라가 사망한 후, 페르디난트 2세는 어린 페르디난트를 위해 62명의 하인과 개인 음악 예배당을 갖춘 가정을 설립했다.[11]

2. 2. 오스트리아 통치

1520년 10월, 형 카를 5세가 황제가 되자 페르디난트는 오스트리아의 통치권과 독일 그리고 뷔르템부르크 섭정직을 넘겨받은 후 1521년 오스트리아의 비엔나로 부임하였다.[1] 외국인 출신의 대공에 대하여 토착 귀족들이 불만을 품고 비엔나 의회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1522년 7월, 이를 진압하고 숙청을 단행하였다.[1] 페르디난트는 형 카를 5세의 대리인이자 협조자로 독일 전체를 다스렸으며 이후 30년간 형을 대신해 제국회의에 참석하기도 하였다.[1]

1519년 외조부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하고 형 카를 5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자, 페르디난트는 오스트리아의 세습 영토(대략 오늘날의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의 통치를 맡았다.[1] 그는 1521년부터 1564년까지 오스트리아 대공이었다.[1] 그는 형을 지지했지만, 자신의 영토를 강화하기도 했다.[1] 그는 삶의 후반기에 독일어와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독일 영주들과 가까워졌다.[1]

2. 3.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 계승

1526년 오스만 제국의 슐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침공하였다.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이었던 처남 라요슈 2세가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자, 페르디난트 1세는 즉각 자신의 아내인 안나가 라요슈 2세의 누나임을 강조하며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였고 보헤미아의 왕이 되었다.[1] 헝가리와 보헤미아는 모두 선거 군주제였으며,[14] 의회는 국왕을 결정할 주권을 가지고 있었다. 1526년 10월 24일,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를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했다. 하지만 의회가 페르디난트를 왕국의 세습 영주로 인정하지 않아 성공은 부분적이었다.

페르디난트는 1527년에 세틴 성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귀족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크로아티아의 국왕이 되었다.[16] 세틴 의회에서 페르디난트는 크로아티아를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지키고 헝가리 왕국과 통합하면서 크로아티아 인들의 역사적인 권리, 자유, 법, 풍습을 존중할 것을 약속했다.[2]

헝가리 왕위는 페르디난트와 잔 야폴야 사이의 왕조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 그들은 헝가리 왕국의 귀족들의 서로 다른 파벌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페르디난트는 그의 형제인 카를 5세의 지지도 받았다. 1526년 12월 17일 포조니(슬로바키아어로는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의회에서 상류 귀족과 헝가리 가톨릭 성직자들에 의해 헝가리,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등의 국왕으로 선출되었다.[15] 따라서 페르디난트는 1527년 11월 3일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2. 4.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1526년 8월 29일 모하치 전투에서 매제인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페르디난트는 즉시 헝가리와 보헤미아 의회에 왕위 선거 후보로 참여할 것을 신청했다.[1] 1526년 10월 24일,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를 보헤미아 국왕으로 선출했지만, 의회가 페르디난트를 왕국의 세습 영주로 인정하지 않아 부분적인 성공에 그쳤다.[14]

헝가리 왕위는 페르디난트와 잔 야폴야 사이의 왕조 분쟁 대상이었다. 이들은 헝가리 왕국 귀족들의 서로 다른 파벌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페르디난트는 그의 형제인 카를 5세의 지지도 받았다.[15]

1526년 11월 10일, 잔 야폴야는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열린 의회에서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페르디난트는 1526년 12월 17일 포조니(슬로바키아어로는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의회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되었다.[15] 1527년 11월 3일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크로아티아 귀족들은 1527년 체틴 선거에서 페르디난트 1세를 국왕으로 받아들이고 그와 그의 상속자에게 왕위 계승을 확인했다.[16] 왕위에 대한 대가로 페르디난트 국왕은 오스만의 침략으로부터 크로아티아를 방어할 것을 약속했다.[2]

페르디난트는 1527년 9월 타르칼 전투와 1528년 3월 시나 전투에서 야폴야를 격파했다. 야폴야는 술레이만 1세에게 지원을 요청하여 헝가리를 오스만 제국의 속국으로 만들었다.

1529년 술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지원하여 페르디난트의 수도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페르디난트는 비엔나 공방전 당시 보헤미아로 피신해야 했다. 1532년 또 다른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격퇴되었다(귄츠 공방전 참조). 그해 페르디난트는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맺어 헝가리를 서쪽의 합스부르크 지역(왕립 헝가리)과 동쪽의 잔 야폴야의 영토(동부 헝가리 왕국)로 분할했다. 동부 헝가리 왕국은 사실상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었다.

1538년 나지바라드 조약에서 페르디난트는 자녀가 없는 야폴야를 설득하여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하게 했다. 그러나 1540년 야폴야가 사망하기 직전 아들 2세 요한 지그문트를 낳았고, 그는 즉시 의회에 의해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페르디난트는 헝가리를 침공했지만, 섭정인 바라드 주교 조르주 마르티누치는 오스만 제국의 보호를 요청했다. 술레이만 1세는 헝가리로 진군했고(부다 공방전 (1541) 참조) 페르디난트를 헝가리 중부에서 몰아냈을 뿐만 아니라, 서부 헝가리 토지에 대한 조공을 지불하도록 강요했다.[20]

헝가리 전쟁은 계속되었다.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에서 오스만 제국을 몰아낼 수 없었다. 1554년 페르디난트는 오지에르 기젤랭 드 부스벡을 콘스탄티노플로 파견하여 술레이만 1세와 국경 조약을 논의했지만 아무것도 이룰 수 없었다. 1556년 의회는 2세 요한 지그문트를 동부 헝가리 왕위에 복귀시켰고, 그는 1570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부스벡은 1556년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와 두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

합스부르크 군주들의 오스트리아 지파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위해 헝가리의 경제력이 필요했다.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중에 이전 헝가리 왕국의 영토는 약 70% 감소했다. 이러한 엄청난 영토적 및 인구 통계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심하게 전쟁으로 황폐화된 작은 왕립 헝가리는 16세기 말에도 오스트리아나 보헤미아 왕국보다 합스부르크 통치자들에게 경제적으로 더 중요했다.[22] 페르디난트의 모든 국가 중에서 고갈된 헝가리 왕국이 당시 그의 가장 큰 수입원이었다.[23]

2. 5. 황제 즉위

카를 5세는 자신의 장남인 펠리페 2세를 차기 황제로 내세우려 했으나, 선제후들이 모두 이를 거부했다.[1] 이 사건으로 카를 5세는 제후들의 신뢰를 잃었고, 페르디난트는 제국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주도하였고, 1556년 카를 5세가 은퇴하며 황제에 즉위하였다.[1]

페르디난트는 헝가리의 루이 2세가 사망한 후, 보헤미아와 헝가리 (1526년–1564년)의 왕으로 통치했다.[1][12] 또한 형이 자리를 비웠을 때 신성 로마 제국에서 형의 대리인 역할을 했으며, 1531년 선출되어 로마 왕이 되었고, 제국에서 카를의 지정된 상속자가 되었다. 카를은 1556년 퇴위했고, 페르디난트는 1558년 국회의 비준을 받아 "황제 선출자"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13]

1550년대 페르디난트는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몇몇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알브레히트 알키비아데스에 맞서 싸워 그의 패배에 기여했는데,[25] 이러한 패배와 그의 독일적인 방식은 프로테스탄트 제후들 사이에서 페르디난트를 황제보다 더 인기 있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그는 제국 내 종교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카를 5세는 수십 년간의 독일 여러 주들의 종교 및 정치적 불안정 끝에 종교 문제와 그 해결책을 논의하는 아우크스부르크 회의를 소집했다. 카를 5세는 직접 참석하지 않고, 페르디난트에게 영토, 종교 및 지역 권력 분쟁을 "처리하고 해결"할 권한을 위임했다.[26]

1556년 8월, 카를 5세는 페르디난트에게 황제 자리를 양위했다. 1521년 합의와 1531년 선거를 감안하여 페르디난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이 되었다. 오랜 논쟁과 관료적 절차 때문에 국회는 1558년 5월 3일까지 황위 계승을 인정하지 않았다. 교황은 1559년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 사이에 평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페르디난트를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트리엔트 공의회가 끝났다. 페르디난트는 1562년 황제 선거를 통해 아들 막시밀리안 2세의 계승을 확보했다.

2. 6. 보헤미아 통치 강화

1520년대 페르디난트가 보헤미아 왕국령을 장악했을 당시 종교 상황은 복잡했다. 독일계 인구는 가톨릭 신자와 루터교 신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부 체코인들은 루터교에 호의적이었지만, 대부분은 후스파 공교파를 고수했고, 소수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고수했다. 상당수의 공교파는 프로테스탄트와의 동맹을 지지했다.[24] 초기에 페르디난트는 이러한 상황을 수용하고 보헤미아 귀족들에게 상당한 자유를 허용했다. 1540년대 상황이 바뀌었다. 독일에서는 그동안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 제후들이 황제와의 협상을 선호하고 전쟁에서 황제를 지지했지만, 이 시대에 점점 더 대립적으로 변했다. 일부는 황제와 전쟁을 벌이기까지 했고, 많은 보헤미아(독일계 또는 체코계) 프로테스탄트 또는 공교파가 그들에게 동정심을 가졌다.[24]

페르디난트와 그의 아들 막시밀리안 2세는 1547년 독일 프로테스탄트에 대항한 카를 5세승리한 전투에 참여했다. 같은 해, 그는 보헤미아 귀족과 귀족 상당수가 독일 원정에서 그를 지지하지 않은 보헤미아의 프로테스탄트 반란을 진압했다. 이를 통해 그는 이 영토에서 권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그는 행정부를 중앙집권화하고, 많은 도시의 특권을 폐지하고, 재산을 몰수했다.[24] 페르디난트는 또한 보헤미아 왕국에서 가톨릭교회의 지위를 강화하려고 노력했고, 예수회의 설립을 지지했다.

페르디난트. 16세기 체코 초상화


페르디난트는 그의 영토에 대해 더욱 통일된 정부를 도입하고 보헤미아의 재정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의 수입의 절반을 제공했다. 그러나 정부는 기본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남아 있었다. 오스트리아인은 보헤미아 행정부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었지만, 플로리안 그리스펙크와 같은 일부 왕실의 후원자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귀화 후에만 가능했다. 반면 보헤미아인이 오스트리아 정부에서 승진하는 것은 (미래와는 대조적으로) 거의 들어보지 못한 일이었다. 선출된 왕인 그는 점차 군주제를 세습제로 만들려고 했고, 이는 결국 페르디난트 2세 치하에서 성공하게 되었습니다.[44]

오스트리아 페르디난트 1세(1503-1564)의 헝가리 및 보헤미아 왕으로서의 문장


1547년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가 보헤미아 군대가 독일 프로테스탄트에 대항하여 움직이라고 명령한 후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을 진압한 후 그는 보헤미아 도시의 특권을 제한하고 도시 당국을 통제하기 위해 새로운 관료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보복했다.

페르디난트는 반종교개혁을 지지했고, 그가 이단적이라고 생각하는 프로테스탄티즘의 물결에 맞서 가톨릭의 대응을 이끌었다. 예를 들어, 1551년 그는 예수회를 비엔나로, 1556년에는 프라하로 초청했다. 마침내 1561년 페르디난트는 프로테스탄트의 성공으로 인해 이전에 해체되었던 프라하 대교구를 부활시켰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보헤미아 사이에 공통 법적 지위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연합이 형성되었다. 페르디난트는 보헤미아를 제국 관할권으로부터 분리하고 보헤미아와 제국 사이의 관계를 느슨하게 만드는 데 관심이 있었다(보헤미아는 제국에 세금을 낼 필요가 없었다). 그는 보헤미아 왕으로서 제국 선제후의 권리를 얻었기 때문에 보헤미아(그리고 상 및 하 루사티아, 실레시아, 모라비아와 같은 관련 영토)에 오스트리아와 같은 특권 지위를 부여하여 제국 내에서 자신의 우월한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었다.[46][47]

2. 7. 사망과 유산

페르디난트는 1564년 61세의 나이로 서거했다. 유산은 3분할되어 장남 막시밀리안 2세가 신성 로마 황제, 보헤미아 국왕, 헝가리 국왕을 계승했고, 차남 페르디난트 2세는 티롤 백작령을, 삼남 카를 2세는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케른텐 공국, 크라인을 각각 계승했다.[66]

카를 5세와의 생전 약속에서는 페르디난트 1세 다음에는 조카(형의 아들) 펠리페 2세가 황위를 계승하고, 이후 카를 5세와 페르디난트 1세의 가계가 번갈아 계승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67] 그러나 이는 무시되었고, 다음 황제로는 페르디난트 1세의 아들 막시밀리안 2세가 즉위했다. 스페인 합스부르크가도 이를 용인했기 때문에, 이후에도 페르디난트 1세의 가계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가 황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3. 문화적 기여

페르디난트 1세는 젊은 시절 스페인 궁정에서 보낸 경험을 바탕으로 빈에 스페인 궁정 문화를 전파하려 했다. 특히 식문화를 중심으로 1523년 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한 빈 최초의 요리 학교를 설립하고 궁정 만찬회 규칙도 정비했다. 보헤미아에서는 왕비 안나를 위해 프라하 성 북쪽에 별궁을 건설했다. 이탈리아 귀족과 인척 관계를 맺었던 영향으로 르네상스가 보급되어, 유력 귀족들의 궁전 건설과 이탈리아의 문화·학문이 퍼져나갔다.

4. 자녀

Ferdinandus Ila와 Anna Jagellonská|안나 야기에우워cs 사이에는 15명의 자녀가 있었으며,[70]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다산 전통의 시작이었다.

이름출생사망참고
엘리자베트1526년 7월 9일1545년 6월 15일폴란드의 미래 국왕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와 결혼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2세1527년 7월 31일1576년 10월 12일사촌 스페인의 마리아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안나1528년 7월 7일1590년 10월 16/17일바이에른 공작 알브레히트 5세와 결혼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2세1529년 6월 14일1595년 1월 24일필리피네 벨저와 결혼한 후 조카딸(엘레오노라의 딸) 안나 줄리아나 곤자가와 결혼
마리아1531년 5월 15일1581년 12월 11일율리히-클레베-베르크 공작 빌헬름과 결혼
마그달레나1532년 8월 14일1590년 9월 10일수녀
카타리나1533년 9월 15일1572년 2월 28일만토바 공작 프란체스코 3세와 결혼한 후 폴란드의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와 결혼
엘레오노라1534년 11월 2일1594년 8월 5일만토바 공작 빌헬름 1세와 결혼
마가레트1536년 2월 16일1567년 3월 12일수녀
요한1538년 4월 10일1539년 3월 20일유년기에 사망
바르바라1539년 4월 30일1572년 9월 19일페라라 및 모데나 공작 알폰소 2세와 결혼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1540년 6월 3일1590년 7월 10일신성 로마 제국의 페르디난트 2세의 아버지
우르술라1541년 7월 24일1543년 4월 30일유년기에 사망
헬레나1543년 1월 7일1574년 3월 5일수녀
요안나1547년 1월 24일1578년 4월 10일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결혼


참조

[1] 웹사이트 Ferdinand I Holy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020-09-10
[2] 서적 Cetin, grad izbornog sabora Kraljevine Hrvatske 1527 Karslovac 1997
[3] 서적 A History of the Czech Lands https://books.google[...]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Karolinum Press 2021-12-13
[4] 서적 The Habsburg Monarchy, 1490–1848: Attributes of Empi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21-12-13
[5]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2-13
[6] 서적 Austria, Hungary, and the Habsburgs: Central Europe c. 1683–1867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21-12-13
[7] 서적 A Blessed Shore: England and Bohemia from Chaucer to Shakespear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12-13
[8] 서적 Ferdinand I of Austria: The Politics of Dynasticism in the Age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2021-12-13
[9] 서적 State and Society in Early Modern Austria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21-12-13
[10]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Latin Quotations: The Illiterati's Guide to Latin Maxims, Mottoes, Proverbs and Saying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1] 간행물 Melodies for Private Devotion at the Court of Queen Isabel https://mit.primo.ex[...] Boydell & Brewer 2008
[12] 웹사이트 Ferdinand I, Holy Roman emperor https://web.archive.[...] 2001
[13] 웹사이트 Rapport établi par M. Alet Valero http://w3.univ-tlse2[...] Centre National de Documentation Pédagogique 2008-05-02
[14] 서적 The Emperor Charles V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5]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526–1918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6] 서적 The southern Slav question and the Habsburg Monarchy https://archive.org/[...] 1911
[17] 서적 Europe: The Struggle for Supremacy, from 1453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22-08-30
[18]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19] 간행물 article on the Nuremberg Religious Peace https://books.google[...] 1899 Lutheran Cyclopedia
[20]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2002
[21] 웹사이트 George Martinuzzi http://www.newadvent[...]
[22]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Volume 1 van Brill's Companions to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2
[23] 간행물 The Financial Administrative Reforms and Revenues of Ferdinand I in Hungary http://www.tti.hu/im[...]
[24] 서적 Between Lipany and White Mountain
[25] 서적 Germany and the Holy Roman Empire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The Awful End of William the Silent: The First Assassination of a Head of State with A Handgun HarperCollins 2005
[31] 서적
[32] 서적 Emperor: A new life of Charles V 2019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Der lange Türkenkrieg, the long turkish war (1593–1606), vol. 2 https://books.google[...] Soldiershop Publishing 2022-09-21
[36] 서적 Knowledge and the Early Modern City: A History of Entanglem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9-21
[37]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A Thousand Years of Europe's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22-09-21
[38] 서적 The Max Planck Handbooks in European Public Law: Volume I: The Administrative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21
[39] 서적 Vienna and Versailles: The Courts of Europe's Dynastic Rivals, 1550–178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17
[40] 서적 The Last Muslim Conquest: The Ottoman Empire and Its Wars in Europ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1-17
[41] 서적 Monarchy, Aristocracy and State in Europe 1300–18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1-17
[42] 서적 German Imperial Knights: Noble Misfits between Princely Authority and the Crown, 1479–164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1-17
[43] 서적 Balkan Wars: Habsburg Croatia, Ottoman Bosnia, and Venetian Dalmatia, 1499–1617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1-17
[4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ustr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22-08-30
[45] 서적 Constitutional Law in Hungary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B.V. 2022-08-30
[46] 서적 Germany and the Holy Roman Empire: Volume I: Maximilian I to the Peace of Westphalia, 1493–1648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22-08-30
[47]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1495–1806: A Europea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Brill 2022-08-30
[48] 서적 Monarchs of the Renaissance: The Lives and Reigns of 42 European Kings and Quee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2-08-30
[49] 서적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50]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08-30
[51] 백과사전
[52] 백과사전
[53] 백과사전
[54] 백과사전
[55] 백과사전
[56] 백과사전
[57] 기타
[5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2
[59] 기타
[60] 기타
[61] 기타
[62] 기타
[63] 기타
[64] 기타
[65] 기타
[66] 기타
[67] 기타
[68] 기타
[69] 기타
[70] 기타
[71] 서적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국’의 건설자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