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바르와 페퀴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바르와 페퀴셰》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미완성 소설로, 두 필경사 부바르와 페퀴셰가 시골에서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며 겪는 실패와 좌절을 그린다. 이 작품은 19세기 과학 만능주의와 부르주아 계급의 허영심을 풍자하며, 지식 습득의 허망함과 인간의 한계를 보여준다. 플로베르는 이 소설을 통해 기호와 실재의 관계, 인식론적 문제, 그리고 인간 사고의 소외를 탐구했으며, 《율리시스》와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망디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은 낭만적 환상에 젖은 엠마 보바리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허위와 위선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현대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망디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구토 (소설)
장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소설 《구토》는 주인공 앙투안 로캉탱이 가상의 도시 부빌에서 겪는 실존적 고뇌와 불안을 '구토'라는 감각을 통해 세상의 부조리함과 인간 존재의 우연성을 탐구하며,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1881년 소설 - 왕자와 거지
마크 트웨인이 1881년에 발표한 소설 왕자와 거지는 16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외모가 똑 닮은 왕자 에드워드 6세와 거지 톰 캔티가 옷을 바꿔 입으며 신분이 뒤바뀌는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 1881년 소설 - 하이디
요하나 슈피리의 소설 《알프스 소녀 하이디》는 스위스 알프스에서 할아버지와 사는 고아 소녀 하이디가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성장하는 이야기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다양한 대중매체 작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소설 배경을 모티브로 한 관광지 또한 조성되었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은 낭만적 환상에 젖은 엠마 보바리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허위와 위선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현대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 살람보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역사 소설 살람보는 제1차 포에니 전쟁 후 카르타고와 용병 간 갈등을 배경으로 여사제 살람보와 용병 지도자 마토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루며, 출판 당시 논란에도 불구하고 문체와 줄거리 면에서 호평을 받아 여러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었다.
부바르와 페퀴셰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작품 정보 | |
제목 | 부바르와 페퀴셰 |
원제 | Bouvard et Pécuchet |
저자 | 귀스타브 플로베르 |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장르 | 풍자 소설, 백과사전 소설 |
형태 | 장편 소설 (미완성) |
출판 정보 | |
출판사 | 알퐁스 르메르 |
출판일 | 1881년 |
영어 출판일 | 1896년 |
매체 형태 | 인쇄 (하드커버 & 페이퍼백) |
2. 배경
귀스타브 플로베르는 《부바르와 페퀴셰》를 통해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모두 쏟아부으려 했다. 이 작품은 1863년 《두 마리의 빈대》(Les Deux Cloportes프랑스어)로 처음 구상되었으나, 플로베르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던 1872년에야 본격적으로 집필을 시작했다.[1] 그는 이 작품을 자신의 최고 걸작으로 만들기 위해 1500권이 넘는 책을 읽는 등 철저하게 준비했다.[1] 그러나 1880년 플로베르의 사망으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1]
2. 1. 집필 과정
플로베르는 자신의 생각과 정확히 일치하는 표현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문장을 고치고 다듬으며 언어를 조탁했다. 표현의 완벽성을 추구했기에 한 편의 소설을 쓰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부바르와 페퀴셰》는 작가가 1872년부터 준비했지만, 고통스러운 집필 과정으로 인해 중단했다가 재개했으나 결국 죽음으로 인해 완성하지 못한 마지막 소설이다.원래 1863년에 《두 마리의 빈대》(Les Deux Cloportes)로 구상되었고, 바르텔레미 모리스의 단편 소설 《두 서기》(Les Deux Greffiers, 1841년 《라 레뷰 데 트리뷰노》에 게재)에서 영감을 받았다.[1] 플로베르는 1872년에 재정적 파산 위협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집필을 시작했다.[1] 그는 이 작품을 자신의 걸작으로 만들기 위해 1500권이 넘는 책을 읽었고, 1875-76년에 《세 가지 이야기》를 쓰기 위해 잠시 휴식을 취한 것을 제외하고는 집필에 몰두했다.[1] 1880년 플로베르의 사망으로 미완성된 채로 남겨진 《부바르와 페퀴셰》는 이듬해 출판되었지만, 평론가들은 작품의 메시지와 구조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1]
2. 2. 작가의 의도
플로베르는 ≪부바르와 페퀴셰≫를 통해 19세기 당시 널리 퍼져있던 과학 만능주의와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고자 했다. 그는 이 작품에서 인간의 모든 지적 활동이 헛되고, 변하지 않는 진리란 없다는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드러냈다.또한, 부르주아 계급의 속물근성과 지적 허영심을 풍자하며 당대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플로베르는 부르주아를 '누구든 천박하게 생각하는 사람'으로 여겼으며, 소설 속 샤비뇰의 부르주아들의 상투적이고 진부한 말과 사고방식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드러냈다.
라이오넬 트리링은 이 소설이 인간의 사고가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소외된다는 믿음을 표현한다고 썼다. 부바르와 페퀴셰가 모험을 통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고 계속해서 실패하는 모습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플로베르는 1872년 10월에 이 소설을 "일종의 희극으로 만든 백과사전... 나는 내 분노를 표출할 무언가를 계획하고 있다... 동시대인들에게 그들이 내게 영감을 주는 혐오감을 토해낼 것이다... 그것은 크고 격렬할 것이다."라고 묘사했다.
3. 줄거리
''부바르와 페퀴셰''는 파리의 두 필경사, 프랑수아 드니 바르톨로메 부바르와 쥐스트 로맹 시릴 페퀴셰의 모험을 다룬 소설이다. 이들은 같은 나이에 비슷한 성격을 지녔으며, 1838년 어느 더운 여름날 생마르탱 운하에서 만나 서로에게 끌려 친구가 된다.[1] 부바르가 큰 재산을 상속받게 되면서, 두 사람은 캉과 칼바도스주의 팔레즈 사이, 루앙에서 서쪽으로 약 160.93km 떨어진 노르망디의 샤비뇰 마을 근처로 이주한다.[1][2]
그들은 지적 자극을 얻기 위해 농업, 과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지만, 체계적인 교육 없이 책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도에서 실패한다.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는 점점 나빠지고, 1848년 혁명은 그들에게 많은 실망스러운 논쟁거리를 제공한다.[3]
결국 부바르와 페퀴셰는 지적 방황을 포기하고 "예전처럼 필사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소설은 그들이 필사를 위해 두 사람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책상을 준비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3]
3. 1. 등장인물
프랑수아 드니 바르톨로메 부바르와 쥐스트 로맹 시릴 페퀴셰는 파리의 필경사이다. 두 사람은 생마르탱 운하에서 우연히 만나 친구가 되었으며, 독신이다.[1][3]부바르는 페퀴셰보다 활달하고 적극적인 성격이다. 어느 날 백부의 유산으로 거액을 상속받게 되자, 페퀴셰와 함께 시골로 이주한다.[3]
페퀴셰는 부바르보다 소극적이고 신중한 성격이다.[1] 부바르가 유산을 상속받자 함께 시골로 이주한다.[3]
4. 구조
이 작품은 에피소드 형식의 플롯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카레스크 소설의 성격을 띤다. 이는 이전 작품인 《감정 교육》과 유사하다. 부바르와 페퀴셰는 끈기 부족과 피상적인 지식으로 인해 어떤 주제에도 끈기 있게 매달리는 경우가 드물어, 끊임없이 초보자 상태에 머무른다.[1] 실제적인 성취의 부재와 1848년부터 1851년까지의 급격한 정치적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 시간의 끊임없는 흐름은 이 작품에 강한 긴장감을 조성한다.
베르나르 노댕의 1923년 삽화를 보면 이러한 작품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4. 1. 각 장의 내용
- '''제1장''' (1838-41): 파리의 필경사인 부바르와 페퀴셰는 생마르탱 운하에서 우연히 만나 친구가 된다.[1] 부바르는 백부의 사망으로 거액의 유산을 상속받게 된다.
- '''제2장''' (1841년 3월 – 1842년 가을): 부바르와 페퀴셰는 캉과 칼바도스주의 팔레즈 사이, 루앙에서 100km 서쪽에 위치한 노르망디의 샤비뇰 마을 근처에서 94acre 규모의 재산을 찾는다.[1] 그들은 농업, 조경, 식품 보존 등 농촌 생활을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 '''제3장''': 화학, 해부학, 의학, 생물학, 지질학 등 과학 분야를 탐구한다.
- '''제4장''': 고고학, 건축, 역사 (앙굴렘 공작 루이-앙투안 연구), 기억술 등 인문학 분야를 탐구한다.
- '''제5장''': 문학, 드라마, 문법, 미학 등 예술 분야를 탐구한다.
- '''제6장''' (1848년 2월 25일): 1848년 혁명을 배경으로 정치적 논의를 한다.[3]
- '''제7장''': 사랑에 대해 탐구한다.
- '''제8장''': 체조, 심령주의, 최면술, 스베덴보리주의, 마법, 신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고 자살을 고려하기도 한다. 크리스마스를 맞이한다.
- '''제9장''': 종교에 대해 탐구한다.
- '''제10장''': 빅토르와 빅토리네라는 두 고아를 교육하려 하지만 실패하고, 음악,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주변 사람들과 논쟁을 벌인다.
- '''추정되는 결말''': 골든 크로스 여관에서의 연설, 미래주의, 간신히 감옥행을 면함, 두 사람을 위한 책상 등의 내용이 플로베르의 노트에 기록되어 있다. 마을 사람들은 부바르와 페퀴셰의 기행에 분노하여 그들을 쫓아내거나 정신병원에 감금하려 한다.[3] 세상에 환멸을 느낀 부바르와 페퀴셰는 지적 방황을 포기하고 "예전처럼 필사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3]
5. 주요 주제
플로베르는 ≪부바르와 페퀴셰≫를 통해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먼저, 부바르와 페퀴셰가 끊임없이 지식을 탐구하지만 계속해서 실패하는 모습을 통해, 무엇을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3] 또한, 이들이 기호와 상징을 실제와 혼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인간이 지식을 얻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지적한다.[1]
19세기는 과학이 진리이고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던 시대였다.[2] 플로베르는 이러한 19세기 당시의 과학 만능주의와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며, 과학적 지식의 한계와 허점을 보여준다. 소설에서 부바르와 페퀴셰가 시도하는 거의 모든 과학적 프로젝트는 실패로 돌아간다.[3]
플로베르는 부바르와 페퀴셰를 통해 부르주아 계급의 속물근성과 지적 허영심을 풍자한다. 그는 부르주아를 '천박하게 생각하는 사람'으로 여겼으며, 소설 속에서 샤비뇰의 부르주아들의 진부한 말과 사고방식을 조롱한다.
6. 평가 및 영향
플로베르는 소설을 언어의 문제로 간주하고 언어의 완벽성을 추구한 장인 정신을 가진 작가였다. 그는 주제보다 문체를 중시했으며, 완전한 형식을 통해 절대적인 미를 추구했다.[4] 《부바르와 페퀴셰》는 19세기 과학 시대에 대한 희망과 환멸을 동시에 담고 있으며, 인간 지적 활동의 무용함과 불변하는 진리의 부재를 주장하는 허무주의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에즈라 파운드,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줄리언 반스 등 여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파운드는 이 소설을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에 비유했다.[4] 보르헤스는 이 소설이 프란츠 카프카의 부조리주의를 예견한다고 평가했다.[6] 반스는 "정상적인 기대를 보류하고 반복적인 효과와 미리 소화된 책 지식의 구토를 모두 직면할 수 있는 끈기 있는 독자를 필요로 한다"라고 말했다.[5]
참조
[1]
문서
With the notable exception of mathematics, as pointed out by Raymond Queneau
[2]
서적
L'Age du capitaine. De l'erreur en mathématiques
Seuil
[3]
웹사이트
Bouvard and Pécuchet's Invented Desk For Copying
http://garethlong.ne[...]
2016-07-25
[4]
논문
Inverted Volumes and Fantastic Librairies: "Ulysses" and "Bouvard et Pécuchet"
https://www.jstor.or[...]
2011
[5]
간행물
Flaubert, C'est Moi
https://www.nybooks.[...]
2006-05-25
[6]
문서
Jorge Luis Borges. "A Defense on ''Bouvard et Pécuchet''"
[7]
서적
紋切型辞典
平凡社
199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