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민주화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1998년 서울에서 설립된 단체로, 북한의 인권 개선과 민주화를 목표로 활동한다.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으며, 1990년대 북한의 인권 침해 증거가 증가함에 따라 북한 정권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북한 전문 잡지 및 인터넷 신문 발행, 교육 사업, 국제 연대 및 캠페인, 탈북자 지원 등이 있으며, 2009년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권 - 윤석양
윤석양은 1990년 국군보안사령부에서 민간인 사찰 자료를 폭로하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국방부 장관과 보안사령관이 경질되고 기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수배 생활과 군무이탈 혐의 기소 후 노동운동에 참여했고 영화 '모비딕'의 실제 주인공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인권 - 대한민국 차별금지법
대한민국 차별금지법은 차별 금지를 위한 법률 제정 시도와 관련되어 2005년 법 제정 추진이 무산된 후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국회 통과에 이르지 못했고, 2020년에는 차별금지법안 및 평등법안이 발의되었으며, 국민 여론은 긍정적이나 세부 내용과 사회적 파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신숙자
간호사 출신 신숙자는 독일에서 결혼 후 가족과 함께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강제 노역과 남편의 탈북 후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통영의 딸' 송환 운동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여 북한 인권 유린의 상징이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대북전단과 대남전단
대북전단과 대남전단은 한반도 심리전의 일환으로, 남북 간의 긴장 고조와 완화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표현의 자유, 안보 위협, 효과 논란 등 다양한 쟁점을 야기하며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1999년 설립된 단체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기구이며, 금융 시장 안정과 금융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은행감독원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 1999년 설립된 단체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시·도 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지역 사회의 균형 발전을 목표로 1999년 설립 의결, 2005년 사무처 개소, 201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기관이다.
북한민주화네트워크 | |
---|---|
기본 정보 | |
명칭 | 북한민주화네트워크 |
영문 명칭 | Network for North Korean Democracy and Human Rights |
약칭 | NKnet |
설립일 | 1999년 12월 10일 |
유형 | NGO |
본부 | 대한민국 서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주요 인물 | 회장: 유세희 대표: 한기홍 연구소장: 김영환 |
2. 역사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1990년대 중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심각한 식량난 등 북한의 현실을 접한 386세대들이 북한 주민의 인권과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고 창립 의사를 밝혔다.[35]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북한의 실상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2000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월간잡지 'KEYS'를 국문, 영문, 일문으로 발행했다.[36] 2007년부터는 격월간 잡지 NK Vision을 발행하고 있다.[36] 2004년 12월에는 북한 전문 인터넷 신문 데일리NK를 창간하여 국문, 영문, 중문, 일문 4개 국어로 북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37]
또한, 도서출판 시대정신을 운영하며 김정일 처조카 이한영의 수기 등 북한 관련 서적을 출판하여 북한의 실상을 알리고 있다.[38]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위해 2005년 '북한인권국제대회-서울', 2006년 '북한인권국제회의-브뤼셀, 로마'를 개최하였다.[39] 2008년에는 '2008북한인권국민캠페인'을 개최하여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촉구했다.
이외에도 '북한인권대학생아카데미', '북한민주화전문가과정', '북한개방전략포럼' 등을 통해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양성과 미래 전략 준비에도 힘쓰고 있다.[39]
2. 1. 설립 배경 (1990년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1990년대 중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심각한 식량난으로 인한 대량 아사 사태는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출신 인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35] 이들은 북한 주민들이 굶어 죽어가는 현실을 목격하면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게 되었다.[35]특히, 과거 친북 활동을 하며 주체사상을 추종하던 일부 운동권 인사들(386세대)은 북한의 참혹한 현실을 직시하고 북한 인권 운동에 투신하기 시작했다.[35] 대표적인 인물로 김영환 등이 있으며, 이들은 북한 정권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철회하고 북한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2][3]
2. 2. 창립 및 초기 활동 (1999년 ~ 2000년대 초)
1999년 12월 1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300여 명의 회원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북한민주화운동 강령과 창립선언문을 채택하였다.[42] 창립선언문에서 199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심각한 식량난으로 주민들이 굶어 죽어가는 현실을 보고, 북한 주민의 인권과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우익으로 전향한 386세대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35]초기 조직은 이사진, 감사, 사무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조혁, 한기홍 등이 있었다.[42] 이사에는 조혁, 이숭규, 정원용, 이승우, 김미영, 강신삼, 오경섭, 곽대중 등이, 감사로는 심성구, 한기홍 등이 선출되었고, 조혁이 이사장에 선임되었다.[42]
1999년 12월 1일부터 3일까지 열린 '제1회 북한 인권 및 난민문제 국제회의'에 참석하여 정치범수용소와 탈북 난민 문제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고 '서울선언'을 채택하였다.[42]
2000년 2월에는 북한 전문 잡지 'KEYS' 창간호를 국문으로 발행하였고,[36] 같은 해 6월에는 영문판(계간),[36] 2001년 9월에는 일문판(계간)을 창간하여 전 세계의 도서관, 북한전문가, 언론기관, 인권단체 등에 발송하였다.[36]
2000년 3월 27일부터 4월 2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유엔인권위원회에 참석하여 유엔인권고등판무관과 제네바 소재 주요 NGO를 방문하여 납북자 관련 자료를 제공하였다.[42] 같은 해 4월 18일에는 '납북자 송환을 촉구하는 한일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42]
2001년에는 장길수 일가 구명 운동에 참여하여 유엔난민기구(UNHCR) 난민 지위 신청을 지원하였다.[42] 2002년 2월 4일부터 2월 9일까지는 일본의 RENK와 공동 주관으로 북한인권개선을 위한 한일 자전거 순례를 진행하였다.[42] 한국 대학생 11명과 일본 대학생 3명이 "북한인권에 관심을 촉구하는 오사카-동경간 한일 청년학생 자전거 순례단"을 결성하고 2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일본에서 자전거 행진을 진행했다. 2월 9일에는 동경에서 개최된 「제3회 북한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에 참석했다.[42]
2. 3. 활동 확장기 (2000년대 중반 ~ 현재)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2000년대 중반부터 활동 범위를 넓혀왔다.2004년 12월, 북한 전문 인터넷 신문 데일리NK를 창간하여 운영하고 있다.[37] 데일리NK는 북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최초의 인터넷 신문으로, 국내외 북한 전문가, 연구소, 학자들에게 신뢰받는 정보원으로 인정받고 있다.[37] 국문, 영문, 중문, 일문 4개 국어로 서비스하여 해외 독자층도 확보하고 있다.[8]
도서출판 시대정신을 운영하며 북한 관련 서적 출판에도 힘쓰고 있다.[38] 김정일 처조카 이한영의 수기, 김정일 친위대원 수기, 수용소 체험 수기, 황장엽 前 조선로동당 국제비서의 회고록 등 다양한 서적을 출판하여 북한 관련 서적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38]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5년 서울에서 북한인권국제대회를, 2006년에는 브뤼셀과 로마에서 북한인권국제회의를 개최하여[39] 한국 사회에 북한 인권 문제를 알리고 대중화하는데 기여했다. 2008년에는 유엔인권선언 60주년을 맞아 '2008 북한인권국민캠페인'을 개최하여 국민적 관심을 촉구하고 국내외 북한인권단체들의 활동을 활성화했다.
교육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북한인권대학생아카데미', '북한민주화전문가과정'을 통해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고, '북한개방전략포럼'을 통해 북한의 개혁, 개방 및 시장경제 활성화 방안 등 미래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39]
이 외에도 탈북자 긴급구호지원 및 인권 개선 활동,[42] 신숙자를 위한 "통영의 딸 구출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북한 반인도 범죄 철폐 국제 연대 (ICNK)의 회원이기도 하다.[12] 2010년 민주주의를 위한 국가 기금과 공동 주최한 북한 인권 국제 컨퍼런스,[7] 2011년 세계 최초의 북한 인권 국제 영화제 개최,[10][25] 2012년 두 번째 연례 영화제[11] 개최 등의 활동을 펼쳤다.
3. 주요 활동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북한의 민주화와 인권 개선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언론 및 출판, 교육 및 연구, 국제 연대 및 캠페인, 탈북자 지원 등이 있다. 과거에는 교육 프로그램,[24] 세미나, 사진 전시회,[4] 강연회[5][6] 등을 진행하기도 했다.
각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언론 및 출판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상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다양한 언론 및 출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2004년 12월, 북한 전문 인터넷 신문 데일리NK를 창간하여 운영하고 있다.[37] 데일리NK는 인터넷 신문 최초로 북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며, 국문, 영문, 중문, 일문 4개 국어로 서비스되어 국내외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37] 북한 내부 소식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국제 여론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00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닫힌 체제를 여는 열쇠라는 의미의 월간잡지 'KEYS'를 국문, 영문, 일문으로 통권 48호까지 발행했다.[36] 2007년부터 현재까지는 북한 내부 소식 및 인권 동향을 분석한 격월간 잡지 NK Vision을 발행하고 있다.[36]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도서출판 시대정신을 운영하며 김정일 처조카 이한영의 수기, 황장엽 前 조선노동당 국제비서의 회고록 등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도서를 다수 출판하여 북한 관련 서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38]
3. 2. 교육 및 연구
사단법인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권 문제에 대한 홍보활동뿐만 아니라, 교육사업에도 힘쓰고 있다. 향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제 해결의 중심이 될 인재 양성을 위해 '북한인권대학생아카데미'와 '북한민주화전문가과정'을 진행해왔으며,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을 전망하고 시장경제 활성화 방안 등 북한의 미래 전략을 준비하는 '북한개방전략포럼'도 진행하고 있다.[39]북한민주화네트워크의 주요 교육 및 연구 활동은 다음과 같다.
3. 3. 국제 연대 및 캠페인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2005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북한인권국제대회-서울'을 개최하여 대한민국 사회에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했다.[39] 2006년에는 '북한인권국제회의-브뤼셀, 로마'를 개최하여 북한 인권 운동의 대중화에 기여했다.[39] 유엔인권선언 60주년을 맞이한 2008년에는 '2008 북한인권국민캠페인'을 개최하여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촉구하고, 국내외 북한 인권 단체들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39]
2009년에는 '북한인권운동의 국제연대와 협력방안'을 주제로 '2009 북한인권국제회의'를 개최했다.[24] 2010년에는 민주주의를 위한 국가 기금과 공동 주최로 '북한의 인권개선과 민주주의 증진 전략'을 주제로 한 '2010 북한인권국제회의'를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했다.[7]
2011년에는 세계 최초로 북한 인권 국제 영화제를 개최했으며,[10][25] 2012년 9월에는 두 번째 연례 영화제를 개최했다.[11]
또한, 북한 반인도 범죄 철폐 국제 연대 (ICNK)의 회원으로서[12] 신숙자를 위한 "통영의 딸 구출 캠페인" 등 다양한 포럼 및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중국 내 탈북자들에 대한 긴급 구호 지원과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도 진행해오고 있다.[39]
3. 4. 탈북자 지원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중국 내 탈북자들의 긴급 구호와 인권 개선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39] 또한 북한 인권 단체, 탈북자 단체와 협력하여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4]4. 조직 구성
4. 1. 이사장 및 대표
4. 2. 이사진
- 강철환 (이사, 북한전략센터 대표, 조선일보 기자)
- 손광주 (이사, 데일리NK 통일전략연구소 대표)
- 유호열 (이사, (사)코리아정책연구원 원장)
- 이재원 (이사,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 변호사)[41]
4. 3. 사무총장
김윤태는 성신여자대학교 연구교수이며, 북한민주화네트워크의 사무총장이다.[41]5. 수상 내역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는 2009년 12월 11일, 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 공로로 북한민주화네트워크에 대한민국 인권상을 수여했다.[40][20][21]
참조
[1]
웹사이트
Overview
http://en.nknet.org/[...]
2013-07-05
[2]
웹사이트
History of NKnet
http://en.nknet.org/[...]
2013-07-05
[3]
뉴스
Who Is Kim Young Hwan, a.k.a. "Steel"?
http://en.nknet.org/[...]
2012-06
[4]
뉴스
ko:통영의딸 전시회 찾은 시민 "믿기지가 않아요": 27일 인사동 서호 갤러리서 사진 전시회…"사람들 北현실 잘 몰라"
http://www.dailynk.c[...]
2011-10-27
[5]
웹사이트
Speaker Series
http://en.nknet.org/[...]
2013-08-04
[6]
뉴스
Seoul series on North Korean rights
http://www.koreahera[...]
2012-04-18
[7]
웹사이트
North Korea's Shifting Political Landscape: Will Succession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anded Human Rights and Democracy in the Hermit Kingdom? (joint conference)
http://www.ned.org/e[...]
2013-07-05
[8]
뉴스
North Korea denies punishing citizens for not mourning enough
http://edition.cnn.c[...]
2012-01-16
[9]
웹사이트
The Media and North Korea -- Old Styles, Evolving Strategy in the Kim Jong-eun Era
http://www.donaldkir[...]
2013-08-05
[10]
뉴스
Films probe experimentalism, human rights
https://www.koreatim[...]
2011-11-03
[11]
뉴스
Film Fest Raises Awareness of Human Rights in N.Korea
http://english.chosu[...]
2012-09-21
[12]
웹사이트
Member Organizations
http://stopnkcrimes.[...]
2013-07-05
[13]
웹사이트
Keys
http://dailynk.com/e[...]
2013-07-05
[14]
웹사이트
NK Vision Magazine (English)
http://en.nknet.org/[...]
2013-07-28
[15]
웹사이트
NK Vision Magazine (Korean)
http://www.nkvision.[...]
2013-07-28
[16]
웹사이트
Defector Survey on International Food Aid Distribution
http://en.nknet.org/[...]
2013-07-28
[17]
뉴스
Recent NK Defectors Confirm Grim Food Situation
https://blogs.wsj.co[...]
2011-04-08
[18]
뉴스
North Korea 'executes three people found guilty of cannibalism'
https://www.telegrap[...]
2012-05-11
[19]
웹사이트
A Quiet Opening: North Koreans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http://www.intermedi[...]
2013-07-28
[20]
뉴스
NKnet Collects ROK Human Rights Award
http://dailynk.com/e[...]
2009-12-10
[21]
뉴스
ko:한국인권상 수상 유세희 이사장
http://www.rfa.org/k[...]
2009-11-23
[22]
뉴스
Korean gov't to award medal to prominent activist
https://koreatimes.c[...]
2012-12-04
[23]
뉴스
South Korea Repeats Call to Investigate Torture Claim
https://www.nytimes.[...]
2012-07-31
[24]
웹사이트
NED 2011 Annual Report - North Korea
http://www.ned.org/p[...]
2013-07-28
[25]
웹사이트
First-Ever North Korean Human Right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en.nknet.org/[...]
2013-07-05
[26]
웹사이트
2nd North Korean Human Right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en.nknet.org/[...]
2013-08-04
[27]
뉴스
North Korea Razes Unofficial Market
https://www.wsj.com/[...]
2009-09-21
[28]
뉴스
North Korea Ups Police Presence After Kim's Death
https://www.npr.org/[...]
2011-12-21
[29]
뉴스
A little light shines through North Korea's blackout
https://www.nytimes.[...]
2005-03-16
[30]
뉴스
North Korea Said to Shut Market in Bid for Control
https://www.nytimes.[...]
2009-09-19
[31]
뉴스
Why the North Korean Crisis Demands a New Diplomatic Approach
https://world.time.c[...]
2013-04-12
[32]
뉴스
L'opposizione in Corea del Nord
http://www.ilpost.it[...]
2013-04-12
[33]
뉴스
La Corée du Nord intensifie ses menaces
http://www.lemonde.f[...]
2013-04-01
[34]
뉴스
Ilska och svält bland nordkoreaner
http://www.dn.se/nyh[...]
2013-04-14
[35]
문서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창립취지문
http://nknet.org/sub[...]
[36]
간행물
월간 'NK비전'
http://www.nkvision.[...]
[37]
웹인용
데일리NK
http://www.dailynk.c[...]
2013-04-08
[38]
웹인용
도서출판 시대정신
http://www.zeitgeist[...]
2013-04-08
[39]
웹사이트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주요활동
http://nknet.org/sub[...]
[40]
뉴스
데일리NK 언론보도
http://www.dailynk.c[...]
[41]
웹사이트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조직도
http://nknet.org/sub[...]
[42]
웹사이트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혁
http://nknet.org/su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