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본 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 존스는 1952년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다. 그는 폰 노이만 대수 이론에서 비롯된 존스 다항식을 발견하여 매듭 이론과 저차원 위상수학, 양자 위상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1990년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사망할 때까지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수학자 - 로이 커
    뉴질랜드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로이 커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인 '커 해'를 발견하여 블랙홀 연구에 기여했으며,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와 캔터베리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다수의 상을 수상했고, 컨트랙트 브리지 선수로도 활동했다.
  • 기즈번 (뉴질랜드) 출신 - 키리 테 카나와
    키리 테 카나와는 뉴질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메조소프라노에서 소프라노로 전향하여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했고,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결혼식 축가, 그래미상 수상 등으로 유명하며, 오페라 은퇴 후에도 콘서트, 리사이틀, 젊은 음악가 육성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기즈번 (뉴질랜드) 출신 - 에런 베인스
    뉴질랜드 출신 오스트레일리아 농구 선수 에런 베인스는 럭비 선수에서 팀 던컨의 플레이에 매료되어 농구로 전향, NBA 챔피언십 우승 및 여러 팀에서 활약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로도 활동 후 은퇴했다.
본 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7년의 존스
2007년의 존스
본명본 프레더릭 랜들 존스
출생일1952년 12월 31일
출생지기즈번, 뉴질랜드
사망일2020년 9월 6일
배우자마사 마이어스
학력
모교오클랜드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앙드레 해플리거
경력
직장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밴더빌트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연구 분야
분야폰 노이만 대수
매듭 다항식
등각 장론
업적
주요 업적존스 다항식
아하로노프-존스-란다우 알고리즘
수상
수상필즈상 (1990년)
회원왕립 학회 회원 (1990년)
뉴질랜드 공로 훈장 Knight Companion (2002년)
오스트레일리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

2. 생애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생략)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존스는 1952년 12월 31일 뉴질랜드 기즈번에서 태어났다.[1] 그는 뉴질랜드 케임브리지에서 성장했으며, 세인트 피터스 학교를 다녔다. 이후 길리스 장학금을 받아 오클랜드 문법 학교로 전학[2]하여 1969년 졸업했다.[3]

오클랜드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1972년 이학사 학위를,[3] 1973년에는 이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

1974년 스위스 정부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스위스로 유학을 떠나 처음에는 제네바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공부했으나, 1976년 수학과로 전과했다. 1979년 제네바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앙드레 에플리거 교수의 지도 아래 작성되었으며, 제목은 "유한군이 초유한 II1 인자에 미치는 작용"이다.[2] 이 논문으로 바쉐론 콘스탄틴 상을 수상했다.[2]

'''학력'''

기간학교학위비고
1969년 졸업오클랜드 문법 학교-길리스 장학금 수혜[2]
1968년~1972년오클랜드 대학교이학사
1972년~1973년오클랜드 대학교이학 석사 (수학)
1976년~1979년제네바 대학교이학 박사 (수학)지도교수: 앙드레 에플리거[2], 스위스 정부 장학생 (1974년 선발)[2], 바쉐론 콘스탄틴 상 수상[2]


2. 2. 학문적 경력

존스는 오클랜드 대학교에서 이학사(1972년)와 이학 석사(수학 전공, 1973년) 학위를 취득한 후, 1974년 스위스 정부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 물리학과로 유학을 떠났다. 1976년에는 같은 대학 수학과로 전과했으며, 1979년 앙드레 헤플리거 교수의 지도를 받아 이학 박사 학위(수학 전공)를 취득했다.

1980년 미국으로 이주한 존스는 UCLA(1980–1981)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1981–1985)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재직했다. 1985년부터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수학 교수로 임용되어 2011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4][5]

존스는 버클리 재직 중 폰 노이만 대수 이론을 연구하다가 예상치 못한 중요한 발견을 했다. 이는 알랭 콘에 의해 이미 상당 부분 발전된 수학적 분석 분야에서 파생된 것으로, 현재 존스 다항식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매듭 다항식의 발견이었다.[2] 이 발견은 여러 고전적인 매듭 이론 문제들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했으며, 저차원 위상수학 분야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양자 위상수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6]

2011년 10월, 존스는 밴더빌트 대학교 수학과의 스티븐슨 석좌 교수이자 비가환 기하/작용소 환론 센터 특별 교수로 자리를 옮겨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7] 그는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명예 교수[8]이자, 모교인 오클랜드 대학교의 명예 동문 교수이기도 했다.[9]

학문적 업적 외에도 존스는 1992년 국제 매듭 묶는 사람 길드의 명예 종신 부회장으로 추대되었으며,[3] 2010년 뉴질랜드 왕립 학회는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존스 메달'을 제정했다.[10]

아래는 존스의 주요 학력 및 경력을 요약한 표이다.

연도내용
1972년오클랜드 대학교 이학사 취득
1973년오클랜드 대학교 이학 석사 (수학 전공) 취득
1974년스위스 정부 장학생, 제네바 대학교 유학 (물리학과)
1976년제네바 대학교 수학과로 전과
1979년제네바 대학교 이학 박사 (수학 전공) 취득 (지도교수: 앙드레 헤플리거)
1980년–1981년UCLA 조교수
1981년–1984년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조교수
1984년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부교수
1985년–2011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4][5]
2011년–사망 시밴더빌트 대학교 수학과 스티븐슨 석좌 교수 [7]


3. 주요 업적

1983년 작용소환론 분야에 존스 지수 이론을 도입하여 해당 분야의 분류 이론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했다. 또한, 작용소환론 연구 과정에서 존스 다항식을 발견하여, 이전까지는 관련성이 적다고 여겨졌던 작용소환론과 토폴로지 분야 사이에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발견은 이후 에드워드 위튼 등에 의해 확장되어 양자장론, 수리물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3. 1. 존스 다항식

존스는 1983년에 작용소환론에 존스 지수 이론을 도입했다. 이 이론은 분류 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양자 갈루아 이론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것을 준비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교수로 재직하던 중,[4][5] 폰 노이만 대수 이론 연구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매듭 다항식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현재 존스 다항식으로 불린다.[2] 이 발견은 알랭 콘 등이 이미 상당히 발전시킨 수학적 분석 분야에서 비롯되었다. 존스 다항식은 당시까지 작용소환론과 무관하다고 여겨졌던 토폴로지 분야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여러 고전적인 매듭 이론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했으며, 저차원 위상수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양자 위상수학 분야의 발전을 이끌었다.[6] 에드워드 위튼은 존스 다항식을 일반적인 3차원 다양체의 불변량(Jones-Witten 불변량)으로 확장했으며, 이는 양자장론, 작용소환론, 토폴로지, 수리물리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3. 2. 존스 지수 이론

1983년에 작용소환론에 존스 지수 이론을 도입했다. 이 이론은 분류 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양자 갈루아 이론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것을 준비했다. 또한 존스 다항식을 발견하여, 작용소환론과 무관하다고 생각되었던 토폴로지와의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존스 다항식에드워드 위튼에 의해 일반적인 3차원 다양체의 불변량(Jones-Witten 불변량)으로 확장되어, 양자장론, 작용소환론, 토폴로지, 수리물리학 연구에 기여했다.

4. 수상 및 영예


  • 1990년: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필즈상 수상[2]
  • 1990년: 왕립 학회 회원 선출[14][15]
  • 1991년: 뉴질랜드 왕립 학회에서 러더퍼드 메달 수상[3][10]
  • 1991년: 뉴질랜드 왕립 학회 명예 회원 선출[17]
  • 1992년: 오스트레일리아 과학 아카데미 통신 회원 선출[18]
  • 199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1999년: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2001년: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2002년: 수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뉴질랜드 공로 훈장의 뛰어난 동반자(DCNZM) 임명[20]
  • 2002년: 런던 수학회 명예 회원 선출
  • 2009년: 기존 DCNZM이 뉴질랜드 공로 훈장 기사 동반자(KNZM)로 재지정되어 기사 작위('경', Sir) 획득[21]
  • 2012년: 미국 수학회 회원 선출[22]

5. 개인적인 삶

존스는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중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스키 캠프에서 아내 마사 마이어스를 만났다.[11] 그녀는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그곳에 있었으며,[11] 이후 의학, 건강 및 사회학 부교수가 되었다.[3] 그들은 함께 세 자녀를 두었다.[2][3]

존스는 2020년 9월 6일 심각한 귀 감염으로 인한 건강 합병증으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2]

존스는 공인된 바리스타였다.[13]

참조

[1] 백과사전 Vaughan Jones (New Zealand mathematicia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19-12-27
[2] 뉴스 Celebrated NZ mathematician Sir Vaughan Jones dies https://www.nzherald[...] 2020-09-09
[3] 웹사이트 Obituary: Sir Vaughan Jones https://www.ags.scho[...] Auckland Grammar School 2020-09-08
[4] 서적 Who's Who in New Zealand, 1991 https://books.google[...] Octopus
[5] 웹사이트 Vaughan Jones - University of St. Andrews https://mathshistory[...] 2020-09-09
[6] 뉴스 Fields Medalist Vaughan Jones Joins the Department https://as.vanderbil[...] Vanderbilt University 2011-10-25
[7] 웹사이트 Personal web page at Vanderbilt University http://as.vanderbilt[...]
[8] 웹사이트 Personal web page at Berkeley https://math.berkele[...]
[9] 웹사이트 Personal web page at Auckland https://unidirectory[...] 2015-12-12
[10] 뉴스 About the Jones Medal https://www.royalsoc[...] Royal Society Te Apārangi 2020-09-08
[11] 뉴스 Vaughan Jones – Fields medalist brings informal style to Vanderbilt https://news.vanderb[...] Vanderbilt University 2011-10-03
[12] 뉴스 Release of Vanderbilt University https://as.vanderbil[...] Vanderbilt University 2020-09-08
[13] Youtube Vaughan Jones: "God May or May Not Play Dice but She Sure Loves a von Neumann Algebra" https://www.youtube.[...] 2018-05-10
[14] 웹사이트 Fellows http://royalsociety.[...] Royal Society 2010-11-05
[15] 학술지 Sir Vaughan Jones. 31 December 1952—6 September 2020 2022
[16] 서적 The New Zealand Official Year-book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er (New Zealand)
[17] 웹사이트 J-L https://www.royalsoc[...] 2024-03-25
[18] 뉴스 Faculty Awards https://as.vanderbil[...] Vanderbilt University 2020-09-08
[19] 뉴스 Celebrating Science – Miller Reminiscences https://miller.berk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0-09-08
[20] 웹사이트 Queen's Birthday and Golden Jubilee honours list 2002 https://dpmc.govt.nz[...]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02-06-03
[21] 웹사이트 Special honours list 1 August 2009 https://dpmc.govt.nz[...]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11-04-05
[22]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www.ams.org/p[...] 2013-01-26
[23] 학술지 "Review: ''Coxeter graphs and towers of algebras'', by F. M. Goodman, P. de la Harpe, and V. F. R. Jones" http://www.ams.org/j[...]
[24] 학술지 "Review: ''Subfactors and knots'', by V. F. R. Jones" http://www.ams.org/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