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안류는 복족류의 분류군으로, 2017년 부쉐 등의 분류에 따르면 왕달팽이아목, 스콜로돈타아목, 달팽이아목 등으로 나뉜다. 2005년 분류에서는 유폐류 내 진유폐류로 분류되었으며, 판악류, 직수뇨관류, 곡수뇨관류를 포함한다.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범유폐류에 속하며 수안류 및 대추귀고둥목과 자매군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병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 복족류 |
목 | 병안목 (Stylommatophora) |
명명자 | A. 슈미트, 1855 |
하위 분류군 계급 | 아목 |
다양성 | 약 20,500 종 |
참조 | 솔렘 A. (1978). "육상 연체동물의 분류". 프레터 V. & 피크 J. (eds). "유폐류", Vol. 2A. 런던, Academic Press, 49–97. 수차릿 C., Naggs F., Wade C. M., Fontanilla I. & Panha S. (2010). "새로운 Diapheridae 과, 태국산 Diaphera Albers 의 새로운 종, 그리고 Streptaxoidea (Pulmonata: Stylommatophora) 의 분자 계통 발생 내에서 Diapheridae 의 위치".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60: 1-16. 10.1111/j.1096-3642.2009.00598.x. |
하위 분류군 | |
하위 분류군 | 판악류 (Elasmognatha) 직수뇨관류 (Orthurethra) 곡수뇨관류 (Sigmurethra) |
2. 분류
병안류는 복족류 분류 체계에서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분류에서는 비공식군 유폐류(Pulmonata)에 속하는 진유폐류(Eupulmonata)로 분류되었으나, 2017년 부쉐 등(Bouchet et al.)의 분류에서는 유폐류에서 독립된 병안목으로 분류되었다.[13]
2017년 분류 체계는 새로운 계통학 연구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이미 쓸모없게 되었다. 예를 들어 리티다상과는 단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보이며, 남반구 계통군 집합에서 해결되지 않은 관계를 가진다.[15]
2. 1. 2017년 분류
2017년 부쉐 등(Bouchet et al.)이 발표한 병안류 분류는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13] 이 분류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MolluscaBase에서 확인할 수 있다.[14] 그러나 이 분류 체계는 새로운 계통학 연구로 인해 일부 상과(예: 리티다상과)가 단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는 등 완전하지 않다.[15]2017년 분류 체계에 따른 병안류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하위 목 | 상과 | 과 |
---|---|---|
왕달팽이아목 (Achatinina) | ||
스콜로돈타아목 (Scolodontina) | 스콜로돈타상과 (Scolodontoidea) | 스콜로돈타과 (Scolodontidae) |
달팽이아목 (Helicina) | incertae sedis | |
뾰족쨈물우렁이하목 (Succineoidei) 또는 판악류 (Elasmognatha) | ||
리티다하목 (Rhytidoidei) | 리티다상과 (Rhytidoidea) | |
오르탈리쿠스하목 (Orthalicoidei) | 오르탈리쿠스상과 (Orthalicoidea) | |
번데기고둥하목 (Pupilloidei) 또는 직수뇨관류 (Orthurethra) | 번데기고둥상과 (Pupilloidea) | |
입술대고둥하목 (Clausilioidei) | 입술대고둥상과 (Clausilioidea) | |
민달팽이하목 (Arionoidei) | 민달팽이상과 또는 아리온상과 (Arionoidea) | |
뾰족민달팽이하목 (Limacoidei) | 뾰족민달팽이상과 (Limacoidea) | |
나사밤달팽이상과 (Gastrodontoidea) | ||
파르마켈라상과 (Parmacelloidea) | ||
올레아키나하목 (Oleacinoidei) | ||
달팽이하목 (Helicoidei) |
2. 2. 2005년 분류
2005년 복족류 분류(부쉐 & 로크루아)에 따르면, 병안류는 비공식군 유폐류에 속하는 진유폐류로 분류된다. 병안류는 상과 위의 분류는 "미분류" 상태로 표시되며(아목, 목, 상목, 아강으로 표시하지 않고), 상과 아래의 분류는 전통적인 린네식 분류법으로 표시한다.병안류의 하위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
- 판악류(Elasmognatha)
- * 뾰쪽쨈물우렁상과 (Succineoidea)
- * 아토라코포루스상과 (Athoracophoroidea)
- 직수뇨관류(Orthurethra)
- * 파르툴라상과 (Partuloidea)
- * 큰달팽이상과 (Achatinelloidea)
- * 반디고둥상과 (Cochlicopoidea)
- * 번데기고둥상과 (Pupilloidea)
- * 입술대고둥아재비상과 (Enoidea)
- 비공식군 곡수뇨관류(Sigmurethra)
- * 입술대고둥상과 (Clausilioidea)
- * Orthalicoidea
- * Achatinoidea
- * Aillyoidea
- * Testacelloidea
- * Papillodermatoidea
- * 주름번데기상과 (Streptaxoidea)
- * Rhytidoidea
- * Acavoidea
- * 납작평탑달팽이상과 (Punctoidea)
- * Sagdoidea
- * 뾰족민달팽이류 (limacoid)
- ** Staffordioidea
- ** Dyakioidea
- ** Gastrodontoidea
- ** Parmacelloidea
- ** Zonitoidea
- ** Helicarionoidea
- ** Limacoidea
- * Arionoidea
- * 헬릭스상과 (Helicoidea)
"비공식군"(''informal group'')은 전통적인 복족류 분류가 단계통군임이 드러나지 않거나 측계통군 또는 다계통군으로 밝혀졌을 경우를 가리키는 데 사용한다.[9]
2. 3. 이전 분류
이전에는 병안류를 병안하목으로 분류하고, 그 아래에 직수뇨관아목과 곡수뇨관아목을 두었다.직수뇨관아목 | 곡수뇨관아목 |
---|---|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병안목의 계통 관계가 밝혀지고 있다. 2019년 연구에서는 스콜로돈타아목, 왕달팽이아목, 달팽이아목 등의 하위 분류군 간의 관계를 제시했다.[17] 2022년 연구에서는 병안목을 포함하는 범유폐류 전체의 계통 관계를 제시했다.[16]
[1]
서적
Classification of the land Mollusca
Academic Press
1978
3. 계통 분류
2019년 사디(Saadi) 등의 연구에 의한 병안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7]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병안목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스콜로돈타아목
|-
| 스콜로돈타상과
|-
! style="text-align:left;" | 왕달팽이아목
|-
|주름번데기상과 왕달팽이상과
|-
! style="text-align:left;" | 달팽이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올레아키나하목
|-
|하플로트레마상과 달팽이하목
|}
|-
|
{| class="wikitable"
|-
| 오르탈리쿠스하목
|-
|
{| class="wikitable"
|-
| 입술대고둥하목
|-
| 테스타켈라상과
|-
| 리티다하목
|-
| 플렉토필리스상과
|-
|
|}
|}
|}
|}
|}
2022년 크루그(Krug) 등의 연구에 의한 범유폐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범유폐류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낭설상목
|-
|
{| class="wikitable"
|-
|실린드로불라상과 옥시노이상과
|-
|꼭지갯민숭붙이상과 날씬이갯민숭붙이상과
|}
|-
|
{| class="wikitable"
|-
| 고랑딱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
! style="text-align:left;" | 아코클리디움상목
|}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히그로필라상목
|-
! style="text-align:left;" | 진유폐상목
|-
|
{| class="wikitable"
|-
|
|-
| 병안목
|}
|}
|}
|}
|}
|}
참조
[2]
논문
"The new family Diapheridae, a new species of ''Diaphera'' Albers from Thailand,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eridae within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Streptaxoidea (Pulmonata: Stylommatophora)"
2010
[3]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Nomenclator and Typification of Gastropod and Monoplacophoran Families
http://www.bioone.or[...]
2017
[4]
저널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euthyneuran gastropods (Mollusca): a cladistic re-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2002-07-29
[5]
서적
Základy zoopaleontologie
Olomouc
1996
[6]
저널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2010
[7]
웹사이트
Molluscabase
https://molluscabase[...]
2023-08-23
[8]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he Orthalicoidea land snails: Further support and surprises
2023-07-26
[9]
저널
Classification and Nomenclator of Gastropod Families
2005
[10]
서적
Classification of the land Mollusca
Academic Press
1978
[11]
논문
"The new family Diapheridae, a new species of ''Diaphera'' Albers from Thailand,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eridae within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Streptaxoidea (Pulmonata: Stylommatophora)"
2010
[12]
서적
Základy zoopaleontologie
Olomouc
1996
[13]
논문
Revised Classification, Nomenclator and Typification of Gastropod and Monoplacophoran Families
http://www.bioone.or[...]
2017
[14]
웹인용
Molluscabase
https://molluscabase[...]
2024-09-20
[15]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he Orthalicoidea land snails: Further support and surprises
2023-07-26
[16]
저널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root of Panpulmonata, a hyperdiverse radiation of gastropods: new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air breathing
2022-04-13
[17]
저널
Resolving the basal divisions in the stylommatophoran land snails and slug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position of the Scolodontidae
https://linkingh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