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리비아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비아 대통령은 볼리비아의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 1825년 독립 이후 다양한 인물이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이들은 혁명, 쿠데타, 민주적 선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권력을 잡았다. 볼리비아는 종신 대통령직에서 4년 임기의 대통령, 2009년 헌법 개정으로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변화를 겪었다. 2009년 헌법에 따라 국명이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으며, 대통령은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대통령 궐위 시에는 부통령, 상원 의장, 하원 의장 순으로 직무를 대행한다. 역대 대통령 중에는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경우도 있으며, 2009년 이후에는 에보 모랄레스가 최초의 원주민 대통령으로, 리디아 게일러 테하다와 자니네 아녜스가 여성 대통령으로 재임했다. 대통령은 팔라시오 케마도에서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로 관저를 이전했으며, 전용기와 경호대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비아의 대통령 - 레네 바리엔토스
    레네 바리엔토스 오르투뇨는 볼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4년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이 되어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체 게바라 게릴라 부대 진압, 광산 노동자 탄압 등 권위주의 통치를 펼치다 1969년 사망했다.
  • 볼리비아의 대통령 - 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남아메리카 독립 운동가, 군인, 정치가로서, '해방자'라는 칭호로 불리며 남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에 기여하고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기반한 통합을 추구했으나 그란 콜롬비아 해체로 이상이 좌절된,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이다.
볼리비아의 대통령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 공식 사진
직책대통령
국가볼리비아
원어 명칭Presidente del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볼리비아 국장
스타일가장 존경하는 각하 (공식)
각하 (외교)
임기5년, 한 번 연임 가능
선출 방식직접 선거 (필요시 2차 투표)
임명 기관다국적 선거 기구
소재지라파스
현직 대통령루이스 아르세
현직 대통령 취임일2020년 11월 8일
관저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
직책 성립일1825년 8월 11일
초대 대통령시몬 볼리바르
초대 다민족국가 대통령에보 모랄레스
급여월 24,251 볼리비아노 / US$3,561
웹사이트www.presidencia.gob.bo
정치
정치 체제국가원수, 정부수반
부통령볼리비아 부통령(데이비드 초케후앙카)
기타
비공식 명칭대통령

2. 볼리비아 대통령 목록

대통령 (1826년 6월 19일 – 1828년 4월 18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3호세 마리아 페레스 데 우르디네아1828년 4월 18일1828년 8월 2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4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프랑코1828년 8월 2일1828년 12월 18일대통령 대행style="background:; color:black" |5페드로 블랑코 소토1828년 12월 18일1829년 1월 1일임시 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4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프랑코1829년 1월 1일1829년 5월 24일대통령 대행style="background:; color:black" |6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1829년 5월 24일1839년 2월 20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4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프랑코1839년 2월 20일1841년 6월 10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7세바스티안 아그레다1841년 6월 10일1841년 7월 9일임시 수반style="background:; color:black" |8마리아노 칼보1841년 7월 9일1841년 9월 22일대통령 대행style="background:; color:black" |9호세 발리비안1841년 9월 22일1847년 12월 23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0에우세비오 기라르테 베라1847년 12월 23일1848년 1월 2일임시 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4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프랑코1848년 1월 18일1848년 12월 6일임시 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11마누엘 이시도로 벨수1848년 12월 6일1855년 8월 15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2호르헤 코르도바1855년 8월 15일1857년 10월 21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13호세 마리아 리나레스1857년 10월 21일1861년 1월 14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4호세 마리아 데 아차1861년 5월 4일1864년 12월 28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5마리아노 멜가레호1864년 12월 28일1871년 1월 15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6아구스틴 모랄레스1871년 1월 15일1872년 11월 27일style="background:; color:black" |17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트예르1872년 11월 28일1873년 5월 9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18아돌포 발리비안1873년 5월 9일1874년 2월 14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17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트예르1874년 2월 14일1876년 5월 4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19일라리온 다사1876년 5월 4일1879년 4월 17일대통령style="background:; color:black" |20페드로 호세 도밍고 데 게라1879년 4월 17일1879년 9월 10일대통령21나르시소 캄페로1880년 1월 19일1884년 9월 3일보수당대통령22그레고리오 파체코1884년 9월 3일1888년 8월 15일민주당대통령23아니세토 아르세1888년 8월 15일1892년 8월 11일보수당대통령24마리아노 밥티스타1892년 8월 11일1896년 8월 19일대통령25세베로 페르난데스1896년 8월 19일1899년 4월 12일대통령26정부 훈타1899년 4월 12일1899년 10월 25일군부27호세 마누엘 판도1899년 10월 25일1904년 8월 14일자유당대통령28이스마엘 몬테스1904년 8월 14일1909년 10월 12일대통령29엘리오도로 비야손1909년 10월 12일1913년 10월 14일대통령28이스마엘 몬테스1913년 10월 14일1917년 10월 15일대통령30호세 구티에레스 게라1917년 10월 15일1920년 7월 12일대통령정부 훈타1920년 7월 13일1921년 1월 28일공화사회당대통령31호세 마리아 에스칼리에1921년 1월 28일1921년 1월 28일대통령32호세 마누엘 라미레스1921년 1월 28일1921년 1월 28일대통령33바우티스타 사베드라1921년 1월 28일1925년 9월 3일대통령34펠리페 S. 구스만1925년 9월 3일1926년 1월 10일임시 대통령35에르난도 실레스 레예스1926년 1월 10일1930년 5월 28일국민당대통령36피델 베가1930년 5월 28일1930년 6월 25일군부37다비드 토로1930년 6월 25일1930년 6월 25일정부 훈타 의장style="background:; color:black" |38카를로스 블랑코 갈린도1930년 6월 28일1931년 3월 5일군사 정부 훈타 의장}

|-

!39

|베르나르디노 빌바오 리오하

(1895–1983)

|1931년 3월 5일

|1931년 3월 5일

|

|-

! style="background:#B8860B; color:white" |40

|다니엘 살라망카 우레이

|1931년 3월 5일

|1934년 11월 27일

|공화진정당

|대통령

|-

! style="background:#FFD700; color:white" |41

|호세 루이스 테하다 소르사노

|1934년 11월 28일

|1936년 5월 17일

|자유당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2

|헤르만 부시

|1936년 5월 17일

|1936년 5월 20일

| rowspan="4" |군부

|정부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3

|다비드 토로

|1936년 5월 20일

|1937년 7월 13일

|정부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2

|헤르만 부시

|1937년 7월 13일

|1939년 8월 23일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4

|카를로스 킨타니야

|1939년 8월 23일

|1940년 4월 15일

|임시 대통령

|-

! style="background:#F0E68C; color:white" |45

|엔리케 페냐란다

|1940년 4월 15일

|1943년 12월 20일

|콘코르단시아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6

|괄베르토 비야로엘

|1943년 12월 20일

|1946년 7월 21일

|군부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7

|네스토르 기옌

|1946년 7월 21일

|1946년 8월 15일

| rowspan="2" |무소속

|임시 정부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48

|토마스 몬헤

|1946년 8월 15일

|1947년 3월 10일

|임시 정부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FFDAB9; color:white" |49

|엔리케 에르소그

|1947년 3월 10일

|1949년 10월 22일

| rowspan="2" |공화사회주의통일당

|대통령

|-

! style="background:#FFDAB9; color:white" |50

|마메르토 우리올라고이티아

|1949년 10월 22일

|1951년 5월 16일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1

|우고 발리비안

|1951년 5월 16일

|1952년 4월 11일

|군부

|군사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52

|에르난 실레스 수아소

|1952년 4월 11일

|1952년 4월 16일

| rowspan="4" |민족혁명운동당

|임시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53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

|1952년 4월 16일

|1956년 8월 6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52

|에르난 실레스 수아소

|1956년 8월 6일

|1960년 8월 6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53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

|1960년 8월 6일

|1964년 11월 4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4

| rowspan="2" |레네 바리엔토스

|1964년 11월 5일

|1965년 5월 26일

| rowspan="4" |군부

|군사 훈타 의장

|-

! 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black" |

| rowspan="2" |1965년 5월 26일

| rowspan="2" |1966년 1월 2일

| rowspan="2" |군사 훈타 공동 의장

|-

| rowspan="2" |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5

|1966년 1월 2일

|1966년 8월 6일

|군사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56

|레네 바리엔토스

|1966년 8월 6일

|1969년 4월 27일

|기독민주당

|대통령

|-

! style="background:#AFEEEE; color:white" |57

|루이스 아돌포 실레스 살리나스

|1969년 4월 27일

|1969년 9월 26일

|사회민주당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5

|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

|1969년 9월 26일

|1970년 10월 6일

| rowspan="8" |군부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8

|1970년 군 사령관 훈타

|1970년 10월 6일

|1971년 10월 7일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59

|후안 호세 토레스

|1970년 10월 7일

|1971년 8월 21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0

|1971년 군 사령관 훈타

|1971년 8월 21일

|1971년 8월 22일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1

|우고 반세르

|1971년 8월 22일

|1978년 7월 21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2

|빅토르 곤살레스 푸엔테스

|1978년 7월 21일

|1978년 7월 21일

|군사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3

|후안 페레다

|1978년 7월 21일

|1978년 11월 24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4

|다비드 파디야

|1978년 11월 24일

|1979년 8월 8일

|군사 훈타 의장

|-

! style="background:; color:white" |65

|왈테르 게바라

|1979년 8월 8일

|1979년 11월 1일

|진정혁명당

|대통령 대행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6

|알베르토 나투슈

|1979년 11월 1일

|1979년 11월 16일

|군부

|대통령

|-

! style="background:#0000FF; color:white" |67

|리디아 게일레르 테하다

|1979년 11월 16일

|1980년 7월 17일

|혁명좌파전선

|대통령 대행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8

|1980년 군 사령관 훈타

|1980년 7월 17일

|1980년 7월 18일

| rowspan="6" |군부

|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69

|루이스 가르시아 메사

|1980년 7월 18일

|1981년 8월 4일

|대통령

|-

! style="background:; color:black" |70

|

2. 1. 볼리바르 공화국 (1825-1826)

(시몬 볼리바르/Simón Bolívares)무소속
(군인)11825년 8월 11일1825년 12월 29일볼리비아 해방자2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Antonio José de Sucrees)무소속
(군인)21825년 12월 29일1828년 4월 18일볼리비아 해방자 (1825년 12월 29일 – 1826년 6월 19일)
대통령 (1826년 6월 19일 – 1828년 4월 18일)


2. 1. 1. 국가 원수 대행 (1825)

(군인)-1825년 8월 6일
- 1825년 8월 11일5일국가 원수 대행
(상페루 의회 의장)00-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Antonio José de Sucrees)무소속
(군인)-1825년 8월 11일
- 1825년 8월 18일7일국가 원수 대행
(보호자)1시몬 볼리바르 (시몬 볼리바르/Simón Bolívares)무소속
(군인)11825년 8월 18일
- 1825년 12월 29일133일국가 원수
(보호자)2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Antonio José de Sucrees)무소속
(군인)21825년 12월 29일
- 1826년 5월 25일147일국가 원수
(보호자)


2. 1. 2. 국가 원수 (1825-1826)

(군인)-1825년 8월 6일
- 1825년 8월 11일5일국가 원수 대행
(상페루 의회 의장)00-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Antonio José de Sucre)무소속
(군인)-1825년 8월 11일
- 1825년 8월 18일7일국가 원수 대행
(보호자)1시몬 볼리바르 (Simón Bolívar)무소속
(군인)11825년 8월 18일
- 1825년 12월 29일133일국가 원수
(보호자)
사임2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Antonio José de Sucre)무소속
(군인)21825년 12월 29일
- 1826년 5월 25일147일국가 원수
(보호자)


2. 2. 볼리비아 공화국 (1826-2009)

카시미로 오라녜타카시미로 올라녜타/Casimiro Olañetaes는 1826년 5월 25일부터 5월 28일까지 국가 원수 대행(헌법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Antonio José de Sucrees는 1826년 5월 25일부터 1828년 4월 18일까지 국가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26년 5월 25일부터 7월 19일까지는 국가 원수(보호자), 1826년 7월 19일부터 12월 9일까지는 국가 원수(행정부 수장), 1826년 12월 9일부터 1828년 4월 18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헌법 제정 후 권한을 이양했다.

호세 마리아 페레스 데 우르디네아호세 마리아 페레스 데 우르디네아/José María Pérez de Urdinineaes는 1828년 4월 18일부터 8월 2일까지 대통령 대행(각료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José Miguel de Velascoes는 1828년 8월 2일부터 12월 18일까지 대통령 대행(각료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호세 라몬 데 로아이사마리아노 엔리케 칼보/Mariano Enrique Calvoes는 1828년 12월 18일부터 12월 26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페드로 블랑코 소토페드로 블랑코/Pedro Blancoes는 1828년 12월 26일부터 1829년 1월 1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29년 1월 1일부터 5월 24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안드레스 데 산타크루스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Andrés de Santa Cruzes는 1829년 5월 24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29년 5월 24일부터 1831년 7월 16일까지, 그리고 1831년 7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 두 차례 임시 대통령을 지냈고, 1831년 8월 15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임기 만료 전 사임했다.

마리아노 엔리케 칼보마리아노 엔리케 칼보/Mariano Enrique Calvoes는 1838년 7월 18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1838년 2월 17일부터 1839년 2월 22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39년 2월 22일부터 1841년 6월 10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임시 대통령을 역임했다. 1839년 2월 22일부터 6월 16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39년 6월 16일부터 1840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40년 8월 15일부터 1841년 6월 10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쿠데타로 실각하여 사임했다.

세바스티안 아그레다세바스티안 데 아그레다/Sebastián de Ágredaes는 1841년 6월 10일부터 7월 9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를 역임했다.

마리아노 엔리케 칼보는 1841년 7월 9일부터 9월 22일까지 국가 원수 대행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41년 9월 22일부터 9월 27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발리비안호세 발리비안/José Balliviánes은 1841년 9월 27일부터 1847년 12월 23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1년 9월 27일부터 1843년 4월 23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43년 4월 23일부터 1844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44년 8월 15일부터 1847년 12월 23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에우세비오 기라르테에우세비오 힐라르테/Eusebio Guilartees는 1847년 12월 23일부터 1848년 1월 2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8년 1월 2일부터 1월 18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48년 1월 1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48년 1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48년 9월 12일부터 10월 12일까지는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848년 10월 12일부터 12월 6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마누엘 이시도로 벨수/Manuel Isidoro Belzues는 1848년 12월 6일부터 1855년 8월 15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8년 12월 6일부터 1850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50년 8월 15일부터 1855년 8월 15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850년 9월 7일부터 1851년 7월 16일까지는 헌법이 정지되었다가 회복되었다.

호르헤 코르도바호르헤 코르도바/Jorge Córdovaes는 1855년 8월 15일부터 1857년 9월 9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호세 마리아 리나레스호세 마리아 리나레스/José María Linareses는 1857년 9월 9일부터 1861년 1월 14일까지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호세 마리아 데 아차호세 마리아 데 아차/José María de Achá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5월 4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다.

루페르토 페르난데스루페르토 페르난데스/Ruperto Fernández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5월 4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다.

마누엘 안토니오 산체스마누엘 안토니오 산체스/Manuel Antonio Sánchez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4월 9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호세 마리아 데 아차는 1861년 5월 4일부터 1864년 12월 28일까지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61년 5월 4일부터 1862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62년 8월 15일부터 1864년 12월 28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마리아노 멜가레호마리아노 멜가레호/Mariano Melgarejoes는 1864년 12월 28일부터 1868년 10월 1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와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864년 12월 28일부터 1868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68년 8월 15일부터 1868년 10월 1일까지는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2. 2. 1. 제1공화정 (1826-1868)

카시미로 오라녜타카시미로 올라녜타/Casimiro Olañetaes는 1826년 5월 25일부터 5월 28일까지 국가 원수 대행(헌법 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Antonio José de Sucrees는 1826년 5월 25일부터 1828년 4월 18일까지 국가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26년 5월 25일부터 7월 19일까지는 국가 원수(보호자), 1826년 7월 19일부터 12월 9일까지는 국가 원수(행정부 수장), 1826년 12월 9일부터 1828년 4월 18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며, 헌법 제정 후 권한을 이양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José Miguel de Velascoes는 1828년 4월 18일부터 8월 2일까지 대통령 대행(각료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28년 8월 2일부터 12월 18일까지 다시 대통령 대행(각료 평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호세 라몬 데 로아이사마리아노 엔리케 칼보/Mariano Enrique Calvoes는 1828년 12월 18일부터 12월 26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페드로 블랑코페드로 블랑코/Pedro Blancoes는 1828년 12월 26일부터 1829년 1월 1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29년 1월 1일부터 5월 24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Andrés de Santa Cruzes는 1829년 5월 24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29년 5월 24일부터 1831년 7월 16일까지, 그리고 1831년 7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 두 차례 임시 대통령을 지냈고, 1831년 8월 15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임기 만료 전 사임했다.

마리아노 엔리케 칼보마리아노 엔리케 칼보/Mariano Enrique Calvoes는 1838년 7월 18일부터 1839년 2월 17일까지 대통령 대행(부통령)을 역임했다.

1838년 2월 17일부터 1839년 2월 22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39년 2월 22일부터 1841년 6월 10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임시 대통령을 역임했다. 1839년 2월 22일부터 6월 16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39년 6월 16일부터 1840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40년 8월 15일부터 1841년 6월 10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쿠데타로 실각하여 사임했다.

세바스티안 데 아그레다세바스티안 데 아그레다/Sebastián de Ágredaes는 1841년 6월 10일부터 7월 9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를 역임했다.

마리아노 엔리케 칼보는 1841년 7월 9일부터 9월 22일까지 국가 원수 대행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41년 9월 22일부터 9월 27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발리비안호세 발리비안/José Balliviánes은 1841년 9월 27일부터 1847년 12월 23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1년 9월 27일부터 1843년 4월 23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43년 4월 23일부터 1844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44년 8월 15일부터 1847년 12월 23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에우세비오 기랄테에우세비오 힐라르테/Eusebio Guilartees는 1847년 12월 23일부터 1848년 1월 2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8년 1월 2일부터 1월 18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는 1848년 1월 1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48년 1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48년 9월 12일부터 10월 12일까지는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848년 10월 12일부터 12월 6일까지 대통령직은 공석이었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마누엘 이시도로 벨수/Manuel Isidoro Belzues는 1848년 12월 6일부터 1855년 8월 15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했다. 1848년 12월 6일부터 1850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 1850년 8월 15일부터 1855년 8월 15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850년 9월 7일부터 1851년 7월 16일까지는 헌법이 정지되었다가 회복되었다.

호르헤 코르도바호르헤 코르도바/Jorge Córdovaes는 1855년 8월 15일부터 1857년 9월 9일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호세 마리아 리나레스호세 마리아 리나레스/José María Linareses는 1857년 9월 9일부터 1861년 1월 14일까지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호세 마리아 데 아차호세 마리아 데 아차/José María de Achá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5월 4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다.

루페르토 페르난데스루페르토 페르난데스/Ruperto Fernández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5월 4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다.

마누엘 안토니오 산체스마누엘 안토니오 산체스/Manuel Antonio Sánchezes는 1861년 1월 14일부터 4월 9일까지 국가 최고 사령부의 일원이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호세 마리아 데 아차는 1861년 5월 4일부터 1864년 12월 28일까지 임시 대통령 및 대통령을 역임하다 사임했다. 1861년 5월 4일부터 1862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대통령, 1862년 8월 15일부터 1864년 12월 28일까지는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마리아노 멜가레호마리아노 멜가레호/Mariano Melgarejoes는 1864년 12월 28일부터 1868년 10월 1일까지 임시 국가 원수와 임시대통령을 역임하였다. 1864년 12월 28일부터 1868년 8월 15일까지는 임시 국가 원수,1868년 8월 15일부터 1868년 10월 1일까지는 임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2. 2. 2. 제2공화정 (1868-2009)

마리아노 멜가레호가 실각한 이후부터 2009년까지의 시기이다.

2. 3. 볼리비아 다민족국 (2009-현재)

2009년 정치 헌법은 2009년 1월 25일 국민투표로 승인되고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2월 7일에 공포하였다.[10] 이 헌법에 따라 볼리비아의 공식 명칭은 기존의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다.[10] 따라서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65대)이자 다민족국가 볼리비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지만, 2선 제한은 유지했다. 2016년 2월 21일, 임기 제한 폐지를 위한 제안이 국민투표에서 51% 대 49%로 부결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28일, 볼리비아 대법원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이 2009년 헌법에서 허용된 2연임 제한 없이 무기한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 결정을 미주인권헌장의 정치적 권리 해석에 근거하여 정당화했다.[12]

2009년 이전에는 어떤 후보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 중에서 의회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했다 (1995년 이전에는 상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선출). 이 시스템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인기투표에서 패배한 후보, 심지어 3위 후보까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1차 투표에서 어떤 정당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가 결선 투표를 치르는 결선 투표제로 대체되었다.

대통령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65)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
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Juan Evo Morales Aimaes
100px사회주의 운동502009년 2월 7일
- 2010년 1월 22일
국명 변경
512010년 1월 22일
- 2015년 1월 22일
522015년 1월 22일
- 2019년 11월 10일
임기 만료 전 사임
(결원)2019년 11월 10일
– 2019년 11월 12일
66자니네 아녜스
헤아니네 아녜스 차베스/Jeanine Áñez Chávezes
100px사회민주운동522019년 11월 12일
- 2020년 11월 8일
승격
(상원 의장)
67루이스 아르세
루이스 알베르토 아르세 카타코라/Luis Alberto Arce Catacoraes
100px사회주의 운동532020년 11월 8일
- (현직)


2. 3. 1. 헌법 대통령 (2009-현재)

2009년 정치 헌법은 2009년 1월 25일 국민투표로 승인되고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2월 7일에 공포하였다.[10] 이 헌법에 따라 볼리비아의 공식 명칭은 기존의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다.[10] 따라서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65대)이자 다민족국가 볼리비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지만, 2선 제한은 유지했다. 2016년 2월 21일, 임기 제한 폐지를 위한 제안이 국민투표에서 51% 대 49%로 부결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28일, 볼리비아 대법원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이 2009년 헌법에서 허용된 2연임 제한 없이 무기한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 결정을 미주인권헌장의 정치적 권리 해석에 근거하여 정당화했다.[12]

2009년 이전에는 어떤 후보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 중에서 의회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했다 (1995년 이전에는 상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선출). 이 시스템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인기투표에서 패배한 후보, 심지어 3위 후보까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1차 투표에서 어떤 정당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가 결선 투표를 치르는 결선 투표제로 대체되었다.

대통령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65)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
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Juan Evo Morales Aimaes
100px사회주의 운동502009년 2월 7일
- 2010년 1월 22일
rowspan="3" |국명 변경
512010년 1월 22일
- 2015년 1월 22일
522015년 1월 22일
- 2019년 11월 10일
임기 만료 전 사임
(결원)2019년 11월 10일
– 2019년 11월 12일
66자니네 아녜스
헤아니네 아녜스 차베스/Jeanine Áñez Chávezes
100px사회민주운동522019년 11월 12일
- 2020년 11월 8일
승격
(상원 의장)
67루이스 아르세
루이스 알베르토 아르세 카타코라/Luis Alberto Arce Catacoraes
100px사회주의 운동532020년 11월 8일
- (현직)


3. 헌법과 대통령직

시몬 볼리바르가 작성하고 1826년 11월 6일 총 구성 의회가 승인하고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가 11월 19일 공포한 최초의 헌법은 대통령직을 종신직으로 규정했으며, 대통령은 후계자를 선출하고 임명할 권한을 가졌다.[8] 종신직은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831년 정치 헌법이 공포되면서 폐지되었다.[9]

1831년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제한하고, 재선은 가능하지만 연속 재선은 불가능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이전의 종신 대통령직에 대한 반발과 권력 집중을 막으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은 이러한 헌법 개정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페루-볼리비아 연합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2009년 1월 25일 국민투표로 승인되고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2월 7일에 공포한 2009년 정치 헌법에 따라 볼리비아의 공식 명칭이 기존의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다.[10] 따라서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65대)이자 다민족국가 볼리비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지만, 2선 제한은 유지했다. 2016년 2월 21일, 임기 제한 폐지를 위한 제안이 국민투표에서 51% 대 49%로 부결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28일, 볼리비아 대법원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이 2009년 헌법에서 허용된 2연임 제한 없이 무기한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 결정을 미주인권헌장의 정치적 권리 해석에 근거하여 정당화했다.[12]

2009년 이전에는 어떤 후보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 중에서 의회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했다 (1995년 이전에는 상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선출). 이 시스템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인기투표에서 패배한 후보, 심지어 3위 후보까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1차 투표에서 어떤 정당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가 결선 투표를 치르는 결선 투표제로 대체되었다.

3. 1. 헌법의 역사

시몬 볼리바르가 작성하고 1826년 11월 6일 총 구성 의회가 승인하고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가 11월 19일 공포한 최초의 헌법 문서였다.[8] 1826년 헌법으로도 알려진 1826년 정치 헌법은 대통령직을 종신직으로 규정했으며, 대통령은 후계자를 선출하고 임명할 권한을 가졌다. 종신직은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831년 정치 헌법이 공포되면서 폐지되었다.[9]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 시기인 1831년에 헌법이 개정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제한하고, 재선은 가능하지만 연속 재선은 불가능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이전의 종신 대통령직에 대한 반발과, 권력 집중을 막으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은 이러한 헌법 개정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페루-볼리비아 연합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9년 1월 25일 국민투표로 승인되고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2월 7일에 공포한 2009년 정치 헌법에 따라 볼리비아의 공식 명칭이 기존의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다.[10] 따라서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65대)이자 다민족국가 볼리비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지만, 2선 제한은 유지했다. 2016년 2월 21일, 임기 제한 폐지를 위한 제안이 국민투표에서 51% 대 49%로 부결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28일, 볼리비아 대법원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이 2009년 헌법에서 허용된 2연임 제한 없이 무기한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 결정을 미주인권헌장의 정치적 권리 해석에 근거하여 정당화했다.[12]

2009년 이전에는 어떤 후보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 중에서 의회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했다 (1995년 이전에는 상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선출). 이 시스템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인기투표에서 패배한 후보, 심지어 3위 후보까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1차 투표에서 어떤 정당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가 결선 투표를 치르는 결선 투표제로 대체되었다.

3. 1. 1. 1826년 헌법

시몬 볼리바르가 작성하고 1826년 11월 6일 총 구성 의회가 승인하고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가 11월 19일 공포한 최초의 헌법 문서였다.[8] 1826년 헌법으로도 알려진 1826년 정치 헌법은 대통령직을 종신직으로 규정했으며, 대통령은 후계자를 선출하고 임명할 권한을 가졌다. 종신직은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831년 정치 헌법이 공포되면서 폐지되었다.[9]

3. 1. 2. 1831년 헌법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 시기인 1831년에 헌법이 개정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제한하고, 재선은 가능하지만 연속 재선은 불가능하도록 규정했다. 이는 이전의 종신 대통령직에 대한 반발과, 권력 집중을 막으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대통령은 이러한 헌법 개정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제한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는 페루-볼리비아 연합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1. 3. 2009년 헌법

2009년 1월 25일 국민투표로 승인되고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2월 7일에 공포한 2009년 정치 헌법에 따라 볼리비아의 공식 명칭이 기존의 "볼리비아 공화국"에서 "다민족국가 볼리비아"로 변경되었다.[10] 따라서 에보 모랄레스는 볼리비아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65대)이자 다민족국가 볼리비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지만, 2선 제한은 유지했다. 2016년 2월 21일, 임기 제한 폐지를 위한 제안이 국민투표에서 51% 대 49%로 부결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11월 28일, 볼리비아 대법원은 모든 선출직 공무원이 2009년 헌법에서 허용된 2연임 제한 없이 무기한으로 출마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 결정을 미주인권헌장의 정치적 권리 해석에 근거하여 정당화했다.[12]

2009년 이전에는 어떤 후보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 중에서 의회 합동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했다 (1995년 이전에는 상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선출). 이 시스템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인기투표에서 패배한 후보, 심지어 3위 후보까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1차 투표에서 어떤 정당도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할 경우, 상위 두 명의 후보가 결선 투표를 치르는 결선 투표제로 대체되었다.

3. 2.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

3. 3. 대통령 선출 방식

볼리비아의 대통령은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헌법에 따르면,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를 하거나, 40% 이상을 득표하고 2위 후보에 10%p 이상 앞서는 후보가 당선된다. 만약 이 조건을 충족하는 후보가 없을 경우, 상위 2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과거에는 의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방식이었으나, 잦은 정치적 혼란과 쿠데타로 인해 1985년 결선투표제가 도입되었다. 2020년 볼리비아 총선에서는 사회주의운동의 루이스 아르세 후보가 1차 투표에서 55.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시민 공동체의 카를로스 메사 후보는 28.8%를 득표하였고, 크레모스의 루이스 페르난도 카마초 후보는 14.0%를 득표했다.

3. 4. 대통령 임기

3. 5. 대통령직 승계

2009년 헌법 제169조 I항에 따르면, "대통령의 직무수행 불능 또는 확정적인 부재 시에는 부통령이 대통령을 대행하며, 부통령이 부재 시에는 상원 의장이, 상원 의장이 부재 시에는 하원 의장이 대행한다. 마지막 경우에는 최대 90일 이내에 새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15]

역사적으로 볼리비아의 여러 헌법 하에서 부통령직이 존재하지 않았거나 공석인 기간이 여러 차례 있었다. 1839년 10월 26일부터 1878년 2월 15일까지 부통령직이 폐지되었으며, 상원 의장이 계승 순위 첫 번째였다.[16] 이 기간 동안 우세비오 기야르테와 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틀레르는 국가평의회 의장 자격으로 권력을 잡았다.

볼리비아 대통령을 역임한 67명 중 13명(19%)은 비극적인 방식으로 사망했으며, 그중 5명은 재임 중, 3명은 암살당했다. 페드로 블랑코 소토는 구금 중 탈출을 시도하다 총에 맞았고, 아구스틴 모랄레스는 군 보좌관을 공격한 후 자기방어 과정에서 총에 맞았으며, 과알베르토 비야로엘은 정부 청사 밖에서 린치(Lynching)를 당했다. 헤르만 부시는 자살했고, 레네 바리엔토스는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두 사망 사건 모두 계획된 암살이었다는 소문이 있다.[13][14] 퇴임 후 추가로 8명의 전직 대통령이 여러 방식으로 암살당했다.

3. 5. 1. 부통령직 부재 시 승계

2009년 헌법 제169조 I항에 따르면, "대통령의 직무수행 불능 또는 확정적인 부재 시에는 부통령이 대통령을 대행하며, 부통령이 부재 시에는 상원 의장이, 상원 의장이 부재 시에는 하원 의장이 대행한다. 마지막 경우에는 최대 90일 이내에 새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15]

역사적으로 볼리비아의 여러 헌법 하에서 부통령직이 존재하지 않았거나 공석인 기간이 여러 차례 있었다. 1839년 10월 26일부터 1878년 2월 15일까지 부통령직이 폐지되었으며, 상원 의장이 계승 순위 첫 번째였다.[16] 이 기간 동안 우세비오 기야르테와 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틀레르는 국가평의회 의장 자격으로 권력을 잡았다.

3. 5. 2. 임시 대통령

전임 대통령의 임기를 완수하는 대신, 임시 대통령들은 새로운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직무를 수행했다. 이 기간은 전임 대통령의 임기를 넘기거나 단축시키기도 했다. 호세 마리아 페레스 데 우르디니네아, 펠리페 세군도 구즈만, 카를로스 블랑코 갈린도, 카를로스 킨타닐라, 네스토르 기옌, 토마스 몬헤, 발터 게바라, 리디아 게일러 테하다,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정치인),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자니네 아녜스 모두 전임 대통령이 사임, 축출, 사망 또는 기타 사유로 직무를 떠나 새로운 선거를 통해 후임자를 선출해야 했기 때문에 임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호세 미겔 데 벨라스코 프랑코는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의 부재 중 초기에 권한대행 대통령이었지만, 산타 크루스가 취임 선서를 하러 오지 않자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이로 인해 의회에서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해야 했다.

3. 5. 3. 권한 대행

대통령의 일시적 직무수행 불능이나 해외 부재 시에는, 대통령 승계 순서에 따라 하급 관리에게 대통령 권한대행 (프레시덴테 엔 에헤르시시오/Presidente en ejercicioes) 직책이 이양된다. 2012년 9월, 상원 의장 가브리엘라 몬타뇨가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7] 호세 미구엘 데 벨라스코 프랑코, 마리아노 엔리케 칼보, 페드로 호세 도밍고 데 게라는 여러 달, 혹은 엔리케 칼보의 경우 수년에 걸쳐 특히 오랜 기간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볼리비아 대통령 관저인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

4. 대통령 관저

팔라시오 케마도(Palacio Quemado)는 볼리비아의 법률 수도인 라파스에 위치하며, 1853년부터 2018년까지 볼리비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였다.[18] 별칭은 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틀러에 반대하는 반군이 1875년 건물을 점령하는 데 실패하고 대신 불을 지른 사건에서 유래했다.[18] 이후 여러 차례 재건축 및 재단장을 거쳤지만, 이름은 그대로 남았다. 2018년 말, 정부 청사로서의 기능을 중단하고 박물관으로 전환될 계획이었다.[18]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잠시 다시 사용되었지만, 다시 박물관으로 돌아왔다.

2018년,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은 팔라시오 케마도를 대신하여 볼리비아 다민족 국가의 행정부 청사로서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Great House of the People)로 대통령 관저를 이전했다.[19] 2018년 8월 9일 개관한 이 건물에는 대통령과 여러 정부 부처가 있다. 2019년, 자니네 아녜스 임시 대통령은 새 건물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팔라시오 케마도로 업무를 다시 이전했지만, 다른 정부 부처들은 새 건물에서 계속 운영되었다.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는 2020년 11월 8일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 취임 후 다시 대통령 관저가 되었다.

4. 1. 팔라시오 케마도

팔라시오 케마도(Palacio Quemado)는 볼리비아의 법률 수도인 라파스에 위치하며, 1853년부터 2018년까지 볼리비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였다.[18] '불타버린 궁전'이라는 뜻의 이 별칭은 1875년 토마스 프리아스 아메틀러에 반대하는 반군이 건물을 점령하는 데 실패하고 대신 불을 지른 사건에서 유래했다.[18] 이후 여러 차례 재건축 및 재단장을 거쳤지만, 이름은 그대로 남았다.[18] 2018년 말, 정부 청사로서의 기능을 중단하고 박물관으로 전환될 계획이었다.[18]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잠시 다시 사용되었지만, 다시 박물관으로 돌아왔다.[18]

4. 2.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Great House of the People)는 2018년 8월 9일에 개관하여 볼리비아 다민족 국가의 행정부 청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9]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은 팔라시오 케마도를 대신하여 이곳으로 대통령 관저를 이전했으며, 대통령과 여러 정부 부처가 이 건물에 입주했다.[19] 팔라시오 케마도는 1853년부터 2018년까지 볼리비아 대통령의 공식 관저였으며, 1875년 화재 사건 이후 여러 차례 재건축 및 재단장을 거쳤다.[18] 2018년 말 정부 청사 기능을 중단하고 박물관으로 전환될 계획이었으나,[18] 2019년 자니네 아녜스 임시 대통령은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를 사용하지 않고 팔라시오 케마도로 업무를 이전했다. 하지만 다른 정부 부처는 카사 그란데 델 푸에블로에서 계속 운영되었다. 이후 2020년 11월 8일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 취임 후 다시 대통령 관저가 되었다.

5. 대통령 의전

5. 1. 대통령 전용기

볼리비아 대통령의 수송은 볼리비아 대통령 공군단이 담당한다. 국내 단거리 이동에는 EC145 헬리콥터를, 국내외 장거리 이동에는 팔콘 900EX 이지(Falcon 900EX EASY) 항공기를 사용한다. 두 기종 모두 다쏘 에비에이션(Dassault Aviation)(프랑스)에서 제조되었으며, 볼리비아 공군의 항공기 편제에 포함되어 있다.

5. 2. 대통령 경호

대통령 경호대는 볼리비아 육군 소속 군 부대로서 볼리비아 대통령의 안전과 신체 보호를 특수 임무로 한다. 제1 볼리비아 콜로라도 연대 보병 연대로 구성되어 있다. 임무는 정부궁전(Palacio de Gobierno)과 카사 그란데(Casa Grande)를 비롯한 대통령 관저의 경비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 부대는 각각의 병영을 가진 BI-201과 BI-202 두 개의 보병 대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라파스 시에 위치해 있다. '칼라마 본부'(Calama headquarters)는 같은 이름의 거리에 있으며, 부대 본부와 연대 병영, 훈련소가 운영된다. 킬리 킬리 언덕(Quilli Quilli hill)에 자리 잡은 미라도르 병영(Mirador barracks)도 있다. 빌라 파본(Villa Pavón) 지역은 돌격, 지원, 인명 보호, 응급 처치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화 훈련 센터이다. 또한, 밤에 정부궁전을 경계하고 경비를 서는 병사들을 위한 숙소가 국민의 카사 그란데(Casa Grande del Pueblo)에 마련되어 있다.

6. 볼리비아 정치와 대통령

1825년 독립 이후 볼리비아는 독립 전쟁의 주요 인물들, 태평양 전쟁 지도자들, 귀족 대표들, 군사 독재자들, 그리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어 왔다.[20] 이러한 인물들의 권력 장악 과정의 복잡성 때문에 볼리비아 대통령은 두 그룹으로 나뉜다. 첫 번째 그룹은 혁명이나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았지만 나중에 합헌화된 경우를 포함하여 합법적이거나 준합법적인 수단을 통해 권력에 오른 "합헌적(Constitucionales)" 대통령이다.[20] 나머지는 군사적으로 권력을 잡고 합헌화되지 않은 사실상의 대통령(de facto presidents)으로 알려져 있다.[20] 세 번째 범주는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권력을 맡은 임시 대통령이다. 역사적으로 임시 대통령은 그들의 취임의 합법성에 따라 합헌적이거나 사실상의 대통령이었다.[20]

볼리비아 역사를 통틀어 1839년, 1841년, 1848년, 1879년~1880년,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19년에 국가 원수가 없는 기간이 여섯 차례 있었다. 7개의 정부는 삼두정부(triumvirates)로 구성되었다: 1861년, 1899년, 1920년~1921년, 1970년, 1978년, 1981년, 그리고 1982년. 1928년 한 달 동안 에르난도 실레스 레이스의 내각이 국가를 통치했는데, 이는 구성된 정부가 대리인에 의해 주재되지 않은 유일한 시기였다. 1965년, 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의 충성스러운 지지자들의 불만에 직면하여 레네 바리엔토스 대통령은 1965년 5월 26일 자신과 오반도 사이에 공동 대통령직을 수립했다. 이는 볼리비아 역사상 두 명의 대통령이 동시에 통치한 유일한 사례이며, 바리엔토스가 다가오는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사임한 1966년 1월 2일까지 지속되었다.[21]

1983년, '''울티마 오라''' 신문은 가장 중요한 7명의 역사적 대통령을 결정하기 위해 여론 조사를 실시했다. "선정된" 대통령들은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 마리아노 멜가레호, 아니세토 아르세, 이스마엘 몬테스, 그리고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였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최초의 원주민 대통령.
리디아 게일러 테하다, 볼리비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
수크레는 1826년 정치 헌법 공포와 함께 국가의 초기 발전을 감독했다.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는 1836년 볼리비아와 페루의 통합을 감독하여 페루-볼리비아 연방을 건설했다. 그의 최고 보호자로서의 페루-볼리비아 연방 시대는 남미 대륙에서 볼리비아의 정치적 힘의 절정을 보았지만, 궁극적으로 실패로 끝나고 두 국가는 분리되었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는 아마도 가장 포퓰리즘적인 볼리비아 대통령 중 한 명으로, 부의 분배를 통해 국가를 현대화하려고 시도했다. 마리아노 멜가레호의 독재는 야당과 볼리비아 원주민 인구에 대한 잔혹한 탄압을 보았다. 태평양 전쟁 이후 아니세토 아르세와 이스마엘 몬테스는 각각 보수당과 자유당 시대의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되었다.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는 1952년 국민혁명을 이끌었고 20세기 후반 볼리비아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혁명적 민족주의 운동(MNR)을 창당했다.

6. 1. 역대 대통령들의 유형

1825년 독립 이후 볼리비아는 독립 전쟁의 주요 인물들, 태평양 전쟁 지도자들, 귀족 대표들, 군사 독재자들, 그리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어 왔다.[20] 볼리비아 대통령은 권력 장악 과정의 복잡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혁명이나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았지만 나중에 합헌화된 경우를 포함하여 합법적이거나 준합법적인 수단을 통해 권력에 오른 "합헌적(Constitucionales)" 대통령이다.[20] 나머지는 군사적으로 권력을 잡고 합헌화되지 않은 사실상의 대통령(de facto presidents)이다.[20] 세 번째 범주는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권력을 맡은 임시 대통령이다.[20]

볼리비아 역사를 통틀어 국가 원수가 없는 기간은 여섯 차례 있었다.[20] 7개의 정부는 삼두정부(triumvirates)로 구성되었다.[21] 1928년에는 에르난도 실레스 레이스의 내각이 한 달 동안 국가를 통치했다.[21] 1965년에는 알프레도 오반도 칸디아의 지지자들의 불만에 직면하여 레네 바리엔토스 대통령이 자신과 오반도 사이에 공동 대통령직을 수립했다.[21]

1983년 '''울티마 오라''' 신문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7명의 역사적 대통령으로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 마리아노 멜가레호, 아니세토 아르세, 이스마엘 몬테스,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가 선정되었다. 수크레는 국가의 초기 발전을 감독했고,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는 페루-볼리비아 연방을 건설했다. 마누엘 이시도로 벨수는 부의 분배를 통해 국가를 현대화하려고 시도했다. 마리아노 멜가레호의 독재는 야당과 원주민에 대한 잔혹한 탄압으로 특징지어진다. 태평양 전쟁 이후 아니세토 아르세와 이스마엘 몬테스는 각각 보수당과 자유당 시대의 영향력 있는 지도자가 되었다. 빅토르 파스 에스텐소로는 1952년 국민혁명을 이끌었고 혁명적 민족주의 운동(MNR)을 창당했다.

6. 2. 주요 대통령

6. 2. 1. 원주민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는 여러 학술 연구, 및 BBC 뉴스와 같은 언론 보도에서 볼리비아 최초의 원주민 대통령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모랄레스가 유럽계 혈통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유전적으로는 순수 원주민이라기보다는 메스티소(mestizo)에 가깝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주장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게다가 전 대통령인 엔리케 페냐란다는 상당 부분 원주민 혈통이었고, 안드레스 데 산타 크루스는 아이마라와 잉카 혈통이었다. 하르텐(Harten)은 그의 유전적 구성과 관계없이 대다수의 볼리비아인들이 모랄레스를 최초의 원주민 대통령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잘못되었고, 틀렸으며 무엇보다도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볼리비아 사회에서 원주민성은 문화적 정체성에 뿌리를 둔 유동적인 개념이다. 예를 들어, 도시 지역에 정착하여 전통적인 농촌 관습을 버린 많은 원주민들은 자신을 메스티소로 여기게 되었다.

6. 2. 2. 여성 대통령

볼리비아의 대통령을 역임한 여성은 두 명이다. 리디아 게일러 테하다(Lidia Gueiler Tejada)는 1979년 11월 16일, 알베르토 나투슈(Alberto Natusch)의 단기 쿠데타 이후 볼리비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아메리카 대륙 역사상 두 번째)이 되었다. 자니네 아녜스(Jeanine Áñez)는 두 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여성 대통령으로 2019년 11월 12일부터 2020년 11월 8일까지 재임했다. 두 여성 모두 의회 의원으로서 임시직으로 취임하는 등 비슷한 방식으로 권력을 잡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볼리비아 역사상 국민 투표를 통해 여성 대통령이 선출된 적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OF FOREIGN AFFAIRS http://www.un.int/pr[...] 2020-11-24
[2] 웹사이트 El Tribunal Constitucional de Bolivia anula la reelección indefinida e inhabilita a Evo Morales para 2025 https://elpais.com/a[...] 2023-12-30
[3] 웹사이트 Presidente del TCP retrocede, ahora dice que aplicará decisión de la CorteIDH sobre la reelección https://www.lostiemp[...] 2023-09-14
[4] 웹사이트 El salario del Presidente sube de 22.987 a 24.251 bolivianos https://www.opinion.[...]
[5]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17-04-06
[6] 웹사이트 ¿Quién fue el primer presidente de Bolivia?; se enciende el debate por el cargo de Simón Bolívar https://eju.tv/2011/[...] 2020-11-24
[7] 웹사이트 Primera Constitucion Política de Bolivia o Constitución Bolivariana https://jorgemachica[...] 2020-11-24
[8] 웹사이트 Bolivia: Constitución política de 1826, 19 de noviembre de 1826 https://www.lexivox.[...] 2020-11-24
[9] 웹사이트 Bolivia: Constitución política de 1831, 14 de agosto de 1831 https://www.lexivox.[...] 2020-11-24
[10] 웹사이트 Bolivia: Constitución Política del Estado de 2009, 7 de febrero de 2009 https://www.lexivox.[...] 2020-11-24
[11] 뉴스 Bolivian referendum goes against Evo Morales as voters reject fourth term https://www.theguard[...] 2016-02-24
[12] 웹사이트 Bolivia Says Goodbye to Term Limits https://nacla.org/ne[...] 2020-11-24
[13] 웹사이트 Conmoción y duda: ¿fue la muerte de Germán Busch un suicidio? https://www.paginasi[...] 2020-12-07
[14] 웹사이트 ¿René Barrientos fue víctima de un magnicidio? https://www.paginasi[...] 2020-12-07
[15] 서적 Nueva Constitución Política del Estado http://www.presidenc[...] 2009-02-12
[16] 웹사이트 Bolivia: Constitución política de 1839, 26 de octubre de 1839 https://www.lexivox.[...] 2020-11-24
[17] 뉴스 Montaño asume la Presidencia interina de Bolivia, Evo va a la ONU y hablará del mar http://www.la-razon.[...] 2012-09-24
[18] 웹사이트 Evo ratifica que Palacio Quemado se convertirá en museo tras inauguración de Casa Grande del Pueblo https://www.opinion.[...] 2020-11-24
[19] 웹사이트 Una casa para el pueblo – La Razón http://www.la-razon.[...] 2020-11-24
[20] 학술지 Inhalt http://dx.doi.org/10[...] 2016-01-01
[21] 웹사이트 La Co -Presidencia Barrientos – Ovando 1965 https://www.educa.co[...] 2020-11-24
[22] 웹사이트 El salario del Presidente sube de 22.987 a 24.251 bolivianos https://www.opinion.[...] 2023-08-28
[23] 문서 Cornelio Saavedra의 사망에 대한 기념비 건립에 대한 정부 법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