좡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좡족은 중국 남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좡어와 독자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 좡족이라는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강인한 민족"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좡족은 수만 년 전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 왔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좡족은 독자적인 언어, 문학, 축제, 종교 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모교라는 전통 신앙과 조상 숭배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좡족의 유전적 특징은 주변 민족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O2 하플로그룹을 높은 비율로 가지고 있다. 좡족은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이며, 광시 좡족 자치구에 주로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좡족은 한족과의 관계 속에서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며, 좡족의 민족주의 운동과 주요 인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좡족 - 흑기군
흑기군은 19세기 후반 류영복이 이끌던 중국 남부의 의용군으로, 통킹 지역에서 청나라에 저항하고 응우옌 왕조를 도와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나 청불 전쟁 이후 해산되었으며, 검은 바탕에 북두칠성이 그려진 깃발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광시 - 광시 좡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는 중국 남부에 위치하며 좡족 자치구로 설립되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제조업과 농업이 주요 산업인, 난닝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베트남과의 국경 지역 교류가 활발한 곳이다. - 광시 - 광시 텔레비전
광시 텔레비전은 1970년 개국한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채널 확장, 콘텐츠 다양화, 광시 유선 텔레비전과의 합병, 다양한 채널 개국, 광둥 방송과의 협력 등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좡족 | |
---|---|
개요 | |
![]() | |
인구 | 1,800만 명 |
주요 거주 지역 |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
기타 거주 지역 | 일본 |
사용 언어 | 좡어 월어 (광둥어) 표준 중국어 (보통화) 핑화 |
종교 | 마교 (종교) (다수) 기독교, 불교, 도교 (소수) |
관련 민족 | 부이족 다이족 눙족 따이족 (베트남) |
표기 | |
중국어 간체 | 壮族 (또는 僮族) |
중국어 정체 | 壯族 (또는 僮族) |
병음 | Zhuàngzú |
웨이드-자일스 | Chuang4-tsu2 |
광둥어 예일 | Jong6 zuk6 |
좡어 | Bouxcuengh |
로마자 표기 | Jwàngdzú |
한국어 (표준어) | 좡족 |
일본어 | 壮族 (ソウゾク) |
인물 | |
![]() | |
![]() | |
![]() | |
![]() | |
![]() | |
![]() |
2. 명칭
좡족을 나타내는 한자는 여러 차례 바뀌었다. 표준 좡어로 "Cuengh"인 좡족의 자칭명은 원래 경멸적인 표현인 (또는 여러 종류의 들개를 가리키는 ''tóng'')로 쓰였다.[3] 한자는 일반적으로 의미 요소 또는 부수와 음운 요소를 결합한다. 존 드프랜시스는 가 이전에는 Tóng, 으로, "개 부수" 와 ''tóng'', 음운을 사용한 모욕적인 표현이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이 결국 이를 제거한 과정도 설명했다.[4] 1949년 중국 국공 내전 이후, 한자 는 공식적으로 다른 경멸적인 표현인 (''Zhuàng'' 또는 ''tóng'', "아이; 소년 종"이라는 뜻)로 대체되었는데, "사람 인 부수" 와 같은 음운을 사용했다. 후에 는 다른 한자인 ( "강한; 건장한"이라는 의미)로 변경되었다.
좡족은 남중국(광둥성과 광시성)에서 주나라 시대부터 백월의 일파로 낙월, 서오 등의 국가를 건설하며 살아왔다. 한나라 시대에 남월국의 지배를 받으며 중화 문명에 편입되었으나, 수나라 시대까지는 부족제 사회를 유지했다.[36]
삼국 시대(중국)의 이족(俚族)인 리인(俚人)이나 료(獠)인이 좡족의 조상이 아니었을까 추측된다. 송(宋)(왕조) 이후로는 주로 충(撞), 둥(僮), 獞중국어 등으로 불렸지만, 한자의 료(獠)·獞중국어는 짐승변(けものへん)을 포함하는 경멸적인 명칭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둥족(僮族)으로 통일되었지만, 둥(僮)에는 “아이”, “종” 등의 역시 차별적인 의미가 있기 때문에, 1965년에 좡족(Zhuàngzú)으로 개칭되었다. 일본에서는 한자 그대로 “좡족(そうぞく)”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壮”의 중국어 발음인 “추안(チュワン)”에서 “치완족”이라고 부른다. 자칭에 가까운 발음으로는 “슈웅족”이 된다.
3. 역사
당나라 시대에 봉건제도 사회로 변화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토사 제도를 통해 소수민족 수장의 세습 지배를 인정받았다. 좡족 병사들은 "굉병"("랑병")이라 불릴 정도로 용맹했으며, 와씨 부인이 이끄는 천주 굉병은 왜구를 진압하는 데 동원되기도 했다.[36] 청나라 시대에는 개토귀류 정책으로 인해 직접 지배 지역이 되었다. 좡족은 한족과의 오랜 교류와 경제 활동으로 인해 한어를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근대 시기, 1850년 광시성 금전촌에서 시작된 태평천국의 난에 좡족이 다수 참여하였다. 1929년부터 1932년까지 덩샤오핑이 광시에서 지도한 우강 혁명 근거지에도 많은 좡족이 참여했는데, 이는 중국에서 혁명적 전통으로 칭송받고 있다. 중일 전쟁 당시에는 일본군에 맞서 싸운 좡족도 있었다.
3. 1. 기원
일부 민족학자들은 좡족(Zhuang) 민족성을 현대적으로 구성된 민족 정체성으로 본다. 이들은 좡족 문화가 "한족 문화"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별개의 민족 정체성으로 인정받기 어렵다고 보았다.[1] 좡족은 2,200년 이상 한족과 교류해 왔다. 한나라(202 BC~220 AD) 초기부터 좡족은 정착 농업, 철제 쟁기, 이모작, 비료 등 한족의 문화와 기술을 받아들였다. 이들은 다른 소수 민족보다 저지대에 거주하며 화전 농업을 하는 사람들보다 한족 농민들과 더 직접적으로 경쟁했다. 이 과정에서 좡족은 한족의 의복과 주택 양식을 채택했다. 1055년 좡족 지도자 농지고가 패배한 후 많은 좡족 가족과 공동체는 자신의 언어와 이름을 버리고 한족 사회에 동화되었다.[2]
한 좡족 학생은 자신이 좡족임을 알기 전까지 한족으로 여겼다고 말했다.[3] 좡족은 자신들이 소외되었거나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좡족 농민들은 수세기 동안 한자를 사용해 왔다는 점을 들어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 좡족 문자에 대한 이상에 저항했다. 좡족의 공식적인 분류는 북부 좡족과 부이족 사이의 역사적 유사성을 무시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
3. 2. 당-송 교체기
당대에 봉건제 사회로 이행하였고, 명대에는 소수민족 수장의 세습 지배를 인정하는 토사 제도가 시행되었다. 용맹한 좡족 병사는 "굉병"(랑병)이라 불렸고, 와씨 부인이 이끈 천주 굉병은 왜구 진압에 동원되기도 했다.[36] 청대에 이르러 개토귀류가 시행되면서 직접 지배 지역이 되었다. 좡족은 한족과의 접촉 역사가 길고, 경제 활동의 필요성으로 한어도 널리 보급되었다.
3. 3. 송나라
송나라 시대는 좡족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였다. 좡족은 한나라 때부터 한족과 교류하며 선진 농업 기술과 문화를 받아들였다. 1055년 좡족 지도자 농지고가 패배한 후, 많은 좡족 가족과 공동체는 한족 사회에 동화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좡족을 현대에 구성된 민족 정체성으로 보기도 한다. 이들은 좡족 문화가 한족 문화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좡족 농민들은 오랫동안 한자를 사용해 왔으며,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 좡족 문자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1952년, 민족 분류 프로젝트 책임자 페이샤오퉁은 광시 지역에 "현지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좡어를 사용하며, 이들을 좡족이라 부를 것을 제안했다.
3. 3. 1. 군사적 충돌
송나라와 좡족 간의 주요 군사적 충돌은 주로 좡족의 자치에 대한 열망과 중앙 정부의 통제 시도 사이에서 발생했다. 823년부터 826년까지, 좡족(Zhuang), 황족(Huang), 농족(Nùng) 씨족들은 참파의 지원을 받아 용주(현재의 난닝)를 공격하여 18개 현을 점령했다.[11]
황소의 난(874–884) 동안, 좡족은 방주조(Pang Zhuzhao)가 이끄는 녕원군(Ningyuan Army)의 불규칙 부대원으로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당나라 멸망(907년) 후, 남한은 좡족 궁수들을 모집하여 강력한 수군을 편성했고, 이들은 마촉(Ma Chu)과의 전투에 참여했다.[11]
송나라는 당나라의 제미(羈縻) 제도를 계승하여 좡족을 통치했다. 좡족 지도자들은 자신의 지위를 합법화하기 위해 송나라의 승인을 구했고, 승인 후에는 봉급을 받고 세습적으로 직위를 계승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권력은 종종 군사적 갈등 이후 현지인들이 추천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인장(印章)을 통해 부여되었다. 제미현들은 종종 작은 다툼을 벌였고, 이는 군사적 갈등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좡족은 송나라의 남한 정복(970~971) 기간 동안 수운을 제공했고, 약 2만 명의 좡족이 남한을 위해 싸웠지만 패배했다. 이후, 난단현(Nandan County)의 모씨는 974년 송나라의 지배에 복종했고, 이주(Yi Prefecture)의 맹씨는 1038년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980년, 좡족은 송나라의 동맹으로 송-대구월 전쟁에 참여했지만, 원정은 패배로 끝났다. 1000년, 좡족이 용주(Nanning, Yongzhou)를 공격했지만, 송나라와 동맹을 맺은 황씨의 좡족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001년, 진병(chenbing)이라 자칭하는 좡족이 이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의 지도자 수성준(Su Chengzhun)은 남평왕(nanping wang)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반군은 몇몇 도시를 점령했지만, 홍수로 인해 방해를 받고 여러 차례 패배를 당하다가 세 달 후 지도자가 사망했다. 1038년, 용주(Rongzhou)와 이주에서 소요가 발생하여 세 개의 주에서 군대를 파견하여 진압했고, 6명의 고위 관리가 손실되었다. 이주의 태수는 이러한 불안을 잘못된 행정 탓으로 돌리고, 그 문제가 왕위의 남쪽에 대한 체계적인 방치의 결과라고 비난했다. 1044년, 오씨(Ou)의 오희범(Ou Xifan)이 이주의 북서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오희범은 진사(jinshi) 학위를 받고 관리로 일했지만, 자신의 보상에 불만을 품었다. 그는 대당(Great Tang)을 선포하고 송나라에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1045년에 체포되어 생체 해부로 처형되었다.
11세기, 농지고의 반란은 좡족과 송나라 간의 가장 큰 충돌이었다. 농지고는 농씨(Nong clan) 출신으로, 송나라 초기에 유강(You River, 郁江)과 좌강(Zuo River, 左江) 유역에서 세력을 확장했다.[12] 1041년, 농지고는 당유주(현재의 징시(靖西))와 뢰화 석굴촌락(현재의 다신현(大新縣))을 점령했다.[13] 1042년, 농지고는 대리국(大理)과 혼동되는 대력국(大歷國) 건국을 선포했다.[13] 대월(大越)이 군대를 파견하여 그를 사로잡았으나, 1년 후 석방되었다. 1048년, 농지고는 남천국(南天國)을 선포하고 대월을 비난하며 자신의 영토가 중국에 병합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049년 가을, 농지고의 군대는 용주(永州)를 약탈했다. 1050년, 대월은 농지고의 거점을 공격하여 그를 몰아냈고, 농지고는 송나라 영토로 도망쳤다.[13]
농지고는 송나라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1052년, 농지고는 대남국(大南國)을 건국하고 자신을 인휘황제(仁惠皇帝)라 칭하며 광저우(廣州)로 진격했다.[13]
광저우 포위는 57일간 지속되었으나 실패했고, 농지고는 용주(永州)로 후퇴했다. 송나라는 사청(狄青)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게 했다. 1054년 초, 곤륜관(昆侖關) 전투에서 좡족군은 송나라 군대에 대패했다. 사청은 용주를 탈환하고 농지고의 가족과 부하들을 처형했다. 농지고는 달리국(大理)으로 도망쳤으나, 공식 기록에 따르면 그곳에서 처형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그가 더 남쪽으로 도망쳐 후손들이 번성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3]
송나라는 좌우강(左右江)을 완전히 장악하여 그 지역을 송나라 관료제에 편입시켰다. 좡족 지역에는 중국식 학교가 설립되었고, 엘리트 좡족 자제들은 나중에 송나라 관료직을 맡았다. 많은 전직 반군들이 송나라 군대에 입대했고, 1064년부터 1067년까지 투딩(土丁, tubing 또는 zhuangding)으로 알려진 5만 명이 넘는 좡족 군대에 대한 비용을 지불했다. 1108년까지 그 지역에서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군인으로 등록했다. 좡족 전사들은 길고 짧은 양날 검을 모두 휴대했다. 그들은 석궁, 독화살, 코끼리를 사용할 수도 있었다. 3인 1조의 좡족 부대는 한 명이 큰 방패를 들고 다른 두 명은 창을 던졌다. 그들은 송나라를 위해 싸웠지만, 그들의 좡족 지도자들의 명령만 따랐다.
근대에는 1850년에 태평천국의 난이 광시성의 금전촌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좡족도 다수 참여하였다.
3. 3. 2. 농씨의 부상
송나라 초기, 황씨(Huang clan)가 유강과 좌강을 관할하게 되었다.[12] 위씨(Wei)는 송-베트남 국경에 정착했다.[12] 그러나 농씨(Nong clan)의 세력이 커지면서 황씨의 지배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송나라 초기, 농씨는 테모(Temo) 지역을 지배했는데, 이 지역은 서쪽의 현재 윈난성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에서 동쪽의 광시성 징시 시와 남쪽의 광원주(현재 베트남 까오방 성)까지 뻗어 있었다.[12] 송 태종(976-997 재위)은 농씨 지도자들에게 특별한 은혜를 베풀어 그들이 좌강 지역에서 황씨를 계승했음을 인정했다.[12]
송사중국어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광원주(Guangyuan zhou)의 만-이민족(Man-barbarian) 농씨는 용주(Yongzhou)의 남서쪽에서 왔으며, 그곳의 여러 지역을 장악했다. 그 지형은 험준한 산과 접근하기 어려운 계곡이었으며, 금과 주사를 생산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살았다. 그들은 머리를 길게 기르고 옷을 왼쪽으로 여몄다. 그들은 싸우고 투쟁하는 것을 좋아했고 죽음을 가볍게 여겼다. 이전에는 위(Wei), 황(Huang), 주(Zhou), 농(Nong)씨 등의 지도자들이 끊임없이 다투고 약탈했다… 황씨는 서약을 제시했고 13개의 부(Bu) 지역과 29개의 만-이민족(Man-barbarian) 주(Zhou) 지역이 설립되었다.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농씨 일원은 농민부(Nong Minfu)였다. 그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977년 초의 기념비에는 광원주의 "평화롭고 관대한" 지도자 농민부가 남한(십국)(907-971)의 지원을 받아 이웃 마을 10곳 이상을 장악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농민부는 대리국 단사평(937-944 재위)을 지원했고, 작위를 받았다. 단(Duan)은 테모의 또 다른 지도자에게 '복혜(buxie)'라는 작위를 수여했다.[12] 송나라는 농민부에게 "공부상서"와 "금자색 꾸밈이 있는 자색 주머니를 든 광록대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이 칭호들은 농민부의 아들인 농권부(Nungz Cienzfuk|za Nùng Tồn Phúcvi)에게도 계승되었다. 그는 또한 당유주(현재 광시성 징시 시)의 추가적인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의 동생인 농권루(Nong Quanlu)는 웬나이주(현재 나리 현)를 통치했다.[12] 이러한 특혜는 대구월에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1004년 농씨 족장을 위한 연회를 개최한 송나라 수비대를 공격했다.[12]
1005년, 송나라와 대구월의 초기 리 왕조 모두로부터 작위를 받은 유명한 전사 족장의 딸인 아농이 태어났다. 아농은 어머니에게서 베 짜는 법을 배웠고, 어느 시점에서 무당의 길을 배우게 되었다. 그녀는 농권부와 결혼하여 그의 주요 정치 고문이 되었으며, 1025년 농지고를 낳았다. 아농의 오빠인 농당도(Nong Dangdao)는 광원주 근처의 우르주를 상속받았다. 아농은 농권부가 그의 형제이자 광시성 젠씨 족장인 젠씨(Cen clan)를 죽이고 그의 땅을 차지하도록 부추겼다. 농씨는 결국 황씨의 5개에 비해 14개의 주요 동굴(grottoes, dong)을 장악했다.[12]
1035년, 농권부는 장생국을 건국하고 자신에게 "조성황제"라는 칭호를 취했으며, 아농은 "명덕황후"가 되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그는 장기국(Chang Qi Guo)을 건국하고 대리국의 초대 왕인 '투 단 초(Tu Dan Chao)'로 자칭했다. 톈양 구의 현감은 반란을 처리하기 위해 난닝 시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그곳 관리들은 개입을 두려워하여 지원을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12] 1039년, 리 왕조의 황제인 리태종이 새로 건국된 왕국을 침략하여 농씨 일족의 남자 5명을 포함한 농권부를 사로잡아 처형했다.[12] 아농은 14세의 농지고와 함께 송나라 영토로 도망쳤다.[5]
3. 3. 3. 농지고
송나라 초기, 황씨(Huang clan)가 유강(You River, 郁江)과 좌강(Zuo River, 左江)을 관할했다.[12] 위씨(Wei)는 송-베트남 국경에 정착했다.[12] 그러나 농씨(Nong clan)의 세력이 커지면서 황씨의 지배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송나라 초기, 농씨는 테모(Temo)라는 지역을 지배했는데, 이 지역은 서쪽의 현재 윈난성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Wenshan Zhuang and Miao Autonomous Prefecture)에서 동쪽의 광시성 징시시(Jingxi, Guangxi)와 남쪽의 광원주(Guangyuanzhou, 현재 베트남 까오방성(Cao Bằng province)[12])까지 뻗어 있었다.[12] 송 태종(976-997 재위)은 농씨 지도자들에게 특별한 은혜를 베풀어 그들이 좌강 지역에서 황씨를 계승했음을 인정했다.[12]
《宋史》중국어에 따르면, 광원주(Guangyuan zhou)의 만-이민족(Man-barbarian) 농씨는 융저우(Yongzhou)의 남서쪽에서 왔으며, 그곳의 여러 지역을 장악했다. 그 지형은 험준한 산과 접근하기 어려운 계곡이었으며, 금과 주사를 생산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살았다. 그들은 머리를 길게 기르고 옷을 왼쪽으로 여몄다. 그들은 싸우고 투쟁하는 것을 좋아했고 죽음을 가볍게 여겼다. 이전에는 위(Wei), 황(Huang), 주(Zhou), 농(Nong)씨 등의 지도자들이 끊임없이 다투고 약탈했다.[12] 황씨는 서약을 제시했고 13개의 부(Bu) 지역과 29개의 만-이민족(Man-barbarian) 주(Zhou) 지역이 설립되었다.[12]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농씨 일원은 농민부(Nong Minfu)였다. 그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977년 초의 기념비에는 광원주(Guangyuanzhou)의 "평화롭고 관대한" 지도자 농민부가 남한(Southern Han, 907-971)의 지원을 받아 이웃 마을 10곳 이상을 장악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농민부는 대리국(Dali Kingdom)의 단사평(937-944 재위)을 지원했고, 작위를 받았다. 단(Duan)은 테모(Temo)의 또 다른 지도자에게 '복혜(buxie)'라는 작위를 수여했다.[12] 송나라는 농민부에게 "공부상서"와 "금자색 꾸밈이 있는 자색 주머니를 든 광록대부"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이 칭호들은 농민부의 아들인 농권부(Nungz Cienzfuk|농쯘푹|vi=Nùng Tồn Phúcza)에게도 계승되었다. 그는 또한 당유주(Dangyouzhou, 현재 광시성 징시시(Jingxi, Guangxi))의 추가적인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의 동생인 농권루(Nong Quanlu)는 원나이주(Wennaizhou, 현재 나리현(Na Rì District))를 통치했다.[12] 이러한 특혜는 대구월(Đại Cồ Việt)에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1004년 농씨 족장을 위한 연회를 개최한 송나라 수비대를 공격했다.[12]
1005년, 송나라와 대구월(Đại Cồ Việt)의 초기 리 왕조(Early Lê dynasty) 모두로부터 작위를 받은 유명한 전사 족장의 딸인 아농(A Nong)이 태어났다. 아농은 어머니에게서 베 짜는 법을 배웠다. 어느 시점에서 그녀는 다른 소녀들과 헤어져 무당의 길을 배우게 되었다. 그녀는 농권부와 결혼하여 그의 주요 정치 고문이 되었다. 그녀의 오빠인 농당도(Nong Dangdao)는 광원주(Guangyuanzhou) 근처의 우르주(Wulezhou)를 상속받았다. 그녀는 1025년 농지고(Nong Zhigao)를 낳았다. 아농은 농권부가 그의 형제이자 광서성 젠씨(Cen clan of Guangxi)의 족장인 젠씨(Cen clan)를 죽이고 그의 땅을 차지하도록 부추겼다. 농씨는 결국 황씨의 5개에 비해 14개의 주요 동굴(grottoes, dong)을 장악했다.[12]
1035년, 농권부는 장생국(Kingdom of Longevity, Changsheng Guo 長生國)을 건국하고 자신에게 "조성황제(Luminous and Sage Emperor, Zhaosheng Huangdi 昭聖皇帝)"라는 칭호를 취했으며, 아농은 "명덕황후(Enlightened and Virtuous Empress, Mingde Huanghou 明德皇后)"가 되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그는 장기국(Chang Qi Guo)을 건국하고 대리국(Dali)의 초대 왕인 '투 단 초(Tu Dan Chao)'로 자칭했다. 톈양구(Tianyang District)|톈저우(Tianzhou)]의 현감은 반란을 처리하기 위해 난닝시(Nanning)|융저우(Yongzhou)]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그곳 관리들은 개입을 두려워하여 지원을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12] 1039년, 리 왕조(Lý dynasty)의 황제인 리태종(Lý Thái Tông)이 새로 건국된 왕국을 침략하여 농씨 일족의 남자 5명을 포함한 농권부를 사로잡아 처형했다.[12] 아농은 14세의 농지고(Zhigao)와 함께 송나라 영토로 도망쳤다.[5]
3. 3. 4. 투딩
송나라는 좡족 용병을 '투딩(土丁, tubing 또는 zhuangding)'이라 불렀으며, 이들을 군대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1052년 농지고(儂智高)의 난 이후, 송나라는 좌우강(左右江) 지역을 장악하고 좡족 지역에 중국식 학교를 설립하여 좡족 엘리트 자제들을 교육시켰으며, 이들은 훗날 송나라 관료직을 맡기도 했다. 송나라는 1064년부터 1067년까지 5만 명이 넘는 좡족 군대의 비용을 지불했고, 1108년까지 그 지역에서 10만 명 이상이 군인으로 등록되었다.
투딩은 좡족 지도자들의 명령에 따라 움직였으며, 송나라를 위해 싸웠다. 1178년 계림(桂林)의 부윤 주곡폐(周去非)는 그들이 "그들의 지도자들의 명령에 따라 살고 죽는다"고 기록했다.
투딩은 길고 짧은 양날 검, 석궁, 독화살, 코끼리 등을 사용했다. 이들은 3인 1조로 부대를 이루어 전투를 수행했는데, 한 명이 큰 방패를 들고 다른 두 명은 창을 던졌다.
3. 3. 5. 군사화
송나라와 대고비엣 간의 갈등 속에서 좡족 지역은 점차 군사화되었다. 1057년 농지고의 친척인 농종단(Nong Zongdan, Nùng Tông Ðánvi)이 송나라 영토로 들어오면서 국경 지역의 불안이 다시 시작되었다.[36] 국경 관리관 왕한(王翰)은 농종단이 베트남 조정을 불안하게 할 것이므로 송나라에 편입되는 것을 포기하도록 레후오(Leihuo)에 있는 그의 진영을 방문했다. 대신 그는 충성스러운 국경 민병 지도자로서 송나라 영토 밖에 머물 것을 제안했다. 왕한은 농씨족의 재기가 국경에 문제를 일으킬 것을 우려했다.[36] 송나라 조정은 그의 우려를 무시하고 농씨족과 다른 공동체에 "내부 의존" 지위를 제공했다. 1061년에는 송 런종제(재위 1022-63년)가 자신의 결정을 후회하며 "농씨족 반란군"과 그의 친척들이 국경의 의무를 저버렸고 송나라 행정부에 편입될 가능성이 없다고 한탄했다.[36] 그러나 1062년 농종단이 자신의 영토를 송나라 제국에 편입할 것을 요청했을 때 런종제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송회요(宋會要)』에 따르면, 농종단은 송나라에서 "순안주(順安州)"로 개명된 레후오 현의 현령으로 간주되었고, "우측 개인 경호 장군"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농지고의 형제인 농지회(Nong Zhihui, Nùng Trí Hộivi)는 "좌측 개인 경호"라는 칭호를 받았다.[36] 템모(Temo)의 농씨족 구성원들, 예를 들어 농빙(Nong Bing), 농광(Nong Guang), 농소청(Nong Xiaqing) 등은 송나라에 충성을 맹세했다.[36] 농지고의 전 장군인 여보(Lu Bao, Lư Báovi), 이묘(Li Mao, Lê Mạovi), 황중청(Huang Zhongqing, Hoàng Trọng Khanhvi)도 관직을 받았다.[36]
송나라 조정은 이러한 칭호가 단순한 명예직이 아니라고 보았다. 1065년 귀주 현령 여신(Lu Shen) 아래 남서부 국경 지역의 지역 민병이 재편성되었다. 유(You)강과 좌(Zuo)강을 따라 있는 45개의 석굴에는 석굴 민병 지도자가 배치되었다. 장관이 지역의 건장한 남성들을 조사하여 지역 유력 가문에서 선발된 수비대장 아래 조직했으며, 그들은 그들의 집단을 구별하는 특정 신호 깃발을 받았다. 30명의 그룹은 "십가(十家, ''jia'')"로 알려진 지역 통치 단위로 조직되었고, 이는 5개 그룹으로 구성되어 부대 지휘관(''dutou'') 아래에 있었고, 10개 그룹은 원주민 사령관(''zhijunshi'')이 이끌었으며, 50개 그룹은 총사령관(''duzhijunshi'')이 이끌었다. 베트남 조정은 이러한 국경 방어 강화로 인해 자신의 지역 통제 시스템이 침식되는 것을 보고 위협을 느꼈을 것이다.[36]
11세기 말 송나라 남서부 국경 지역의 인구가 급증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10세기 말 이 지역은 17,760가구에 불과했지만, 1078년-1085년에는 56,596가구로 증가했다. 1080년 광남서로(廣南西路)의 인구는 287,723가구로, 당나라의 742년 인구 조사 결과보다 133%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의 일부는 원주민 인구 포함과 기록 방법 개선에 기인할 수 있지만, 한족 정착민 증가 추세는 명확하다.[36]
리(Lý)조 조정도 국경을 통합하는 과정에 있었다. 1059년에는 국경과 그 인력을 직접 통제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좌강-우강 지역의 북쪽 국경은 응어롱(Ngự Long), 부텅(Vũ Thắng), 롱윽(Long Dực), 신디엔(Thần Ðiện), 봉성(Bổng Thánh), 보텅(Bảo Thắng), 웅륵(Hùng Lược), 만협(Vạn Tiệp)의 새로운 행정 단위로 나뉘었다. 이들 각 단위에는 관리가 배치되었다. 지역 공동체 사이에 민병 부대가 설립되었고, 징집된 병사들은 이마에 "천자군(天子軍, ''tianzi jun'')"이라는 글자를 문신으로 새겼다. 이것은 지역 인력을 통제하는 독특한 동남아시아 방식을 반영했다.[36]
3. 3. 6. 송-대월 전쟁
1057년 농지고의 친척인 농종단(Nùng Tông Ðán)이 송나라 영토로 들어오면서 국경 지역의 불안이 다시 시작되었다.[11] 송나라 조정은 농씨족과 다른 공동체에 "내부 의존" 지위를 제공했다.[11] 1062년 농종단이 자신의 영토를 송나라 제국에 편입할 것을 요청했을 때 송 인종제는 그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宋會要|송회요중국어에 따르면, 농종단은 송나라에서 "순안주(順安州)"로 개명된 레후오 현의 현령으로 간주되었고, "우측 개인 경호 장군"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1]
송나라 조정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칭호는 단순한 명예직이 아니었다. 1065년 귀주 현령 여신(Lu Shen) 아래 남서부 국경 지역의 지역 민병이 재편성되었다. 유(You)강과 좌(Zuo)강을 따라 있는 45개의 석굴에는 석굴 민병 지도자가 배치되었다.[11] 베트남 조정이 자신의 지역 통제 시스템이 침식되는 것을 보고 위협을 느낀 것은 아마도 이러한 국경 방어의 강화 때문일 것이다.[11]
1060년대 후반, 왕안석의 신법과 신종(神宗) 조정의 영토 회복주의 정서가 결합되어 송의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을 촉구하게 되었다.[11] 왕안석은 남쪽 이민족에 대한 조공 체제를 개편하고자 했다.[11]
1075년 초, 승룡(昇龍)은 700명의 추종자와 함께 송으로 망명한 고지대 족장의 송환을 요청했으나 송은 거절했다. 같은 해 신종은 심기(沈起)와 유의(劉儀) 두 관리를 파견하여 귀주(貴州)를 통치하게 했다. 그들은 현지인들에게 수상전을 훈련시키고 대월(大越) 조정의 신민들과의 무역을 금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상걸은 송이 승룡 공격을 위한 병사를 훈련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11]
이상걸은 농종단(農宗旦)과 같은 좡족(壯族)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아 송나라를 침공했다. 농종단은 고지대 주민들을 이끌고 용주를 향해 진격했다. 1075년 10월, 농종단은 좌수(左水)를 따라 2만 3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송 영토로 진입하여 구완(孤蜿), 태평(太平), 용평(永平), 천룡(千龍)의 수비대를 점령했다.[11] 송의 증원군이 도착하자 농종단과 이상걸의 군대는 후퇴했다. 송의 반격으로 광원과 유기가 함락되었지만, 녹월강(鹿月江, 현 박닌성)에서 저지당했다.[11]
송군은 후퇴하기 전에 병력의 약 50~60%를 잃었고, 그중 절반은 질병으로 사망했다.[11] 1082년, 오랜 상호 고립 기간 이후 대월의 리인종은 용주, 진주, 연주를 전쟁 포로와 함께 송 당국에 반환했고, 그 대가로 송은 농씨 가문의 고향인 광원, 바오락현(Bảo Lạc), 수상(Susang)을 포함한 4개의 주와 1개의 현에 대한 지배권을 포기했다. 1084년 7월 6일부터 8월 8일까지 광남(廣南) 남부의 용평 수비대에서 추가 협상이 진행되었고, 대월의 군사 인사국장 레반팅(1038~1096)은 송이 광원과 귀화 주 사이의 두 나라의 국경을 확정하도록 설득했다.[11]
3. 4. 명-청나라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좡족은 지속적으로 문제를 일으켰다. 명나라는 좡족을 제압하기 위해 여러 집단을 이용했다. 좡족 역사상 가장 잔혹한 전투 중 하나는 1465년 야오족과의 대나무 협곡 전투로, 2만 명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36] 광시 지역 일부는 좡족 출신의 岑씨(Cen) 가문이 통치했는데, 이들은 명나라와 청나라로부터 토사(tusi, 土司), 즉 지방 통치자로 인정받았다.[36]
명나라는 학교 설립 등을 통해 좡족을 포함한 한족이 아닌 남서부 지역 사람들을 교화하려 했다. 그러나 좡족은 한족 문화에 익숙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청나라 시대에도 계속 반란을 일으켰다.[36] 좡족 지역에 학교가 설립되었지만, 주요 좡족 족장들이 교육 기회를 독점하여 일반 백성들이 과거 시험을 볼 수 없도록 제한함으로써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 권력을 유지했다.[36] 좡족은 명나라 군대에서 랑야(狼兵)로 알려진 용병으로 복무하기도 했다.[36]
청나라 시대에는 개토귀류 정책이 시행되면서 좡족 지역은 중앙 정부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다.[36] 19세기에 활동한 한 청나라 관리는 좡족에 대해 "야오족과 좡족은 섞여서 살고 있다. 그들은 시(詩)나 서(書)에 전념하지 않는다… 그들의 예의범절에 대한 이해는 조잡하다."라고 묘사했다.[36]
3. 5. 민족주의
신해혁명에 많은 좡족 농민들이 통맹회의 일원으로 참여했다.[40] 1929년부터 1932년까지 덩샤오핑이 광시에서 지도한 우강 혁명 근거지에도 많은 이들이 참여하여, 중국에서는 혁명적 전통으로 칭송받는다. 중일 전쟁 당시에는 일본군과 싸운 사람들도 있었다. 1930년대 국민당은 무력으로 좡족을 통제하려 했으나, 이는 좡족의 분노와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반대로 많은 좡족들은 좡족 지도자 위바쥔(Wei Baqun)의 지휘 아래 공산당 군대에 합류했다.
1952년 9월, 중화인민공화국은 좡족을 소수 민족으로 인정하고 광시 좡족 자치구를 설립했다. 이후 좡족의 민족 의식은 지역이 중국의 다른 지역, 특히 도시 지역과 더욱 연결됨에 따라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봄 축제와 삼월삼(Sanyuesan, Sam Nyied Sam) 노래 축제와 같은 공공 행사는 정부에 의해 홍보되었지만, 1980년대에는 좡족 민족 연대의 상징이라기보다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3. 5. 1. 농지고 숭배
11세기 광시(廣西)와 까오방(Cao Bằng)의 타이어(Tai)계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에서 농지고(Nùng Trí Cao)를 숭배하였다. 농(Nùng)씨 성을 가진 많은 가족들이 농지고의 후손임을 주장하며, 사당과 기념비를 통해 11세기 지도자에 대한 자부심을 공개적으로 표출한다. 현대 이전에는 광시보다 까오방에서 농지고를 기리는 흔적이 더 많이 발견되었다. 현대 이후로는 그가 중국이나 베트남 시민인 것처럼 민족주의적 역사에 편입되었다.
역사적으로는 농지고의 반란을 진압한 송나라 장군 사청(狄青)이 존경받았다. 1053년 사청은 자신이 직접 귀림(桂林)에 큰 비석을 세워 자신의 공적을 기렸다. "만이(蠻夷)를 평정하다"(平蠻)라는 비석에는 농지고가 중국 관리들에게 죄를 지은 야만인 도적이라고 묘사되어 있다. 지역 공동체는 또한 반란으로 사망한 관리들을 기리는 사당을 건립하기도 했다. 근대 이전 중국에서 농지고를 기리는 물리적 증거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18세기가 되자 광시의 특정 공동체에서 그를 숭배하기 시작했다. 1956년, 톈덩 현에서 1706년에 제작된 비석이 발견되었다. 이 비석은 중수도군촌사(忠修都軍村寺) 건립을 기념하며, 농달령신전하(農大靈神殿下, Nùng the Great Spirit)가 어떻게 영주가 되어 용감하게 싸우고, 지역을 보호하는 영으로 변신했는지를 설명한다. 사당의 주요 후원자는 황(黃), 임(林), 조(趙)씨 가문이었다. 농지고가 패배한 후, 농씨 가문은 조씨 성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
1970년대 후반, 농지고는 소수 민족에 대한 정부의 자유화 정책의 일환으로 재평가되었다. 1980년대 초, 황현범(黃現璠)의 저서 『농지고(農志高)』는 그를 풍부한 지역 역사의 중심에 있는 중국 지도자로 묘사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 이후, 황현범은 농지고를 대월(大越)의 약탈자들로부터 지역 주민을 보호해 주지 않은 부패한 송나라 조정에 맞서 싸운 지역 지도자로 해석했다. 정통적인 『당대 중국의 광시(當代中國的廣西)』는 농지고를 베트남의 침략으로부터 중국 국경을 보호하기 위해 일어선 좡족(壯族)으로 묘사한다. 1980년대 후반에는 농지고의 영웅담이 담긴 민속 이야기 모음집이 출판되었다. 1997년 1월 8일, 징시의 농지고 후손들은 그의 탄생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웠다. 기념비가 세워진 곳은 농지고가 반란 당시 훈련장으로 사용했던 곳이라고 한다. 원산 좡족묘족 자치주의 좡족은 농지고의 반란 운동의 생존자로 자신을 규정하며, 달리, 시쌍반나, 그리고 태국 북부의 다른 집단들은 자신들이 농지고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많은 좡족 노래에서 그를 "농왕(農王)"이라고 부른다.
좡족의 축제 중 롱두안제(壯語로 밭둑으로 간다는 의미)가 있다. 전설에 따르면 이 축제는 이미 7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원래는 민족 영웅 농지고(儂智高)가 1052년 4월 송(宋)나라에 반기를 들고 일으킨 봉기를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재 롱두안 마을은 이미 부닝 현 주변의 좡족, 요족, 한족, 이족 등 각 민족이 물품을 교류하고 함께 축하하는 전통적인 축제이다.
4. 누웅족 및 따이족과의 관계
좡족(Zhuang), 누웅족(Nùng), 타이족(Tày)은 라우족(Rau peoples)으로 알려진 타이족(Tai people)의 한 무리로, 매우 비슷한 풍습과 의복을 공유한다. 중국에서 좡족은 한족(Han Chinese) 다음으로 가장 큰 소수 민족이며, 베트남에서는 누웅족과 타이족이 상당한 인구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이 둘을 합쳐 타이-누웅 소수 민족으로 부르기도 한다.[5]
제임스 앤더슨(James Anderson)은 "비록 베트남과 중국 당국 모두 이 지역의 모든 주민을 '남쪽의 야만인'(Man)으로 분류했지만, 이 지역에는 많은 고유한 공동체가 있었다. 대부분은 단일 타이어계 민족인 중국의 좡족(또는 베트남의 누웅족) 민족에 속했다."라고 언급했다.[5]
4. 1. 정체성
좡족(Zhuang), 누웅족(Nùng), 타이족(Tày)은 라우족(Rau peoples)으로 알려진 타이족(Tai people)의 한 무리이며, 매우 유사한 풍습과 의복을 가진다. 중국에서 좡족은 현재 광시 좡족 자치구(Guangxi Province)에만 약 1,450만 명의 인구를 가진, 한족(Han Chinese) 이외 가장 큰 소수 민족이다. 베트남에서는 1999년 기준으로 누웅족이 933,653명, 타이족이 1,574,822명이었다.[5] 최근에는 타이족과 누웅족을 합쳐 타이-누웅 소수 민족으로 부르기도 하지만,[5] 이러한 민족명칭은 근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최근 현상이다. Keith Taylor에 따르면, 베트남 용어는 고지대 주민과 저지대 주민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 "프랑스 식민지 시대 지식의 범주"였다. 좡족이라는 민족은 1950년대 중국의 "민족 확인 사업"의 산물이다.[5]많은 타이족 학자들은 좡족과 누웅족을 본질적으로 동일한 민족으로 간주한다.[5] 11세기 초, 민족 정체성과 경계는 현대 중국-베트남 국경 지역보다 더 유동적이었다. 1055년 농지고(Nong Zhigao) 좡족 지도자는 송나라(Song dynasty)에 패배했다. 만약 그가 승리했다면, 그는 자신의 씨족 이름인 농(Nong)을 딴 국가를 세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중국 내 그의 백성들은 자신의 언어로 "동굴"을 뜻하는 좡(Zhuang)으로 계속 불렸고, 베트남에서는 누웅(Nùng)으로 알려졌다.[5] 가장 큰 민족 집단이자 현재 가장 큰 소수 민족은 여전히 좡족/누웅족이며, 총 인구는 1,500만 명이 넘는다.[5] 이들은 단지 중국과 베트남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인식될 뿐이다.[5] 농지고(V. Nùng Trí Cao)는 때때로 베트남에서 베트남 원주민으로 주장되기도 하지만, 이는 현대 중국과의 대립 때문이며, 과거 베트남 사람들은 그를 주로 중국인으로 보기도 했다.[5]
5. 풍습과 문화
좡족은 동고(니엔, nyenz)라는 청동 북을 전통 문화로 가지고 있다. 이는 이족, 묘족 등 주변 민족에게도 퍼진 동손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동고는 운남성에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출토되며, 소리가 잘 울려 종교적인 악기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고대 권력과 재산의 상징이기도 했다. 동고에는 정교한 주조 기술로 민족의 모습을 새긴 것도 있어, 부락제 등 고대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로 활용되며, 동고를 두드려 리듬을 타는 민족 음악도 전해진다.[41]
좡족은 노래와 춤을 즐기는 민족으로, 가희 류삼자가 유명하며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좡족 민요는 아름다운 가사와 운율을 맞춘 것이 특징이며, 역사를 담은 옛 노래, 생산 기술을 가르치는 노래, 술 노래, 사랑 노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농부나 부인의 고달픈 삶을 노래하는 경우가 많다. 좡족은 춤에도 능하며, 동고의 춤은 리듬이 밝고 스텝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농한기나 명절, 결혼식, 장례식 등에는 각지에서 노래를 주고받는 가가(가가)를 하는데, 이날을 "노래의 시장"이라고 부른다. 가가 풍습과 좡어로 된 가극인 좡극이 전해진다.
징시시와 덕보현에는 '신 야하이'라고 불리는 전통 꼭두각시극이 전해진다.[40]
공예품으로는 다섯 가지 색깔의 실로 아름답게 수놓은 좡금(壮锦)이 유명하며, 정교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현재까지도 생산되고 있다.
좡족은 손으로 짠 천을 이용해 다양한 디자인의 옷을 만든다. 쪽염색과 같은 염색 기술도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여성은 평상시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 바지를 입고, 바짓단은 약간 넓게 하며, 머리는 능직 수건 같은 것으로 감싸고 허리에는 정교한 디자인의 앞치마를 맨다. 젊은 여성들은 앞 단추식 상의를 입고 허리에 끈을 매는 경우가 많다. 남녀 모두 검정색을 정식 예복으로 한다.
좡족은 산과 물 가까이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며, 전통적으로 "간란(干欄, ranzgyan)"이라 불리는 고상식 건물 목조 가옥에 거주했다. 대부분 장방형 바닥에 박공지붕이나 맞배지붕의 원기와 지붕을 얹은 형태이다. 주택 상층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하층에는 돼지 등 가축을 길렀다. 최근에는 평집이 일반화되었지만, 좌우 대칭에 가까운 배치를 하고 중심선 안쪽에 신당을 두는 것은 동일하다. 신당이 있는 청당에서는 축제나 사교 활동을 하고, 양쪽 끝 방에 사람이 거주한다. 신당 뒤에 가장 등이 거주하는 후청이라는 방이 있는 경우도 많다. 난로 주변이 생활의 중심이 되며, 매일 세 끼 식사는 이곳에서 해결한다. 최근 농촌에서는 퇴비 더미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를 연료로 사용해 부엌에서 조리하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다.
식문화는 쌀밥 중심이지만, 채소를 쉽게 구할 수 있어 배추, 조롱박과 같은 박과 채소, 콩류 등 채소를 많이 섭취한다. 농가에서는 돼지, 닭, 거위 등을 직접 길러 식용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개고기나 염소 요리도 즐긴다. 하지만 초식성으로 농사에 필요한 물소나 말은 먹지 않는 풍습이 있다. 행사 음식에는 찹쌀이 빠지지 않는데, 음력 3월 3일 삼월삼 축제 때 먹는 "오색밥"(하우난하삭, haeuxnaengj haj saek)은 찹쌀을 붉은 쑥부쟁이, 황금색 꽃, 단풍잎, 자주색 등나무 등 식물 즙에 담가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 보라색으로 물들인 후 흰쌀밥과 함께 5가지 색깔을 낸 음식이다. 설날과 단오에는 모든 집에서 "낙타등 찹쌀떡"(faengx)을 만든다. 좋은 찹쌀을 물에 담근 후 씻은 종려나무 잎(rongdaij)으로 싸서 만드는데, 쌀 안에 녹두앙금이나 팥앙금, 양념한 돼지고기를 넣고 양쪽 끝을 납작하게 둥글리고 가운데를 불룩하게 만들어 낙타등 모양으로 만든다. 큰 것은 1kg, 작은 것은 500g 정도이며 오랫동안 삶아야 한다. 축제 때 선물로 귀하게 여겨진다. 이 외에도 단오의 가늘고 긴 찹쌀떡 "양각粽"(faengxgaeuyiengz)이나 잿물을 넣어 만드는 쑥떡도 있다. 절구와 절굿공이로 떡(ceiz)을 치거나, 회와 비슷한 "생선회"를 먹거나, 빈랑나무 열매를 씹는 풍습도 있다. 설날, 삼월삼, 중양절의 축제 음식으로는 내장을 제거하고 생강을 넣은 닭을 통째로 삶은 백숙이 일반적이며,[41] 결혼식에는 광동성 한족이나 베트남인처럼 통돼지 구이도 준비된다.
결혼식 의례는 한족과 유사하지만, 시집갈 때 친척들이 노래를 주고받는 풍습이 있다. 또한 1980년대까지는 결혼 후에도 아이를 갖기 전까지 신부와 신랑이 수년간 별거하는 "불락부가(不落夫家)" 풍습이 있었다.[42]
좡족은 다양한 전통 축제를 지키고 있으며, 각 축제는 고유한 의미와 풍습을 담고 있다. 주요 축제와 내용은 아래와 같다.
축제 이름 | 날짜 (음력) | 좡족 명칭과 의미 | 주요 풍습 |
---|---|---|---|
설날 | 1월 1일~15일 | 시엔(Xien), 「춘절(春節)」 | 폭죽, "신수(新水)" 길어오기, 세배, 채소 훔치기(젊은 여성), 대가(對歌), 용춤, 사자춤 등.[43] |
춘사절(春社節) (보양춘절(保陽春節)) | 2월 2일 (또는 불규칙) | 샤(겐샤)(Sha), 「사(社)」 | 마을 단위로 돼지를 잡아 사왕(社王)에게 바치고 풍년과 가축 번성을 기원.[43] |
화왕절(花王節) | 2월 19일 | 생육의 여신이자 아이들의 수호신인 "화왕(花王)" 제사.[43] | |
삼월삼 축제 | 3월 3일 | 삼니엔·츠오삼(Samnien·Tzuosam), 「삼월 초삼(三月初三)」 | 오색 찹쌀밥과 닭고기 등을 묘지에 가져가 묘소를 찾고, 젊은 남녀는 대가(對歌)를 함.[43] |
단오절 | 5월 5일 | 누니엔·츠오누(Nu nien·Tzuo nu) | 쭝쯔(粽子)를 만들어 조상 제사, 쑥과 단풍나무 잎을 문에 꽂고, 웅황주(雄黃酒)를 마시고 약초 목욕.[43] |
목일대왕절(莫一大王節) (오곡묘절(五穀廟節)) | 6월 2일 | 좡족의 조상신인 목일대왕(莫一大王)을 사당에서 제사.[43] | |
토지공탄신(土地公誕辰) | 6월 6일 | 공·투다이(Gong·Tudai), 「토지공(土地公)」 | 닭, 오리를 잡고 신당과 밭머리에서 제사, 곡물 수확 기원, 의류 햇볕에 말리기.[43] |
중원절 (귀절(鬼節)) | 7월 7일, 12일~16일 | 츠아니엔·츠에쎄(Ts'a nien·Tsuesse) | 조상 제사, 친척 방문.[43] |
사절(社節) | 8월 3일 | 춘사절과 유사하나 규모가 작음. 쌀국수, 쯔바(糍粑: 찹쌀떡) 등을 만듦.[43] | |
추석 | 8월 15일 | 밧니엔·츠에하(Bat nien·Tse ha), 「팔월십오(八月十五)」 | 닭, 오리를 잡고, 저녁에 월병(月餅)과 과일을 차려놓고 달을 감상. 꽃등(花燈)과 유자등(柚燈) 제작.[43] |
중양절 | 9월 9일 | 기우니엔·츠오기우(Giu nien·Tzuo giu), 「구월초구(九月初九)」 | 찹쌀떡을 만들어 수확을 축하하고, 돼지고기, 닭고기를 먹음. 일부 지역에서는 노인들의 건강 장수를 축하.[43] |
끽동(喫冬) (동지절(冬至節)) | 11월 중 | 똥지(Dongzi), 「동지(冬至)」 | 돼지를 잡아 조상 제사, 온 가족 저녁 식사.[43] |
송조절(送竈節) | 12월 23일 | 왕자우(Wang zau), 「조왕(竈王)」 | 조왕을 하늘로 보내고, 새해맞이 준비.[43] |
섣달 그믐(除夜) | 12월 30일 (윤달이면 29일) | 함하닷(Ham Hadat), 「제석(除夕)」 | 집안 청소, 춘련(春聯) 교체, 가족과 송년 저녁 식사, 수세(守歲), 자정에 조상 제사.[43] |
이 중 음력 3월 3일에 열리는 삼월삼 축제는 묘소 참배 후 화려하게 차려입고 노래를 부르는 축제인 "가절(歌節)"이 열리는 공휴일이다.[44] 과거에는 남녀가 즉흥적인 노래로 애정을 표현하는 "가각(歌垣)" 풍습이 있었으며, 좡족 거주 지역은 "노래의 바다"로 불리기도 했다.[44] 현대에는 좡족의 "삼월삼절"이 관광 자원으로 주목받아 민족 무용과 "노래 대결" 등을 선보이는 이벤트가 열리지만, 농촌 및 산간 지역에는 여전히 옛 노래 교환 풍습이 남아있다.[44]
4월에 열리는 불로토 축제는 3일 동안 노래와 염불을 하는 행사이다.
5. 1. 성별
좡족 사회는 원래 더 평등했으며, 아농(阿侬)과 같은 여성 무당들이 존경받았다.[5] 가족들은 남성과 여성 구성원 모두를 통해 혈통을 이어갔다. 남성들은 육아에 참여했고, 종종 자신의 가족을 세우기보다는 아내의 가족으로 이사했다. 남성들은 아내가 정기적으로 자신들에게 '우구(Wugu)'라는 영약을 먹이는데, 부정을 저지르면 이 영약이 자신들을 죽일 것이라고 믿었다. 구혼은 노래 축제에서 이루어졌으며, 결혼 상대자들은 서로 운율과 박자를 맞춰 대답했다.[5]어느 시점부터 좡족의 관습은 한족 관습을 더 많이 수용하면서 더욱 부계 중심적으로 변했다. 가족들은 남성만을 통해 혈통을 이어가기 시작했다. 결혼은 나이 많은 남성과 젊은 여성을 맞추기 위해 점성술을 통해 결정되었다. 결혼 후 아내는 남편과 함께 살았다. 자녀의 이름은 외숙부가 결정했으며, 외숙부는 결혼식과 부모의 장례식에서 의례적인 지원 역할을 했다. 또한, 남성이 외사촌 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5. 2. 언어
좡어는 타이어족에 속하는 여러 언어들의 집합으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주변의 한어 방언, 특히 광둥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15] 표준 좡어는 북부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남부 좡어보다는 부이어에 더 가까워 배우는 사람이 거의 없다.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언어나 방언 때문에 서로 다른 지역의 좡족은 중국어로 소통하며, 광시 좡족 자치구와 같이 좡족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는 중국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16]일부 자료에 따르면 광시에서는 의무 교육이 좡어와 중국어 이중 언어 교육을 실시하며, 초기에는 좡어 읽고 쓰기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둔다고 하지만,[15] 좡어를 사용하는 교육을 하는 학교는 소수에 불과하다. 좡어는 1000년 이상 한자를 기반으로 한 표의 문자인 사운딥(Sawndip)을 사용하여 기록되어 왔다. 1957년에는 공식적인 알파벳인 표준 좡어가 도입되었고, 1982년에는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한자 기반 문자는 비공식적인 영역[17]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2017년 6월에는 1000개가 넘는 한자가 유니코드 10.0에 추가되었다.
좡족은 「바우 로도(Baeu Rodo)」와 같이 운문 형식으로 쓰인 자신들만의 경전을 가지고 있다.[18][19]
독자적인 언어인 좡어는 남북 두 개의 주요 방언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문법 구조와 어휘는 같다. 이전에는 한자의 육서 기법을 응용하여 좡어의 음성을 표현하는 사운딥(고장자)이라는 문자를 사용했지만, 1300년 이상의 역사가 있음에도 표준화되지 않아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1957년에 좡족을 위해 표음 문자인 로마자와 키릴 문자를 응용하여 좡어 문자를 제정했다. 1982년에는 수정을 거쳐 로마자만으로 표기할 수 있게 되었고, 좡어 신문, 교과서 등도 출판되었다. 중국 화폐인 위안 지폐에는 중국어, 몽골어, 티베트어, 위구르어와 함께 구 표기의 좡어 표기가 있다. 지역 행정 기관이나 철도역의 간판, 표시에는 한자와 함께 좡어 표기가 병기된 경우가 많다. 도시에 사는 좡족은 일상적으로 중국어(광둥어 등)를 사용한다.
5. 2. 1. 사운딥 문학
문자 사용이 가능했던 좡족은 자신들만의 문자 체계인 사운딥(Sawndip, 문자 그대로 "익히지 않은 글씨")을 가지고 민요, 오페라, 시, 경전, 편지, 계약서 및 법정 문서를 기록했다.[20] 그 작품들은 완전히 토착적인 작품과 중국어로부터 번역된 작품, 사실과 허구, 종교적 텍스트와 세속적 텍스트를 모두 포함한다.5. 2. 2. 이름
대부분의 좡족은 표준 한자 이름을 사용하지만, 좡족 출신들 사이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성(姓)을 가진 사람들도 일부 있다. 예를 들어 "覃"(覃|탄중국어)은 보통 "Qín"으로 발음된다.중국 일부 마을 이름에는 좡어로 "마을"을 의미하는 접미사 "板|판중국어"이 있다. (예: 板塘|판탕중국어, 板岭乡|판링샹중국어, 板帽|판마오중국어, 板罕|판한중국어)
5. 3. 축제
좡족은 다양한 전통 축제를 지내는데, 각 축제는 고유한 의미와 풍습을 담고 있다.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축제 이름 | 날짜 (음력) | 좡족 명칭과 의미 | 주요 풍습 |
---|---|---|---|
설날 | 1월 1일~15일 | 시엔(Xien), 「춘절(春節)」 | 폭죽 터뜨리기, "신수(新水)" 길어오기, 세배, 채소 훔치기(젊은 여성), 대가(對歌), 용춤, 사자춤 등.[43] |
춘사절(春社節) (보양춘절(保陽春節)) | 2월 2일 (또는 불규칙) | 샤(겐샤)(Sha), 「사(社)」 | 마을 단위로 돼지를 잡아 사왕(社王)에게 바치고 풍년과 가축 번성을 기원.[43] |
화왕절(花王節) | 2월 19일 | 생육의 여신이자 아이들의 수호신인 "화왕(花王)" 제사.[43] | |
삼월삼 축제 | 3월 3일 | 삼니엔·츠오삼(Samnien·Tzuosam), 「삼월 초삼(三月初三)」 | 오색 찹쌀밥과 닭고기 등을 묘지에 가져가 묘소를 찾고, 젊은 남녀는 대가(對歌)를 함.[43] |
단오절 | 5월 5일 | 누니엔·츠오누(Nu nien·Tzuo nu) | 쭝쯔(粽子)를 만들어 조상 제사, 쑥과 단풍나무 잎을 문에 꽂고, 웅황주(雄黃酒)를 마시고 약초 목욕.[43] |
목일대왕절(莫一大王節) (오곡묘절(五穀廟節)) | 6월 2일 | 좡족의 조상신인 목일대왕(莫一大王)을 사당에서 제사.[43] | |
토지공탄신(土地公誕辰) | 6월 6일 | 공·투다이(Gong·Tudai), 「토지공(土地公)」 | 닭, 오리를 잡고 신당과 밭머리에서 제사, 곡물 수확 기원, 의류 햇볕에 말리기.[43] |
중원절 (귀절(鬼節)) | 7월 7일, 12일~16일 | 츠아니엔·츠에쎄(Ts'a nien·Tsuesse) | 조상 제사, 친척 방문.[43] |
사절(社節) | 8월 3일 | 춘사절과 유사하나 규모가 작음. 쌀국수, 쯔바(糍粑: 찹쌀떡) 등을 만듦.[43] | |
추석 | 8월 15일 | 밧니엔·츠에하(Bat nien·Tse ha), 「팔월십오(八月十五)」 | 닭, 오리를 잡고, 저녁에 월병(月餅)과 과일을 차려놓고 달을 감상. 꽃등(花燈)과 유자등(柚燈) 제작.[43] |
중양절 | 9월 9일 | 기우니엔·츠오기우(Giu nien·Tzuo giu), 「구월초구(九月初九)」 | 찹쌀떡을 만들어 수확을 축하하고, 돼지고기, 닭고기를 먹음. 일부 지역에서는 노인들의 건강 장수를 축하.[43] |
끽동(喫冬) (동지절(冬至節)) | 11월 중 | 똥지(Dongzi), 「동지(冬至)」 | 돼지를 잡아 조상 제사, 온 가족 저녁 식사.[43] |
송조절(送竈節) | 12월 23일 | 왕자우(Wang zau), 「조왕(竈王)」 | 조왕을 하늘로 보내고, 새해맞이 준비.[43] |
섣달 그믐(除夜) | 12월 30일 (윤달이면 29일) | 함하닷(Ham Hadat), 「제석(除夕)」 | 집안 청소, 춘련(春聯) 교체, 가족과 송년 저녁 식사, 수세(守歲), 자정에 조상 제사.[43] |
이 중 음력 3월 3일에 열리는 삼월삼 축제는 묘소 참배 후 화려하게 차려입고 노래를 부르는 축제인 "가절(歌節)"이 열리는 공휴일이다.[44] 과거에는 남녀가 즉흥적인 노래로 애정을 표현하는 "가각(歌垣)" 풍습이 있었으며, 좡족 거주 지역은 "노래의 바다"로 불리기도 했다.[44] 현대에는 좡족의 "삼월삼절"이 관광 자원으로 주목받아 민족 무용과 "노래 대결" 등을 선보이는 이벤트가 열리지만, 농촌 및 산간 지역에는 여전히 옛 노래 교환 풍습이 남아있다.[44]
4월에 열리는 불로토 축제는 3일 동안 노래와 염불을 하는 행사이다.
5. 4. 족보 날조와 민족 정체성
많은 좡족 사람들은 자신의 부계 조상이 호광(후베이성과 후난성)과 강남 출신의 한족이며 광시로 이주했다고 거짓 주장을 했다. 구이저우성의 부이족 또한 장쑤성 출신 한족 강남 부계 조상을 주장했다.[21] 구이저우성의 부이족(중가)과 광시의 좡족은 한족으로 인정받기 위해 거짓으로 한족 부계 조상을 주장했고, 족보를 만들어 조상이 강남, 호광, 산둥성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좡족 또한 1950년대까지 이러한 행위를 하며 조상이 북방 한족이라고 주장하고 이를 보여주는 가짜 족보를 만들어 차별과 소외를 피하려 했다.[22] 공산당은 좡족에게 스스로 좡족임을 확인하고 한족인 체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했다.[23][24] 중국 남서부의 많은 좡족 소수 민족 가정, 토사 족장의 가정을 포함하여 자신의 부계 조상이 북방 한족이라고 주장하는 족보를 위조했다.[25][26] 좡족은 안핑 족장 지역에서 거짓 한족 조상을 주장했다.[27] 좡족은 한족식 사당을 채택하고, 족보 규칙에 방(坊)과 같은 한족 사상을 도입했으며, 족보에 거짓 한족 조상을 기록했다.[28]5. 4. 1. 섬씨 가문
많은 좡족 사람들은 자신의 부계 조상이 후베이성과 후난성을 아우르는 호광(湖廣)과 강남 출신의 한족이며, 이들이 광시로 이주했다고 거짓 주장을 했다. 구이저우성의 부이족 또한 장쑤성 출신 한족 강남 부계 조상을 주장했다.[21] 구이저우성의 부이족(중가)과 광시의 좡족은 한족으로 인정받기 위해 거짓으로 한족 부계 조상을 주장했다. 부이족은 한족 조상을 가진 족보를 만들어 조상이 강남, 호광, 산둥성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좡족 또한 1950년대까지 이러한 행위를 하며 조상이 북방 한족이라고 주장하고 이를 보여주는 가짜 족보를 만들어 차별과 소외를 피하려 했다.[22] 공산당은 좡족에게 스스로 좡족임을 확인하고 한족인 체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했다.[23][24] 중국 남서부의 많은 좡족 소수 민족 가정들, 토사 족장의 가정을 포함하여, 자신의 부계 조상이 북방 한족이라고 주장하는 족보를 위조했다.[25][26] 좡족은 안핑 족장 지역에서 거짓 한족 조상을 주장했다.[27] 좡족은 한족식 사당을 채택하고, 족보 규칙에 방(坊)과 같은 한족 사상을 도입했으며, 족보에 거짓 한족 조상을 기록했다.[28]Cen 성씨는 원, 명, 청나라 시대 광시성에서 토사를 지배했던 좡족 토사 귀족 가문에서 발견되며, 이들은 저장성 출신의 송나라 장군 Cen Zhongshu(岑仲舒)로부터 이어지는 한족의 부계 혈통을 주장한다.[29][30]
6. 종교
모교 또는 시공교는 샤머니즘과 유사한 좡족의 전통 신앙으로, 조상 숭배 요소를 포함한다.[31] 모교에는 고유한 경전이 있으며, ''bumo'' 또는 ''mogong''(''bouxmo'')이라 불리는 전문 사제들이 닭 뼈를 사용하여 점을 친다. 이들은 좡족 지도자들과 직접 연결된 특별한 사제 계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 통치 이후, bumo는 족장과의 관계를 잃고 점차 마을 의례 전문가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들은 경전을 읽고, 점을 치고, 전염병을 쫓는 등의 의례를 행하며, 그들의 신성한 두루마리는 ''삼청(三清)''이다. 중국어로 bumo는 무사(巫師), 즉 영적 매개자로 알려져 있다.
좡족 문화에서는 산을 숭배하며, 겨울과 봄 사이에는 산에 가서 "훈 감즈 고크 픈(hun gamj gok fwen)"이라는 좡족 스타일의 노래를 부른다.
6. 1. 신
모교 또는 시공교라고 불리는 좡족의 전통 신앙에는 여러 신들이 등장한다. 좡족은 세계가 천(天), 지(地), 수(水)의 세 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으며, 각 영역은 특정 신이 다스린다.[31]- 바우클록도(Buluotuo): 창조신으로 땅을 다스린다. 그의 아내이자 어머니 신인 메 낭즈(Meh Nangz) 또한 숭배된다. 바우클록도는 뮬리우지아(Muliujia)와 함께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기 위해 하늘에서 내려왔다. 음력 2월에 하늘을 떠나 현재의 톈양 지역에 도착하여 세상을 창조하고 아이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31] Buluotuo|뿌롯또za
- 메 낭즈(Meh Nangz): 어머니 신으로, 간좡산(Mt. Ganzhuang) 근처 마을 주민들이 숭배한다. 중국어로는 무니앙(Muniang)으로 불리며, 좡족어로는 뮬리우지아(Muliujia) 또는 메흘뢰꺄프(Mehloeggyap)라고 불린다. 뮬리우지아는 지혜의 어머니를 의미하며, 창조와 다산의 여신이다. 우주가 "알"로 응축되어 세 부분으로 폭발할 때 땅에서 피어난 육질의 꽃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31] Meh Nangz|메낭즈za
- 응웨그(Ngweg): 용신으로 물을 다스린다.[31] Ngweg|응웩za
- 갸지(Gyaj): 천둥신으로 하늘을 다스린다.[31] Gyaj|갸지za
좡족은 도교의 영향을 받아 정일파 도교를 믿으며, 집 안의 신당에는 조상, 가마도신, 아이의 성장을 지켜주는 성모니ang(聖母娘娘) 등을 모신다.
6. 2. 기타 종교
모교 또는 시공교 외에도 좡족 중에는 불교, 도교,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32]정일파 도교를 믿으며, 결혼, 장례 등 의례도 도사(道士)가 행하는 경우가 많다. 집 안의 신당에는 주로 조상을 모시고, 좌우에는 가마도신과 아이의 성장을 지켜주는 성모니ang(聖母娘娘) 등을 함께 모신다. 근대에 기독교 전파도 있었지만,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장례는 도교식이 많으며, 북부에서는 토장을, 남부에서는 토장 후 수년 후에 유골을 꺼내 씻은 후(세골, 洗骨), 금탑(金塔, 캄타)이라고 불리는 큰 놓는 형태의 골함(骨壺)에 유골을 다시 안치하는 복장(複葬)이 많다. 매장지는 풍수에 따라 정한다.
6. 3. 좡족 종교 용어
대부분의 좡족은 샤머니즘과 유사한 전통적인 신앙인 모교 또는 시공교를 따르는데, 여기에는 조상 숭배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31] 모교에는 그들만의 경전이 있으며, 전통적으로 닭 뼈를 사용하여 점을 치는 ''bumo'' 또는 ''mogong''(''bouxmo'')이라 불리는 전문 사제들이 있다.좡족 종교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교 전문가들이 있다.
- 도교 사제 – (중국어: 道公, 좡어: bou dao)[33]
- 민간 의례 주술사 – (중국어: 麽公, 좡어: bou mo 및 중국어: 師公, 좡어: bou slay)
- 샤먼 – (중국어: 巫, 좡어: moed 및 gyaem)
좡족은 정일파 도교를 믿으며, 관혼상제 의례도 이에 따라 도사(道士)가 행하는 경우가 많다. 집 안의 신당에는 주로 조상을 모시고, 좌우에는 가마도신과 아이의 성장을 지켜주는 성모니ang(聖母娘娘) 등을 함께 모신다.
7. 유전학
좡족의 유전적 증거를 보면 하플로그룹 O2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그 대부분은 O2a 하위 계통에 속한다. 이는 좡족이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과 공유하는 가장 지배적인 마커이다.[34] O2의 나머지 부분은 O2a1 하위 계통에 속한다. 좡족은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과 관련된 O1 하플로그룹을 흔하게 가지고 있지만, O1의 비율은 O2a보다 훨씬 낮고 O2a1보다 약간 높을 뿐이다. 타이완 원주민에게서는 O2 하플로그룹이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O1 하플로그룹은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 만약 오스트로-타이 가설이 맞다면, 타이-카다이어 사용자들이 타이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가 분리된 후 주로 오스트로아시아계 사람들을 자신들의 인구에 동화시켰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34]
8. 분포
1952년 12월, 광서성 서쪽 절반에 귀서장족자치구(桂西壯族自治區)가 설립되었고, 1956년 자치주로 개편되었다. 1958년에는 중국의 소수민족으로서 몽골족, 티베트족, 위구르족, 후이족과 함께 “성”과 동등한 지위의 민족자치구인 “광시 좡족 자치구”가 설치되어 광서성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중국 소수 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좡족은 2000년 제5차 전국 인구 조사 통계에 따르면 총 1617만 8800명이다.[37] 2010년 제6차 전국 인구 조사 속보에 따르면, 좡족의 총 인구는 약 1800만 명에 달한다.[38] 좡족의 90% 이상은 광시 좡족 자치구 내에 거주하지만, 광둥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후난성 등에도 분포되어 있다. 자치구 내에서는 전 지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지만, 인구는 성도인 난닝 시에 약 400만 명, 류저우 시에 약 200만 명이 집중되어 있으며, 바이세 시, 허츠 시 등 지역에서도 주요 민족으로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다.
다른 성에서는 1958년 윈난성 동남부에 원산 좡족 묘족 자치주가, 1962년 광둥성 북서부에 롄산 좡족 야오족 자치현이 설치되었다. 두 지역 모두 광시 좡족 자치구와 인접해 있으며, 원산 좡족 묘족 자치주에는 약 110만 명, 롄산 좡족 야오족 자치현에는 약 5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좡족의 성씨는 위(韋), 탐(覃), 농(農), 섬(岑), 황(黄), 라(羅), 막(莫), 탐(譚), 륙(陸), 요(廖), 남(藍), 용(龍) 등이 많다.[39]
8. 1. 현별 분포
성(省) | 지급(市/州) | 현(縣) | 좡족 인구 | 중국 좡족 인구 중 비율 |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용닝 구 () | 766,441 | 4.74%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싱빈 구 () | 600,360 | 3.71%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우밍 현 () | 524,912 | 3.24%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징시 현 () | 452,399 | 2.8% |
광서 좡족 자치구 | 귀강 시 | 강베이 구 () | 424,343 | 2.62%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이저우 구 (宜州市|이저우 시중국어) | 405,372 | 2.51%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두안 야오족 자치현 () | 399,142 | 2.47%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류장 구 () | 383,478 | 2.37%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핑궈 시 () | 350,122 | 2.16%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헝 현 () | 323,428 | 2.0%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광난 현 () | 315,755 | 1.95%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신청 현 () | 315,354 | 1.95%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티앤덩 현 () | 307,660 | 1.9%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다신 현 () | 306,617 | 1.9%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푸수이 현 () | 305,369 | 1.89%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마산 현 () | 302,035 | 1.87%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롱안 현 () | 301,972 | 1.87%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티앤둥 현 () | 301,895 | 1.87%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상린 현 () | 297,939 | 1.84%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닝밍 현 () | 270,754 | 1.67%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더바오 현 () | 268,650 | 1.66%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다화 야오족 자치현 () | 261,277 | 1.61%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티앤양 현 () | 261,129 | 1.61%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장저우 구 () | 245,714 | 1.52%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요우장 구 () | 244,329 | 1.51%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롱저우 현 () | 242,616 | 1.5%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시자오 구 () | 242,049 | 1.5%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우촨 현 () | 237,239 | 1.47%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후안장 마오난족 자치현 () | 231,373 | 1.43%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진청장 구 () | 219,381 | 1.36%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둥란 현 () | 212,998 | 1.32%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샹저우 현 () | 212,849 | 1.32%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푸닝 현 () | 211,749 | 1.31% |
광서 좡족 자치구 | 친저우 시 | 친베이 구 () | 209,460 | 1.29%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루자이 현 () | 208,262 | 1.29%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류청 현 () | 186,720 | 1.15%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롱린 각 민족 자치현 () | 180,172 | 1.11% |
광서 좡족 자치구 | 팡청강 시 | 상쓰 현 () | 179,837 | 1.11%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난단 현 () | 162,944 | 1.01%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빈양 현 () | 160,893 | 0.99%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시샹탕 구 () | 152,606 | 0.94%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나포 현 () | 151,939 | 0.94%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바마 야오족 자치현 () | 151,923 | 0.94%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티앤린 현 () | 140,507 | 0.87%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연산 현 () | 130,146 | 0.8%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뤄청 뮬라오족 자치현 () | 122,803 | 0.76%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치베이 현 () | 120,626 | 0.75%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칭슈이 구 () | 112,402 | 0.69% |
광동 성 | 둥관 시 | 시할구 () | 98,164 | 0.61%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롱안 현 () | 97,898 | 0.6%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풍산 현 () | 93,652 | 0.58%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허산 시 (合山市|허산 시중국어) | 93,456 | 0.58% |
광서 좡족 자치구 | 귀강 시 | 귀핑 시 (桂平市|구이핑 시중국어) | 93,271 | 0.58%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웬산 시 () | 91,257 | 0.56%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시자오 구 () | 90,263 | 0.56%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시린 현 () | 88,935 | 0.55% |
광서 좡족 자치구 | 충저우 시 | 핑샹 시 (凭祥市|핑샹 시중국어) | 85,603 | 0.53% |
광서 좡족 자치구 | 팡청강 시 | 팡청 구 () | 84,281 | 0.52% |
광동 성 | 선전 시 | 바오안 구 () | 81,368 | 0.5%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치 시 | 티앤어 현 () | 79,236 | 0.49%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러예 현 () | 71,739 | 0.44%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류난 구 () | 63,470 | 0.39%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위펑 구 () | 62,870 | 0.39% |
광서 좡족 자치구 | 바이세 시 | 링윈 현 () | 58,655 | 0.36% |
광서 좡족 자치구 | 친저우 시 | 치난 구 () | 58,571 | 0.36% |
광서 좡족 자치구 | 라이빈 시 | 진슈 야오족 자치현 () | 58,539 | 0.36%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류베이 구 () | 57,290 | 0.35%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롱슈이 묘족 자치현 () | 56,770 | 0.35%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마관 현 () | 54,856 | 0.34%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지난 구 () | 54,232 | 0.34% |
광동 성 | 포산 시 | 난하이 구 () | 50,007 | 0.31% |
광동 성 | 칭위안 시 | 리앤산 좡족야오족 자치현 () | 44,141 | 0.27% |
광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시 | 리푸 현 () | 41,425 | 0.26%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저우 시 | 바부 구 () | 40,532 | 0.25% |
윈난 성 | 홍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 멍즈 시 () | 37,938 | 0.23% |
광서 좡족 자치구 | 난닝 시 | 싱닝 구 () | 36,418 | 0.22%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말리포 현 () | 33,250 | 0.21% |
광동 성 | 중산 시 | 시할구 () | 31,666 | 0.2% |
광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시 | 롱성 각 민족 자치현 () | 30,358 | 0.19% |
광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시 | 양수오 현 () | 29,632 | 0.18% |
광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시 | 용푸 현 () | 25,564 | 0.16% |
윈난 성 | 웬산 좡족묘족 자치주 | 시쩌우 현 () | 24,212 | 0.15% |
광동 성 | 선전 시 | 룽강 구 () | 22,708 | 0.14% |
윈난 성 | 취징 시 | 시종 현 () | 22,290 | 0.14% |
광서 좡족 자치구 | 구이린 시 | 핑러 현 () | 21,744 | 0.13% |
귀주 성 | 첸둥난 묘족둥족 자치주 | 총장 현 () | 21,419 | 0.13% |
광서 좡족 자치구 | 허저우 시 | 중산 현 () | 20,834 | 0.13% |
광동 성 | 포산 시 | 순더 구 () | 18,759 | 0.12% |
광서 좡족 자치구 | 류저우 시 | 산장 동족 자치현 () | 18,335 | 0.11% |
광서 좡족 자치구 | 친저우 시 | 링산 현 () | 17,715 | 0.11% |
광서 좡족 자치구 | 팡청강 시 | 동싱 시 () | 16,651 | 0.1% |
기타 | 780,897 | 4.83% |
9. 주요 인물
- 농옹(A Nong) ( 1005–1055): 좡족 무당이자 여성 족장, 전사. 농지고의 어머니.[45]
- 조국부인(Lady of Qiao Guo): 남북조 시대 좡족의 영웅.[45]
- 농지고(Nong Zhigao): 송나라 좡족의 영웅이자, 북송 때 대력국(大曆國), 남천국(南天國), 대남국(大南國) 반란을 일으킨 지도자.[45]
- 세비부인(洗夫人): 남북조 시대의 좡족 여성 지도자.[45]
- 소조귀(蕭朝貴):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 천왕 홍수전에게서 서왕(西王)으로 불렸으며, 팔천세(八千歲)라고도 불렸다.[45]
- 위창휘(Wei Changhui): 태평천국 운동의 북왕(北王). 천왕 홍수전에게서 북왕으로 불렸으며, 육천세(六千歲)라고도 불렸다.[45]
- 석달개(Shi Dakai): 태평천국 운동의 이족 왕(翼王). 홍수전에게서 익왕으로 불렸으며, 오천세(五千歲)라고도 불렸다.[45]
- 이개방(李開芳):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 지관정승상(地官正丞相)에 임명되었다.[45]
- 림봉양(林鳳祥):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 천관부승상(天官副丞相)에 임명되었다.[45]
- 몽득은(蒙得恩): 태평천국의 지도자 중 한 명. 찬왕(贊王)에 봉해졌다.[45]
- 황정봉(黃鼎鳳): 청나라 말 대성국(大成國) 봉기의 지도자.[45]
- 오릉운(吳凌雲): 청나라 말 연릉국(延陵國) 봉기의 지도자.[45]
- 육영정(陸榮廷): 청말민초의 군인이자 정치가. 계군(桂軍)(광서군, 광서파)의 창시자.[45]
- 잠욱영(岑毓英): 청나라의 군인이자 정치가. 좡족 출신으로 최초로 총독에 오른 인물이다.[45]
- 리문채(李文彩): 청나라 말 민중 반란의 지도자.[45]
- 노도(盧燾):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 1921년 5월, 쑨원에게서 黔軍(귀주군) 총사령 겸 귀주성장에 임명되었다.[45]
- 韦拔群|위발군중국어: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 1928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45]
- 황현번(Huang Xianfan):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학자이자 민족학자. 중국 좡족 사학의 창시자이자 중국 현대 민족학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중국 좡족 학 연구의 제1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팔계학파(八桂學派)의 창시자이다.[45]
- 황원효(Huang Wenxiu): 중국 정치인이자 7월 1일 훈장 추서 수여자.[45]
- 위국청(韋國清): 중국인민해방군 군인. 개국상장(開國上將). 총정치부 주임.[45]
- 농융(Nong Rong): 외교관이자 전 파키스탄 대사.[45]
- 리닝(Li Ning):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체조 선수이자 스포츠 용품을 판매하는 사업가. 현역 시절에는 "체조황제"로 불렸다.[45]
- 에스터 친(Esther Qin): 중국계 호주인 다이빙 선수.[45]
- 산예 황(Shanye Huang): 좡족 문화에 뿌리를 둔 저명한 중국계 미국인 예술가.[45]
- 웨이웨이: 만다린 팝 가수이자 배우.[45]
- 위휘효(Wei Huixiao): 해군 장교.[45]
- 왕소민(Tracy Wang) 汪小敏: 가수.[45]
- 장선자(Zhang Xianzi): 만다린 팝 가수.[45]
참조
[1]
웹사이트
http://stroke-order.[...]
2018-08-17
[2]
사전
Guangxi Zhuang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獞
http://www.zdic.net/[...]
漢典
2011-08-14
[4]
서적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4
[5]
웹사이트
A Nong (c. 1005–1055)
https://www.encyclop[...]
[6]
서적
Zhuàngzú tōngshǐ
Guangxi minzu chubanshe
1988
[7]
서적
General History of the Zhuang
National Press
1994
[8]
서적
Zhuàngzú wénmíng qǐyuán yánjiū
Guangxi renmin chubanshe
2005
[9]
웹사이트
Èr yuè jié
http://www.ynws.gov.[...]
2012-08-05
[10]
웹사이트
Nánníng Yōngníng fāxiàn xīnshíqì shídài dà shíchǎn yǒu zhù shíchǎn wénhuà yánjiū
http://ccdv.people.c[...]
2009-12-08
[11]
웹사이트
Zhuang 08
http://mcel.pacificu[...]
2022-06-30
[12]
서적
Treatises of the Supervisor and Guardian of the Cinnamon Sea: The Natural World and Material Culture of Twelf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06
[13]
서적
Zhuàngzú tōngshǐ
Guangxi minzu chubanshe
1988
[14]
논문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https://halshs.archi[...]
2004
[15]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ory and Practice Since 1949
Kluwer Academic Publishers
[16]
서적
From Linguistic Areas to Areal Linguistics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8
[17]
웹사이트
http://www.doc88.com[...]
2012-09-22
[18]
서적
Recalling Lost Souls: The Baeu Rodo Scriptures, Tai Cosmogonic Texts from Guangxi in Southern China
White Lotus Press
2004
[19]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2008
[20]
서적
Zhuàng wén lùn jí / Bonj Comz Lwnvwnz Sawcuengh
Zhongyang minzu daxue chubanshe
2007
[21]
서적
Empire and Identity in Guizhou: Local Resistance to Qing Expan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22]
서적
Empire and Identity in Guizhou: Local Resistance to Qing Expans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23]
서적
Red God: Wei Baqun and His Peasant Revolution in Southern China, 1894 1932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4
[24]
서적
Comprehensiv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
[25]
서적
Mapping the Old Zhuang Character Script: A Vernacular Writing System from Southern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13
[26]
서적
The Ancient Highlands of Southwest China: From the Bronze Age to the H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7]
서적
A Native Chieftaincy in Southwest China: Franchising a Tai Chieftaincy Under the Tusi System of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05
[28]
서적
A Native Chieftaincy in Southwest China: Franchising a Tai Chieftaincy under the Tusi System of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05
[29]
서적
Empire and Identity in Guizhou: Local Resistance to Qing Expans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30]
웹사이트
空政文工团孪生姐妹记忆中的中南海舞會
http://news.qq.com/a[...]
2011-02-25
[31]
간행물
On research to Zhuang's Mo Religion Belief
2003
[32]
간행물
Zhuang belief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 ceremony
2008
[33]
서적
Key Concepts in Practice
De Gruyter
2019-05-20
[34]
논문
Paternal Genetic Affinity Between Western Austronesians and Daic Populations
2008
[35]
웹사이트
壮族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10-28
[36]
서적
チワン族通史
広西民族出版社
1988
[37]
웹사이트
全国各民族分年齢、性別の人口
http://www.stats.gov[...]
中華人民共和国国家統計局
2012-01-15
[38]
문서
포르투갈, 헝가리, 네덜란드 인구 비교
[39]
웹사이트
少数民族壮族的姓氏来源,哪些姓氏是正宗的壮族?
https://www.163.com/[...]
2020-03-17
[40]
서적
深奥的中国―少数民族の暮らしと工芸
東方出版
2008
[41]
서적
壮族文化概論
広西教育出版社
2000
[42]
서적
深奥的中国―少数民族の暮らしと工芸
東方出版
2008
[43]
서적
壮族文化史研究-明代以降を中心として-
第一書房
2000-09-30
[44]
서적
中国56民族手帳
マガジンハウス
2008
[45]
웹사이트
トマトの池で「はっけよい!」―広西チワン・祭りの相撲
https://www.excite.c[...]
サーチナ
2009-04-06
[46]
서적
중국어: 진실과 환상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하와이 대학 출판부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