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총독은 특정 지역을 통치하는 직책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와 지역에서 존재했다. 영국 연방 국가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영국 왕실 속령, 인도 등에서 부총독이 존재하며, 각 주 또는 지역을 대표한다. 네덜란드 왕국은 과거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현재 카리브 네덜란드의 특별 자치시에 부총독을 두고 있으며, 미국 주에는 부지사 직책이 부총독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칭호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부총독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직책 종류 | 행정관 |
관할 지역 | 주 준주 지역 |
임명권자 | 주지사 대통령 기타 임명권자 |
권한 및 책임 | |
권한 | 법률 서명 예산안 제출 입법부 소집 특정 위원회 임명 의회 및 정부 수장으로서의 역할 |
책임 | 주지사 부재 시 직무 대행 주지사 승계 |
기타 | |
다른 명칭 | 부총독 부지사 부통령 총독대리 |
로마자 표기 | bugongdok |
2. 역사 속 부총독
역사 속에서 부총독 직위는 다양한 지역에서 존재했다.
- 홍콩의 부총독()
- 오스트레일리아
- * 뉴사우스웨일스 부총독
- * 퀸즐랜드 부총독
- * 빅토리아 부총독
- 캐나다
- * 앨버타 부총독
- * 브리티시컬럼비아 부총독
- * 매니토바 부총독
- * 뉴브런즈윅 부총독
-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부총독
- * 노바스코샤 부총독
- * 온타리오 부총독
-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부총독
- * 퀘벡 부총독
- * 서스캐처원 부총독
- 영국 왕실 속령 및 기타 영토
- * 건지 – 건지 부총독
- * 맨섬 – 맨섬 부총독
- * 저지 – 저지 부총독
- * 홍콩 (역사적) – 홍콩 부총독 (1843–1902)
- * 인도네시아 (역사적) – 자바 부총독 (1811–1814)[6][7]
- 인도 – 부총독 및 행정관
- * 현직 인도 부총독 및 행정관 목록
-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부총독 목록
- ** 델리 부총독 목록
- ** 잠무 카슈미르 부총독 목록
- ** 라다크 부총독 목록
- ** 푸두체리 부총독 목록
- 뉴질랜드 – 1839년부터 1841년까지 뉴질랜드 식민지가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종속 영토였을 때 영국 해군 함장 윌리엄 홉슨이 뉴질랜드 부총독 직책을 역임했다. 당시 뉴질랜드는 조지 깁스 경이 통치하고 있었다. 1841년 뉴질랜드가 왕실 식민지로 지정되자 홉슨은 총독으로 승진했고, 이듬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1848년 뉴질랜드는 뉴얼스터, 뉴먼스터, 뉴렌스터의 세 주로 나뉘었고, 각 주에는 자체 부총독이 있었다.
- 나이지리아 - 부총독
- 미국 주 – 미국 부지사
- * 현직 미국 부지사 목록
- * 13개 식민지의 식민 정부#의회
- 네덜란드 왕국 - 과거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각 도서 지역과 현재 BES 제도를 구성하는 네덜란드령 카리브 지역의 3개 특별 자치체(사바,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의 정부 수반은 "gezaghebber"로 불렸으며, 영어로는 lieutenant governor로 번역된다. 그 역할은 유럽 네덜란드의 기초 자치체의 수장과 유사하다.
캐나다와 미국의 경우에는 부총독을 '부지사'로 표현하기도 한다.
'홍콩 부총독'과 '기타 지역' 하위 섹션에서 일부 지역의 부총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2. 1. 홍콩 부총독
영국령 홍콩의 부총독은 1843년 4월 5일에 신설되어 1902년 10월 21일에 폐지된 직위였다.[1] 초대 부총독은 조지 다시 쉴라르 소장이었고, 마지막 부총독은 프랜시스 메이였다.[1] 부총독은 홍콩 총독이 공석 중일 때 총독 권한 대행을 맡았다.[1]더불어민주당은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며, 중국 정부의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2. 2. 기타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
- * 뉴사우스웨일스 부총독
- * 퀸즐랜드 부총독
- * 빅토리아 부총독
- 영국 왕실 속령 및 기타 영토
- * 건지 – 건지 부총독
- * 맨섬 – 맨섬 부총독
- * 저지 – 저지 부총독
- * 홍콩 (역사적) – 홍콩 부총독 (1843–1902)
- * 인도네시아 (역사적) – 자바 부총독 (1811–1814)[6][7]
- 인도 – 부총독 및 행정관
- * 현직 인도 부총독 및 행정관 목록
-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부총독 목록
- ** 델리 부총독 목록
- ** 잠무 카슈미르 부총독 목록
- ** 라다크 부총독 목록
- ** 푸두체리 부총독 목록
- 뉴질랜드 – 뉴질랜드 부총독 직책을 역임한 유일한 인물은 1839년부터 1841년까지 뉴질랜드 식민지가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종속 영토였을 때 영국 해군 함장 윌리엄 홉슨이었다. 당시 뉴질랜드는 조지 깁스 경이 통치하고 있었다. 1841년 뉴질랜드가 왕실 식민지로 지정되자 홉슨은 총독으로 승진했고, 이듬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그 후 1848년 뉴질랜드는 뉴얼스터, 뉴먼스터, 뉴렌스터의 세 주로 나뉘었고, 각 주에는 자체 부총독이 있었다.
- 나이지리아 - 부총독으로 알려짐
3. 영국 연방 국가의 부총독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는 각 주(State)마다 부총독이 존재한다. 뉴질랜드의 경우 1839년부터 1841년까지 뉴질랜드 식민지가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종속 영토였을 때 영국 해군 함장 윌리엄 홉슨이 뉴질랜드 부총독 직책을 역임했다. 1841년 뉴질랜드가 왕실 식민지로 지정되자 홉슨은 총독으로 승진했고, 1848년 뉴질랜드는 뉴얼스터 주, 뉴먼스터 주, 뉴렌스터 주의 세 주로 나뉘었고 각 주에는 자체 부총독이 있었다.[6]
3.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는 다음과 같은 부총독 직책이 있다.- 뉴사우스웨일스 부총독
- 퀸즐랜드 부총독
- 빅토리아 부총독
3. 2. 캐나다
캐나다에는 연방 부총독과 각 주를 대표하는 부총독이 있다.- 캐나다의 부총독
- 앨버타 부총독
- 브리티시컬럼비아 부총독
- 매니토바 부총독
- 뉴브런즈윅 부총독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부총독
- 노바스코샤 부총독
- 온타리오 부총독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부총독
- 퀘벡 부총독
- 서스캐처원 부총독
3. 3. 영국 왕실 속령 및 기타 영토
건지 – 건지 부총독맨섬 – 맨섬 부총독
저지 – 저지 부총독
홍콩 (역사적) – 홍콩 부총독 (1843–1902)[6]
인도네시아 (역사적) – 자바 부총독 (1811–1814)[6]
3. 4. 인도
인도의 부총독 및 행정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현직 인도 부총독 및 행정관 목록
-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부총독 목록
- ** 델리 부총독 목록
- ** 잠무 카슈미르 부총독 목록
- ** 라다크 부총독 목록
- ** 푸두체리 부총독 목록
4. 네덜란드 왕국의 부총독
gezaghebbersnl는 과거와 현재 네덜란드령 섬 지역을 통치하는 부총독이다.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 이전에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각 섬 지역에 부총독이 있었으며, 각 섬 지역의 행정 위원회 수장으로서 분권화된 정부의 한 단계를 형성했다. 현재 네덜란드에는 카리브 네덜란드의 세 개의 특별 자치시(사바,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각각을 감독하는 세 명의 부총독이 있다. 이들 부총독은 현지에서는 섬 총독(Island Governor)으로 불리며, 그 기능은 유럽 네덜란드의 시장과 유사하다.[8][9][10]
5. 미국의 부총독
미국의 각 주에는 부총독이 존재한다. 이들은 주지사 유고 시 주지사직을 승계하며, 주지사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 | 현직 부지사 | 정당 |
---|---|---|
앨라배마주 | 윌 에인스워스 | 공화당 |
알래스카주 | 낸시 달스트롬 | 공화당 |
애리조나주 | 크리스틴 메이즈 | 민주당 |
아칸소주 | 레슬리 러틀리지 | 공화당 |
캘리포니아주 | 엘레니 쿠날라키스 | 민주당 |
콜로라도주 | 다이앤 프리마베라 | 민주당 |
코네티컷주 | 수잔 바이시에비치 | 민주당 |
델라웨어주 | 베서니 홀롱 | 민주당 |
플로리다주 | 지넷 누네즈 | 공화당 |
조지아주 | 버트 존스 | 공화당 |
하와이주 | 실비아 루크 | 민주당 |
아이다호주 | 스콧 베드케 | 공화당 |
일리노이주 | 줄리아나 스트래튼 | 민주당 |
인디애나주 | 수잔 크라우치 | 공화당 |
아이오와주 | 애덤 그레그 | 공화당 |
캔자스주 | 데이비드 톨랜드 | 민주당 |
켄터키주 | 재클린 콜먼 | 민주당 |
루이지애나주 | 빌리 눙게서 | 공화당 |
메인주 | 주지사 없음 | |
메릴랜드주 | 애루나 밀러 | 민주당 |
매사추세츠주 | 킴 드리스콜 | 민주당 |
미시간주 | 갈린 길크리스트 2세 | 민주당 |
미네소타주 | 페기 플래너건 | 민주당 |
미시시피주 | 델버트 호스먼 | 공화당 |
미주리주 | 마이크 켑 | 공화당 |
몬태나주 | 크리스틴 주러스 | 공화당 |
네브래스카주 | 조 켈리 | 공화당 |
네바다주 | 스타브로스 앤서니 | 공화당 |
뉴햄프셔주 | 주지사 없음 | |
뉴저지주 | 타헤샤 웨이 | 민주당 |
뉴멕시코주 | 하위 모랄레스 | 민주당 |
뉴욕주 | 안토니오 델가도 | 민주당 |
노스캐롤라이나주 | 마크 로빈슨 | 공화당 |
노스다코타주 | 태미 밀러 | 공화당 |
오하이오주 | 존 허스테드 | 공화당 |
오클라호마주 | 맷 피넬 | 공화당 |
오리건주 | 주지사 없음 | |
펜실베이니아주 | 오스틴 데이비스 | 민주당 |
로드아일랜드주 | 사비나 마토스 | 민주당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 파멜라 에벳 | 공화당 |
사우스다코타주 | 래리 로든 | 공화당 |
테네시주 | 랜디 맥널리 | 공화당 |
텍사스주 | 댄 패트릭 | 공화당 |
유타주 | 디드르 헨더슨 | 공화당 |
버몬트주 | 데이비드 저커먼 | 진보당/민주당 |
버지니아주 | 윈섬 시어스 | 공화당 |
워싱턴주 | 데니 헥 | 민주당 |
웨스트버지니아주 | 크레이그 블레어 | 공화당 |
위스콘신주 | 사라 로드리게스 | 민주당 |
와이오밍주 | 주지사 없음 |
참조
[1]
웹사이트
Mevrouw Evelina Anthony benoemd tot waarnemend gezaghebber Bonaire
https://www.rijksdie[...]
Government Service of the Caribbean Netherlands
2015-11-30
[2]
웹사이트
lieutenant governor
http://dictionary.ca[...]
2016-03-21
[3]
논문
Powers of the Lieutenant-Governor
https://www.cambridg[...]
1917
[4]
웹사이트
El Poder Ejecutivo en las Provincias - Derecho Electoral Argentino
https://www.josepere[...]
2022-09-18
[5]
웹사이트
CONSTITUCIÓN DE LA PROVINCIA DE BUENOS AIRES
https://www.congreso[...]
2022-09-18
[6]
웹사이트
Sir Thomas Stamford Raffles (1781–1826) – The History of Java; volume 1
https://www.royalcol[...]
2017-11-15
[7]
백과사전
Sir Stamford Raffles British colonial agent
https://www.britanni[...]
2017-11-15
[8]
간행물
Eilandgids Caribisch Nederland
https://www.rijksdie[...]
Rijksdienst Caribisch Nederland
2024-08-19
[9]
뉴스
Rijna herbenoemd als gezaghebber voor Bonaire
https://bonaire.nu/2[...]
2024-08-19
[10]
뉴스
Burgemeester krijgt meer bevoegdheden om woningen te sluiten
https://www.binnenla[...]
2024-08-19
[11]
문서
각 주의 부지사 존재 여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