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서천군·보령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6년 보령군 대천읍이 대천시로 승격된 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김옥선, 김종필, 이상익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령시의 정치 - 보령시·서천군
충청남도 보령시와 서천군을 관할하는 보령시·서천군 선거구는 2000년 신설되었으며, 보수세가 강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층도 있어 선거마다 접전이 벌어지는 지역이다. - 보령시의 정치 - 보령군 (1948년 선거구)
1948년 신설된 보령군 선거구는 1대 임석규, 2·3·5대 김영선, 4대 이원장이 당선되었으나 1963년 서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서천군·보령군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 서천군의 정치 - 보령시·서천군
충청남도 보령시와 서천군을 관할하는 보령시·서천군 선거구는 2000년 신설되었으며, 보수세가 강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층도 있어 선거마다 접전이 벌어지는 지역이다. - 서천군의 정치 - 서천군수 선거
서천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현재까지 8번 실시되어 박형순, 나소열, 노박래, 김기웅 등이 군수로 당선되었으며, 각 선거마다 정당 구도와 득표수 변화가 있었고, 2022년에는 김기웅 후보가 당선되었다. - 부여군의 정치 - 부여군 (1988년 선거구)
부여군 선거구는 1988년 13대 총선을 앞두고 부여군·서천군·보령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 2000년 16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인구 미달로 청양군과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김종필, 김학원 의원이 당선되었다. - 부여군의 정치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부여군·서천군·보령군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
의회 | 국회 |
큰지도 | 충청남도 |
연도 | 1973 |
폐지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
이후 선거구 |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 |
의원수 | 2인 |
2. 역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다.
다음은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1986년 1월, 보령군 대천읍이 대천시로 승격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 선거구로 각각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김옥선 70,644 41.11 민주공화당 김종익 67,248 39.13 민주통일당 신준희 27,159 15.80 무소속 한광석 6,766 3.93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공화당 김종필 134,513 66.63 신민당 조중연 30,333 15.02 무소속 백남치 9,429 4.67 무소속 김형옥 7,936 3.93 민주통일당 윤세인 7,489 3.70 무소속 한상필 6,450 3.19 무소속 나필열 3,085 1.52 무소속 김홍조 2,529 1.25 무소속 신준희 107 0.05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정의당 이상익 54,328 29.33 민주한국당 조중연 46,844 25.29 한국국민당 임연상 34,524 18.64 무소속 윤상배 30,112 16.25 민권당 김홍조 13,611 7.34 민주사회당 김덕현 5,790 3.12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정의당 이상익 62,907 30.88 신한민주당 김옥선 51,062 25.07 무소속 채의숭 31,916 15.67 민주한국당 조중연 29,394 14.43 한국국민당 임연상 24,274 11.91 근로농민당 이상일 4,101 2.01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김옥선 후보와 민주공화당 김종익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통일당 신준희 후보, 무소속 한광석 후보도 출마했다.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필 | 민주공화당 | 134,513 | 66.63% |
조중연 | 신민당 | 30,333 | 15.02% |
백남치 | 무소속 | 9,429 | 4.67% |
김형옥 | 무소속 | 7,936 | 3.93% |
윤세인 | 민주통일당 | 7,489 | 3.70% |
한상필 | 무소속 | 6,450 | 3.19% |
나필열 | 무소속 | 3,085 | 1.52% |
김홍조 | 무소속 | 2,529 | 1.25% |
신준희 | 무소속 | 107 | 0.05% |
합계 | 201,871 | 100% | |
무효표 | 6,021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와 신민당 조중연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소속 백남치, 김형옥, 한상필, 나필열, 김홍조 후보와 민주통일당 윤세인 후보, 무소속 신준희 후보도 출마했다.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부여군·서천군·보령군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이상익 후보와 민주한국당 조중연 후보가 당선되었다. 한국국민당 임연상 후보, 무소속 윤상배 후보, 민권당 김홍조 후보, 민주사회당 김덕현 후보도 출마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정의당 | 이상익 | 54,328 | 29.33 |
민주한국당 | 조중연 | 46,844 | 25.29 |
한국국민당 | 임연상 | 34,524 | 18.64 |
무소속 | 윤상배 | 30,112 | 16.25 |
민권당 | 김홍조 | 13,611 | 7.34 |
민주사회당 | 김덕현 | 5,790 | 3.12 |
합계 | 185,209 | 100 | |
무효표 | 2,220 |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이상익 후보와 신한민주당 김옥선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소속 채의숭 후보, 민주한국당 조중연 후보, 한국국민당 임연상 후보, 근로농민당 이상일 후보가 출마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상익 | 민주정의당 | 62,907 | 30.88 |
김옥선 | 신한민주당 | 51,062 | 25.07 |
채의숭 | 무소속 | 31,916 | 15.67 |
조중연 | 민주한국당 | 29,394 | 14.43 |
임연상 | 한국국민당 | 24,274 | 11.91 |
이상일 | 근로농민당 | 4,101 | 2.01 |
합계 | 203,654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