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틱은 '암바틱'이라는 자바어 단어에서 유래된 염색 기법으로, 왁스를 사용하여 천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시작되어 사롱, 케바야, 스카프 등 다양한 의류에 사용되며, 수작업으로 제작된 바틱 툴리스는 고급품으로 여겨진다. 2009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인도네시아를 넘어 아프리카,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바틱의 패턴은 제작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르며, 각기 다른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의상 - 사롱
사롱은 말레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통이나 천 조각 형태로 착용하는 의복으로, 문화적 특성에 따라 이름, 형태, 착용 방식이 다양하고 일상복이나 특별한 의상, 현대에는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된다. - 수예 - 뜨개질
뜨개질은 코를 만들어 실을 통과시켜 고리를 반복적으로 만들어 편물을 만드는 기법으로, 고대부터 생활용품과 의류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산업화와 함께 기계 뜨개질이 발전했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수예 - 박제
박제는 동물의 사체를 보존하여 생전 모습과 유사하게 만드는 기술 및 결과물로, 종교적 목적에서 기원하여 예술 형태로 발전했으며, 학술 연구, 교육, 전시, 장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 실로폰
실로폰은 나무나 합성 소재 음판을 두드려 소리내는 타악기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기원의 고대 악기이며, 오케스트라 악기나 음악 교육 자료로 활용된다. -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 - 플라멩코
플라멩코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전통 민속 음악이자 춤으로, 노래, 춤, 기타 연주가 어우러진 종합 예술이며 로마니족 문화와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형성되었고, 격정적인 리듬과 감정 표현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바틱 | |
|---|---|
| 개요 | |
![]() | |
| 유형 | 미술 직물 |
| 재료 | 캄브릭 실크 면 |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 |
| 지정 명칭 | 인도네시아 바틱 |
| 국가 | 인도네시아 |
| ID | 00170 |
| 지역 | APA |
| 등재 연도 | 2009년 |
| 회의 | 제4차 |
| 목록 | 대표 목록 |
| 비고 | 필기 바틱 (batik tulis) 및 스탬프 바틱 (batik cap) |
| 일반 정보 | |
| 언어 | 말레이어 (Batik) |
2. 어원
바틱은 '암바틱'(ambatik)이라는 자바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바틱의 '틱'은 '조금', '국소 지역' 혹은 '방울'을 의미하며, 이는 다양한 방울 형상의 무늬로 구성된 바틱 디자인을 나타낸다.
바틱과 유사한 저항 염색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예술 형식이다. 기원전 4세기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감싸는 데 왁스를 사용한 천이 사용되었으며, 비잔틴 시대까지 이어졌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드물다.[8] 아시아에서는 인도, 중국의 당나라, 일본의 나라 시대에 이 기술이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에서는 나이지리아의 요루바족, 세네갈의 소닌케족과 월로프족이 이 기술을 사용했다.
영어 단어 "바틱"(batik)은 자바어 (자바 문자: ꦧꦛꦶꦏ꧀|바틱jv, 페공 문자: )에서 차용되었다.[1][2] 영어 사전은 바틱을 일반적인 염색 기법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으며,[3][4] 이는 자바 바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없는 유사한 생산 방식을 가진 천이 영어로 "바틱"으로 표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로버트 블러스트는 자바어 단어를 일반적인 장식과 패턴을 의미하는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batik|바틱map와 그 이중어 *beCik|베칙map의 반영으로 추적한다.[5] 자바에서 이 단어는 힌두-불교 시대 이후인 16세기부터의 자료에서만 확인된다. 자바 밖에서는 이 단어가 1641년 상선의 선하 증권에 batick|바틱und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 용어와 기법은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가 1817년 저서 ''자바의 역사''에서 바틱 과정을 설명한 이후 동남아시아 밖에서도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식민 시대 네덜란드 자료는 mbatik|음바틱und, mbatek|음바텍und, batik|바틱und, batek|바텍und과 같은 다양한 철자로 이 단어를 기록하고 있다.[6][7]
3. 역사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서 바틱 예술이 크게 발달했지만, 열대 기후로 인해 초기 작품이 보존되지 않아 정확한 기원은 알기 어렵다. 네덜란드 역사학자 G. G. 루파르와 H. H. 주인볼은 6~7세기 인도나 스리랑카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9]
일부 학자들은 동자바 프라즈나파라미타 조각상 의복에 묘사된 바틱 문양을 근거로 8~16세기 자바의 힌두-불교 시대 기원설을 주장하지만, 단순한 패턴 유사성은 다른 기술로도 만들어질 수 있어 결정적인 근거가 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9] "바틱"이라는 단어가 이슬람 이전 자료에 나타나지 않아, 16세기 이후 기원설도 제기된다.[9] 그러나 2022년에 13~14세기 탄소 연대 측정된 바틱 조각이 발견되어, 마자파힛 초기 시대에 이미 정교한 바틱 기술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9]
바틱 공예는 이후 자바의 이슬람 궁정에서 번성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17세기에 무역 독점을 강요했을 때, 바틱 천은 섬유 판매를 억제한 제품 중 하나였다.[10]
3. 1. 인도네시아 바틱의 발전
바틱은 특히 자바 문화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문화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왁스 방염 염색 기술은 수세기 동안 자바에서 사용되었으며, 특정 모티프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와 규정된 사용법을 가지고 있었다.[25] 자바 왕궁의 의상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26][27] 군주, 귀족, ''아브디''(궁정 직원), 경비병, 그리고 무용수들이 착용했다. 반면에, 오랜 기간 동안 상품으로 취급되어 온 비의례적인 바틱도 있으며, 이는 취향, 유행, 경제성에 따라 사용법이 결정된다.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바틱 패턴은 셔츠, 드레스 및 기타 일상복에서 흔히 볼 수 있다.[18]
2009년 10월 2일, 유네스코는 필기 바틱(batik tulisid)과 스탬프 바틱(batik capid)을 인도네시아의 인류 무형 문화유산 걸작으로 인정했다.[15] 그 이후로 인도네시아는 매년 10월 2일에 바틱의 날((Hari Batik Nasionalid)을 기념하고 있다. 같은 해에 유네스코는 인도네시아 바틱 교육 및 훈련을 인류 무형 문화유산 걸작으로 인정했다.[28]
18세기 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용도는 사롱 (허리 감는 옷), 케바야, 히잡 등의 전통 의상, 스카프, 손수건이나, 셔츠, 드레스 등 양식 의류까지 다양하다.
열로 녹인 왁스액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는 찬팅id(canting, tjanting)이라고 불리는 왁스 분출 펜을 사용하는 수작업과, 찹(cap)이라고 불리는 구리제 스탬프를 찍는 방법이 있으며, 수작업만으로 제작된 것은 바틱 툴리스(Batik tulis)라고 불리며 고급품이다. 또한 현재는 공업화로 인해, 미리 패턴화된 무늬 전체를 인쇄하는 프린트 바틱이라는 기법도 보급되어 있다.
태평양 전쟁 중, 일본에 점령된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는 원자재 부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일본 주도의 전쟁 협력 조직인 '자바 봉공회'의 보호를 받은 작업장에서는 고품질의 바틱이 생산되었으며, 벚꽃, 나비, 국화 등 일본풍의 무늬가 도입되었다. 이 스타일은 지금도 '호코카이 바틱'이라고 불린다.
3. 2. 세계 각지의 바틱
바틱과 유사한 저항 염색은 고대부터 존재해 온 예술 형식이다. 기원전 4세기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감싸는 데 사용되었고, 중세 비잔틴 시대까지 이어졌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드물다.[8] 아시아에서는 인도, 중국의 당나라, 일본의 나라 시대에 이 기술이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에서는 나이지리아의 요루바족, 세네갈의 소닌케족과 월로프족이 이 기술을 사용했다.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서 바틱 예술이 크게 발달했지만, 열대 기후로 인해 초기 작품이 보존되지 않아 정확한 기원은 알기 어렵다. 네덜란드 역사학자들은 6~7세기 인도나 스리랑카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9] 일부 학자들은 동자바 프라즈나파라미타 조각상 의복에 묘사된 바틱 문양을 근거로 8~16세기 자바의 힌두-불교 시대 기원설을 주장하지만, 단순한 패턴 유사성은 다른 기술로도 만들어질 수 있어 결정적인 근거가 되기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9] "바틱"이라는 단어가 이슬람 이전 자료에 나타나지 않아, 16세기 이후 기원설도 제기된다.[9] 그러나 2022년에 13~14세기 탄소 연대 측정된 바틱 조각이 발견되어, 마자파힛 초기 시대에 이미 정교한 바틱 기술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9]
바틱 공예는 이후 자바의 이슬람 궁정에서 번성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17세기에 무역 독점을 강요했을 때, 바틱 천은 섬유 판매를 억제한 제품 중 하나였다.[10]
19세기부터 20세기 초, 네덜란드 인도 유럽인과 중국 이주민들이 자바 바틱 생산과 발전에 참여했다. 학자들은 기존 패턴을 기록했고,[11] 네덜란드와 중국 장인들은 새로운 패턴 개발과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했다. 이 시기 바틱은 말레이 제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19세기에 네덜란드와 영국 상인들이 자바 바틱을 도입했고, 현지 장인들은 이를 수정하여 아프리카 왁스 프린트를 만들었다.[12] 1920년대에는 말레이 반도 동해안으로 이주한 자바 바틱 제작자들이 스탬프 블록을 사용한 바틱 생산을 도입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와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으로 많은 전통 공방이 붕괴했지만,[13] 오늘날에도 많은 작업장과 장인들이 활동하며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1970년대에는 바틱이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입되어 원주민 예술가들이 자신들만의 공예로 발전시켰다.[13]
아프리카 왁스 프린트는 식민지 시대 네덜란드 섬유 산업이 바틱 제작 과정을 모방하며 도입되었다. 넬슨 만델라는 생전에 바틱jv을 즐겨 입었고, 그의 코사족 씨족 이름을 따 마디바 셔츠라 불리는 헐렁한 셔츠를 자주 입었다.
중국 남서부 소수 민족과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 인접 국가의 산악 부족들도 바틱을 만든다. 먀오족, 부이족, 거자족은 전통 의상에 염색 방지 기법을 사용한다.[21][22][23]
인도인들은 면직물에 저항 염색 기법을 사용하며, 현대에는 다양한 품목에 바틱을 적용한다. 델리의 청각 장애 여성들이 인도 수화를 사용하며 바틱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24]
바틱은 인도네시아 문화, 특히 자바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왁스 방염 염색 기술은 수세기 동안 자바에서 사용되었고, 특정 모티프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와 규정된 사용법을 가진다.[25]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바틱 패턴은 셔츠, 드레스 등 일상복에서 흔히 볼 수 있다.[18]
2009년 10월 2일, 유네스코는 필기 바틱(batik tulisid)과 스탬프 바틱(batik capid)을 인도네시아의 인류 무형 문화유산 걸작으로 인정했다.[15] 인도네시아는 매년 10월 2일을 바틱의 날 (Hari Batik Nasionalid)로 기념한다.
말레이시아 바틱
13세기부터 말레이 왕국과 자바 해안 도시 간 무역이 번성했다. 자바 북부 해안의 바틱 생산 지역은 잠비 바틱에 영향을 미쳤고,[29] 잠비 바틱은 말레이 반도의 공예에 영향을 미쳤다.[30] 1920년대에 자바 바틱 제작자들이 스탬프 바틱을 반도에 도입했다.[30] 오늘날 바틱 산업은 말레이시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말레이시아 바틱 패턴은 더 크고 단순하며, 찬팅id을 드물게 사용하고 붓 페인팅에 의존한다. 색상은 밝고 생생하며, 이슬람 교리에 따라 인간과 동물 이미지를 피하고 식물과 꽃을 주로 묘사한다.[31]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바틱 간 혼동은 양국 관계에서 분쟁을 야기하기도 한다.[32]
스리랑카의 batikjv 제작은 지난 세기 동안 확고히 자리 잡았다. 주로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산업이며, 21세기에는 섬의 주요 공예 산업이 되었다.[33][34]
18세기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사롱, 케바야, 히잡 등의 전통 의상과 스카프, 셔츠 등 다양한 의류에 사용된다. 왁스액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찬팅(찬팅id) 펜을 이용한 수작업과 찹(capid)이라는 구리 스탬프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수작업으로 제작된 바틱은 바틱 툴리스(Batik tulisid)라고 불리며 고급품으로 여겨진다. 프린트 바틱이라는 인쇄 기법도 보급되어 있다.
태평양 전쟁 중, 일본에 점령된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는 원자재 부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일본 주도의 전쟁 협력 조직인 '자바 봉공회'의 보호를 받은 작업장에서는 고품질의 바틱이 생산되었으며, 벚꽃, 나비, 국화 등 일본풍의 무늬가 도입되었다. 이 스타일은 지금도 '호코카이 바틱'이라고 불린다.
2009년 10월 2일, 인도네시아의 바틱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4. 제작 기법
바틱 제작은 옷감 밑감을 준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먼저 옷감을 세탁하고 담근 후, 큰 망치로 두드린다. 그 후 연필로 패턴을 스케치하고 뜨거운 왁스를 사용하여 다시 그린다. 왁스는 보통 파라핀이나 밀랍을 섞어서 만들며, 때로는 식물 수지를 섞기도 한다. 왁스는 염색 과정에서 색이 스며드는 것을 막는 방염제 역할을 한다. 이 덕분에 왁스가 염색된 천에서 제거될 때, 염색되지 않은 부분에 패턴이 나타나게 된다.[15]
장인은 왁스를 여러 번 바르고 염색하는 과정을 통해 복잡한 색상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왁스를 바르는 도구에는 펜과 같은 칸팅|칸팅id 을 쓰거나, 캡|캡id으로 인쇄하거나, 붓을 사용한다.
4. 1. 종류
칸팅도 참고필기 바틱 또는 바틱 툴리스|바틱 툴리스id (자바 문자: ꦧꦠꦶꦏ꧀ꦠꦸꦭꦶꦱ꧀; 페곤 문자: باتيق توليس)은 칸팅(, 옛 철자법 tjanting|찬팅id)이라고 불리는 펜과 같은 도구로 천에 녹은 왁스를 써서 만든다. 칸팅은 나무 손잡이에 달린 부리가 있는 작은 구리 용기이다. 용기에는 부리를 통해 흘러나와 움직이면서 점과 선을 만드는 방염제가 들어 있다. 그런 다음 천을 염료 욕조에 담갔다가 말린다. 방염제는 천을 삶거나 긁어서 제거한다. 방염 처리를 한 부분은 원래 색상을 유지하고, 방염제가 제거되면 염색된 부분과 염색되지 않은 부분의 대비가 패턴을 형성한다.[16] 원하는 색상의 수만큼 이 과정을 반복한다.


스탬프 바틱 또는 바틱 캡|바틱 캡id (자바 문자: ꦧꦠꦶꦏ꧀ꦕꦥ꧀; 페곤: باتيق چڤ)은 천의 특정 영역에 방염제를 찍기 위해 조각된 모티프가 있는 캡|캡id (; 옛 표기 tjap|찹id) 스탬프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바틱이다. 스탬프의 재료는 다양할 수 있다. 중세 인도의 스탬프는 나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자바 스탬프는 구리 조각과 와이어로 만들어지며, 제조 과정은 매우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한다. 염색 과정의 나머지는 필기 바틱과 동일하다. 칸팅|칸팅id을 캡|캡id으로 대체하면 바틱 천을 만드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들어 비용이 절감되지만, 여전히 기술이 필요하다.[16]
페인티드 바틱 또는 바틱 루키스|바틱 루키스id(자바어 표기: ꦧꦠꦶꦏ꧀ꦭꦸꦏꦶꦱ꧀; 페곤어: باتيق لوكيس)는 화가에 따라, 붓, 솜 또는 막대기와 같은 도구를 조합하여 흰색 천에 방염제를 칠하여 (템플릿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바틱을 만드는 기술이다. 붓을 사용하면 천의 넓은 부분을 덮기에 특히 유용하다. 바틱 페인팅은 전통적인 바틱 예술의 발전으로, 현대적(자유로운) 모티프나 패턴을 만들어낸다. 쓰여진 바틱에서 전통적인 것보다 더 많은 색상을 사용할 수 있다.[17]
18세기 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사롱 (허리 감는 옷), 케바야, 히잡 등의 전통 의상, 스카프, 손수건이나, 셔츠, 드레스 등 양식 의류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
열로 녹인 왁스액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는 칸팅이라고 불리는 왁스 분출 펜을 사용하는 수작업과, 찹(cap)이라고 불리는 구리제 스탬프를 찍는 방법이 있으며, 수작업만으로 제작된 것은 바틱 툴리스(Batik tulis)라고 불리며 고급품이다. 또한 현재는 공업화로 인해, 미리 패턴화된 무늬 전체를 인쇄하는 프린트 바틱이라는 기법도 보급되어 있다.
태평양 전쟁 중, 일본에 점령된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는 원자재 부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일본 주도의 전쟁 협력 조직인 '자바 봉공회'의 보호를 받은 작업장에서는 고품질의 바틱이 생산되었으며, 벚꽃, 나비, 국화 등 일본풍의 무늬가 도입되었다. 이 스타일은 지금도 '호코카이 바틱'이라고 불린다.
4. 2. 염색
염색 과정은 왁스 적용 기술에 관계없이 유사하다. 왁스를 바른 천을 원하는 색상에 따라 염료 통에 담근다. 그런 다음 왁스를 긁어내거나 끓는 물로 제거하여 천에 패턴의 음영을 남긴다. 왁스 처리와 염색을 필요에 따라 반복한다. 합성 염료가 발명되기 전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염색이 더 기술적으로 복잡한 생산 단계 중 하나였다. 주로 식물성인 천연 염료는 배치 간에 항상 일관된 색상을 생성하지는 않는다. 염색업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여러 단계의 염색을 거칠 때 서로 다른 염료 음영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많은 염색업자는 이러한 이유로 현지에서 조달한 식물 재료를 사용하여 자체적인 염료 레시피를 사용한다. 천연 염료는 또한 짙은 색상을 내는 데 더 오래 걸리므로 염색 과정이 길어진다.[1] 합성 염료는 과정을 크게 단순화하지만 환경에 해로울 수 있는 화학 폐기물을 생성한다. 친환경성은 일부 바틱 생산자가 합성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연 염료를 사용하기로 선택하는 한 가지 이유이다.[2][3][4]5. 문양과 모티프
바틱 직물의 패턴은 제작자의 시대, 장소, 문화에 따라 다르다. 섬유 학술 연구에서, 대부분의 연구는 광범위한 문화적 영향에서 비롯되었고 종종 상징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바틱 패턴에 초점을 맞춰왔다. 일부 패턴은 특별한 경우나 특정 집단(예: 귀족, 왕족)을 위해 사용이 제한되면서 많은 의미와 심오한 철학을 담고 있다고 한다.[18]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인도네시아 직물에 대한 기존 문헌이 비교적 평범한 패턴 뒤에 숨겨진 의미를 지나치게 낭만적으로 묘사하고 이국적으로 표현한다고 경고했다. 일부 바틱 패턴(기술적으로 까다롭고 복잡하더라도)은 시장 수요와 유행을 만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 문화적 영향 | 바틱 패턴 | 지리적 위치 | 샘플 |
|---|---|---|---|
| 원주민 인도네시아 | 카웅id, 쩨플록, 그리싱, 파랑, 러렝, 트룬툼, 스카르 자가드(모티프 조합) 및 자바인, 다약족, 바탁족, 뉴기니 원주민, 리아우 말레이와 같은 기타 장식 모티프 | 각 지역 고유의 패턴 | ![]() |
| 힌두 문화–불교 문화 | 가루다id, 반지, 꾸위리, 칼파타루, 메루 또는 구눙안, 세멘 라마, 프린고다니, 시다 아시, 시다 묵티, 시다 루후르id | 자바 | ![]() |
| 이슬람 문화 | 브수렉id 또는 아랍 서예, 부라크id | 벵쿨루, 치레본, 잠비 | ![]() |
| 중국 문화 | 부룽 홍id(중국 봉황), 리옹id(중국 용), 기린id, 와다산, 메가멘둥(중국식 구름), 록 짠id | 라셈, 치레본, 페칼롱안, 타식말라야, 치아미스 | ![]() |
| 인도 문화 | 점프랑id, 공작, 코끼리 | 치레본, 가룻, 페칼롱안, 마두라 | ![]() |
| 유럽 문화 (식민 시대) | 부케탄id(꽃다발), 유럽 동화, 집, 말, 마차, 자전거, 유럽식 옷을 입은 사람들과 같은 식민지 시대 이미지 | 자바 | ![]() |
| 일본 문화 | 벚꽃id, 호코카이id, 국화, 나비 | 자바 | ![]() |
18세기 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용도는 사롱 (허리 감는 옷), 케바야, 히잡 등의 전통 의상, 스카프, 손수건이나, 셔츠, 드레스 등 양식 의류까지 다양하다.
열로 녹인 왁스액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는 찬팅(canting, tjanting, 찬팅id)이라고 불리는 왁스 분출 펜을 사용하는 수작업과, 찹(cap)이라고 불리는 구리제 스탬프를 찍는 방법이 있으며, 수작업만으로 제작된 것은 바틱 툴리스(Batik tulis)라고 불리며 고급품이다. 또한 현재는 공업화로 인해, 미리 패턴화된 무늬 전체를 인쇄하는 프린트 바틱이라는 기법도 보급되어 있다.
태평양 전쟁 중, 일본에 점령된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는 원자재 부족으로 생산량이 크게 줄었지만, 일본 주도의 전쟁 협력 조직인 '자바 봉공회'의 보호를 받은 작업장에서는 고품질의 바틱이 생산되었으며, 벚꽃, 나비, 국화 등 일본풍의 무늬가 도입되었다. 이 스타일은 지금도 '호코카이 바틱'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서적
Baoesastra Djawa
J.B Wolters
[2]
서적
Javanese-English Dictionary
Periplus Editions
[3]
웹사이트
Batik
https://dictionary.c[...]
2021-01-02
[4]
웹사이트
Batik
https://www.merriam-[...]
2021-01-02
[5]
웹사이트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web edition
https://www.trussel2[...]
2020
[6]
웹사이트
batik
https://www.oed.com/[...]
2024-08-30
[7]
웹사이트
Batik
https://www.dictiona[...]
2024-08-30
[8]
서적
Woven Interiors: Furnishing Early Medieval Egypt
https://museum.gwu.e[...]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useum and The Textile Museum
[9]
웹사이트
Prajnaparamita and other Buddhist deities
http://volkenkunde.n[...]
Volkenkunde Rijksmuseum
2014-05-01
[10]
간행물
A Silent Textile Trade War: Batik Revival as Economic and Political Weapon in 17th Century Java
https://digitalcommo[...]
2012-09
[11]
서적
De inlandsche kunstnijverheid in Nederlandsch Indië III: De batikkunst
http://hdl.handle.ne[...]
Mouton & co.
1916
[12]
웹사이트
Batik in Africa
http://www.batikguil[...]
The Batik Guild
2014-04-29
[13]
웹사이트
Antropolog Australia Beri Ceramah Soal Batik
http://www.republika[...]
2011-02-11
[14]
뉴스
Thetis Blacker: Visionary batik painter
https://www.independ[...]
2007-01-31
[15]
웹사이트
Indonesia Batik
https://ich.unesco.o[...]
UNESCO
2019-10-21
[16]
웹사이트
Preserving traditional values through stamped batik
https://www.thejakar[...]
The Jakarta Post
2018-10-18
[17]
웹사이트
Batik Lukis
https://www.nafiun.c[...]
www.nafiun.com
2021-01-24
[18]
웹사이트
Nomination for inscription on the Representative List in 2009 (Reference No. 00170)
http://www.unesco.or[...]
2014-04-15
[19]
서적
The origin of the Wax Block Prints on the Coast of West Africa
Smit
[20]
서적
The Essential Art of African Textiles: Design Without En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1]
간행물
An Aesthetic Study on Traditional Batik Design of Miao Ethnicity in China
https://doi.org/10.3[...]
[22]
웹사이트
Batik in China and South-east Asia
https://www.batikgui[...]
[23]
서적
Touched by Indigo: Chinese Blue-and-White Textiles and Embroidery
https://www.rom.on.c[...]
Royal Ontario Museum
[24]
서적
Deaf and Disability Studies
https://archive.org/[...]
GU Press
[25]
간행물
Makna Simbolis Batik Pada Masyarakat Jawa Kuna
https://journal.unne[...]
2021-03-12
[26]
웹사이트
Sejarah Batik Indonesia
https://jabarprov.go[...]
Government of West Java
2021-02-09
[27]
간행물
A Review on the Malaysian and Indonesian Batik Production, Challenges, and Innovations in the 21st Century
2021-07
[28]
웹사이트
Education and training in Indonesian Batik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elementary, junior, senior, vocational school and polytechnic students, in collaboration with the Batik Museum in Pekalongan
https://ich.unesco.o[...]
UNESCO
2021-02-05
[29]
서적
Batik Jambi: Melintas Masa
Rumah Batik Azmiah
[30]
간행물
Busana dan Aksesori Nusantara
2009-09
[31]
웹사이트
Figural Representation in Islamic Art
http://www.metmuseum[...]
2010-02-24
[32]
뉴스
Indonesians tell Malaysians 'Hands off our batik'
http://www.telegraph[...]
2009-10-05
[33]
웹사이트
Sri Lankan Batik Textiles
https://us.lakpura.c[...]
Lakpura Travels
2014-05-01
[34]
웹사이트
Brighter future for batik industry
https://archives.sun[...]
Sunday Observer (Sri Lanka)
2014-05-01
[35]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ファッション市場調査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2-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