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이족은 중국과 베트남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부이족은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이족어와 자체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 중국 내 부이족은 주로 귀주성에 분포하며, 자치주, 자치현, 민족향 등 다양한 행정 구역에 거주한다. 부이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쌀, 기장, 옥수수 등을 재배하고, 수공예품과 바틱으로도 유명하다. 부이족은 토착 축제와 한족 문화에서 유래한 축제를 기념하며, 4월 8일 소왕제와 6월 6일 조상 숭배 명절을 중요하게 여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부이족 | |
---|---|
기본 정보 | |
![]() | |
민족명 | 부이족 |
다른 이름 | 부이족 (Bùyīzú, 중국어 병음) 뿌이족 (Puitsu, 웨이드-자일스 표기) 부이쭈 (Buhitzwu, Gwoyeu Romatzyh) 부이즈 (Buyidzu, 마이어 표기) 보우이족 (Bou3 ji1 zuk6, 광둥어) 응으어이 보 이 (người Bố Y, 베트남어) Buxqyaix (부이어) |
로마자 표기 | Buxi-ai |
인구 | |
전체 인구 | 약 2,973,000명 |
거주 지역 | 중국 베트남 |
중국 (2010년) | 2,870,034명 |
베트남 (2019년) | 3,232명 |
중국 (2000년) | 2,911,000명 |
베트남 (1999년) | 1,861명 |
언어 | |
사용 언어 | 부이어 중국어 |
종교 | |
종교 | 시공교 불교 애니미즘 |
문화 | |
관련 민족 | 좡족 |
2. 명칭
부이족은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집단마다 고유한 자칭 명칭을 가지고 있다. 국제 음성 기호(IPA)와 숫자 초성조를 사용하여 부이족의 자칭 명칭을 표기할 수 있다.[3]
- 濮越|푸위에중국어
- 濮夷|푸이중국어
- 布侬|푸눙중국어
- 布那|푸나중국어
- 布土、布都|푸투, 푸두중국어
- 布央|푸양중국어
부이족 내에는 다음과 같은 몇몇 씨족이 있다.[3]
- 布武|푸우중국어
- 布韦|푸웨이중국어
귀주성 꽁장현(Congjiang County)에는 자신들을 "Buyeyi, 布也益"이라고 부르는 집단이 있지만,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이들을 장족으로 분류한다.[4]
3. 분포
부이족은 주로 중국 구이저우성에 거주하며, 첸난(黔南), 첸시난(黔西南) 등지에 자치주와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1] 200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이족 인구의 상당수가 특정 현(县) 또는 현급 행정구역에 집중되어 있다.
베트남에서는 부이족(Bố Y)이 54개의 공식적인 소수민족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부이족은 주로 라오까이성의 므엉크엉현(투디(Tu Dí) 아그룹)과 하장성의 꾸안바현에 거주한다.
3. 1. 중국 내 분포
2000년 중국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부이족 인구가 많은 현(县) 단위 지역은 다음과 같다.[1]성 | 지급 행정구역 | 현 | 부이족 인구 | 중국 부이족 인구 대비 비율 |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두산현 | 194,468 | 6.54%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두운시 | 190,347 | 6.41%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왕모현 | 174,806 | 5.88%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뤄뎬현 | 158,494 | 5.33%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쩌헝현 | 158,019 | 5.32%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안롱현 | 139,930 | 4.71%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후이수이현 | 135,943 | 4.58% |
귀주성 | 안순시 | 전닝 부이족·묘족 자치현 | 131,962 | 4.44%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전펑현 | 125,058 | 4.21%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싱이시 | 124,901 | 4.2%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핑탕현 | 107,473 | 3.62%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리보현 | 93,681 | 3.15%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귀딩현 | 92,607 | 3.12% |
귀주성 | 안순시 | 즈윈 묘족·부이족 자치현 | 86,513 | 2.91%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창순현 | 81,022 | 2.73% |
귀주성 | 안순시 | 관링 부이족·묘족 자치현 | 68,967 | 2.32%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칭롱현 | 64,001 | 2.15% |
귀주성 | 안순시 | 시슈구 | 62,497 | 2.1%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싱런현 | 50,210 | 1.69%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싼두 수족 자치현 | 49,877 | 1.68% |
귀주성 | 귀양시 | 화시구 | 41,446 | 1.4%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수청현 | 41,255 | 1.39%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류즈 특구 | 35,772 | 1.2%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롱리현 | 34,259 | 1.15% |
귀주성 | 첸둥난 묘족·둥족 자치주 | 마장현 | 33,958 | 1.14% |
귀주성 | 안순시 | 핑바현 | 29,452 | 0.99% |
윈난성 | 취징시 | 뤄핑현 | 25,152 | 0.85% |
귀주성 | 귀양시 | 칭전시 | 25,017 | 0.84% |
귀주성 | 黔서남 부이족·묘족 자치주 | 푸안현 | 23,639 | 0.8% |
귀주성 | 귀양시 | 우당구 | 23,597 | 0.79% |
귀주성 | 귀양시 | 카이양현 | 22,611 | 0.76% |
귀주성 | 귀양시 | 난밍구 | 20,608 | 0.69% |
귀주성 | 黔南 부이족·묘족 자치주 | 푸취안시 | 19,520 | 0.66% |
귀주성 | 비제시 | 치엔시현 | 17,447 | 0.59%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판현 | 16,072 | 0.54% |
귀주성 | 귀양시 | 바이윈구 | 15,116 | 0.51% |
귀주성 | 안순시 | 푸딩현 | 15,083 | 0.51% |
귀주성 | 비제시 | 지진현 | 14,512 | 0.49% |
귀주성 | 귀양시 | 윈옌구 | 14,293 | 0.48% |
귀주성 | 귀양시 | 샤오허구 | 12,138 | 0.41% |
귀주성 | 비제시 | 웨이닝 이족·후이족·묘족 자치현 | 7,484 | 0.25% |
귀주성 | 비제시 | 나용현 | 7,222 | 0.24% |
광시 좡족 자치구 | 허치시 | 난단현 | 6,822 | 0.23% |
귀주성 | 귀양시 | 시우웬현 | 6,397 | 0.22% |
윈난성 | 원산 좡족·묘족 자치주 | 마관현 | 6,085 | 0.21% |
광둥성 | 둥관시 | 없음 | 5,584 | 0.19% |
귀주성 | 비제시 | 다팡현 | 5,294 | 0.18% |
귀주성 | 류판수이시 | 중산구 | 4,075 | 0.14% |
귀주성 | 비제시 | 진사현 | 3,804 | 0.13% |
윈난성 | 쿤밍시 | 관두구 | 3,582 | 0.12% |
윈난성 | 자오통시 | 치아오쟈현 | 3,063 | 0.1% |
3. 2. 중국 자치 지방
贵州省|구이저우성중국어 각지에 부이족 민족향이 설치되어 있다.지역 | 민족향 |
---|---|
귀양시(貴陽市) 남명구(南明区) | 소벽(小碧) 부이족·묘족향 |
화계구(花渓区) | 맹관(孟関) 묘족·부이족향 |
호조(湖潮) 묘족·부이족향 | |
검도(黔陶) 부이족·묘족향 | |
말령(馬鈴) 부이족·묘족향 | |
오당구(烏当区) | 편파(偏坡) 부이족향 |
신보(新堡) 부이족향 | |
백운구 | 도라(都拉) 부이족향 |
우장(牛場) 부이족향 | |
청진시(清鎮市) | 맥격(麦格) 묘족·부이족향 |
왕장(王荘) 부이족·묘족향 | |
개양현(開陽県) | 화풍(禾豊) 부이족·묘족향 |
남강(南江) 부이족·묘족향 | |
고재(高寨) 묘족·부이족향 | |
수문현(修文県) | 대석(大石) 부이족향 |
육반수시(六盤水市) 수성구(水城区) | 순장(順場) 묘족·이족·부이족향 |
화가(花戛) 묘족·부이족·이족향 | |
신가(新街) 이족·묘족·부이족향 | |
야종(野鍾) 묘족·이족·부이족향 | |
과포가(果布戛) 이족·묘족·부이족향 | |
후장(猴場) 묘족·부이족향 | |
육지특구(六枝特区) | 중재(中寨) 묘족·이족·부이족향 |
락별(落別) 부이족·이족향 | |
월량하(月亮河) 이족·부이족·묘족향 | |
반주시(盤州市) | 양장(羊場) 부이족·폐족·묘족향 |
인회시(仁懐市) | 후산(後山) 묘족·부이족향 |
안순시(安順市) 서수구(西秀区) | 신장(新場) 부이족·묘족향 |
암랍(岩臘) 묘족·부이족향 | |
계장(鶏場) 부이족·묘족향 | |
양무(楊武) 부이족·묘족향 | |
황랍(黄臘) 부이족·묘족향 | |
안순시(安順市) 평파구(平壩区) | 양창(羊昌) 부이족·묘족향 |
검서시(黔西市) | 오리(五里) 부이족·묘족향 |
대방현(大方県) | 대수(大水) 이족·묘족·부이족향 |
금사현(金沙県) | 대전(大田) 이족·묘족·부이족향 |
직금현(織金県) | 다점(茶店) 부이족·묘족·이족향 |
금룡(金龍) 묘족·이족·부이족향 | |
위녕이족회족묘족자치현(威寧イ族回族ミャオ族自治県) | 신발(新発) 부이족향 |
마강현(麻江県) | 담망(壩芒) 부이족향 |
랍평현(羅平県) | 노복격(魯布革) 부이족·묘족향 |
장저(長底) 부이족향 |
3. 2. 1. 자치주
3. 2. 2. 자치현
3. 2. 3. 민족향
贵州省|구이저우성중국어 각지에 부이족 민족향이 설치되어 있다.지역 | 민족향 |
---|---|
귀양시(貴陽市) 남명구(南明区) | 소벽(小碧) 부이족·묘족향 |
화계구(花渓区) | 맹관(孟関) 묘족·부이족향 |
호조(湖潮) 묘족·부이족향 | |
검도(黔陶) 부이족·묘족향 | |
말령(馬鈴) 부이족·묘족향 | |
오당구(烏当区) | 편파(偏坡) 부이족향 |
신보(新堡) 부이족향 | |
백운구 | 도라(都拉) 부이족향 |
우장(牛場) 부이족향 | |
청진시(清鎮市) | 맥격(麦格) 묘족·부이족향 |
왕장(王荘) 부이족·묘족향 | |
개양현(開陽県) | 화풍(禾豊) 부이족·묘족향 |
남강(南江) 부이족·묘족향 | |
고재(高寨) 묘족·부이족향 | |
수문현(修文県) | 대석(大石) 부이족향 |
육반수시(六盤水市) 수성구(水城区) | 순장(順場) 묘족·이족·부이족향 |
화가(花戛) 묘족·부이족·이족향 | |
신가(新街) 이족·묘족·부이족향 | |
야종(野鍾) 묘족·이족·부이족향 | |
과포가(果布戛) 이족·묘족·부이족향 | |
후장(猴場) 묘족·부이족향 | |
육지특구(六枝特区) | 중재(中寨) 묘족·이족·부이족향 |
락별(落別) 부이족·이족향 | |
월량하(月亮河) 이족·부이족·묘족향 | |
반주시(盤州市) | 양장(羊場) 부이족·폐족·묘족향 |
인회시(仁懐市) | 후산(後山) 묘족·부이족향 |
안순시(安順市) 서수구(西秀区) | 신장(新場) 부이족·묘족향 |
암랍(岩臘) 묘족·부이족향 | |
계장(鶏場) 부이족·묘족향 | |
양무(楊武) 부이족·묘족향 | |
황랍(黄臘) 부이족·묘족향 | |
안순시(安順市) 평파구(平壩区) | 양창(羊昌) 부이족·묘족향 |
검서시(黔西市) | 오리(五里) 부이족·묘족향 |
대방현(大方県) | 대수(大水) 이족·묘족·부이족향 |
금사현(金沙県) | 대전(大田) 이족·묘족·부이족향 |
직금현(織金県) | 다점(茶店) 부이족·묘족·이족향 |
금룡(金龍) 묘족·이족·부이족향 | |
위녕이족회족묘족자치현(威寧イ族回族ミャオ族自治県) | 신발(新発) 부이족향 |
마강현(麻江県) | 담망(壩芒) 부이족향 |
랍평현(羅平県) | 노복격(魯布革) 부이족·묘족향 |
장저(長底) 부이족향 |
3. 3. 베트남 내 분포
200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부이족 인구는 다음과 같이 분포한다.
4. 언어
부이족은 부이족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표준 장족어와 매우 가깝다. 두 언어 사이에는 방언 연속체가 존재한다.[3] 부이족어는 1950년대 언어학자들이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병음 시스템과 유사한 철자 규칙을 적용하여 고안한 자체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
5. 역사
부이족은 구이저우 평원의 토착 민족이다. 부이족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수민족 중 하나이며, 2,000년 이상 이 지역에서 살아왔다.
당나라 건국 이전에는 부이족과 좡족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나, 두 민족 간의 차이는 점점 커져 900년경에는 이미 별개의 민족이 되었다. 청나라는 지방 수장 제도를 폐지하고 군 관리를 임명했는데, 이는 지역 경제에 변화를 가져왔다. 그 후로 토지는 소수 지주들의 손에 집중되었고, 이는 인구의 반란을 야기했다. 왕낭현(王南贤)이 이끈 1797년 남롱의 난(南笼起义) 동안 부이족은 강력한 탄압을 받았고, 많은 이들이 멀리 베트남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6. 문화
많은 부이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쌀, 기장, 밀, 감자, 옥수수, 코코아, 차, 비단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소비하거나 판매한다. 부이족은 이 지역에서 중간 상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변화하는 경제 상황에 따라 소규모 및 대규모 상업 또는 사업 운영에 모두 참여하고 있다.[5]
부이족의 전통 수공예품과 바틱은 이 지역 전역에서 명성이 높다. 부이족은 여러 축제를 기념하는데, 토착 축제와 한족 문화에서 유래한 축제가 모두 포함된다. 토착 축제 중 하나는 4월 8일에 열리는 소왕제(牛王节)로, 소와 농업 활동에 대한 공헌에 경의를 표하는 연례 행사이다.[6]
6월 6일은 조상 숭배를 위한 중요한 전통 부이족 명절이다. 부이족 신화에 따르면, 판구가 세상을 창조한 후 벼농사 전문가가 되어 용왕의 딸과 결혼하였고, 그들의 결합으로 부이족이 탄생했다. 용왕의 딸과 판구 사이에는 신헝(Xinheng)()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신헝이 어머니에게 불경하게 굴자, 어머니는 남편과 아들의 거듭된 간청에도 불구하고 하늘로 돌아가지 않았다. 판구는 재혼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음력 6월 6일에 죽었다. 신헝의 새어머니는 그를 학대하고 거의 죽이려 했다. 신헝이 새어머니의 벼 수확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하자, 그녀는 자신의 잘못을 깨달았다. 그녀는 신헝과 화해하였고, 매년 음력 6월 6일에 판구에게 예를 표하게 되었다.
중국 부이족 중에는 기독교 교회가 있으며, 대부분 구이저우성과 윈난성에 있다. 가톨릭의 영향도 존재한다.[7][8][9]
7. 저명한 부이족 인물
- 궈젠(郭健), 화가
- 황샤오윈(黃霄雲), 가수 겸 배우
- 왕낭시엔, 백련교의 난 지도자 (반청(反淸))
- 샤오샤(肖莎), 체조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2-1 全国各民族分年龄、性别的人口
http://www.stats.gov[...]
2017-08-31
[2]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3]
서적
Guizhou Province Gazetteer: Ethnic Gazetteer
贵州民族出版社 [Guizhou Nationalities Press]
[4]
서적
贵州民族出版社 [Guizhou Nationalities Press]
[5]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
[6]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Chinese culture
http://worldcat.org/[...]
Routledge
2009
[7]
서적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8]
학술지
Nominalism: Negotiating ethnicity and Christian identity in contemporary Yunnan
https://www.cambridg[...]
2019-09-19
[9]
학술지
Translating culture: missionaries and linguists in contemporary Yunnan Province
https://doi.org/10.1[...]
2017-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