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다페스트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다페스트 지하철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운행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4개의 노선(M1~M4)으로 구성되어 있다. 1896년 개통된 M1호선은 유럽 대륙 최초의 지하철로, 안드라시 거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M2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M3호선은 남북 방향으로 운행하며, M4호선은 2014년에 개통되어 최신 기술이 적용되었다. 총 4개의 노선은 총 52개의 역을 운영하며, 2004년 기준 평일 이용객은 약 127만 명에 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다페스트 지하철 -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은 1896년 헝가리 건국 천년을 기념하여 개통된 부다페스트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 노선으로, 언드라시 거리 지하를 따라 뵈뢰슈머르치 광장에서 버로슬리게트 공원까지 운행하며, 유럽 대륙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지하철 노선으로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안드라시 거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18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글래스고 지하철
글래스고 지하철은 1896년에 개통되어 125년 동안 확장 없이 운행된 10.5km 길이의 순환선으로, 외선순환과 내선순환 두 노선에 15개의 역이 있으며, 1977년 재개발 후 1980년 재개통되었고 2023년 12월부터 무인 운전 열차가 운행된다. - 18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소토보선
보소 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지바현 지바시 주오구 지바역에서 가모가와시 아와카모가와역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노선인 소토보선은 도쿄 도심과 직결 운행하며 지역 주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한다.
부다페스트 지하철 | |
---|---|
개요 | |
![]() | |
현지 명칭 | Budapesti metró (부더페슈티 메트로) |
소유주 | 부다페스트 수도 |
위치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운송 유형 | 급행 철도 |
노선 수 | 4개 |
역 수 | 48개 |
일일 승객 수 | 127만 명 (2009년) |
연간 승객 수 | 3억 8260만 명 (2023년) |
웹사이트 | https://www.bkk.hu/en/%7CBKK 대중교통 |
개통일 | 1896년 5월 2일 |
운영 기관 | 부다페스트 교통 센터 부다페스트 교통 유한회사 (BKV) |
시스템 길이 | 39.4 km |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 해당 없음 |
평균 속도 | 해당 없음 |
최고 속도 | 80 km/h |
노선 정보 | |
![]() | |
추가 정보 | |
![]() | |
![]() |
2. 역사
부다페스트 지하철은 시내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되었다. 1870년 국민의회는 언드라시 거리 노면 건설 반대 의견을 수용, 지하철 건설 계획을 승인했다. 1894년 독일 지멘스 사가 착공하여 2년 만에 1호선을 완공했다. 헝가리 건국 1000주년(1896년 5월 2일)에 맞춰 개통된 1호선은 뵈뢰슈머르치 광장에서 버로슬리게트까지 3.7km 구간을 운행했다. 11개 역 중 9개가 지하에 있었고, 열차는 2분 간격으로 하루 3만 5천 명(현재 평일 10만 3천 명)을 수송했다.
1895년 남북, 동서 방향 2개 노선이 추가 계획되었다. 2호선은 1942년 최초 계획 후 1950년 건설 법령이 제정되었으나, 재정 및 정치 문제로 1954년부터 1963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 1970년 4월 4일 7개 역으로 개통된 2호선은 다뉴브 강을 건너 부더 지구까지 연결되는 유일한 노선이다. 1, 3호선과 데아크 페렌츠 광장역에서 환승된다.
1호선은 1970년부터 1973년까지 차량 교체 등 전면 개보수를 거쳐 좌측통행에서 우측통행으로 변경되었다. 1973년 1, 2호선이 연장되어 현재 노선 길이(1호선 4.4km, 2호선 10.3km)가 되었다. 부다페스트 교통 회사(BKV)가 운영을 인수한 1976년, 노선별 색상이 도입되어 1호선은 노란색, 2호선은 빨간색, 3호선은 파란색으로 지정되었다.
3호선은 1963년 법령 제정 후 1970년 착공, 1976년 6개 역으로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0년 남쪽 5개 역, 1981년, 1984년, 1990년 북쪽 9개 역이 추가 개통되어 총 20개 역, 17km의 부다페스트 최장 노선이 되었다.
1980년대부터 90년대까지 1호선은 대대적인 개수를 거쳤다. 11개 역 중 8개 역은 옛 모습을 유지하고 3개 역은 재건되었다. 각 역은 천년제 시대를 연상시키는 시설과 사진, 정보가 전시된 작은 박물관처럼 꾸며졌다. 데아크 페렌츠 광장 지하 통로에는 지하철 박물관이 있다.
2002년 유네스코는 "언드라시 거리와 그 지하"를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 이는 인류 기술 진보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산업 유산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다.[40]
2006년 착공된 4호선은 2014년 3월 14일 켈렌페르드역과 동역을 잇는 7.5km 구간(10개 역)이 개통되었다.
2. 1. 1호선 (밀레니엄 지하철)
1896년 헝가리 건국 10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유럽 대륙 최초의 지하철이다. 독일 지멘스 사의 기술력으로 2년 만에 완공되었으며, 당시 최첨단 기술인 개착식 공법이 사용되었다.[40] 초기에는 뵈뢰슈머르치 광장에서 버로슬리게트(시민 공원)까지 3.7km 구간을 운행했으며, 11개 역 중 9개가 지하역이었다. 열차는 2분 간격으로 운행되었고 하루 수송 능력은 3만 5천 명이었다(현재는 평일 10만 3천 명).[40]1970년대 초반까지 대대적인 개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좌측통행에서 우측통행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역사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각 역은 작은 박물관처럼 꾸며졌다.[40] 200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40]

2. 2. 2호선
1942년에 2호선 건설의 최초 계획이 세워졌고, 1950년에 의회에서 건설 법령이 제정되었다.[40] 2호선은 원래 동역과 남역을 연결할 예정이었다.[40] 1955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재정과 정치적인 이유로 1954년부터 1963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40] 결국 1970년 4월 4일(당시 공산당의 휴일)에 7개 역으로 개통되었다.[40] 이 노선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도나우 강을 건너 부더 지구까지 도달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40] 1호선과는 데아크 페렌츠 광장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며, 이후 3호선도 같은 역에서 연결되었다.[40]1973년, 2호선은 4개 역을 연장하여 현재의 10.3km 노선 길이에 도달했다.[40] 같은 해 부다페스트 교통회사(BKV)가 지하철 운영을 인수받았고, 노선별 색상이 도입되면서 2호선은 빨간색으로 지정되었다.[40]

M2호선은 부다의 크리스티너바로스에 있는 델리 팔리우드바르에서 시작하여 도심을 거쳐 페슈트 동부에 있는 외르시 베제르 테레까지 동서로 운행한다. 헝가리 국영 철도는 델리와 케레티 팔리우드바르에서, M1호선 및 M3호선은 데아크 페렌츠 광장에서, M4호선은 케레티 팔리우드바르에서, 교외 철도 H8호선 및 H9호선은 외르시 베제르 테레에서, 교외 철도 H5호선은 바트야니 광장에서 연결된다. M4호선 개통 전까지 45년 이상 부다 지역을 운행하는 유일한 지하철 노선이었다.
2000년대 후반, 2호선은 대대적인 재건축을 거쳤다.[23] 2007년까지 모든 선로가 교체되고 역이 개조되었다.[23] 2013년까지 노선에서 운행되던 메트로바곤마쉬 81-717/81-714 및 Ev/EvA 객차는 모두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지하철 차량으로 교체되었다.[23]

2021년에는 M2호선과 교외 철도 노선을 연결하는 새로운 공동 역을 외르시 베제르 테레에 건설하고, 헝가리 엑스포 부다페스트 컨벤션 및 전시 센터 근처에 새로운 지하철역을 추가하여 간선 철도와의 환승 지점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계획이 시작되었다.[24]
2. 3. 3호선
1963년에 3호선 건설에 대한 최초 법령이 제정되었고, 1970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76년에 첫 6개 역 구간이 개업하였다.[26] 이후 1980년 남쪽으로 5개 역 구간, 1981년, 1984년, 1990년에는 북쪽으로 9개 역 구간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어 총 20개 역, 17km의 부다페스트에서 가장 긴 노선이 완성되었다.[26] 3호선은 부다페스트의 페슈트 지역을 남북 방향(더 정확하게는 북북동에서 남동 방향)으로 관통하며, 인구 밀집 지역과 시내를 연결한다.[25]
3호선은 데ák 페렌츠 광장에서 1호선 및 2호선과 환승되며, 칼빈 광장에서는 4호선과 환승된다.[25] 하루 이용객은 약 61만 명으로 추산된다.[26] 1990년에는 반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7]
2017년부터 2023년까지 3호선 전 구간에 걸쳐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진행되었다.[28][29] 이 사업에는 역 재건, 선로 재건, 안전 장비 설치, 환기 시설 개선, 터널 단열 등이 포함되었으며, 뉴 세체니 계획(New Széchenyi Plan)에 따라 유럽 연합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28] 리모델링은 2023년 5월, Nagyvárad tér역과 Lehel tér역의 개통으로 완료되었다.[29]
2. 4. 4호선
M4호선은 부다의 켈렌푀르드 지역에 있는 켈렌푀르드 기차역에서 요제프바로스의 동역까지 남서-북동 방향으로 운행되는 노선이다. 총 연장 7.4km로 종착역에서 헝가리 국철과 연결되며, 칼빈 광장에서 M3호선, 동역에서 M2호선과 연결된다.[30] 2014년 3월에 완공되었으며 1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30]2006년부터 4호선 공사가 착공되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공사가 대폭 지연되었다. 2014년3월 14일 켈렌페르드역과 동역을 연결하는 7.5km 구간(10개 역)이 개통되었다. 차량은 알스톰 제이다.

2. 5. 5호선 (계획 중)
5호선(M5)은 현재 분리된 교외 철도 네트워크, 즉 H5, H6 및 H7 교외 철도 노선을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부다페스트-에스테르곰 및 부다페스트-쿤센트미클로스-타스 철도 노선을 연결하기 위한 남북 철도 터널 건설 계획이다.[31]
현재 이 프로젝트는 주류 정치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장기 계획에만 포함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2030년까지 계획)는 남부 H6 및 H7 노선을 칼빈 테르를 경유하여 아스토리아 지하철역으로 연장하고 연결하여 이 노선을 지하철 2, 3, 4호선에 연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옥토곤에서 지하철 1호선, 레헬 테르에서 3호선과 연결한 다음 다뉴브강을 건너 부다쪽으로 가서 센텐드레 방면의 교외 철도 H5 노선을 연결하는 것이다.
3. 운행 노선
부다페스트 지하철은 4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노선은 색깔로 구분된다. 1호선(노란색)은 1896년에 개통되어 가장 오래되었고, 뵈뢰슈머르치 광장 역에서 멕시코 거리 역까지 4.4km 구간을 운행하며 11개의 역이 있다.[18] 2호선(빨간색)은 1970년에 개통되었고, 남부다페스트 역에서 외르시 베제르 광장 역까지 10.3km 구간을 운행하며 11개의 역이 있다.[19] 3호선(파란색)은 1976년에 개통되어 가장 길며, 우이페슈트쾨즈폰트 역에서 쾨바녀키슈페슈트 역까지 17.3km 구간을 운행하며 20개의 역이 있다.[20] 4호선(초록색)은 2014년에 개통되었고, 켈렌푈드 역에서 동역까지 7.4km 구간을 운행하며 10개의 역이 있다.[21]
각 노선은 데아크 페렌츠 광장 등 환승역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3. 1. 1호선 (노랑)
M1호선은 부다페스트 시내에서 페슈트쪽의 안드라시 거리 아래를 지나 북동쪽으로 뻗어 바러시리게트(시립 공원)까지 이어진다. M3호선과 마찬가지로 부다는 지나지 않는다. M1호선은 부다페스트에서 운행되는 지하철 노선 중 가장 오래된 노선으로, 1896년부터 중단 없이 운행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이 노선은 대대적인 재건축을 거쳤다. M2호선 역의 데아크 페렌츠 광장 건설 중 M1호선 데아크 페렌츠 광장 역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면서, M1호선 데아크 페렌츠 광장 역은 원래 역에서 약 40미터 떨어진 곳으로 재건축해야 했다. 현재 운행되는 11개 역 중 8개는 원래 역이며, 3개는 재건축 중에 추가되었다. 오래된 역들의 원래 모습은 보존되었으며, 각 역에는 역사적인 사진과 정보가 전시되어 있다. 재건축의 일환으로, 밀레니엄 지하철 박물관이 데아크 페렌츠 광장 역의 구역과 연결되었다.[22]
노선명 | 개통 연도 | 구간 | 거리 | 역 수 |
---|---|---|---|---|
1호선 | 1896년 | 뵈뢰스마르티 광장역 - 멕시코 거리역 | 4.4km | 11 |
3. 2. 2호선 (빨강)
2호선 (빨강)은 남부다페스트 역(Déli pályaudvar)에서 시작하여 외르시 베제르 광장 역(Örs vezér tere)까지 이어진다. 1970년에 개통되었으며, 총 10.3km 거리에 11개의 역이 있다.
헝가리 국영 철도는 델리와 케레티 팔리우드바르에서, 1호선 및 3호선은 데악 페렌츠 광장에서, 4호선은 케레티 팔리우드바르에서, 교외 철도 H8호선 및 H9호선은 외르시 베제르 테레에서, 교외 철도 H5호선은 바트야니 광장에서 연결된다. M4호선 개통 전까지 45년 이상 부다 지역을 운행하는 유일한 지하철 노선이었다.[23]
2000년대 후반 대대적인 재건축을 거쳐 2007년까지 모든 선로가 교체되고 역이 개조되었다. 노선에서 운행되던 모든 메트로바곤마쉬 81-717/81-714 및 Ev/EvA 객차는 2013년까지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지하철 차량으로 교체되었다.[23]
M2호선과 교외 철도 노선을 외르시 베제르 테레에 새로운 공동 역을 건설하고 헝가리 엑스포 부다페스트 컨벤션 및 전시 센터 근처에 새로운 지하철역을 추가하여 간선 철도와의 또 다른 환승 지점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계획이 2021년에 시작되었다.[24]
3. 3. 3호선 (파랑)
M3호선은 부다페스트 지하철에서 가장 긴 노선으로, 페슈트 지역을 남북 방향(정확히는 북북동-동남쪽)으로 운행하며 인구 밀집 주거 지역과 시내를 연결한다.[25] 데ák 페렌츠 광장에서 M1호선, M2호선과, 칼빈 광장에서 M4호선과 환승할 수 있다. 일일 이용객은 약 61만 명으로 추산된다.[26] 1990년에는 반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이 도입되었다.[27]
2017년, 노선 전체 리모델링이 시작되어 2023년 5월에 완료되었다. 이 사업에는 역 및 선로 재건, 안전 장비, 환기 및 터널 단열 개선 작업이 포함되었으며, 뉴 세체니 계획(New Széchenyi Plan)에 따라 유럽 연합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 차량 개량과 노선을 Káposztásmegyer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포함되었다.[28][29]
3. 4. 4호선 (초록)
M4호선은 부다페스트 부다의 켈렌푈드 지역에 있는 켈렌푈드 기차역에서 요제프바로스의 동역까지 남서-북동 방향으로 운행된다. 총 연장 7.4km로 종착역에서 헝가리 국철과 연결되며, 칼빈 광장에서 M3호선, 동역에서 M2호선과 연결된다. M4호선은 2014년 3월에 완공되었으며 1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30]
4. 이용 방법
부다페스트 지하철 이용 시 승차권은 에스컬레이터 입구의 주황색 각인기에 넣어 유효화해야 한다.[32] 각인된 승차권은 역을 나올 때까지 소지해야 하며, 역무원의 검표에 대비해야 한다. 역무원은 파란색 완장과 신분증을 착용하고 수시로 검표하며, 유효한 승차권이 없으면 벌금이 부과된다.[32]
탑승 방향은 종착역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종착역명은 역과 에스컬레이터, 터널 벽에 게시되어 있다.
2, 3, 4호선은 대부분 역에 교통약자를 위한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다. 4호선은 지상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지만, 휠체어 사용자는 도로를 건너는 지하도를 이용해야 한다. 1호선은 3개 역만 교통약자를 위한 시설이 있다.
4. 1. 일반 정보
모든 노선은 데아크 광장역에서 환승 가능하다.[32] 2호선과 4호선은 동역에서, 3호선과 4호선은 칼빈 광장역(Kálvin térhu)에서 환승 가능하다.[32]승차권은 에스컬레이터 탑승 전 각인기에 타각하여 유효화해야 한다.[32] 타각기에 타각하면 역 정보와 함께 날짜와 시간이 권면에 인쇄된다.[32] 승차권은 지하철역을 나올 때까지 소지해야 한다.[32] 역무원이 불시에 승차권 검사를 하며, 무임승차 시 벌금이 부과된다.[32] 역무원은 파란색 완장과 신분증을 착용하고 있지만, 검사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숨기고 있는 경우도 있다.[32] BKK의 일반적인 티켓과 정기권은 모든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1회권은 지하철 노선을 갈아탈 때 재사용할 수 있다.[32]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에 대한 계획이 있다.[33] 2014년에 시스템 계약이 체결되었지만,[34] 2018년에 완료되지 않고 종료되었다.[35] 2023년 6월 100E번 버스 노선에 도입된 부다페스트 Pay&GO 시스템은 M1 노선에서 테스트 단계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4년 3월 1일부터 14세 미만 어린이와 65세 이상 노인(비 헝가리 시민 포함)에게 대중교통 무료 혜택이 확대되었다.[36]


4. 2. 승차권 종류
BKK에서 발행하는 일반적인 승차권과 정기권은 모든 부다페스트 지하철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다. 1회권은 지하철 노선을 갈아탈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다.[32]승차권은 에스컬레이터를 타기 전 입구에 있는 주황색 펀칭기에 넣어 유효하게 만들어야 한다. 지하철역을 나올 때까지 소지해야 하며, 펀칭기에 넣으면 역 정보, 날짜, 시간이 승차권에 인쇄된다. 역무원은 역의 에스컬레이터 부근이나 지하철 구역 내에서 승차권을 검사하며, 요구 시 승차권 또는 정기권을 제시해야 한다. 역무원은 파란색 완장과 신분증을 착용하지만, 검표 전까지는 숨기고 있을 수 있다. 유효한 승차권이 없으면 외국인도 벌금 대상이 될 수 있다.
탑승 방향은 종착역의 역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종착역명은 역과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터널 벽에 게시되어 있다.
승차권은 뉴스 가판대, 지하철역, 승차권 판매소, 자동 발권기, 시내의 HÉV역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지하철 외에도 노면 전차, 트롤리버스, 퓨니쿨라, 버스, HÉV(HÉV의 부다페스트 시내 구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2024년 3월 1일부터 14세 미만 어린이와 65세 이상 노인(비 헝가리 시민 포함)은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36]
종류 | 가격 (HUF) |
---|---|
3개 역까지 구간 승차권 | 300HUF |
환승 없음 승차권 | 350HUF |
환승 있음 승차권 | 530HUF |
24시간 승차권 | 1650HUF |
72시간 승차권 | 4150HUF |
1주일 승차권 | 4950HUF |
1개월 정기권 | 10500HUF |
3개월 정기권 | 31500HUF |
5개월 정기권(학생용) | 16200HUF |
1년 정기권 | 126000HUF |
(2013년 1월 1일 기준)
5. 기타
- 2000년대 초반 개발을 통해 모든 지하철 노선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해졌다.[6]
- 3호선에서는 모스크바, 프라하의 일부 지하철 노선, 소피아 및 바르샤바와 마찬가지로 소련제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열차는 2명이 운전하며, 3호선을 제외한 மற்ற 노선들은 열차의 속도와 정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카펫"을 가지고 있어, 지하철 제어가 대부분 문 개폐로 이루어진다. 4호선은 완전 자동화되어 운전사 없이 운행된다.[6]
- 대부분의 역은 지하에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일반적으로 역당 3~4대)로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1호선은 환승역 외에는 계단만 있다. 2호선과 3호선에도 16개 역(2호선 3개 역, 3호선 13개 역)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없다.[6]
- 가장 깊은 역은 셜러 칼만 광장역이다.[6]
- 많은 역에는 콘코스가 있지만, 일부 역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가려면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6]
- 최초의 뉴욕 지하철 입구는 부다페스트 지하철을 본떠서 만들어졌다.[6]
- 2002년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부다페스트, 도나우 강변과 부다 성"의 확장 등록 형태로, "안드라시 거리와 그 지하"(Andrássy Avenue and the Underground, 세계 유산 ID400-002)가 세계유산에 포함되었다.[37] 이는 인류 기술적 진보의 훌륭한 예증으로 평가받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산업 유산으로 분류되기도 한다.[38]
5. 1. 통계
2004년 통계에 따르면 부다페스트 지하철의 평일 이용객은 약 127만 명이다. 2003년 이용객 수는 3억 1500만 명으로, 하루 평균 86만 명이다.5. 2. 대중문화
2003년 헝가리 영화 콘트롤은 3호선 지하철 시스템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13] 이 영화는 칸 영화제와 미국에서도 상영되었다. 영화 언더월드에도 부다페스트 지하철에서 촬영된 장면이 나온다.5. 3. 비상 대피 시설
부다페스트 지하철은 공격이나 대규모 재해 발생 시 220,000명에게 대피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공기 정화 필터를 통한 신선한 공기, 식수 (3L), 세척수(1인당 1일 27L)가 포함된다.[6]1950년대에는 헝가리 공산주의 독재자 라코시 마차시와 공산당 정부를 위해 2호선과 국회의사당을 연결하는 비밀 방공호가 건설되었다. 공습이나 핵 공격 시 2,200명이 이곳에 피난하여 지하철을 통해 남역 또는 동역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폐쇄되어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Közszolgáltatási szerződés, utasjogok, a szolgáltatástervezés és ellenőrzés folyamata a kötöttpályás helyi- és elővárosi közforgalmú közlekedésben
http://ko.sze.hu/dow[...]
BKV Zrt. Közlekedési Igazgatóság [Directorate of Public Office. Transport]
2010-09
[2]
웹사이트
Urban passenger traffic in Hungary and Budapest by mode of transport
https://www.ksh.hu/s[...]
2021-08-18
[3]
웹사이트
Siemens.com Budapest Line 4
https://www.swe.siem[...]
2022-12-19
[4]
웹사이트
Budapest M1: Inside continental Europe's oldest metro network
https://edition.cnn.[...]
CNN
2018-12-19
[5]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9 New Sit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6]
웹사이트
Our thematic route with... - Sightseeing along the line of Millennium Underground Railway
https://www.bkv.hu/e[...]
BKV Zrt.
2013-10-18
[7]
문서
Budapest's Electric Underground Railway Is Still Running After More Than 120 Years
https://spectrum.iee[...]
[8]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 World Heritage Committee Inscribes 9 New Sit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3-04-10
[9]
웹사이트
The 10 Oldest Subways in the World
https://www.civitati[...]
2022-12-12
[10]
웹사이트
History of Tünel
https://iett.istanbu[...]
2022-12-12
[11]
웹사이트
Subway (Metro) definition
https://www.merriam-[...]
2022-12-12
[12]
웹사이트
First underground railway of Europe was opened in Budapest – Photo gallery
https://dailynewshun[...]
2017-05-07
[13]
뉴스
Budapest M1: Inside continental Europe's oldest metro network
https://edition.cnn.[...]
CNN
2018-12-19
[14]
뉴스
Russia’s Metrovagonmash and the Budapest metro refurbishment — A curious arrangement
https://hungarianfre[...]
[15]
웹사이트
Budapest's new bus service framework
https://www.intellig[...]
[16]
웹사이트
Budapest opens controversial Metro Line 4
https://www.tunnelta[...]
[17]
웹사이트
Budapest
UrbanRail.net
2019-08-01
[18]
웹사이트
Line M1 Vörösmarty tér - Mexikói út
http://www.urbanrail[...]
2019-03-27
[19]
웹사이트
Line M2 Déli pályaudvar - Örs vezér tere
http://www.urbanrail[...]
2019-03-27
[20]
웹사이트
Line 3 Újpest-Központ - Kõbánya-Kispest
http://www.urbanrail[...]
2019-07-29
[21]
웹사이트
Line M4 Keleti pályaudvar- Kelenföld vasútállomás
http://www.urbanrail[...]
2019-03-27
[22]
뉴스
M1-es metró korszerűsítése és meghosszabbítása - Budapesti Közlekedési Központ
https://bkk.hu/fejle[...]
Budapesti Közlekedési Központ
2017-10-01
[23]
웹사이트
Alstom hands over first Budapest Metropolis train
https://www.railjour[...]
2012-07-12
[24]
간행물
Interconnecting M2 metro and H8-H9 HÉV suburban lines
https://innorail2021[...]
2021-11-17
[25]
서적
Budapest City Atlas
Dimap-Szarvas
2011
[26]
웹사이트
A 4 metróvonal összehasonlítása
https://www.metro4.h[...]
2022-12-19
[27]
웹사이트
Budapest metro Line 3 reconstruction enters final phase
https://www.railjour[...]
2020-11-09
[28]
웹사이트
Megjelent az M3-as metróvonal rekonstrukciójának tervezésére kiírt pályázat
https://bkk.hu/hirek[...]
2013-07-25
[29]
웹사이트
Three reconstructed stations opened on the central section of metro line M3
http://m3felujitas.h[...]
[30]
웹사이트
Automated metro Line M4 opens in Budapes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2014-03-28
[31]
웹사이트
Balázs Mór plan, long term service development plans of the BKK
https://bkk.hu/wp-co[...]
2022-12-19
[32]
웹사이트
Types and prices
https://bkk.hu/en/ti[...]
[33]
뉴스
Már milliárdokért üzemeltetjük Budapesten az elektronikus jegyrendszert, holott még el sem készült
https://tldr.444.hu/[...]
2018-03-12
[34]
웹사이트
Budapest signed the Contract Agreement for the Automated Fare Collection system
https://bkk.hu/en/20[...]
BKK Zrt
2014-10-08
[35]
뉴스
Elektronikus jegyrendszer: felmondta a BKK a szállítói szerződést
https://azonnali.hu/[...]
2018-11-29
[36]
웹사이트
New tariff system in Hungarian public transport from today │ Szegedify
https://www.szegedif[...]
[37]
웹사이트
http://whc.unesco.or[...]
[38]
서적
世界遺産ガイド 文化遺産編・2006年改訂版
シンクタンクせとうち総合研究機構
2006
[39]
문서
세계에서 두번째로 1875년에 개업한 이스탄불의 튀넬은 지하 케이블카라고 하는 특수한 방식을 가지고 있고, 또한 주행거리도 짧기 때문에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이 유라시아 대륙 최초의 지하철이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많다.
[40]
웹사이트
유네스코
http://whc.unesco.or[...]
[41]
서적
世界遺産ガイド 文化遺産編・2006年改訂版
シンクタンクせとうち総合研究機構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