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옥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옥선은 정신여자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정치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신민당, 신한민주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제14대 대통령 선거와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국회의원 재직 중 박정희 대통령을 비판하여 시민권을 박탈당하는 '김옥선 파동'을 겪기도 했다. 사회운동가로서 고아원 설립, 교육 사업에도 참여했으며, 2000년대 이후 사기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당파국민연합 - 김중권
    김중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경제 정책 결정을 지원하며 주요 국정 운영에 참여했다.
  • 무당파국민연합 - 김현욱 (정치인)
    김현욱은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제11, 12, 13, 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국민족발전연구원 이사장 등을 지내며 정의구현사제단 비난 등으로 논란이 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후보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후보 - 박찬종
    박찬종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 공인회계사로, 고시 3관왕 및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유신 정권 시절 소신 발언과 대선 출마, 정당 활동 등을 통해 활동해왔으나 지역감정 조장 발언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학교 설립자 - 이용범 (1907년)
    이용범은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광산업과 건설업으로 부를 축적하여 제3대, 제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정선거 연루 의혹과 부정축재 혐의로 곤경을 겪고 정치 활동 금지 후 중도 사퇴했다.
  • 학교 설립자 - 양전백
    양전백은 평안북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로,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7인 중 한 명이며,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김옥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옥선
출생일1934년 4월 2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서천
본관광산
종교개신교
경력
경력신민당 당무위원 겸 당기위원장
신한민주당 부총재 겸 최고위원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
무당파국민연합 고문 겸 당무위원
학력
학력중앙대 대학원 정치학과
정치 활동
정당무소속
의원 선수3
의원 대수7·9·12

2. 학력

wikitext

3. 약력

충청남도 서천군 출신으로, 1남 3녀 중 막내이다. 오빠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으로 사망했으며, 이후 어머니의 각별한 보살핌 아래 남장을 하고 성장했다.[1] 이 때문에 평소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매는 등 남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정신여자고등학교중앙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수료했으며, 도쿄대학교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도쿄성서학원 1년 과정을 수료하고, 세인트 찰스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학력
학교명전공/과정비고
정신여자고등학교졸업
중앙대학교정치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정치학 박사 과정 수료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최고경영자과정 수료
도쿄대학교객원연구원
도쿄성서학원1년 과정 수료
세인트 찰스 대학교법학 박사[2]



19세에 사회운동을 시작하여 고향 장항에 에벤에셀 모자원을 설립하고 한국 전쟁 미망인과 고아 구제 활동에 힘썼다. 1955년에는 고향 장항에 정의여자중학교를, 1959년에는 정의여자고등학교를 설립하며 교육 사업에도 투신했다. 특히 충청남도 보령시 원산도 등 섬 지역에도 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 기회 확대에 기여했다.[1]

1967년 제7대 총선에서 신민당 후보로 충남 서천군에 출마했으나 민주공화당 이원장 후보에게 536표 차이로 패배했다. 그러나 한국 최초로 당선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1년 뒤 승소, 재검표 결과 13표 차이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3] 1973년 제9대 총선에서 충남 서천군·보령군 선거구에서 다시 당선되어 국회에 복귀했으며, 국회 농수산위원, 신민당 정무위원 및 당기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75년, 대정부 질문 도중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 박”으로 지칭하고 유신체제를 “태어나서는 안 될 정권”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일부 내용이 국회 속기록에서 삭제되었고, 김옥선은 국회의원직 박탈은 물론 10년간 공민권까지 박탈당하는 탄압을 받았다(김옥선 파동). 1984년에 공민권이 회복되었고, 이듬해 제12대 총선에서 신한민주당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했다. 이후 신한민주당 내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와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으나 중도에 포기하고 정계를 은퇴했다.[1]

주요 경력
구분내용비고
사회에벤에셀 모자원 설립 (19세)
교육정의여중(1955), 정의여고(1959) 설립송죽학원 이사장 역임[4][2]
교육충남 보령시 원산도 등 섬 지역 중학교 설립[1]
정치제7대 국회의원 (신민당, 충남 서천군)1968년 당선 (당선무효 소송 승소)[3]
정치제9대 국회의원 (신민당, 충남 서천군·보령군)
정치신민당 정무위원, 당기위원장
정치김옥선 파동 (1975년)의원직 및 공민권 박탈
정치제12대 국회의원 (신한민주당, 전국구)3선, 1985년 당선
정치신한민주당 선전분과위원장, 부총재, 정무위원
정치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후보 (무소속)낙선
정치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후보 (무소속) | 낙선
정치무당파국민연합 고문 겸 당무위원
정치우리겨레당(가칭) 창립준비위원장[4][2]
교육/연구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겸임교수
교육/연구중앙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교육/연구경희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
기타사단법인 충·효·례 상임고문[4][2]
기타기독교세계신도연맹 총재[4][2]
기타사단법인 한국장애인복지회 상임고문[4][2]
기타국가경영연구원 원장[4][2]
기타대한민국헌정회 고문[4][2]



=== 논란 ===

2008년, 이사장으로 있던 사회복지법인 소유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 명목으로 계약금 2억을 받아 횡령한 혐의(사기)로 기소되어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또한 2006년, 이사장으로 있던 학교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대금 26억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사기)로 2011년 다시 기소되어 최종적으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5]

4. 정치 활동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한 뒤, 한국 최초로 당선자에 대한 당선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1년 후 승소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3]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국회에 복귀하여 국회 농수산위원, 신민당 정무위원·당기위원장 등을 지냈다. 그러나 1975년 대정부 질문에서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 박”이라 부르고 유신체제를 “태어나서는 안 될 정권”이라고 비판하여 의원직과 시민권을 박탈당하는 김옥선 파동을 겪었다.[1] 이는 당시 유신체제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평가받는다.

1984년 정치 활동 규제에서 해금된 후,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의원이 되었고, 신한민주당 부총재 등을 역임했다.[1] 이후 1992년 대통령 선거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1] 200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으나 중도에 포기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1]

정계 은퇴 후에는 대한민국헌정회 고문 등을 지냈다.[4][2]

4. 1. 초기 정치 활동 (1960년대 ~ 1970년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서천군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민주공화당의 이원장 후보에게 536표 차이로 패배했다. 그러나 김옥선은 이에 굴하지 않고 한국 최초로 당선자에 대한 당선무효 소송을 제기했고, 1년 뒤 재검표 결과 13표 차이로 승소하며 국회의원 자격을 얻었다.[3] 이는 한국 선거 역사상 최초의 당선무효 소송 승리 사례로 기록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국회에 복귀한 후, 국회 농수산위원, 신민당 정무위원 및 당기위원장을 역임하며 활동했다.

하지만 1975년,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 하에서 그의 강직한 성품은 다시 한번 드러났다. 대정부 질문 도중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 박”이라고 지칭하고, 유신체제를 “태어나서는 안 될 정권”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하는 용기를 보였다. 이 발언으로 인해 그의 일부 발언은 국회 속기록에서 삭제되었으며, 결국 국회의원직은 물론 10년간 시민권까지 박탈당하는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이 사건은 당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김옥선 파동'으로 불리게 되었다.[1]

4. 2. 김옥선 파동 (1975년)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가졌던 김옥선은 신민당 소속 제9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던 중 1975년 10월 8일, 정기국회 대정부질의에서 당시 사회 분위기를 압박하던 안보궐기대회를 비판하며 박정희 대통령을 "독재자 박"으로 지칭하고 유신체제를 "태어나서는 안 될 정권"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발언으로 인해 김옥선의 일부 발언은 국회 속기록에서 삭제되었고, 집권 여당인 민주공화당유신정우회는 즉각 김옥선 의원에 대한 제명안을 추진했다.

처음에 신민당은 김옥선 의원과 운명을 같이하겠다고 밝혔으나, 민주공화당유신정우회가 제명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신민당 소속 국회의원 중 누구도 이를 저지하려 나서지 않았다. 당시 신민당 총재였던 김영삼은 오히려 김옥선을 찾아가 사퇴를 종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김옥선은 국회의원직에서 사퇴하였고, 이후 10년간 공민권까지 박탈당했다. 이 사건은 '김옥선 파동'으로 불리며, 유신체제 하의 정치적 억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4. 3. 해금 이후의 활동 (1980년대 ~ 1990년대)

제5공화국 출범 후인 1984년에 정치 활동 금지 조치가 해제되자, 다른 해금 정치인들과 함께 신한민주당 창당에 참여하며 정계에 복귀했다.[1] 이듬해인 1985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으며,[1] 이후 신한민주당에서 선전분과위원장과 부총재 정무위원을 역임했다.[1]

1992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다시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으나 낙선하였다.[1]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도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지만 낙선했다.[1]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당파국민연합 소속으로 전국구 후보 2번으로 지명되어 출마하였으나[6] 당선되지 못했고, 무당파국민연합 또한 정당 득표율 미달로 인해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6]

4. 4. 정계 은퇴 이후 (2000년대 ~ 현재)

1991년부터 자신이 설립한 송죽학원의 이사장으로 재직했다.[7] 2000년, 정의여자중학교 소속 교사 4명을 원산도원의중학교로 발령내는 과정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교사에 대한 보복성 인사라는 논란이 발생하며 정의여자고등학교 교사들과도 갈등을 겪었다.[7] 같은 해 5월 정의여중고 폐교 신청을 냈다가 10월 정의여고 폐교 신청은 철회했으나, 결국 정의여자중학교는 2001년 2월 폐교되었다.[7] 이후 정의여고로 배정된 신입생들이 입학을 거부하여 2003년 2월 마지막 재학생들이 졸업하면서 학생이 없는 학교가 되었고, 같은 해 4월 25일 최종 폐교되었다.[7]

정계 은퇴 후 법적인 문제에도 연루되었다. 2006년 학교 건물 리모델링 공사 대금 26억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사기)로 2011년 기소되어, 같은 해 8월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이 확정되었다.[5] 또한 2007년에는 사회복지법인 소유 토지의 소유권을 이전해주겠다고 속여 계약금 명목으로 2억을 받아 가로챈 혐의(사기)로 구속되었고,[5] 2008년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5]

5. 교육 사업 및 논란

1955년 고향인 장항읍에 정의여자중학교를, 1959년에는 정의여자고등학교를 설립하며 교육 사업에 참여했다.[1] 또한 충청남도 보령시 원산도 등 섬 지역에도 중학교를 세웠다.[1] 1991년에는 1953년 설립된 정의여중·고 운영 법인인 송죽학원의 이사장으로 취임했다.[4][2]

그러나 2000년, 정의여자중학교 교사 4명을 원산도원의중학교로 발령내는 과정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교사에 대한 보복성 인사라는 논란이 일었다. 이 문제로 정의여자고등학교 교사들과도 갈등을 겪었다. 김옥선은 2000년 5월 정의여중고 폐교 신청을 냈다가 같은 해 10월 정의여고 폐교 신청은 철회했다. 결국 정의여자중학교는 2001년 2월 폐교되었다. 이후 정의여자고등학교로 배정된 학생들이 입학을 거부하여 신입생을 받지 못했고, 2003년 2월 마지막 재학생들이 졸업하면서 학생이 없는 학교가 되었다.[7] 결국 정의여자고등학교는 2003년 4월 25일 최종 폐교되었다.[7]

교육 사업 외에도 금전적인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2007년,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던 사회복지법인 소유의 토지 소유권을 이전해주겠다고 속여 계약금 명목으로 2억을 받아 가로챈 혐의(사기)로 구속되었다.[5] 이 사건으로 2008년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5] 또한 2006년경 학교 건물 리모델링 공사를 맡긴 뒤 공사대금 26억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2011년 다시 기소되어, 같은 해 8월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이 확정되었다.[5]

6. 여성관 및 정치적 입장

여성 정치인이지만 여성 우선의 쿼터제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선거구의 공천이나 비례대표에 여성 프리미엄을 기대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진정한 젠더 평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경쟁해서 얻는 것이다”라고 말했다.[1]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에 대해서는 의외로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박근혜가 한나라당 대통령 예비선거에 나섰을 때, 당내 한 유력 정치인으로부터 “독재자의 딸”이라는 비판을 받자, 김옥선은 “박근혜의 성장 과정이 박정희 시대와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반론했다.[1]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결과비고
1960년총선5대국회의원충남 서천군무소속4,653 (8.72%)4위낙선
1963년총선6대국회의원충남 서천군·보령군민정당25,750 (27.72%)2위낙선
1967년총선7대국회의원충남 서천군·보령군신민당51,189 (47.74%)2위낙선[8]
1971년총선8대국회의원충남 서천군신민당22,344 (41.16%)2위낙선
1973년총선9대국회의원충남 부여군·서천군·보령군신민당70,644 (41.11%)1위당선재선
1985년총선12대국회의원충남 부여군·서천군·보령군신한민주당51,062 (25.07%)2위당선3선
1988년총선13대국회의원충남 서천군무소속8,715 (16.85%)3위낙선
1992년총선14대국회의원서울 성동구 갑신정치개혁당6,996 (5.95%)4위낙선
1992년대선14대대통령대한민국무소속86,292 (0.36%)6위낙선
1995년지방 선거30대시장서울특별시무소속17,728 (0.36%)6위낙선민선 1기
1996년총선15대국회의원전국구무당파국민연합177,050 (0.9%)전국구 2번낙선
2000년총선16대국회의원충남 보령시·서천군무소속3,416 (3.76%)6위낙선
2004년총선17대국회의원충남 보령시·서천군무소속--사퇴


참조

[1] 웹사이트 [어떻게 지내십니까] 남장 여성정치인 김옥선 前의원 https://www.seoul.co[...] 2007-10-19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8-07
[3] 웹사이트 金玉仙(김옥선)씨 當選確定(당선확정) https://newslibrary.[...] 1968-06-03
[4] 웹사이트 정의여고 폐교되나? http://www.newssc.co[...] 2003-02-13
[5] 웹사이트 김옥선 前의원, 집유기간 또 사기…실형 수감 https://www.seoul.co[...] 2011-08-25
[6] 서적 대한민국정당사 제5집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ewssc.co[...] 2014-06-24
[8]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