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숙자는 1942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나 간호사로 일하다가, 1972년 독일에서 경제학도 오길남과 결혼했다. 1985년 남편의 월북 권유로 두 딸과 함께 북한으로 갔으나, 남편의 탈북 이후 요덕 정치범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이후 신숙자 모녀의 송환을 촉구하는 국제적인 구명 운동이 벌어졌으며, 2012년 북한은 신숙자가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유엔은 신숙자와 두 딸의 강제 구금을 판정하고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억압 - 강철환
강철환은 1968년 평양 출생으로, 요덕 수용소 수감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인권 운동을 하는 탈북자이자 작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억압 - 국가의 적
국가의 적은 국가나 정권에 의해 존립이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로 규정된 개인이나 집단을 지칭하며, 정치적 숙청, 사회적 배제, 합법적 폭력의 근거로 악용되거나 문학 및 영상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간호사 - 윤종필
윤종필은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과 대한간호협회 이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전 군인으로,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보건복지위원회와 여성가족위원회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간호사 - 이수진 (간호사 출신 정치인)
이수진은 간호사 출신으로 노동 운동가와 더불어민주당 정치인으로서, 주요 당직을 거쳐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현재 지역위원회 및 전국여성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대북전단과 대남전단
대북전단과 대남전단은 한반도 심리전의 일환으로, 남북 간의 긴장 고조와 완화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표현의 자유, 안보 위협, 효과 논란 등 다양한 쟁점을 야기하며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김정일리아
김정일리아는 탈북자 인터뷰를 통해 북한의 삶과 김정일 체제 하의 억압적인 현실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김정일의 이름을 딴 꽃인 김정일화가 상징적으로 사용되었다.
신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신숙자 |
한글 | 신숙자 |
한자 | 申淑子 |
로마자 표기 | Sin Sukja |
출생 연도 | 1942년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통영군 (현재 대한민국) |
직업 | 간호사 |
알려진 이유 | 양심수 |
배우자 | 오길남 |
자녀 | 오혜원 (1976년생) 오규원 (1978년생) |
2. 생애
1942년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통영시(당시 慶尙南道統營|경상남도 통영일본어)에서 태어나 통영시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부터 마산 간호학교에서 간호학을 공부했다.[17] 1970년 독일 튀빙겐에서 간호사로 일하던 중 오길남을 만나 1972년 결혼했다.[18][19] 이후 독일 킬 근처로 이주하여 두 딸 오혜원(1976년생)과 오규원(1978년생)을 낳고 1985년까지 크론샤겐에서 거주했다.[20]
1980년대 초, 남편 오길남은 송두율과 윤이상 등 독일 거주 한국 좌파 운동가들의 영향을 받아 한국 정부에 대한 정치 운동에 참여했다.[21][22][23] 이들은 오길남에게 북한에서 경제학자로 일할 것을 권유했고, 북한 정부 대표들은 오길남의 아내가 평양에서 무료 간염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속여 북한으로의 망명을 유도했다.[21]
신숙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85년 12월 가족은 서베를린에서 동베를린, 모스크바를 거쳐 평양직할시로 들어갔다.[21][22] 그러나 약속과 달리 군 숙영소에 갇혀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강제로 공부해야 했고, 남한을 향한 선전 방송에 이용되었다.[18][22][26] 오길남은 북한 억류 중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으로 납치된 승무원들과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을 만났다고 증언했다.[27][22][25]
1986년, 오길남은 다른 한국 학생들을 북한으로 데려오라는 지시를 받고 독일로 보내졌으나, 덴마크에서 정치 망명을 요청했다.[18][22].[29] 신숙자는 남편에게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명령에는 따르지 않고 도망쳐. 우리를 구출해줘"라고 말했다.[18][22][17] 이듬해 신숙자와 두 딸은 요덕수용소로 보내졌다.[18][19][22]
북한은 1988년과 1989년에 오길남에게 신숙자와 딸들의 편지를 전달했고, 1991년에는 음성 녹음 테이프와 요덕수용소에서 찍은 가족사진 6장을 건넸다.[22][23] 탈북자 안혁과 강철환은 신숙자가 여러 차례 자살을 시도했지만 1987년까지 살아있었다고 증언했다.[31]
2011년, 코리아 타임스는 신숙자와 두 딸이 살아있으며 다른 장소로 이감되었다고 보도했다.[32] 조선일보는 이들이 평안남도 평원군 원화리로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신숙자가 조선노동당 간부 전용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고 보도했다.[35]
1993년, 국제앰네스티는 신숙자와 딸들의 석방 캠페인을 시작했다. 2011년에는 "통영의 딸 구출 운동"이 시작되어 7만 건이 넘는 석방 요구 서명을 받았다.[33] [34] 국제앰네스티는 "권리를 위해 쓰자"는 편지 쓰기 캠페인을 시작했다.[36]
2012년 5월, 국제연합의 문의에 북한은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38] 그러나 오길남은 일본 국민 납치 사건에서 북한이 사망했다는 허위 설명을 한 사례를 들어 믿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38]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북한에 즉각적인 석방과 배상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했다.[39]
2. 1. 한국에서의 초기 생애와 독일 이주
신숙자는 1942년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통영시(당시 慶尙南道統營|경상남도 통영일본어)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영시에서 다녔다.[1] 1958년부터는 마산간호학교에서 간호학을 공부했다.[1] 1970년, 대한민국을 떠나 독일로 건너가 튀빙겐에서 간호사로 일했다.[1] 그곳에서 대한민국 출신 경제학도인 오길남을 만나 1972년 결혼했다.[2] 이후 그들은 독일 킬 근교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1976년 9월 17일 큰딸 오혜원과 1978년 6월 21일 둘째딸 오규원을 낳았다.[3] 가족은 1985년까지 킬 근교 크론샤겐에 살았다.[3]2. 2. 월북과 수감 생활
1985년 남편 오길남이 작곡가 윤이상의 권유로 가족과 함께 월북하였다.[5][21] 북한에서 약속된 간염 치료 대신 군사 캠프에 수감되어 주체사상과 김일성에 대한 강도 높은 교육을 받았다.[6][18] 이후 남한을 향한 선전 방송 제작에 동원되었다.[6][18][22][26]1986년 오길남은 독일 유학생 포섭 지령을 받고 독일로 가던 중 탈북했다.[8][29] 오길남의 탈북 후, 신숙자와 두 딸은 함경남도 요덕수용소에 수감되었다.[8]
3. 오길남의 탈북과 구명 운동
1986년, 오길남은 독일로 가던 중 덴마크에서 정치 망명을 요청했다.[2] 이듬해 신숙자와 두 딸은 남편이 북한으로 돌아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요덕 수용소로 보내졌다.[2] 1988년과 1989년, 북한 중개인들은 오길남에게 신숙자와 딸들이 쓴 편지를 전달했고, 1991년에는 요덕에서 녹음된 그들의 목소리가 담긴 오디오테이프와 가족사진 6장을 전달했다.[4] 일부 사진은 공개되었다.[9] 탈북자이자 요덕 수용소 전 수감자인 안혁과 강철환은 신숙자가 여러 차례 자살을 시도했지만, 1987년 그들이 석방될 당시에도 살아 있었다고 증언했다.[10]
2011년 9월, ''코리아타임스''(Korea Times)는 신숙자와 두 딸이 살아 있으며 다른 수용소로 이감되었다고 보도하면서, 신숙자가 김정일에게 충성 서약을 부인했다고 보도했다.[11] 같은 해, 한국 정보당국은 수십 명의 한국인과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이 평안남도 평원군 원화리로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고, 그중에 신숙자 일가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체력이 약해진 신숙자가 이 지역의 조선로동당 간부 전용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는 정보도 보도했다.[35]
3. 1. 오길남의 탈북
1986년, 오길남은 독일 유학생 포섭 지령을 받고 독일로 가던 중 덴마크에서 정치 망명을 요청했다.[2] 신숙자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오길남은 탈북을 결심했으며, 신숙자는 오길남에게 "우리가 잘못된 결정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해도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명령에는 따르지 않고 도망쳐. 우리 딸도 증오스러운 공범의 딸이 되어서는 안 돼. 만약 이 나라를 탈출한다면 우리를 구출해줘. 하지만 네가 실패한다면, 나와 딸은 죽었다고 생각해"라고 말했다.[18][22][17]3. 2. 신숙자 모녀 구명 운동
1993년, 국제앰네스티는 신숙자와 그녀의 두 딸을 양심수로 지정하고, 요덕수용소에서 석방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입수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신숙자 모녀가 남편 오길남의 해외 정치 망명 요청으로 인해 구금되었다고 판단하여 북한 당국에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을 촉구했다.[4]2011년 4월, 신숙자의 고향인 통영의 인권 운동가들을 중심으로 "통영의 딸 구출 캠페인"[12]이 시작되었고, 이는 한국과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9] 2011년 9월까지 신숙자 모녀 석방을 위한 서명이 7만 건 이상 모였다.[13]
2011년 7월, 한국의 인권 운동가 김성욱이 이끄는 SAGE Korea는 신숙자 모녀 석방을 촉구하는 특별 행사를 개최했다.
2011년 11월, 국제앰네스티는 요덕수용소의 신숙자를 포함한 다른 수감자들을 "Write for Rights" 서한 작성 캠페인에 포함시켰다.[14] 한 달 후, 북한의 국영 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사는 신숙자 석방 캠페인을 "흑심을 품은 악의적인 중상모략"이라고 규정했다.[15]
4. 북한의 사망 통보와 의혹
1993년, 국제앰네스티는 신숙자와 두 딸을 요덕 강제수용소에서 석방하라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이들이 중국으로 망명하려 했다는 이유로 구금된 것으로 판단하고, 양심수로 지정하여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했다.
2011년 4월, 신숙자의 고향 사람들과 인권 운동가들은 "통영의 딸 구출 운동"을 시작하여,[33]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2011년 9월까지 7만 건이 넘는 석방 요구 서명을 받았다.[34]
2011년 9월, 한국 정보당국은 신숙자 일가를 포함한 수십 명의 한국인과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이 평안남도 평원군 원화리로 이동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35] 또한, 체력이 약해진 신숙자가 이 지역의 조선로동당 간부 전용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는 정보도 있었다.[35]
2011년 11월, 국제앰네스티는 신숙자 등 요덕 수용소 수감자들을 위한 편지 쓰기 캠페인을 시작했다.[36] 한 달 후, 조선중앙통신은 이 캠페인을 "악의적인 중상모략"이라고 비난했다.[37]
4. 1. 북한의 신숙자 사망 주장
2012년 5월 7일, 북한은 UN을 통해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통고했으나, 사망 장소와 시간은 밝히지 않았다. 이에 신숙자의 남편인 오길남과 인권단체들은 자세한 사망 경위와 유해 송환을 촉구했다.[16][38] 북한은 신숙자의 두 딸이 아버지인 오길남을 만나길 거부한다는 내용을 A4용지 1장의 서한에 담아 전달했다.5월 9일, 오길남과 '북한 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는 UN에 진정서를 제출했다.[16][38] UN이 질의서를 북측에 보낼 경우, 북한은 2개월 안에 신숙자의 사망 증명 자료와 두 딸의 자유 의사 확인을 위한 상봉 요구에 답변해야 했다.
오길남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의 사망을 허위로 발표한 사례를 언급하며 북한의 발표를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16][38]
2012년 5월 29일,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신숙자가 1987년 이후 북한에 강제 구금 상태에 있다고 단정하고, 북한에 즉각적인 석방과 배상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했던 사실이 밝혀졌다.[39] 한국 당국자는 이 판결에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북한에 무시할 수 없는 압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40]
4. 2. 사망 통보에 대한 의혹 제기
2012년 5월 7일, 북한은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UN에 통고했으나 사망 장소와 시간은 밝히지 않았다. 이에 신숙자의 남편인 오길남 박사와 인권단체들은 자세한 사망 경위와 유해 송환을 촉구했다.[16] 북한은 A4용지 1장의 서한을 통해 신숙자의 두 딸이 아버지인 오길남을 만나길 거부한다고 밝혔다. 5월 9일, 오길남 박사와 '북한 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는 UN에 진정서를 제출했으며, 한국 정부는 신숙자의 생사 여부를 계속 조사 중이다.2012년 5월, 유엔의 질의에 대해 북한 관리는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답변했다. 또한 신숙자와 오길남의 딸들이 아버지가 가족을 "버렸다"는 이유로 아버지를 부인했다고 주장했다. 오길남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일본인 납치 피해자들의 사망을 허위로 발표한 사례(요코타 메구미 등)를 언급하며 북한의 발표를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16][38]
2012년 5월 29일,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신숙자가 1987년 이후 지속적으로 북한에 강제 구금 상태에 있다고 단정하고, 북한에 즉각적인 석방과 배상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했다.[39] 한국 당국자는 이 판결에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북한에 무시할 수 없는 압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40]
5. 유엔의 강제 구금 판정과 이후 상황
2012년 5월, 유엔은 북한에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는 답변을 받았다. 북한은 신숙자의 딸들이 오길남이 가족을 버렸다고 생각해 아버지로 여기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오길남은 일본 국민 납치 사건에서 북한이 사망 관련 허위 설명을 한 사례(요코타 메구미 등)를 언급하며 해당 보고서에 대한 불신을 표명했다.[38]
2012년 5월 29일,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1987년 이후 신숙자가 북한에 의해 강제 구금된 상태라고 판정하고, 즉각적인 석방과 배상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했다.[39] 한국 당국자는 이 판결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북한에 무시할 수 없는 압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40]
5. 1. 유엔의 강제 구금 판정
2012년 5월 29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산하 임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은 '통영의 딸' 신숙자와 그녀의 두 딸 오혜원, 규원이 북한에 의해 강제 구금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41] 실무그룹은 1987년부터 신숙자와 두 딸의 구금이 임의적이었고, 현재도 임의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하며, 북한 정부에 즉시 석방과 적절한 배상을 요구했다.[41] 북한 반(反)인도범죄 철폐 국제연대(ICNK)는 이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으며, 유엔의 판정은 앞으로 유엔의 북한 관련 연례보고서에 공식적으로 언급될 예정이다.[41]같은 날,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1987년 이후 지속적으로 북한의 강제 구금 상태에 있다”고 단정하고, 북한에 즉각적인 석방과 배상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작성했던 사실이 밝혀졌다.[39]
2012년 5월, 유엔의 문의에 대한 답변으로 북한은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밝혔다.[38] 그러나 남편 오길남은 일본 국민 납치 사건에서 북한이 사망했다는 허위 설명을 한 사례(요코타 메구미 등)를 들어 보고서를 믿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38] 한국 당국자는 “판결의 법적 구속력은 없다”면서도 “북한에 무시할 수 없는 압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40]
5. 2. 이후 상황
2012년 5월 7일, 북한은 UN에 신숙자가 간염으로 사망했다고 통고했으나 사망 장소와 시간은 밝히지 않았다. 이에 신숙자의 남편인 오길남과 인권단체들은 자세한 사망 경위와 유해 송환을 촉구했다. 북한은 신숙자의 두 딸이 아버지인 오길남을 만나길 거부한다는 내용의 A4용지 1장 분량의 서한을 보냈다.[41]2012년 5월 9일, 오길남과 '북한 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는 UN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신숙자의 생사 여부를 계속 조사 중이다.[41]
2012년 5월 29일, 유엔은 ‘통영의 딸’ 신숙자와 그녀의 가족이 북한에 의해 강제구금 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북한 반(反)인도범죄 철폐 국제연대(ICNK)는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산하 임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이 신씨와 두 딸 오혜원, 오규원이 강제구금됐다는 판정을 내렸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실무그룹은 “1987년 이래로 계속된 신숙자 씨와 두 딸의 구금이 임의적였고, 현재도 임의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41]
실무그룹은 “북한 정부가 이 상황에 대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하면서 즉시 석방(release)과 적절한 배상”이라고 명시하였다. ICNK는 유엔 차원의 공식 입장이 나온 만큼, 북한 당국이 강제 억류 상태에서 신씨의 죽음을 방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국제형사재판소에 신씨 문제를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으며 UN의 판정은 앞으로 유엔의 북한 관련 연례보고서에 공식적으로 언급된다.[41]
6. 신숙자 사건의 의의와 과제
신숙자 사건은 탈북민과 북한 인권 문제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특히, 신숙자 모녀의 생사 확인 및 송환, 그리고 진상 규명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Campaign seeks to save SK woman from NK prison camp
http://english.donga[...]
2011-09-27
[2]
웹사이트
North Korea: Fear of "disappearance" of Shin Sook Ja (and her daughters), p. 5 - 8
https://www.amnesty.[...]
2011-09-27
[3]
웹사이트
Save Oh Sisters!!
http://eng.nkgulag.o[...]
2011-09-27
[4]
웹사이트
North Korea: Summary of Amnesty International's concern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0-02-25
[5]
뉴스
아내·두 딸을 북한에 두고 탈출한 오길남 박사
http://www.chosun.co[...]
2010-02-25
[6]
웹사이트
A family and a conscience, destroyed by North Korea's cruelty
https://www.washingt[...]
2010-02-25
[7]
웹사이트
Fate of Abducted Korean Airlines Passengers Still Unclear
http://english.nkrad[...]
2010-07-07
[8]
웹사이트
’Please fight for my wife, daughters’
https://www.koreatim[...]
2011-09-27
[9]
웹사이트
Groups gather in Japan to save S. Korean prisoner in N. Korea
http://res.heraldm.c[...]
2011-09-27
[10]
웹사이트
아내•두 딸을 북한에 두고 탈출한 오길남 박사
http://www.chosun.co[...]
2011-09-27
[11]
웹사이트
'Daughter of Tongyeong'
https://www.koreatim[...]
2011-09-27
[12]
웹사이트
A City Waiting for Its Daughter Back
http://dailynk.com/e[...]
2011-09-27
[13]
웹사이트
Shin Suk Ja Movement Gaining Traction
http://www.dailynk.c[...]
2011-09-27
[14]
웹사이트
North Korea: Thousands held in Secret Camps
http://www.amnestyus[...]
2011-11-08
[15]
웹사이트
S. Korea's Anti-DPRK Human Rights Campaign Slammed
http://www.kcna.co.j[...]
2012-01-27
[16]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detainee died of hepatitis
https://www.koreatim[...]
2012-05-08
[17]
웹사이트
Campaign seeks to save SK woman from NK prison camp
http://english.donga[...]
2011-09-27
[18]
웹사이트
北朝鮮収容所に残された呉吉男氏の妻娘、出身地統営で救出呼びかける展示会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1-12-01
[19]
웹사이트
North Korea: Fear of "disappearance" of Shin Sook Ja (and her daughters), p. 5 - 8
http://www.amnesty.o[...]
2011-09-27
[20]
웹사이트
Save Oh Sisters!!
http://eng.nkgulag.o[...]
2011-09-27
[21]
문서
呉
[22]
웹사이트
呉吉男事件と特定失踪者生島さん
https://www.yamatopr[...]
やまと新聞社
2021-12-01
[23]
웹사이트
North Korea: Summary of Amnesty International's concerns
http://www.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2010-02-25
[24]
뉴스
http://www.chosun.co[...]
2010-02-25
[25]
문서
荒木
[26]
웹사이트
A family and a conscience, destroyed by North Korea's cruelty
https://www.washingt[...]
2010-02-25
[27]
웹사이트
Fate of Abducted Korean Airlines Passengers Still Unclear
http://english.nkrad[...]
2010-07-07
[28]
뉴스
特定失踪者問題調査会NEWS 2228号
2016-06-20
[29]
웹사이트
’Please fight for my wife, daughters’
http://www.koreatime[...]
2011-09-27
[30]
웹사이트
Groups gather in Japan to save S. Korean prisoner in N. Korea
http://res.heraldm.c[...]
2011-09-27
[31]
웹사이트
월간조선 아내·두 딸을 북한에 두고 탈출한 오길남 박사
http://www.chosun.co[...]
2011-09-27
[32]
웹사이트
'Daughter of Tongyeong'
http://www.koreatime[...]
2011-09-27
[33]
웹사이트
A City Waiting for Its Daughter Back
http://dailynk.com/e[...]
2011-09-27
[34]
웹사이트
Shin Suk Ja Movement Gaining Traction
http://www.dailynk.c[...]
2011-09-27
[35]
웹사이트
北朝鮮、元スパイ養成所を拉致被害者の収容施設に
http://saenulee.com/[...]
セヌリマガジン
2021-11-22
[36]
웹사이트
North Korea: Thousands held in Secret Camps
http://www.amnestyus[...]
2011-11-08
[37]
웹사이트
S. Korea's Anti-DPRK Human Rights Campaign Slammed
http://www.kcna.co.j[...]
2012-01-27
[38]
웹사이트
North Korea says detainee died of hepatitis
http://www.koreatime[...]
2012-05-08
[39]
뉴스
「韓国のめぐみさん」母娘3人、国連機関が北に釈放要求…人権高等弁務官事務所が意見書
https://web.archive.[...]
2012-05-29
[40]
뉴스
国連「北、申淑子母娘を拘禁」… 17年前の決定を覆す
https://japanese.joi[...]
2012-05-29
[41]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