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정벌레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딱정벌레목(Coleoptera)은 곤충강에 속하는 목으로, 딱지날개(elytra)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 곤충 종의 약 40%, 모든 동물 종의 약 25%를 차지하며, 가장 큰 곤충 목이다. 딱정벌레는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먹이와 생활 방식도 다양하다. 진화 과정에서 고생대 후기부터 나타났으며, 쥐라기 시대에 다양성이 급증했다. 딱정벌레는 완전변태를 거치며, 알, 유충(굼벵이), 번데기, 성충 단계를 거친다. 일부 종은 부모의 보살핌을 보이기도 하며, 다른 곤충이나 식물과 상호 작용하며 살아간다.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고대 문화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농작물 해충으로 피해를 주기도 한다. 반대로, 해충을 잡아먹거나 수분을 돕는 등 유익한 역할을 하기도 하며, 식용,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생물 다양성 지표로 활용되기도 하며, 예술, 장식, 오락, 애완동물, 기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딱정벌레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목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아강 | 유시아강 |
하강 | 신시하강 |
상목 | 내시상목 |
영명 | 딱정벌레 |
별칭 | 갑충류, 鞘翅目 |
화석 범위 | 초기 페름기 ~ 현재 |
아목 | |
아목 | 나가가슴벌레아목(시원아목) 오사마아목(식육아목) 물벌레아목(점식아목) 풍뎅이아목(다식아목) †원시딱정벌레아목 |
하위 분류 링크 | 딱정벌레목의 하위 분류 |
기타 |
2. 어원
딱정벌레목(Coleoptera)이라는 분류학적 목의 이름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무리를 부르던 고대 그리스어 ''koleopteros''(κολεόπτερος)에서 유래했다. 이는 단단한 방패 모양의 앞날개인 딱지날개(elytra)를 가리키는 말로, ''koleos''(집, 칼집)과 ''pteron''(날개)에서 유래했다.[3][4] 영어 이름인 beetle은 옛영어 단어 ''bitela''(작은 물어뜯는 것)에서 왔는데, ''bītan''(물다)과 관련이 있다.[5] 이는 중세 영어 ''betylle''로 이어진다. 딱정벌레를 가리키는 또 다른 옛영어 이름은 ''ċeafor''(chafer)로, 풍뎅이와 같은 이름에 사용되었는데, 게르만 원어 *''kebrô''("딱정벌레"; 독일어 ''Käfer'', 네덜란드어 ''kever'', 아프리칸스어 ''kewer''와 비교)에서 유래했다.[6]
딱정벌레목은 곤충 중 가장 큰 목으로, 약 40만 종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현재까지 기록된 모든 곤충 종의 약 40%, 모든 동물 종의 약 25%를 차지한다.[1][7][8][9][10][11] 2015년 연구에서는 딱정벌레 종의 총 개체수를 평균 약 150만 종(최소 90만 종에서 최대 210만 종)으로 추정했다.[12][13]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딱정벌레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15]
3. 분포 및 다양성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나무와 나무껍질, 꽃, 잎, 뿌리 근처의 지하, 심지어 식물 내부의 벌레혹이나 죽거나 부패하는 식물 조직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한다.[18]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풍뎅이과[22] 등 다양하고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한다.
가장 무거운 딱정벌레는 골리앗풍뎅이(*Goliathus goliatus*)의 유충으로, 무게는 최소 115g, 길이는 11.5cm에 달한다. 성체 수컷 골리앗풍뎅이는 성체 단계에서 가장 무거운 딱정벌레로, 무게 70g-100g, 최대 길이 11cm이다.[23] 성체 코끼리풍뎅이(*Megasoma elephas* 및 *Megasoma actaeon*)는 종종 무게 50g과 길이 10cm에 달한다.[24]
가장 긴 딱정벌레는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Dynastes hercules*)로, 매우 긴 앞가슴등판 뿔을 포함하여 최대 길이가 16.7cm이다. 가장 작은 딱정벌레이자 가장 작은 자유생활 곤충은 깃털날개딱정벌레(*Scydosella musawasensis*)로, 길이가 325μm에 불과할 수 있다.[25]
4. 진화
상과 과 긴넓적딱정벌레상과 (Cupedoidea) 작은딱정벌레상과 Microsporioidea 작은딱정벌레과 Torridincolidae 물방개상과 Hydrophiloidea 애기뿔소똥구리상과 Histeroidea 딱정벌레상과 Staphylinoidea 풍뎅이상과 Scarabaeoidea 말토게무시상과 Byrrhoidea 말토게무시과 Byrrhoidae - 다엔말토게무시 사슴벌레상과 Buprestoidea 사슴벌레과 Buprestidae - 사슴벌레 , 애사슴벌레 반딧불이상과 Elateroidea 반딧불이과 Elateridae - 빗살반딧불이 , 얼룩반딧불이 , 녹색반딧불이 물땡땡이상과 Dryopoidea 반딧불이상과 Cantharoidea 거저리상과 Dermestoidea 긴나무좀상과 Bostrychoidea 나무좀상과 Lymexyloidea 나무좀과 Lymexylonidae 총채벌레상과 Cleroidea 넓적딱정벌레상과 Cucujoidea 거저리상과 Tenebrionoidea 잎벌레상과 Chrysomeloidea 바구미상과 Curculionoidea 물맴이상과 Scirtoidea 긴꽃하늘소붙이상과 Artematopodoidea 긴꽃하늘소붙이과 Artematopodoidae 긴수염하늘소상과 Dascilloidea 빗살수염하늘소과 Rhipiceridae
그 외에도 많은 과가 인정되고 있다.
4. 1. 고생대 후기 및 트라이아스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딱정벌레는 독일의 초기 페름기(아세리안절)에서 발견된 ''Coleopsis''로, 약 2억 9500만 년 전의 것이다.[26] 페름기 초기의 딱정벌레들은 집합적으로 "Protocoleoptera"로 분류되며, 나무를 먹는(목식성) 나무를 파먹는 곤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대의 화석은 시베리아와 유럽에서 발견되었는데, 예를 들어 독일 마인츠 근처 니더모셸의 붉은 셰일 화석층에서 발견되었다.[27] 체코 오보라와 러시아 우랄 산맥의 체카르다에서도 추가적인 화석이 발견되었다.[28] 그러나 아시아와 북아메리카가 유라메리카로 합쳐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북아메리카에서는 중기 페름기 이전의 화석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오클라호마의 웰링턴층에서 발견된 최초의 화석은 2005년과 2008년에 발표되었다.[29][30]
현대 딱정벌레 계통의 가장 초기 구성원들은 후기 페름기에 나타났다. 페름기 말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에서 대부분의 "원시 딱정벌레류" 계통이 멸종되었다. 딱정벌레의 다양성은 중기 트라이아스기까지 멸종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았다.[31]
4. 2. 쥐라기
쥐라기() 동안 딱정벌레 과의 다양성이 극적으로 증가했는데,[29] 여기에는 육식성 및 초식성 종의 발달과 증가가 포함된다. Chrysomeloidea는 같은 시기에 다양화되었으며, 소철과 침엽수에서 속씨식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식물 숙주를 먹이로 삼았다.[32] 쥐라기 후기에는 Cupedidae가 감소했지만 초기 식물 섭취 종의 다양성은 증가했다. 최근의 대부분의 식물 섭취 딱정벌레는 꽃식물 또는 속씨식물을 먹는데, 이들의 성공은 중생대 쥐라기 동안 식물 섭취 종의 수를 두 배로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백악기 동안 딱정벌레 과의 수 증가는 속씨식물 종의 수 증가와 상관관계가 없다.[33] 같은 시기에 많은 원시적인 바구미(예: Curculionoidea)와 딱정벌레(예: Elateroidea)가 나타났다. 최초의 보석 딱정벌레(예: Buprestidae)가 존재하지만 백악기까지는 드물었다.[34][35][36] 최초의 풍뎅이는 배설물을 먹는 것이 아니라 아마도 균류의 도움을 받아 썩은 나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상리공생 관계의 초기 사례이다.
쥐라기에는 150개 이상의 중요한 화석 유적지가 있는데, 대부분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있다. 뛰어난 유적지로는 독일 바이에른 상부의 졸른호펜,[37] 남부 카자흐스탄의 카라타우,[38] 중국 북부 랴오닝의 이셴층,[39] 그리고 지룽산층과 몽골의 다른 화석 유적지가 있다. 북미에는 쥐라기 곤충 화석 기록이 있는 유적지가 몇 군데밖에 없는데, 하트퍼드 분지, 디어필드 분지, 뉴어크 분지의 껍질 석회암 퇴적물이 있다.[29][40]
4. 3. 백악기
백악기에는 남쪽 대륙이 분열되면서 남대서양이 열리고 뉴질랜드가 고립되었으며, 남아메리카, 남극, 오스트레일리아는 서로 멀어졌다.[32] 컵페디과(Cupedidae)와 원시딱정벌레아목(Archostemata)의 다양성은 상당히 감소했다. 육식성 딱정벌레인 딱정벌레과(Carabidae)와 개미붙이과(Staphylinidae)는 서식 분포 패턴이 달라지기 시작했는데, 딱정벌레과(Carabidae)는 주로 따뜻한 지역에 서식한 반면, 개미붙이과(Staphylinidae)와 쥐며느리딱정벌레과(Elateridae)는 온대 기후를 선호했다.
마찬가지로, 밑빠진벌레상과(Cleroidea)와 거저리상과(Cucujoidea)의 포식성 종들은 나무껍질 아래에서 사슴벌레과(Buprestidae)와 함께 먹이를 사냥했다. 사슴벌레과의 다양성은 나무의 주요 소비자였기 때문에 급격히 증가했지만,[41] 하늘소과(Cerambycidae)는 상대적으로 드물었으며, 그 다양성은 상부 백악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증가했다.[29]
최초의 똥굴림벌레는 상부 백악기에서 발견되었으며,[42] 초식 공룡의 배설물을 먹고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43] 유충과 성충 모두 수생 생활에 적응한 최초의 종들이 발견되었다. 물맴이(Gyrinidae)는 다양성이 중간 정도였지만, 다른 초기 딱정벌레류(예: 물방개과(Dytiscidae))는 그렇지 못했고, 가장 널리 퍼진 종은 수생 파리 유충을 잡아먹는 콥토클라비드과(Coptoclavidae)였다.[29]
2020년 백악기 호박에서 발견된 화석 딱정벌레의 고생태 해석에 대한 검토는 부후재목성(saproxylic)이 가장 흔한 먹이 섭취 전략이며, 특히 균식성(fungivorous) 종이 우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44]
전 세계적으로 많은 화석 지층에서 백악기 딱정벌레가 발견된다. 대부분 유럽과 아시아에 있으며, 백악기 동안 온대 기후대에 속했다.[39] 하부 백악기 지층으로는 브라질 북부 세아라(Ceará)주 아라리페 분지의 크라토(Crato) 화석층과 그 상부의 산타나(Santana) 지층이 있다. 후자는 당시 적도 근처에 있었다. 스페인에서는 몽세크(Montsec)와 라스 오야스(Las Hoyas) 근처가 중요한 지층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빅토리아주 사우스깁스랜드(South Gippsland)의 코룸부라(Korumburra) 그룹 코온와라(Koonwarra) 화석층이 주목할 만하다. 상부 백악기의 주요 지층으로는 카자흐스탄 남부의 크질자르(Kzyl-Dzhar)와 러시아의 아르카갈라(Arkagala)가 있다.[29]
4. 4. 신생대
신생대 지층에서는 딱정벌레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된다. 플라이스토세(최대 160만 년 전) 화석 종들은 현존하는 종들과 동일하며, 후기 마이오세(570만 년 전) 화석들 또한 현생 종들과 매우 유사하여 현생 종들의 조상일 가능성이 높다.[46] 플라이스토세의 큰 기후 변동으로 인해 딱정벌레의 지리적 분포가 크게 변화하여, 현재의 서식지는 해당 종의 생물지리학적 역사를 거의 알려주지 못한다.[46]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곤충들이 이동하면서 종종 지리적 격리가 깨지고, 유전자 풀의 혼합, 빠른 진화, 그리고 특히 중위도 지역에서 멸종이 발생했음이 분명하다.[46]
5. 계통 분류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15]
딱정벌레목의 매우 많은 종 수는 분류에 특별한 문제를 제기한다. 일부 과는 수만 종을 포함하며, 아과와 족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 다식아목은 170개가 넘는 과에 속하는 30만 종 이상의 기재된 종을 포함하는 가장 큰 아목으로, 개미붙이과, 풍뎅이과, 파리붙이과, 사슴벌레과 및 바구미과 등이 포함된다.[10][47] 이러한 다식아목 딱정벌레 무리는 다른 아목에는 없는 경부 골편(근육 부착 지점으로 사용되는 경화된 머리 부분)의 존재로 식별할 수 있다.[48]
물딱정벌레아목은 대부분 포식성 딱정벌레의 약 10개 과를 포함하며, 딱정벌레과, 물방개과 및 물맴이과를 포함한다. 이러한 곤충의 고환은 관상이고 첫 번째 배판(외부 골격의 판)은 뒷다리 기절부(딱정벌레 다리의 기저 관절)에 의해 나뉜다.[49]
원시딱정벌레아목은 주로 목재를 먹는 딱정벌레의 4개 과를 포함하며, 그물날개과와 전봇대딱정벌레를 포함한다.[50] 원시딱정벌레아목은 뒷다리의 기저 마디 또는 기절부 앞에 metatrochantin이라는 노출된 판을 가지고 있다.[61] 점균딱정벌레아목은 주로 매우 작은 4개 과에 속하는 약 65종의 기재된 종을 포함하며, 물속딱정벌레과와 ''Sphaerius'' 속을 포함한다.[51] 점균딱정벌레아목 딱정벌레는 작고 대부분 조류를 먹는다. 그들의 구기는 갈래가 없고 왼쪽 아랫턱에 움직일 수 있는 이빨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52]
딱정벌레의 형태, 특히 딱지날개의 소유는 오랫동안 딱정벌레목이 단계통군임을 시사했지만, 그 아목 즉, 물딱정벌레아목, 원시딱정벌레아목, 점균딱정벌레아목 및 다식아목의 배열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다.[53][32][54][55][56] 비틀린 날개 기생충인 꼬마파리목은 페름기 초기에 딱정벌레로부터 갈라져 나온 딱정벌레의 자매군으로 여겨진다.[55][57][58][59]
분자 계통 분석은 딱정벌레목이 단계통군임을 확인한다. Duane McKenna 외 (2015)는 183개의 딱정벌레목 과 중 172개 과의 367종에 대해 8개의 핵 유전자를 사용했다. 그들은 물딱정정벌레아목을 2개의 분지인 Hydradephaga와 Geadephaga로 나누고, Cucujoidea를 3개의 분지로 나누고, Lymexyloidea를 Tenebrionoidea에 배치했다. 다식아목은 트라이아스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현존하는 딱정벌레 과는 백악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59]
아래의 분기도는 McKenna (2015)를 기반으로 하며,[59] 각 그룹(주로 상과)의 종 수는 괄호 안에 표시되고 10,000종이 넘으면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다.[60] 가능한 경우 영어 일반 명칭이 표시된다. 주요 그룹의 기원 날짜는 백만 년 전(mya)으로 기울임꼴로 표시된다.[60]
딱정벌레목의 계통 분류 (McKenna (2015) 기준) | |
---|---|
딱정벌레목 2억 8500만 년 전 | {{clade |
그 외에도 많은 과가 인정되고 있으며, 주요 과는 다음과 같다.
상과 | 과 | 주요 종 | ||||
---|---|---|---|---|---|---|
긴넓적딱정벌레상과 (Cupedoidea) | 딱정벌레류 (에조넓적배딱정벌레, 애기뿔소똥구리 등), 날개딱정벌레류 (큰날개딱정벌레, 파란날개딱정벌레, 유럽큰턱날개딱정벌레, 큰턱날개딱정벌레, 큰둥근날개딱정벌레 등), 작은날개딱정벌레아과 (눈먼작은날개딱정벌레 등), 긴날개딱정벌레류 (요코하마긴날개딱정벌레, 자이언트납작날개딱정벌레 등), 호랑이딱정벌레 등 | |||||
긴수염딱정벌레과 Paussidae | 오목날개딱정벌레 | |||||
박각시과 Scaritidae | 박각시, 큰박각시, 작은박각시 등 | |||||
날개딱정벌레과 Harpalidae | ||||||
가는목날개딱정벌레과 Brachinidae | 폭탄먼지벌레 등 | |||||
강변날개딱정벌레과 Paussidae | ||||||
rowspan="3" | | 작은물방개과 Haliplidae | |||||
물방개과 Noteridae | ||||||
물방개과 Dytiscidae | 물방개속 (물방개, 작은물방개 등), 가짜물방개속 (날카로운가짜물방개, 왕가짜물방개 등), 줄물방개, 애물방개, 둥근물방개, 야샤물방개 등 | |||||
물맴이과 Gyrinidae | 물맴이 | |||||
작은딱정벌레상과 Microsporioidea | 작은딱정벌레과 Torridincolidae | |||||
물방개상과 Hydrophiloidea | 물방개과 Hydrophilidae | 물방개 , 꼬마물방개 등 | ||||
호소가무시과 Hydrochidae | ||||||
세스지가무시과 Helophoridae | ||||||
말드로무시과 Georissidae | ||||||
애기뿔소똥구리상과 Histeroidea | 애기뿔소똥구리과 Histeridae | 애기뿔소똥구리 등 | ||||
엔마무시모도키과 Synteliidae | ||||||
엔마무시다마시과 Sphaeritidae | ||||||
딱정벌레상과 Staphylinoidea | 시데무시과 Silphidae | 검정시데무시 , 납작시데무시 등 | ||||
딱정벌레과 Staphylinidae | 애알락수염하늘소 등 | |||||
꼬마딱정벌레과 Scydmaenidae | 무궁화꼬마딱정벌레 | |||||
버섯벌레과 Leiodidae | 붉은무늬버섯벌레 | |||||
무궁화버섯벌레과 Ptiliidae | ||||||
다마가무시과 Hydraenidae | ||||||
풍뎅이상과 Scarabaeoidea | 사슴벌레과 Lucanidae | 넓적사슴벌레 , 톱사슴벌레 , 애사슴벌레 , 톱사슴벌레 등 다수 | ||||
호소마구소쿠와가타과 Diphyllostomatidae | ||||||
소똥구리과 Geotrupidae | 소똥구리(분충) | |||||
코브스지코가네과 Trogidae | ||||||
풍뎅이과 Scarabaeidae | 풍뎅이 , 수염풍뎅이 , 애녹색풍뎅이 , 왕소똥구리(분충) , 장수풍뎅이 , 쇠똥구리 , 꽃무지 , 보라금풍뎅이 등 다수 | |||||
검정풍뎅이과 Passalidae | 뿔검정풍뎅이 등 | |||||
말토게무시상과 Byrrhoidea | 말토게무시과 Byrrhoidae | 다엔말토게무시 | ||||
사슴벌레상과 Buprestoidea | 사슴벌레과 Buprestidae | 사슴벌레 , 애사슴벌레 등 다수 | ||||
반딧불이상과 Elateroidea | 반딧불이과 Elateridae | 빗살반딧불이 , 얼룩반딧불이 , 녹색반딧불이 등 다수 | ||||
물땡땡이상과 Dryopoidea | ||||||
반딧불이상과 Cantharoidea | 브라키프세크트라과 Brachypsectridae | |||||
반딧불이과 Cantharidae | 반딧불이 | |||||
크네오글로스스과 Cneoglossidae | ||||||
드릴리스과 Drilidae | ||||||
호마리스스과 Homalisidae | ||||||
반딧불이과 Lampyridae | 개똥벌레 , 늦반딧불이 , 애반딧불이 , 운문산반딧불이 등 | |||||
붉은반딧불이 등 | ||||||
거저리상과 Dermestoidea | 거저리과 Dermestidae | 갈색거저리 등 | ||||
마키무시모도키과 Derodontidae | ||||||
히메토게무시과 Nosodendridae | ||||||
긴나무좀상과 Bostrychoidea | 긴나무좀과 Bostrychidae | |||||
나무좀과 Anobiidae | 나무좀 | |||||
옷좀과 Ptinidae | ||||||
나무좀상과 Lymexyloidea | 나무좀과 Lymexylonidae | |||||
총채벌레상과 Cleroidea | 콕누스토과 Trogossitidae | |||||
총채벌레과 Cleridae | 개미총채벌레 | |||||
개미붙이과 Melyridae | 이소조우카이모도키 | |||||
넓적딱정벌레상과 Cucujoidea | 꽃등애거북이딱정벌레 | 네점대거북이딱정벌레 | 네점케시키수이무시 등 | 타이쇼오오키노코무시 | 무당벌레 , 칠성무당벌레 , 이십팔점무당벌레 등 | |
거저리상과 Tenebrionoidea | 거저리과 Tenebrionidae | 거저리 , 긴나무좀 등 | ||||
잎벌레붙이과 Lagriidae | 푸른잎벌레붙이 등 | |||||
쿠비나가무시과 Cephaloidae | ||||||
반날개과 Meloidae | 반날개 , 콩반날개 , 파란반날개 , 스페인반날개 등 | |||||
꽃하늘소붙이과 Oedemeridae | 복숭아꽃하늘소붙이 | |||||
히라타나가쿠치키과 Synchroidae | ||||||
호소키카와무시과 Mycteridae | ||||||
츠야키카와무시과 Boridae | ||||||
치비키카와무시과 Salpingidae | ||||||
빨간날개과 Pyrochroidae | ||||||
검정꽃하늘소붙이 | ||||||
잎벌레상과 Chrysomeloidea | 하늘소과 Cerambycidae | 흰줄하늘소 , 검정하늘소 , 산꽃하늘소 , 꽃하늘소류 , 꽃하늘소류 등 다수 | ||||
콩바구미과 Bruchidae | 팥바구미 , 완두콩바구미 등 | |||||
잎벌레과 Chrysomelidae | 호두잎벌레 , 박주가리잎벌레 , 징가사잎벌레 등 | |||||
바구미상과 Curculionoidea | 긴수염바구미과 Anthribidae | 버섯긴수염바구미 등 | ||||
호소쿠치조우무시과 Apionidae | ||||||
잎말이바구미과 Attelabidae | 잎말이바구미 , 검정잎말이바구미 , 복숭아혹바구미 등 | |||||
미츠기리조우무시과 Brenthidae | 개미바구미 등 | |||||
바구미과 Curculionidae | 밤바구미 , 참나무바구미 등 | |||||
코끼리바구미과 Rhynchophoridae | 쌀바구미 , 큰코끼리바구미 , 야시오오오사조우무시 등 | |||||
나무좀 등 | ||||||
물맴이상과 Scirtoidea | 물맴이과 Helodidae | |||||
물맴이붙이과 Eucinetidae | ||||||
버섯벌레붙이과 Clambidae | ||||||
긴꽃하늘소붙이상과 Artematopodoidea | 긴꽃하늘소붙이과 Artematopodoidae | |||||
긴수염하늘소상과 Dascilloidea | 빗살수염하늘소과 Rhipiceridae |
6. 외부 형태
딱정벌레는 일반적으로 특히 단단한 외골격과 비행에 사용할 수 없는 단단한 앞날개(딱지날개)를 특징으로 한다.[61] 거의 모든 딱정벌레는 수평면에서 움직이는 큰턱을 가지고 있다. 입틀은 흡입형이 드물지만, 때로는 퇴화되기도 한다.[61] 턱수염은 항상 더듬이를 지닌다. 더듬이는 보통 11개 이하의 마디를 가지지만, 긴수염붙이과(긴수염 딱정벌레)나 개미붙이과(매미 기생 딱정벌레)와 같은 일부 그룹에서는 예외이다.[61] 다리의 밑마디는 보통 밑마디오목 안에 위치한다. 생식기 구조는 현존하는 모든 딱정벌레에서 마지막 배마디로 밀려 들어간다.[61] 딱정벌레 유충은 종종 다른 완전변태류 그룹의 유충과 혼동될 수 있다.[61] 딱정벌레의 외골격은 얇은 봉합선으로 분리된 수많은 판, 즉 딱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계는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방어력을 제공한다.[61] 딱정벌레의 일반적인 해부학은 매우 균일하지만, 특정 기관과 부속지의 모양과 기능은 목의 많은 과들 사이에서 크게 다르다. 다른 모든 곤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의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8] 종이 너무 많기 때문에 동정이 매우 어렵고, 더듬이의 모양, 발목식(앞다리, 가운데다리, 뒷다리의 발목마디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5-5-4와 같이 표기한다.), 다리에 있는 작은 마디의 모양, 입틀 및 배쪽 판(배판, 측판, 밑마디)과 같은 속성에 의존한다. 많은 종에서 정확한 동정은 고유한 수컷 생식기 구조를 검사해야만 가능하다.[62]
머리는 앞으로 돌출되거나 때로는 아래로 향하는 구기(口器)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매우 단단하게 경화되어 있고 때로는 매우 크다.[7] 눈은 겹눈이며, 수생 소용돌이딱정벌레( 물맴이과 )의 경우처럼 물 위와 아래를 모두 볼 수 있도록 나뉘어져 있어 놀라운 적응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일부 긴수염붙이과 딱정벌레와 바구미, 그리고 일부 반딧불이( 반딧불이과 )[63]는 눈이 나뉘어져 있고, 많은 종은 눈이 패여 있으며, 일부는 홑눈, 머리 뒤쪽( 정수리 )에 있는 작고 단순한 눈을 가지고 있다.[64] 이것은 유충에서 성충보다 더 흔하다.[64] 겹눈의 해부학적 구조는 변형될 수 있으며, 종이 주로 박명성(crepuscular)인지, 주행성(diurnal)인지, 야행성(nocturnal)인지에 따라 달라진다.[65] 홑눈은 성충 카펫딱정벌레( 거저리과 에서 중앙에 하나의 홑눈으로 발견됨), 일부 딱정벌레류( 애기먼지벌레아과 ), 그리고 Derodontidae에서 발견된다.[64]
딱정벌레의 더듬이는 주로 감각 인식 기관이며, 움직임, 냄새 및 화학 물질을 감지할 수 있지만,[66] 딱정벌레의 환경을 물리적으로 느끼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딱정벌레 과(family)는 더듬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랑이딱정벌레는 빠르게 움직일 때 잘 볼 수 없으므로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더듬이를 앞으로 뻣뻣하게 잡고 있다.[67] 특정 긴수염붙이과는 균형을 잡는 데 더듬이를 사용하고, 물집딱정벌레는 잡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수생 딱정벌레는 더듬이를 사용하여 공기를 모아 물속에 잠긴 동안 몸 아래로 통과시킨다. 마찬가지로, 일부 과는 짝짓기 중에 더듬이를 사용하고, 일부 종은 방어에 사용한다. 긴수염붙이과의 ''Onychocerus albitarsis''에서는 더듬이에 독을 주입하는 구조가 있어 방어에 사용되는데, 이는 절지동물 중에서 독특하다.[68] 더듬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만, 특정 과 내에서는 종종 유사하다. 더듬이는 곤봉 모양, 실 모양, 굽은 모양, 염주 모양, 빗 모양(한쪽 또는 양쪽 모두, 이중 빗 모양), 또는 톱니 모양일 수 있다. 더듬이의 물리적 변이는 많은 딱정벌레 그룹의 식별에 중요하다. 바구미과는 굽은 또는 굴절된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깃털 모양의 부채꼴 더듬이는 리피케리다에과와 다른 몇몇 과에서 발견되는 제한된 형태이다. 썩덩벌레과는 끝에 구형 머리를 가진 두상(capitate)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풍뎅이상과는 일반적으로 판상(lamellate) 더듬이를 가지고 있으며, 말단 마디는 함께 쌓여 있는 긴 평평한 구조로 확장된다. 딱정벌레과는 일반적으로 실 모양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더듬이는 눈과 큰턱 사이에서 나오며, Tenebrionidae에서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겹눈의 윤곽을 끊는 노치 앞에서 더듬이가 나온다. 더듬이는 분절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1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 부분은 자루마디라고 하고 두 번째 부분은 이마마디라고 한다. 다른 분절은 공동으로 채찍마디라고 한다.[64][69][70]
딱정벌레는 구기가 메뚜기와 같다. 큰턱은 일부 딱정벌레의 앞쪽에 큰 집게발처럼 나타난다. 큰턱은 한 쌍의 단단하고 종종 이빨 모양의 구조물로, 음식이나 적을 잡거나, 부수거나, 자르기 위해 수평으로 움직인다. 두 쌍의 손가락 모양의 부속지인 상악 촉수와 하악 촉수가 대부분의 딱정벌레의 입 주변에 있으며, 음식을 입으로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종에서 큰턱은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수컷의 큰턱은 같은 종의 암컷보다 엄청나게 커진다.[7]
흉부는 두 부분, 앞가슴(prothorax)과 가운뎃가슴·뒷가슴(pterothorax)으로 구분된다. 가운뎃가슴·뒷가슴(pterothorax)은 다른 곤충 종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앞가슴(prothorax)과는 유연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래에서 보면 흉부는 세 쌍의 다리와 두 쌍의 날개가 모두 나오는 부분이다. 배는 흉부 뒤쪽의 모든 부분이다.[8] 위에서 보면 대부분의 딱정벌레는 세 부분으로 명확하게 나뉘어 보이지만 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딱정벌레의 윗면에서 중간 부분은 등판(pronotum)이라고 하는 단단한 판으로, 흉부의 앞부분만 해당된다. 흉부의 뒷부분은 딱정벌레의 날개에 가려져 있다.
성충은 큐티클로 형성된 견고한 외골격이 발달되어 있어 “딱정벌레”라는 이름이 있다. 앞날개가 굳어져 “딱지날개”라는 기관이 된 것이 특징이며, 얇고 큰 뒷날개와 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7. 내부 구조 및 생리
딱정벌레의 신경계는 곤충에서 발견되는 모든 유형을 포함하며, 종에 따라 다양하다. 세 개의 흉부 신경절과 7~8개의 복부 신경절을 구분할 수 있는 것부터, 모든 흉부 및 복부 신경절이 융합되어 복합 구조를 형성하는 것까지 다양하다.[8]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는 산소를 얻기 위해 공기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기관계를 통해 내뿜는다. 공기는 기문을 통해 몸으로 들어가고, 기관과 기관소관의 체강 내에서 순환하며, 기체가 확산될 수 있는 벽을 통해 기체가 확산된다.[8] 물방개과(Dytiscidae)와 같은 잠수 딱정벌레는 잠수할 때 공기 방울을 가지고 다니는데, 이 방울은 물리적 아가미 역할을 하여 산소 교환을 돕는다.[79]
다른 곤충들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는 혈액이 아닌 혈림프를 기반으로 한 개방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분절된 관 모양의 심장이 체강의 등쪽 벽에 부착되어 있다. 심장에는 길이에 따라 쌍을 이룬 유입구(오스티아)가 있으며, 혈림프를 체강의 주요 공간에서 순환시켜 머리의 전방 공간으로 내보낸다.[81]
서로 다른 샘은 짝을 유인하기 위한 서로 다른 페로몬에 특화되어 있다. 반딧불이과는 생물발광을 통해 빛을 생성하여 짝을 유인한다.[8] 고막기관 또는 청각 기관은 두 과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은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8]
7. 1. 소화계
딱정벌레의 다리는 절지동물의 다리와 유사하게 여러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부분에는 2~5개의 작은 마디인 발목마디(tarsi)로 끝난다. 다른 많은 곤충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는 각 다리의 마지막 발목마디 끝에 보통 한 쌍의 발톱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딱정벌레는 다리를 걷는 데 사용하지만, 다리는 다양한 용도로 적응되었다. 물속에 사는 딱정벌레인 물장군과(Dytiscidae), 물방개과(Haliplidae), 그리고 많은 종류의 물땡땡이과(Hydrophilidae) 딱정벌레는 다리, 특히 뒷다리가 종종 긴 털이 여러 줄로 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헤엄치는 데 사용된다. 수컷 물장군과는 암컷을 잡는 데 사용하는 흡착판을 앞다리에 가지고 있다.[71] 풍뎅이류, 딱정벌레류, 썩덩나무과(Histeridae) 딱정벌레류는 넓고 종종 가시가 있는 땅파는 다리를 가지고 있어 파는 데 사용한다. 잎벌레(Chrysomelidae과)와 벼룩바구미(Curculionidae과)와 같은 일부 딱정벌레의 뒷다리는 넓적다리(femur)가 커서 뛰는 데 도움이 된다.[72]7. 2. 신경계
딱정벌레의 신경계는 곤충에서 발견되는 모든 유형을 포함하며, 종에 따라 다양하다. 세 개의 흉부 신경절과 7~8개의 복부 신경절을 구분할 수 있는 것부터, 모든 흉부 및 복부 신경절이 융합되어 복합 구조를 형성하는 것까지 다양하다.[8]7. 3. 호흡계
복부(배)는 가운데가슴(metathorax) 뒤에 있는 부분으로, 일련의 고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고리에는 호흡을 위한 구멍인 기문(spiracle)이 있다. 복부는 등판(tergum), 측판(pleura), 복판(sternum)의 세 가지 다른 분절된 딱딱한 부분(sclerite)으로 구성된다. 거의 모든 종에서 등판은 막질(membranous)이거나, 보통 부드럽고 비행 중이 아닐 때는 날개와 딱지날개(elytra)에 가려져 있다. 측판은 대부분 작거나 일부 종에서는 숨겨져 있으며, 각 측판에는 기문이 하나씩 있다. 복판은 복부에서 가장 넓게 보이는 부분으로, 다소 딱딱해진(sclerotized) 마디이다. 복부 자체에는 부속지가 없지만, 일부 종(예: 명주딱정벌레과)에는 움직일 수 있는 복판 엽(sternal lobes)이 있다.[78]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는 산소를 얻기 위해 공기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기관계를 통해 내뿜는다. 공기는 기문을 통해 몸으로 들어가고, 기관과 기관소관의 체강 내에서 순환하며, 기체가 확산될 수 있는 벽을 통해 기체가 확산된다.[8]
물방개과와 같은 잠수 딱정벌레는 잠수할 때 공기 방울을 가지고 다닌다. 이러한 방울은 딱지날개 아래 또는 특수한 소수성 털에 의해 몸에 붙어 있을 수 있다. 이 방울은 적어도 일부 기문을 덮어 공기가 기관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8] 방울의 기능은 단순히 공기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뿐만 아니라 물리적 아가미 역할도 한다. 포획된 공기는 산소가 풍부한 물과 접촉하므로, 동물의 소비가 방울 속의 산소를 고갈시키면 더 많은 산소가 확산되어 보충될 수 있다.[79] 이산화탄소는 산소나 질소보다 물에 더 잘 녹으므로, 안으로 들어오는 것보다 밖으로 더 빨리 확산된다. 질소는 방울에서 가장 풍부하고 용해도가 가장 낮은 기체이므로, 방울의 비교적 정적인 구성 요소를 구성하고 호흡 기체가 축적되고 통과하는 안정적인 매개체 역할을 한다. 표면으로 가끔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딱정벌레는 방울의 구성을 재확립하기에 충분하다.[80]
7. 4. 순환계
다른 곤충들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는 혈액이 아닌 혈림프를 기반으로 한 개방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분절된 관 모양의 심장이 체강의 등쪽 벽에 부착되어 있다. 심장에는 길이에 따라 쌍을 이룬 유입구 또는 오스티아(ostia)가 있으며, 혈림프를 체강의 주요 공간에서 순환시켜 머리의 전방 공간으로 내보낸다.[81]7. 5. 특수 기관
딱정벌레목의 소화계는 주로 초식성 식단에 적응되어 있다. 소화는 대부분 앞쪽 중장에서 일어나지만, 카라비드과와 같은 포식성 무리에서는 대부분의 소화가 중장 효소를 통해 작물에서 일어난다. 반딧불이과의 유충은 액체를 먹는 유충으로, 효소를 분비하여 체외 소화를 한다.[8] 소화관은 기본적으로 짧고 좁은 인두, 넓어진 확장 부분인 소낭, 그리고 발달이 미흡한 근위로 구성된다. 이어서 종에 따라 크기가 다양한 중장이 있으며, 많은 맹장과 길이가 다양한 후장이 있다. 일반적으로 4~6개의 말피기씨관이 있다.[7]서로 다른 샘은 짝을 유인하기 위한 서로 다른 페로몬에 특화되어 있다. rutelininae(루텔리나아과) 종의 페로몬은 복부 끝 마디의 안쪽 표면을 따라 있는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며, Melolonthinae(멜롤론티나아과)의 아미노산 기반 페로몬은 복부 끝에 있는 뒤집을 수 있는 샘에서 생성된다. 다른 종들은 다른 유형의 페로몬을 생성한다. Dermestidae(털날개과)는 에스터를 생성하고, Elateridae(딱정벌레과) 종은 지방산 유래 알데하이드와 아세테이트를 생성한다.[8] 짝을 유인하기 위해 반딧불이(Lampyridae(반딧불이과))는 반사성 요산 결정으로 뒷받침된 투명한 표면을 가진 변형된 지방체 세포를 사용하여 생물발광에 의해 빛을 생성한다. 빛 생성은 매우 효율적이며, 루시페린의 산화는 아데노신 삼인산(ATP)과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효소(루시퍼라제)에 의해 촉매되어 옥시루시페린, 이산화탄소 및 빛을 생성한다.[8]
고막기관 또는 청각 기관은 공기 주머니와 관련 감각 뉴런으로 뒷받침되는 틀에 걸쳐 뻗어 있는 막(고막)으로 구성되며, 두 과에서 발견된다.[82] ''Cicindela(호랑이딱정벌레속)''(딱정벌레과) 속의 여러 종은 날개 아래 첫 번째 복부 마디의 등쪽 표면에 청각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Dynastinae(왕풍뎅이아과)(풍뎅이과 내)의 두 부족은 앞가슴등판 보호막이나 목 막 바로 아래에 청각 기관을 가지고 있다. 두 과 모두 초음파에 민감하며, 박쥐의 초음파 반향 위치 탐지에 의한 박쥐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8]
8. 생식 및 발달
딱정벌레는 상목 홀로메타볼라에 속하며, 대부분 완전 변태를 거친다. 딱정벌레의 전형적인 변태 과정은 알, 애벌레, 번데기, 그리고 성충(imago)의 네 단계를 거친다.[83] 애벌레는 보통 굼벵이라고 부르고, 번데기는 때때로 번데기집이라고 부른다. 어떤 종에서는 번데기가 마지막 령의 애벌레가 만든 고치 속에 들어 있을 수 있다. 멜로이과와 리피포리과에 속하는 일부 딱정벌레는 더 나아가 첫 번째 령이 삼각충의 형태를 띠는 과변태를 거친다.[84]
일부 딱정벌레는 복잡한 교미 행동을 보인다. 페로몬 의사소통은 종종 짝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에 따라 서로 다른 페로몬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흰점박이꽃무지과(Scarab beetles) 딱정벌레 중 금풍뎅이아과(Rutelinae)는 지방산 합성에서 유래한 페로몬을 사용하고, 다른 종들은 유기 화합물에서 유래한 페로몬을 사용하는 반면, 검정풍뎅이아과(Melolonthinae)와 같은 다른 풍뎅이들은 아미노산과 테르페노이드를 사용한다. 반딧불이(Lampyridae)는 생물발광(bioluminescent) 기관을 복부에 가지고 있어 짝을 찾는데 사용하며, 수컷과 암컷은 교미 전에 비행 패턴, 지속 시간, 구성 및 생성되는 빛의 강도 등 독특한 조합을 통해 복잡한 대화를 나눈다.[8]
교미 전 수컷과 암컷은 스트리듈레이션(stridulate)을 하거나, 자신이 있는 물체를 진동시킬 수 있다. 멜로이과(Meloidae)의 경우, 수컷은 암컷의 등쪽에 올라타서 더듬이로 암컷의 머리, 더듬이, 그리고 아랫입술수염을 쓰다듬는다. ''Eupompha''에서 수컷은 더듬이를 자신의 세로 정수리(longitudinal vertex)를 따라 움직인다. 만약 교미 전 의례(precopulatory ritual)를 수행하지 않으면 전혀 교미하지 않을 수 있다.[8] 이러한 교미 행동은 같은 종의 분산된 개체군 간에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러시아(Russia) 개체군의 개똥쑥잎벌레(tansy beetle, ''Chrysolina graminis'')의 교미는 수컷이 더듬이로 암컷의 눈, 앞가슴등판, 그리고 더듬이를 두드리는 정교한 의례로 시작되지만, 영국(United Kingdom) 개체군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85]
수컷 엉겅퀴 거북이딱정벌레(thistle tortoise beetle)의 교미 기관(intromittent organ)은 가늘고 굽은 편모(flagellum)라고 불리는 긴 관 모양의 구조이다. 사용하지 않을 때 편모는 수컷의 배(abdomen) 안에 보관되며 필요할 때 수컷보다 더 길게 뻗어 나올 수 있다. 교미하는 동안 이 기관은 암컷의 복잡한 형태의 생식 기관에 구부러지는데, 여기에는 수컷이 기관으로 관통해야 하는 나선형 관이 포함된다. 엉겅퀴 거북이딱정벌레의 이러한 물리적 특성은 얇고 유연한 구조가 굽힘이나 파열 없이 단단해지는 능력이 기계적으로 어려우며 현대 의학에서 미세 카테터(catheter)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연구되어 왔다.[86]
생물학적 경쟁(Competition)은 송장벌레(burying beetle, ''Nicrophorus'')와 같이 어떤 벌레가 교미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싸우는 종의 교미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수컷 딱정벌레는 세력권(Territory)을 가지고 있으며 침입하는 수컷으로부터 자신의 세력권을 맹렬하게 방어한다. 이러한 종의 수컷은 종종 머리나 가슴에 뿔이 있어 암컷보다 몸길이가 더 길다. 교미는 일반적으로 빠르지만, 어떤 경우에는 수 시간 동안 지속된다. 교미하는 동안 정자(Spermatozoon)가 암컷에게 전달되어 알을 수정(fertilize)한다.[7]
거의 모든 딱정벌레는 알을 낳지만, 일부 개미와 공생하는 알락좀붙이족(Aleocharinae)과 고산 지대나 아북극 지방에 서식하는 일부 잎벌레아과(Chrysomelinae)는 난태생으로, 거의 즉시 부화하는 알을 낳는다.[83] 딱정벌레 알은 일반적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럽지만, 구멍딱정벌레과(Cupedidae)는 단단한 알을 갖는다. 알의 크기와 모양은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여러 번의 유충 기간(유충 단계)을 거치는 종이나 많은 수의 알을 낳는 종에서는 알이 작은 경향이 있다. 암컷은 일생 동안 수십 개에서 수천 개의 알을 낳는데, 이는 부모의 보살핌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잎 아래에 알을 낳는 단순한 행위부터, 풍뎅이과(scarab beetles)처럼 새끼를 보호하고 먹이를 제공하는 보살핌까지 다양하다. 잎말이벌레과(Attelabidae)는 잎을 말아서 그 안에 알을 낳아 보호한다.[8][87]
딱정벌레목의 유충(larva)은 보통 딱정벌레 생활사(Biological life cycle)에서 주된 섭식 단계이다. 유충은 알에서 부화하자마자 탐욕스럽게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 특정 잎벌레처럼 식물의 외부에서 먹이를 먹는 유충이 있는 반면, 대부분의 옥색보석벌레과(Buprestidae)와 하늘소과 딱정벌레처럼 먹이원의 내부에서 먹이를 먹는 유충도 있다. 많은 딱정벌레과의 유충은 성충과 마찬가지로 포식성을 띤다(예: 딱정벌레과, 무당벌레과, 개미붙이과). 유충기의 기간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수년에 달할 수도 있다. 바구미류 유충은 굶주렸을 때 발달이 역전되는 정도를 겪고, 나중에 이전에 도달했던 성숙도 수준으로 다시 자란다. 이러한 주기는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생물학적 불멸성 참조).[88] 유충의 형태는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잘 발달되고 굳어진 머리, 구분되는 가슴과 배 마디(보통 10번째 마디이지만 때로는 8번째 또는 9번째 마디일 수도 있다)를 가지고 있다.[7]
딱정벌레 유충은 굳어지고 종종 어두운 머리, 씹는 구기의 존재, 그리고 몸통 옆면을 따라 있는 기문(Spiracle (arthropods))의 존재로 다른 곤충 유충과 구별할 수 있다. 성충 딱정벌레와 마찬가지로 유충의 외형은 다양하며, 특히 딱정벌레과 사이에서 다양하다. 다소 편평하고 매우 움직임이 활발한 유충을 가진 딱정벌레에는 딱정벌레과와 개미붙이과가 포함되며, 이들의 유충은 캠포데이폼(campodeiform)으로 설명된다. 일부 딱정벌레 유충은 어두운 머리 캡슐과 작은 다리를 가진 굳어진 벌레와 유사하다. 이들은 엘라테리폼(elateriform) 유충이며, 반딧불이과(Elateridae)와 거저리과(Tenebrionidae)에서 발견된다. 반딧불이과의 일부 엘라테리폼 유충은 철사벌레(wireworms)로 알려져 있다. 풍뎅이상과의 딱정벌레는 짧고 두꺼운 유충을 가지고 있으며, 풍뎅이형(scarabaeiform)으로 묘사되며, 일반적으로 굼벵이로 알려져 있다.[89]
모든 딱정벌레 유충은 여러 번의 탈피(instar)를 거치는데, 이는 각 탈피(ecdysis) 사이의 발달 단계이다. 많은 종에서 유충은 더 많은 먹이를 섭취함에 따라 각 연령기에 크기만 증가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기생성 생활 방식을 보이는 특정 딱정벌레과 또는 속에서, 첫 번째 연령기(플라니디움(planidium))는 숙주를 찾기 위해 매우 이동성이 높은 반면, 다음 연령기는 더 정착성이 있으며 숙주 위나 안에 남아 있다. 이것은 과변태(hypermetamorphosis)로 알려져 있으며, 멜로이데과(Meloidae), 마이크로말티데과(Micromalthidae) 및 리피포리데과(Ripiphoridae)에서 발생한다.[90] 예를 들어, 딱정벌레류인 ''Epicauta vittata''(Meloidae)는 세 가지의 뚜렷한 유충 단계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계인 삼각형(triungulin)은 메뚜기의 알을 찾기 위해 다리가 더 길다. 1주일 동안 먹이를 먹은 후 두 번째 단계인 카라보이드(caraboid) 단계로 탈피하는데, 이는 딱정벌레과 딱정벌레 유충과 유사하다. 또 다른 1주일 후 탈피하여 풍뎅이과 유충의 모양인 풍뎅이형(scarabaeidoid) 단계가 된다. 마지막 유충 단계는 전용기 또는 코아르케이트(coarcate) 유충으로, 월동하고 다음 봄까지 번데기가 된다.[91]
유충기의 기간은 매우 다양하다. 균류를 먹는 딱정벌레류인 ''Phanerota fasciata''는 실온에서 3.2일 만에 세 번의 탈피를 하는 반면, ''Anisotoma'' sp. (Leiodidae)는 점균류의 자실체에서 2일 만에 유충 단계를 완료하며 아마도 가장 빠르게 자라는 딱정벌레일 것이다. 딱정벌레류인 ''Trogoderma inclusum''은 불리한 조건 하에서 유충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탈피 사이에 크기가 줄어들기도 한다. 한 유충이 밀폐된 용기에서 3.5년 동안 생존했다는 보고가 있다.[8]
모든 완전변태곤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 유충은 번데기가 되고, 이 번데기에서 완전히 성장한 성적으로 성숙한 성충 딱정벌레 또는 용(imago)가 나온다. 번데기는 절대 턱이 없다(무악식(adecticous)). 대부분의 번데기에서 부속지는 몸에 붙어 있지 않으며, 유리형(exarate)이라고 한다. 일부 딱정벌레(Staphylinidae, Ptiliidae 등)에서는 부속지가 몸과 융합되어 있다(의접형(obtect) 번데기).[7]
성충의 수명은 종에 따라 수주에서 수년까지 매우 다양하다.[7][61] 일부 나무를 파먹는 딱정벌레는 매우 긴 생활주기를 가질 수 있다. 딱정벌레 유충이 가구나 집의 목재에 감염된 경우, 목재는 처음 절단되었을 때 이미 유충을 포함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40년 된 자작나무 책장에서 ''Eburia quadrigeminata'' (하늘소과(Cerambycidae)) 성충이 나왔고, ''Buprestis aurulenta'' 및 다른 Buprestidae는 목제품 제조 후 최대 51년 만에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92]
9. 행동
대부분의 곤충처럼 딱정벌레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기관계로 배출한다. 공기는 기문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 기관과 기관소관을 순환하며, 기체 교환이 일어나는 벽을 통해 확산된다.[8]
물방개과(Dytiscidae) 같은 잠수성 딱정벌레는 물속에서 공기 방울을 지니고 다닌다. 이 방울은 딱지날개 아래나 특수한 소수성 털에 의해 몸에 붙어 있으며, 일부 기문을 덮어 공기가 기관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8] 방울은 단순한 공기 저장소가 아니라 물리적 아가미 역할도 한다. 산소가 풍부한 물과 접촉한 방울 속 산소는 소비되면서 확산을 통해 보충된다.[79] 이산화탄소는 산소나 질소보다 물에 잘 녹아 방울 밖으로 빠르게 확산된다. 질소는 방울에서 가장 많고 용해도가 낮아 방울의 안정적인 구성 요소이자 호흡 기체가 축적되고 통과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딱정벌레는 가끔 수면으로 올라와 방울의 구성을 재확립한다.[80]
딱정벌레는 혈액 대신 혈림프를 기반으로 하는 개방 순환계를 가진다. 체강 등쪽 벽에 부착된 분절된 관 모양의 심장은 길이에 따라 쌍을 이룬 유입구(오스티아)를 가지며, 혈림프를 체강 주요 공간에서 순환시켜 머리 앞쪽 공간으로 보낸다.[81]
9. 1. 이동
딱정벌레의 딱지날개는 비행과 좁은 공간을 이동하는 것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비행하지 않을 때는 얇은 날개를 딱지날개 아래로 접고, 이륙 직전에 날개를 펼치는 방식이다. 날개의 펼침과 접힘은 날개 기부에 붙어 있는 근육에 의해 작동된다. 방사상맥과 척골의 장력이 유지되는 한 날개는 곧게 유지된다.[8] 일부 딱정벌레 종(많은 꽃무지붙이과(Cetoniinae); 일부 풍뎅이과(Scarabaeinae), 바구미과(Curculionidae) 및 보석풍뎅이과(Buprestidae))는 딱지날개를 닫고, 후흉부 날개를 딱지날개의 측면 가장자리 아래로 펼친 채 비행한다.[93]
딱정벌레의 비행 고도는 다양하다. 무당벌레 종인 칠성무당벌레(Coccinella septempunctata)와 칠성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비행 고도를 레이더를 이용하여 조사한 한 연구에 따르면, 특정 위치 상공을 비행하는 대부분의 개체는 지상 150~195m에 있었지만, 일부는 1100m가 넘는 고도에 도달했다.[94]
많은 딱정벌레류는 딱지날개가 매우 작게 퇴화되어 있고 비행 능력이 있지만, 대부분은 지상에서 이동한다. 부드러운 몸체와 강력한 복근은 몸의 유연성을 높여 작은 틈새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한다.[95]
수서 딱정벌레는 수면 아래에서 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한다. 물속딱정벌레과(Dytiscidae)는 잠수할 때 배와 딱지날개 사이에 공기를 저장한다. 물맴이과(Hydrophilidae)는 몸의 아랫면에 털이 있어 몸에 공기층을 유지한다. 성충인 딱정벌레류는 딱지날개와 뒷다리의 기절](뒷다리의 기부 마디)]를 모두 사용하여 공기를 유지하는 반면,
9. 2. 의사소통
딱정벌레는 페로몬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솔잎혹파리는 다른 딱정벌레를 나무로 유인하기 위해 페로몬을 방출한다. 많은 수의 딱정벌레들이 나무의 화학적 방어 체계를 압도할 수 있다. 나무의 방어력이 고갈되면 딱정벌레는 집합 억제 페로몬을 방출한다. 이 종은 의사소통을 위해 소리를 냄[97] 하지만 다른 종들은 공격받을 때 방어하기 위해 소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98]서로 다른 종은 짝을 유인하기 위한 서로 다른 페로몬에 특화되어 있다. Rutelininae(루텔리나아과) 종의 페로몬은 복부 끝 마디의 안쪽 표면을 따라 있는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며, Melolonthinae(멜롤론티나아과)의 아미노산 기반 페로몬은 복부 끝에 있는 뒤집을 수 있는 샘에서 생성된다. 다른 종들은 다른 유형의 페로몬을 생성한다. Dermestidae(털날개과)는 에스터를 생성하고, Elateridae(딱정벌레과) 종은 지방산 유래 알데하이드와 아세테이트를 생성한다.[8] 짝을 유인하기 위해 반딧불이(Lampyridae(반딧불이과))는 반사성 요산 결정으로 뒷받침된 투명한 표면을 가진 변형된 지방체 세포를 사용하여 생물발광에 의해 빛을 생성한다. 빛 생성은 매우 효율적이며, 루시페린의 산화는 아데노신 삼인산(ATP)과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효소(루시퍼라제)에 의해 촉매되어 옥시루시페린, 이산화탄소 및 빛을 생성한다.[8]
고막기관 또는 청각 기관은 공기 주머니와 관련 감각 뉴런으로 뒷받침되는 틀에 걸쳐 뻗어 있는 막(고막)으로 구성되며, 두 과에서 발견된다.[82] ''Cicindela(호랑이딱정벌레속)''(딱정벌레과) 속의 여러 종은 날개 아래 첫 번째 복부 마디의 등쪽 표면에 청각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Dynastinae(왕풍뎅이아과)(풍뎅이과 내)의 두 부족은 앞가슴등판 보호막이나 목 막 바로 아래에 청각 기관을 가지고 있다. 두 과 모두 초음파에 민감하며, 박쥐의 초음파 반향 위치 탐지에 의한 박쥐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8]
9. 3. 부모의 보살핌
몇몇 딱정벌레과[99]에서는 부모의 보살핌이 발견되는데, 이는 불리한 환경 조건과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8] 좀딱정벌레류인 ''Bledius spectabilis''는 염습지에 서식하므로, 알과 유충은 상승하는 조수로 인해 위험에 처한다. 어미 딱정벌레는 알과 유충을 순찰하며, 범람과 질식을 막기 위해 굴을 파고, 포식성 딱정벌레인 ''Dicheirotrichus gustavii''와 유충의 약 15%를 죽이는 기생성 말벌 ''Barycnemis blediator''로부터 보호한다.[100]송장벌레는 세심한 부모이며, 자식의 협력적인 보살핌과 먹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다. 부모 모두 새끼를 위한 먹이 자원으로 작은 동물 사체를 묻고 그 주위에 번식실을 만든다. 부모는 사체를 준비하고 경쟁자와 조기 부패로부터 보호한다. 알이 부화한 후 부모는 유충을 곰팡이와 박테리아로부터 깨끗하게 유지하고, 유충에게 먹이를 토해내어 먹이를 주는 데 도움을 준다.[101]

일부 쇠똥구리는 부모의 보살핌을 제공하며, 초식동물의 배설물을 모아 그 안에 알을 낳는데, 이는 대량 조달의 한 예이다. 일부 종은 이 단계 이후에도 남아서 새끼를 보호한다.[102]
대부분의 딱정벌레 종은 알을 낳은 후에는 부모의 보살핌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103]
암컷이 새끼를 보호하는 아사회성은 잎벌레과의 두 과인 혹잎벌레아과와 잎벌레아과에서 잘 기록되어 있다.[104][105][106][107][108]
9. 4. 사회성
일부 딱정벌레는 복잡한 교미 행동을 보인다. 흰점박이꽃무지과 딱정벌레는 지방산 합성을 통해 페로몬을 사용하고, 검정풍뎅이과는 아미노산과 테르페노이드를 사용한다. 반딧불이는 생물발광 기관을 이용해 짝을 찾으며, 종마다 독특한 빛의 패턴을 보인다.[8]수컷과 암컷은 교미 전 특정 행동을 보이는데, 멜로이과(Meloidae) 수컷은 암컷을 더듬이로 쓰다듬고, ''Eupompha'' 수컷은 더듬이를 자신의 세로 정수리를 따라 움직인다.[8] 개똥쑥잎벌레의 경우, 러시아 개체군은 정교한 교미 의례를 보이지만, 영국 개체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85] 수컷 엉겅퀴 거북이딱정벌레의 교미 기관은 길고 굽은 관 모양이며, 현대 의학의 미세 카테터 개발에 영감을 줄 수 있다.[86]
송장벌레와 같이 일부 종은 교미 상대를 결정하기 위해 경쟁한다. 많은 수컷 딱정벌레는 세력권을 가지며, 뿔을 이용해 경쟁자를 물리친다. 교미는 보통 빠르지만, 때로는 수 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교미 중 정자가 암컷에게 전달되어 알을 수정시킨다.[7]
사회성은 협동적인 자손 양육, 세대 중첩, 생식 및 비생식 집단의 분화를 포함한다.[109] 딱정벌레목 중에서는 나무좀붙이과의 ''Austroplatypus incompertus''만이 이러한 사회성을 보인다.[110] 이 오스트레일리아 종은 유칼립투스 나무에 터널을 파고 서식하며, 암브로시아좀을 퍼뜨린다. 암컷 자손은 터널에 남아 균류 성장을 돕고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111][110] 둥글납작딱정벌레과(Passalidae) 딱정벌레는 유충이 성체의 반소화된 배설물을 먹는 협동적 자손 양육을 한다.[112]
9. 5. 섭식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나무와 나무껍질에서 꽃, 잎, 뿌리 근처의 지하, 심지어 식물 내부의 벌레혹, 죽거나 부패하는 식물 조직을 포함한 모든 식물 조직에서 발견된다.[18]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다양하고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하며,[19] 여기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그리고 풍뎅이과가 포함된다.[22]딱정벌레는 다양한 서식지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먹이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는 잡식성으로 식물과 동물 모두를 먹는다. 다른 딱정벌레는 먹이에 있어 매우 특수화되어 있다. 많은 종류의 잎벌레, 하늘소, 바구미는 숙주 특이성이 매우 높아 단 한 종류의 식물만을 먹는다. 땅벌레와 개미붙이과(Staphylinidae) 딱정벌레 등은 주로 육식성이며 다른 많은 절지동물과 지렁이, 달팽이와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 먹는다. 대부분의 포식성 딱정벌레는 일반적인 포식자이지만, 몇몇 종은 더 특정한 먹이 요구 사항이나 선호도를 가지고 있다.[113] 일부 종에서는 소화 능력이 공생 관계에 있는 균류에 의존한다. 일부 딱정벌레는 내장에 효모를 가지고 있으며, 이전에는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일부 효모도 포함된다.[114]
부패하는 유기물은 많은 종의 주요 먹이이다. 이것은 배설물(특정 딱정벌레과인 Scarabaeidae의 일부 배설물 딱정벌레와 같이 배설물을 먹는 종)부터 죽은 동물(예: 송장벌레과인 Silphidae)까지 다양하다. 배설물과 송장에서 발견되는 일부 딱정벌레는 사실 포식성이다. 여기에는 Histeridae와 Silphidae의 구성원이 포함되며, 배설물을 먹는 곤충과 송장을 먹는 곤충의 유충을 먹이로 삼는다.[115] 많은 딱정벌레는 나무껍질 아래에서 먹이를 먹고, 일부는 나무를 먹고, 다른 일부는 나무나 낙엽 위에서 자라는 균류를 먹습니다. 일부 딱정벌레는 균류 포자를 운반하기 위한 특수한 균낭 구조를 가지고 있다.[116]

10. 생태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며, 나무와 나무껍질, 꽃, 잎, 뿌리 근처의 지하, 심지어 식물 내부의 벌레혹이나 죽거나 썩어가는 식물 조직 등 모든 식물 조직에서 서식한다.[18] 특히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풍뎅이과[22] 등 다양하고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한다.
딱정벌레목은 곤충 중에서 가장 큰 목으로, 현재까지 기록된 모든 곤충 종의 약 40%, 모든 동물 종의 약 25%를 차지하는 약 40만 종이 알려져 있다.[1][7][8][9][10][11] 2015년 연구에서는 딱정벌레 종의 총 개체수에 대한 네 가지 추정치를 제시했는데, 평균 약 150만 종이며, 최소 90만 종에서 최대 210만 종에 이르는 범위를 나타낸다.[12] 하지만 딱정벌레가 가장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 것에 대해서는 이의가 제기되기도 한다.[15][16][17]
J. B. S. 할데인은 어떤 신학자들이 그의 창조물에서 그리스도교의 하나님의 마음에 대해 무엇을 추론할 수 있는지 질문했을 때, "딱정벌레에 대한 지나친 애정"이라고 말했다고 한다.[14]
가장 무거운 딱정벌레이자 가장 무거운 곤충 유충은 골리앗풍뎅이(*Goliathus goliatus*)의 유충으로, 무게가 최소 115g이고 길이는 11.5cm에 달할 수 있다. 성체 수컷 골리앗풍뎅이는 성체 단계에서 가장 무거운 딱정벌레로, 무게가 70g에서 100g 사이이며 크기는 최대 11cm이다.[23] 가장 긴 딱정벌레는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Dynastes hercules*)로, 매우 긴 앞가슴등판 뿔을 포함하여 최대 길이가 16.7cm 이상이다. (2015년 기준) 가장 작은 딱정벌레이자 가장 작은 자유생활 곤충은 깃털날개딱정벌레(*Scydosella musawasensis*)로, 길이가 325μm에 불과하다.[25]
딱정벌레는 상목 홀로메타볼라에 속하며, 대부분 완전 변태를 거친다. 전형적인 변태 과정은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네 단계를 거친다.[83] 애벌레는 보통 굼벵이라고 부르고, 번데기는 때때로 번데기집이라고 부른다. 멜로이과와 리피포리과의 일부 딱정벌레는 과변태를 거치기도 한다.[84]
일부 딱정벌레는 복잡한 교미 행동을 보인다. 페로몬 의사소통은 짝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에 따라 서로 다른 페로몬을 사용한다. 반딧불이는 생물발광을 이용해 짝을 찾기도 한다.[8] 교미 전 수컷과 암컷은 서로의 몸을 진동시키거나 더듬이로 쓰다듬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8] 개똥쑥잎벌레의 경우, 러시아 개체군은 정교한 교미 의례를 보이는 반면, 영국 개체군은 그렇지 않다.[85]
생물학적 경쟁은 어떤 딱정벌레가 교미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싸우는 종의 교미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수컷 딱정벌레는 세력권을 가지고 자신의 영역을 방어하며, 뿔을 이용해 싸우기도 한다. 교미는 일반적으로 빠르지만, 어떤 경우에는 수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7]
거의 모든 딱정벌레는 알을 낳지만, 일부는 난태생으로 거의 즉시 부화하는 알을 낳는다.[83] 암컷은 일생 동안 수십 개에서 수천 개의 알을 낳는데, 이는 부모의 보살핌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잎말이벌레과는 잎을 말아서 그 안에 알을 낳아 보호한다.[8][87]
딱정벌레목의 유충은 보통 딱정벌레 생활사의 주된 섭식 단계이다. 유충은 알에서 부화하자마자 탐욕스럽게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 어떤 유충들은 식물의 외부에서, 다른 유충들은 먹이원의 내부에서 먹이를 먹는다. 많은 딱정벌레과의 유충은 성충과 마찬가지로 포식성을 띤다. 유충기의 기간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수년에 달할 수도 있다. 바구미류 유충은 굶주렸을 때 발달이 역전되는 경우도 있다.[88] 딱정벌레 유충은 다른 곤충 유충과 굳어지고 종종 어두운 머리, 씹는 구기의 존재, 그리고 몸통 옆면을 따라 있는 기문의 존재로 구별할 수 있다.[89]
모든 딱정벌레 유충은 여러 번의 탈피를 거친다. 많은 종에서 유충은 더 많은 먹이를 섭취함에 따라 각 연령기에 크기만 증가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기생성 생활 방식을 보이는 특정 딱정벌레과 또는 속에서, 첫 번째 연령기는 숙주를 찾기 위해 매우 이동성이 높은 반면, 다음 연령기는 더 정착성이 있다.[90]
모든 완전변태곤충과 마찬가지로, 딱정벌레 유충은 번데기가 되고, 이 번데기에서 완전히 성장한 성충이 나온다. 번데기는 절대 턱이 없다.[7] 성충의 수명은 종에 따라 수주에서 수년까지 매우 다양하다.[7][61] 일부 나무를 파먹는 딱정벌레는 매우 긴 생활주기를 가질 수 있다. 딱정벌레 유충이 가구나 집의 목재에 감염된 경우, 목재는 처음 절단되었을 때 이미 유충을 포함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92]
많은 딱정벌레 종들이 연례적인 대규모 이동을 한다. 여기에는 꽃등에붙이[147]와 많은 종류의 무당벌레류가 포함된다.[148] 이러한 대규모 이동은 계절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먹이를 찾는 기회주의적인 것일 수도 있다.
10. 1. 포식자 방어
딱정벌레류는 성충과 유충 모두 박쥐, 설치류, 조류, 도마뱀, 양서류, 어류, 잠자리, 폭군파리, 납작머리노린재과 곤충, 개미, 다른 딱정벌레류, 거미 등 많은 동물 포식자들의 먹이가 된다.[117][118] 딱정벌레류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피식자 방어 기작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시각으로 사냥하는 포식자에 대한 보호색과 의태, 독성, 방어 행동이 포함된다.보호색은 딱정벌레목에서 흔하고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나무나 식물을 먹는 잎벌레과(Chrysomelidae, 종종 녹색을 띤다)와 바구미과와 같은 딱정벌레에서 흔하다. 일부 종에서는 조각이나 다양한 색깔의 비늘이나 털 때문에 아보카도 바구미 ''Heilipus apiatus'' 와 같이 새의 배설물이나 다른 먹을 수 없는 물체와 비슷하게 보인다.[117] 모래 환경에 사는 많은 딱정벌레들은 그 기질의 색깔과 조화를 이룬다.[119]

일부 긴수염사슴벌레류는 말벌의 효과적인 베이츠 의태를 보인다. 딱정벌레는 이미 유사한 말벌처럼 행동하는 행동 의태와 함께 색채를 결합할 수 있다. 무당벌레, 거품딱정벌레류, 반딧불이류 등 많은 다른 딱정벌레들은 불쾌하거나 유독한 물질을 분비하여 먹이가 되지 않도록 하거나 독성을 갖도록 하며, 종종 밝거나 대조적인 색채로 포식자를 경계하는 경계색을 나타낸다. 많은 딱정벌레와 다른 곤충들은 이러한 화학적으로 보호되는 종들을 모방한다.[120]


화학적 방어는 일부 종에서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밝은 경계색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다색딱정벌레류는 포식자를 경고하기 위해 유독한 화학 물질을 방출하는 자세를 취한다. 화학적 방어는 척추동물로부터의 보호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미생물로부터의 보호와 같은 다른 목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일부 종은 먹이가 되는 식물에서 화학 물질을 흡수하여 자신의 방어에 통합한다.[119]
다른 종들은 억제 화학 물질을 생성하는 특수한 샘을 가지고 있다. 딱정벌레과 딱정벌레의 방어샘은 다양한 탄화수소, 알데히드, 페놀, 퀴논, 에스터 및 산을 배출하며, 이는 복부 끝의 개구부에서 방출된다. 아프리카 딱정벌레과 딱정벌레(예: ''Anthia속'')는 개미와 같은 화학 물질인 개미산을 사용한다.[120] 폭탄딱정벌레는 7번째와 8번째 복부 마디 사이의 체절막 측면에서 비워지는 잘 발달된 항문샘을 가지고 있다. 샘은 하이드로퀴논과 과산화수소를 위한 하나의 저장실과 과산화수소와 카탈라제 효소를 위한 다른 저장실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이 혼합되면 약 100°C의 온도에 도달하는 폭발적인 분출이 발생하며, 하이드로퀴논이 수소, 산소 및 퀴논으로 분해된다. 산소는 유독한 화학 스프레이를 포식자에게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 제트로 추진한다.[8]
땅에 서식하는 큰 딱정벌레류, 예를 들어 딱정벌레과, 코뿔소 딱정벌레 및 긴수염붙이과 딱정벌레는 강력한 턱이나 단단한 딱지(경화된) 가시 또는 뿔을 이용하여 포식자를 막거나 싸웁니다.[119] 잎을 먹는 많은 종류의 바구미과 딱정벌레는 공격을 받으면 떨어지는 반사 작용을 한다. 어떤 종은 이것과 의사행동을 결합하여 부속지를 오므리고 "죽은 척" 한다.[121] 반날개과 딱정벌레는 앞가슴판의 굵은 가시와 중가슴판의 일치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클릭 메커니즘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위험에서 순간적으로 튕겨 나갈 수 있다.[117] 어떤 종은 스트리듈레이션이라고 알려진 과정을 통해 소리를 내어 공격자를 놀라게 한다.[98]
10. 2. 기생
딱정벌레목의 일부 종은 포유류의 외부 기생충이다. 그중 하나인 ''Platypsyllus castoris''는 비버에 기생한다. 이 딱정벌레는 유충과 성충 모두 기생충으로서 표피 조직, 피부 분비물, 상처 삼출물을 먹고 산다. 비버의 털 사이를 미끄러지듯 이동하기 위해 배면복면으로 납작하며, 날개와 눈이 없다.[122] 작은 벌집 딱정벌레(''Aethina tumida'')는 꿀벌집에 기생하는 탁취기생충이다.[123] 많은 종들이 개미집의 기생성 세입자 또는 개미집 공생생물이다.[124] 일부 딱정벌레 무리는 다른 곤충의 일차적인 기생벌류로서, 숙주를 먹고 결국 죽인다.[125]10. 3. 수분
딱정벌레가 수분하는 꽃들은 일반적으로 크고, 녹색 또는 흰색에 가까운 색이며, 향이 강하다. 향은 매콤하거나 과일 향이 나거나 썩는 유기물과 비슷할 수 있다. 딱정벌레는 꽃을 수분하는 최초의 곤충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126] 대부분 딱정벌레가 수분하는 꽃은 편평하거나 접시 모양이며, 꽃가루에 접근하기 쉽지만, 딱정벌레를 더 오래 붙잡아두기 위한 포획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식물의 씨방은 일반적으로 수분 매개체의 씹는 구기로부터 잘 보호된다. 꽃을 습관적으로 수분하는 딱정벌레과는 Buprestidae과, Cantharidae과, Cerambycidae과, Cleridae과, Dermestidae과, Lycidae과, Melyridae과, Mordellidae과, Nitidulidae과 및 Scarabaeidae과이다.[127] 딱정벌레는 남아프리카의 반건조 지역과 캘리포니아주 남부[128] 및 남아프리카 콰줄루-나탈의 산악 초원[129]과 같이 세계 일부 지역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10. 4. 상리공생
상리공생은 암브로시아좀벌레처럼 균류와 협력하여 죽은 나무의 목재를 소화하는 일부 딱정벌레에서 잘 알려져 있다.[130] 딱정벌레는 죽은 나무에 터널을 파고 그 안에서 균류 정원을 재배하는데, 이것이 딱정벌레의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다. 적합한 나무에 착륙한 후, 암브로시아좀벌레는 터널을 파고 그 안에 균류 공생생물의 포자를 방출한다. 균류는 식물의 물관부 조직에 침투하여 소화하고, 영양분을 딱정벌레 터널의 표면과 그 근처에 집중시키므로, 딱정벌레와 균류 모두 이익을 얻는다. 딱정벌레는 나무에 들어있는 독소 때문에 나무를 직접 먹을 수 없으며, 균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기주 나무의 방어 체계를 극복하고 유충에게 영양분을 공급한다.[130]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다불포화 과산화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매개되는[131] 딱정벌레와 균류 사이의 이러한 상리공생 관계는 공진화된 것이다.[130][132]2: 유충은 균류를 먹는데, 균류는 나무를 소화시켜 독소를 제거하며, 서로에게 이익이 된다.
3: 유충이 번데기가 된다.
10. 5. 극한 환경에 대한 내성
딱정벌레 종의 약 90%는 성충 휴면 단계에 진입하는데, 이는 불리한 환경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신진대사가 감소된 정지 단계이다. 성충 휴면은 딱정벌레목에서 가장 흔한 휴면 형태이다. 종종 수개월 지속되는 먹이 없이 이 기간을 견디기 위해 성충은 지질, 글리코겐, 단백질 및 미래의 위험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에 필요한 다른 물질을 축적하여 준비한다. 이 휴면은 불리한 계절의 도래를 알리는 신호에 의해 유도되며, 일반적으로 그 신호는 광주기적이다. 짧아지는(감소하는) 일장은 겨울이 다가옴을 알리는 신호 역할을 하며 겨울 휴면(동면)을 유도한다.[133] 북극 딱정벌레 ''Pterostichus brevicornis''의 동면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성충의 체지방 수치는 가을에 소화관이 음식으로 가득 차 있을 때 가장 높았지만 1월 말에는 비어 있었다. 이 체지방의 감소는 탈수와 함께 일어나는 점진적인 과정이었다.[134]모든 곤충은 변온동물이므로,[135] 몇몇 딱정벌레가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능력은 매우 높거나 낮은 온도에 대한 저항력에 달려 있다. 나무좀 ''Pityogenes chalcographus''는 나무껍질 아래에서 월동하는 동안 -39°C를 견딜 수 있다.[136] 알래스카 딱정벌레 ''Cucujus clavipes puniceus''는 -58°C를 견딜 수 있으며, 유충은 -100°C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137] 이러한 저온에서 내부 체액에 얼음 결정이 형성되는 것이 딱정벌레 생존에 가장 큰 위협이지만, 물 분자가 서로 뭉치는 것을 막는 항동결 단백질의 생성을 통해 이를 방지한다. ''Cucujus clavipes''가 경험하는 저온은 항동결 단백질과 함께 의도적인 탈수를 통해 생존할 수 있다. 이것은 항동결제를 여러 배 농축시킨다.[138] 밀웜 딱정벌레 ''Tenebrio molitor''의 혈림프에는 여러 항동결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139] 알래스카 딱정벌레 ''Upis ceramboides''는 -60°C를 견딜 수 있다. 그 동결방지제는 자일로만난(설탕이 지방산에 결합된 분자)[140]과 설탕알코올인 트레오톨이다.[141]
반대로, 사막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는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 예를 들어, Tenebrionidae과 딱정벌레 ''Onymacris rugatipennis''는 50°C를 견딜 수 있다.[142] 뜨겁고 모래가 많은 지역의 딱정벌레는 종종 흰색(예: ''Habroscelimorpha dorsalis'')으로 더 어두운 색보다 더 많은 열을 반사한다. 이러한 딱정벌레는 또한 열을 견딜 수 있도록 행동적 적응을 보이는데, 뜨거운 지면으로부터 몸을 들어올리기 위해 발목 위에 똑바로 설 수 있고, 그늘을 찾고, 태양을 향해 돌아서서 머리 앞부분만 직접 노출되도록 한다.[143]

나미브 사막의 안개벌레 ''Stenocara gracilipes''는 딱지날개에 친수성 돌기와 왁스로 덮인 소수성 홈이 결합된 질감의 표면이 있어 안개로부터 물을 모을 수 있다. 이 딱정벌레는 이른 아침 바람을 향해 배를 들고 서 있으며, 물방울이 딱지날개에 응결되어 능선을 따라 입 부분으로 흘러간다. ''Onymacris unguicularis''와 같이 다른 나미브 사막 딱정벌레에서도 유사한 적응이 발견된다.[144]
해안선과 범람원 서식지를 이용하는 일부 육상 딱정벌레는 홍수를 극복하기 위한 생리적 적응을 가지고 있다. 홍수 발생 시, 성충 딱정벌레는 홍수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을 만큼 이동성이 있지만, 유충과 번데기는 종종 그렇지 못하다. ''Cicindela togata''의 성충은 물에 잠기면 생존할 수 없지만, 유충은 홍수 중 최대 6일까지 무산소증을 견딜 수 있다. 유충의 무산소증 내성은 무산소성 대사 경로로 전환하거나 대사율을 낮춤으로써 유지되었을 수 있다.[145] 성충 딱정벌레 ''Pelophilia borealis''의 무산소증 내성은 실험실 조건에서 실험되었으며, 0°C에서 99.9% 질소 분위기에서 최대 127일 동안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6]
10. 6. 이동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나무와 나무껍질에서 꽃, 잎, 뿌리 근처의 지하, 심지어 식물 내부의 벌레혹, 죽거나 부패하는 식물 조직을 포함한 모든 식물 조직에서 발견된다.[18]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풍뎅이과를 포함한 다양하고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한다.[19][22]11. 인간과의 관계
딱정벌레는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기도 하지만,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이 되기도 하고,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생물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예술 및 장식 재료, 오락, 기술 개발의 영감,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과 관계를 맺는다.
- 해충: 딱정벌레목의 약 75%는 유충과 성충 모두 식물을 먹는다. 나무, 곡물, 담배, 말린 과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과 저장된 식물성 제품을 먹는 종이 많다.[7] 목화솜벌레처럼 목화 꽃봉오리와 꽃을 먹는 일부 종은 농업에 매우 심각한 피해를 준다.
- 익충: 일부 무당벌레과 무당벌레는 해충인 진딧물을 잡아먹어 인간에게 이로움을 준다.
- 식용 및 약용: 딱정벌레목은 가장 널리 섭취되는 곤충으로, 약 344종이 식용으로 이용되며, 보통 유충 단계에서 먹는다.[183] 갈색거저리 애벌레와 장수풍뎅이가 대표적이다.[184]
- 생물 다양성 지표: 서식지 특이성 때문에 많은 딱정벌레 종들이 지표종으로 적합하며, 이들의 존재, 개체 수, 부재는 서식지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 예술 및 장식: 많은 딱정벌레는 내구성이 뛰어난 딱지날개를 가지고 있어 예술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는데, 딱정벌레 날개가 가장 좋은 예이다.[190]
- 오락: 싸움벌레는 오락과 도박에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물방개과의 ''Cybister tripunctatus''가 룰렛과 같은 게임에 사용된다.[194]
- 애완동물: 물방개과의 물방개처럼 일부 딱정벌레는 민물 수족관에서 애완동물로 기르기도 한다.[195]
- 수집: 빅토리아 시대에는 딱정벌레 수집이 매우 인기 있었다.[199]
- 기술 개발: 몇몇 딱정벌레목 곤충의 적응 방식은 생체 모방 분야에서 상업적 응용 가능성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 보존: 딱정벌레목은 세계 생물다양성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므로 보존이 중요하며, 서식지와 생물다양성 손실은 딱정벌레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11. 1. 고대 문화
여러 종의 쇠똥구리, 특히 신성한 풍뎅이(''Scarabaeus sacer'')는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받았다.[150][151] 풍뎅이의 상형 문자 이미지는 실존적, 허구적 또는 존재론적 의미를 가졌을 수 있다.[152] 뼈, 상아, 돌, 이집트 파이앙스, 그리고 귀금속으로 만들어진 풍뎅이 이미지는 제6왕조부터 로마 지배 시대까지 알려져 있다. 풍뎅이는 고대 이집트의 장례 의식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153] 풍뎅이는 해가 뜨는 것을 관장하는 신 케프리와 관련이 있었는데, 풍뎅이가 똥 경단을 구르는 모습이 신이 태양을 구르는 모습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한다.[150] 고대 이집트의 이웃 국가들 중 일부는 다양한 종류의 인장에 풍뎅이 모티브를 채택했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유다의 LMLK 인장으로, 21개 디자인 중 8개에 풍뎅이가 포함되어 있으며, 히즈키야 통치 기간 동안 저장 항아리에 표시를 남기는 데 전적으로 사용되었다.[154] 플루타르코스의 1세기 저서 ''도덕론''에서도 고대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풍뎅이가 태양의 상징으로 언급된다.[155] 기원전 2세기부터 5세기까지의 그리스 마법 파피루스에는 풍뎅이가 주술의 재료로 묘사되어 있다.[156]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자연사''에서 딱정벌레에 대해 논하며,[157] 사슴벌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일부 곤충은 날개를 보호하기 위해 딱지날개로 덮여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딱정벌레의 날개는 특히 섬세하고 약합니다. 이러한 곤충에게는 자연에 의해 독침이 주어지지 않았지만, 한 종류의 큰 딱정벌레에서는 끝이 두 갈래로 된 특별히 긴 뿔이 있으며, 이는 동물이 물려고 할 때 닫히는 집게입니다."[158][159] 사슴벌레는 니칸데르의 그리스 신화에 기록되어 있으며,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가 케람부스가 딱정벌레로 변하는 이야기를 회상한다. "그것은 나무줄기에 보이고, 갈고리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턱을 계속 움직인다. 검고 길며 큰 쇠똥구리와 같은 단단한 날개를 가지고 있다".[160] 이 이야기는 딱정벌레가 어린 소년들의 장난감으로 사용되었고, 머리가 제거되어 펜던트로 착용되었다는 설명으로 끝맺는다.[64][161]
11. 2. 해충
딱정벌레목 종의 약 75%는 유충과 성충 단계 모두에서 식식성(phytophagous)이다. 많은 종이 나무, 곡물, 담배, 건조 과일을 포함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과 저장된 식물성 제품을 먹는다.[7] 목화솜벌레처럼 목화 꽃봉오리와 꽃을 먹는 일부 종은 농업에 매우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목화솜벌레는 1892년경 멕시코에서 미국 텍사스주 브라운즈빌 근처 리오그란데 강을 건너 미국으로 들어왔으며,[162] 1915년까지는 미국 남동부 알라바마에 도달했다. 1920년대 중반까지는 미국 내 모든 목화 재배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연간 약 64km~256km의 속도로 이동했다. 이 벌레는 북미에서 가장 파괴적인 목화 해충으로 남아 있다. 미시시피 주립대학교는 목화솜벌레가 미국에 들어온 이후 목화 생산자들에게 약 130억달러의 손실을 입혔고, 최근에는 연간 약 3억달러의 손실을 입히고 있다고 추산했다.[162]
소나무좀, 느릅나무잎벌레, 그리고 아시아 긴수염하늘소 (''Anoplophora glabripennis'')[163] 는 느릅나무를 공격하는 종들 중 일부이다. 소나무좀은 감염된 번식지에서 건강한 나무로 이동하면서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을 옮긴다. 이 병은 유럽과 북미 전역의 느릅나무에 큰 피해를 입혔다.[164]

일부 딱정벌레 종은 살충제에 대한 내성을 진화시켰다. 예를 들어, 콜로라도 감자잎벌레 (''Leptinotarsa decemlineata'')는 감자 식물을 파괴하는 해충이다. 이 벌레의 기주 식물에는 감자 외에도 가지과(Solanaceae)의 다른 식물들, 예를 들어 가지, 토마토, 피망 등이 포함된다. 서로 다른 개체군은 모든 주요 계열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켰다.[165] 콜로라도 감자잎벌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곤충전의 도구로 평가되었는데, 적국의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기 위해 이 벌레와 유충을 사용하려는 아이디어였다.[166] 독일은 프랑크푸르트 남쪽에서 콜로라도 감자잎벌레 무기화 프로그램을 테스트하여 5만 4천 마리의 벌레를 방출했다.[167]
죽은 나무좀(''Xestobium rufovillosum'')은 유럽의 오래된 목조 건물의 심각한 해충이다. 이 벌레는 참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경재를 공격하며, 항상 어떤 균류 부패가 발생했거나 발생하고 있는 곳을 공격한다. 건물에 해충이 실제로 유입되는 시점은 건설 시점으로 생각된다.[168]
기타 해충으로는 어린 잎, 묘목 및 성숙한 코코넛 나무를 먹고 필리핀에서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는 코코넛 히스파인 딱정벌레 (''Brontispa longissima'')가 있다.[169] 솔잎혹파리는 성숙하거나 약해진 잭소나무의 파괴적인 해충이며, 때로는 캐나다의 광대한 지역에 영향을 미친다.[170]
11. 3. 유익한 자원
딱정벌레는 해충 개체 수를 조절하여 인간 경제에 이로운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무당벌레과 무당벌레 종의 유충과 성충은 해충인 진딧물을 먹는다. 다른 무당벌레는 깍지벌레, 흰가루병, 밀깍지벌레를 먹는다.[171] 일반적인 먹이가 부족하면 작은 애벌레, 어린 매미충, 또는 꿀 이슬과 꽃꿀을 먹을 수 있다.[172] 땅강아지붙이과 땅강아지붙이는 파리 알, 애벌레, 철선충 등 많은 해충의 일반적인 포식자이다.[173] 땅강아지붙이는 토양 속에서 잡초의 씨앗을 먹어 잡초를 제거하여 작물 보호를 위한 제초제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74] 특정 식물 개체 수 감소에 있어 일부 종의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잡초 방제를 위해 딱정벌레를 의도적으로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Calligrapha'' 속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지만 인도에서는 ''Parthenium hysterophorus''를, 러시아에서는 ''Ambrosia artemisiifolia''를 방제하는 데 사용되었다.[175][176]
풍뎅이과 쇠똥구리는 ''Musca vetustissima''와 ''Haematobia exigua''와 같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소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인 귀찮은 파리의 개체 수를 줄이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77] 쇠똥구리는 똥을 빠르게 굴려 토양에 묻어 해충의 번식에 이용할 수 없게 만들고, 토양 비옥도, 토양 구조, 영양 순환을 개선하는 추가적인 효과도 있다.[178] 오스트레일리아 쇠똥구리 프로젝트 (1965~1985)는 하와이에서의 성공적인 시험을 거쳐 ''Musca vetustissima''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남아프리카와 유럽에서 오스트레일리아로 쇠똥구리 종을 도입했다.[64] 미국 생물학 과학 연구소는 ''Euoniticellus intermedius''와 같은 쇠똥구리가 지상에 있는 가축 배설물을 묻어 미국 축산업계에 연간 약 3.8억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고 보고한다.[179]
피부딱정벌레과(Dermestidae)는 뼈에서 연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박제 및 과학 표본 제작에 자주 사용된다.[180] 유충은 연골과 기타 연조직을 먹고 제거한다.[181][182]
11. 4. 식용 및 약용

딱정벌레목은 가장 널리 섭취되는 곤충으로, 약 344종이 식용으로 이용되며, 보통 유충 단계에서 먹는다.[183] 갈색거저리 애벌레(거저리과 애벌레)와 장수풍뎅이가 일반적으로 먹는 종류에 속한다.[184] 다양한 종류가 민간 요법에도 사용되어 여러 가지 질병과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러한 치료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임상 연구는 없다.[185]
11. 5. 생물 다양성 지표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나무와 나무껍질에서 꽃, 잎, 뿌리 근처의 지하, 심지 혹은 식물 내부의 벌레혹, 죽거나 부패하는 식물 조직을 포함한 모든 식물 조직에서 발견된다.[18]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그리고 풍뎅이과를 포함한 다양하고 많은 딱정벌레가 서식한다.[19][22]서식지 특이성으로 인해 많은 딱정벌레 종들이 지표종으로 적합하며, 그들의 존재, 개체 수 또는 부재는 서식지 질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호랑이딱정벌레과(Cicindelidae)와 같은 포식성 딱정벌레는 지역 생물다양성 패턴을 측정하는 지표 분류군으로 과학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분류학이 안정적이고, 생활사가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장 방문 시 관찰이 크고 간편하며, 전 세계 여러 서식지에 분포하고, 특정 서식지에 특화된 종들이 존재하고, 종에 따른 출현이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 모두 다른 종들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이다.[186] 인간이 변형한 서식지의 딱정벌레과, 사바나의 풍뎅이[187], 그리고 숲의 사프록실릭 딱정벌레[188] 등 다른 많은 그룹들이 잠재적인 지표종으로 제안되었다.[189]
11. 6. 예술 및 장식
많은 딱정벌레는 내구성이 뛰어난 딱지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예술 작품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는데, 딱정벌레 날개가 가장 좋은 예이다.[190] 때로는 종교적 의미를 지닌 의식용품에 통합되기도 한다. 딱정벌레 전체를 그대로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봉인하여 열쇠고리와 같은 값싼 기념품부터 고가의 미술 장신구까지 다양한 물건을 만든다. 멕시코 일부 지역에서는 ''Zopherus속(Zopherus)''에 속하는 딱정벌레에 의상 장신구와 금색 체인을 부착하여 살아있는 브로치로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매우 단단한 딱지날개와 정착성 습성 덕분에 가능하다.[191]

11. 7. 오락
싸움벌레는 오락과 도박에 사용된다. 이 스포츠는 특정 종의 큰 딱정벌레의 세력권 행동과 짝짓기 경쟁을 이용한다.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에서는 수컷 Xylotrupes속 코뿔소 딱정벌레를 야생에서 잡아 싸움을 위해 훈련시킨다. 암컷은 통나무 안에 넣어 페로몬으로 수컷의 싸움을 자극한다.[192] 이러한 싸움은 경쟁적일 수 있으며 돈과 재산을 걸고 도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193] 대한민국에서는 물방개과 종인 ''Cybister tripunctatus''가 룰렛과 같은 게임에 사용된다.[194]딱정벌레는 때때로 악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파푸아뉴기니의 오나바술루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후구''” 바구미 ''Rhynchophorus ferrugineus''를 살아있는 성충의 날개 진동에 대한 인간의 입을 가변적인 공명기로 사용하여 악기로 사용했다.[64]
11. 8. 애완동물
일부 딱정벌레 종은 애완동물로 기르는데, 예를 들어 물방개과(Dytiscidae)에 속하는 물방개는 집에서 민물 수족관에 기를 수 있다.[195]
일본에서는 뿔장수풍뎅이아과(Dynastinae)와 사슴벌레과(Lucanidae)에 속하는 곤충을 어린 남자아이들이 특히 좋아하여 기르는 것이 유행이다.[196] 일본에서의 인기는 1999년에 살아있는 딱정벌레를 최대 100마리까지 담을 수 있는 자판기가 개발될 정도이다.[197][198]
11. 9. 수집
딱정벌레 수집은 빅토리아 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다.[199]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1869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말레이 제도''에서 8년 동안 무려 83,200마리의 딱정벌레를 수집했으며, 그 중 2,000종은 과학계에 새로운 종이었다고 묘사했다.[200]11. 10. 기술 개발에 대한 영감
몇몇 딱정벌레목 곤충의 적응 전략은 상업적 응용 가능성을 가진 생체 모방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폭탄먼지벌레의 강력한 방어용 분무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적은 미세 분무 기술 개발에 영감을 주었다.[201] 나미브 사막에 서식하는 딱정벌레(''Stenocara gracilipes'')의 수분 흡수 행동은 정기적인 강우가 없는 건조 지역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자가 충전 물병 개발에 영감을 주었다.[202]살아있는 딱정벌레는 사이보그로 사용되어 왔다.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이 자금을 지원한 프로젝트에서는 ''Mecynorhina torquata'' 딱정벌레에 전극을 이식하여 등에 부착된 무선 수신기를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하여 감시 작업을 위한 개념 증명을 수행하였다.[203] 유사한 기술을 적용하여 사람 조작자가 ''Mecynorhina torquata''의 자유 비행 조종 및 보행 자세뿐만 아니라 ''Zophobas morio''의 등급 회전, 후진 보행 및 피드백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다.[204][205][206][207][208]
2020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딱정벌레를 위한 로봇 카메라 배낭을 만들고자 하였다. 248mg 무게의 소형 카메라가 Tenebrionid과의 ''Asbolus'' 및 ''Eleodes'' 딱정벌레에 부착되었다. 카메라는 최대 6시간 동안 60° 범위를 촬영하였다.[209][210]
11. 11. 보존
딱정벌레목은 곤충 중 가장 큰 목으로, 현재까지 기록된 모든 곤충 종의 약 40%, 모든 동물 종의 약 25%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다양하다.[1][7][8][9][10][11] 2015년 연구에서는 딱정벌레 종의 총 개체수를 90만에서 210만 종 사이로 추정했다.[12]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진화 생물학자 J. B. S. 할데인은 그리스도교의 하나님이 "딱정벌레에 대한 지나친 애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14]
딱정벌레는 담수와 해안 서식지를 포함한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되며, 식물 조직, 죽은 동식물 등 다양한 곳에서 서식한다.[18] 특히 열대 우림의 수관에는 딱정벌레과,[20] 잎벌레과,[21] 풍뎅이과[22] 등 다양한 딱정벌레가 서식한다.
딱정벌레목은 세계 생물다양성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므로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 서식지 파괴와 생물다양성 감소는 딱정벌레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많은 딱정벌레 종들은 특정 서식지에 의존하고 생활주기가 길어 취약하며, 일부 종은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해 있거나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211] 특히 섬에 서식하는 종들은 더욱 취약하다.[212]
보전주의자들은 사슴벌레[213]나 호랑이딱정벌레과와 같은 대표 종을 통해 딱정벌레에 대한 관심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늦반딧불이가 인기가 많으며, 남아프리카에서는 아도 코끼리 배설물 딱정벌레가 생태관광을 확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214]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in Coleoptera (Insecta)
2011
[2]
논문
How Many Species of Insects and Other Terrestrial Arthropods Are There on Earth?
2018-01-07
[3]
문서
Coleoptera
[4]
문서
Beetle
[5]
웹사이트
Beetl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2016-02-20
[6]
문서
Chafer
[7]
서적
Entom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1995-08
[8]
문서
McHugh (2009)
[9]
서적
Species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eetles Reveals the Evolutionary Origins of a Superradiation
[11]
서적
Global Biodiversity: Status of the Earth's Living Resources
https://wedocs.unep.[...]
Chapman & Hall
1992
[12]
논문
New approaches narrow global species estimates for beetles, insects, and terrestrial arthropods
2015
[13]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4
[14]
논문
Homage to Santa Rosalia or why are there so many kinds of animals?
[15]
논문
Counting animal species with DNA barcodes: Canadian insects
2016-09-05
[16]
논문
Remarkable fly (Diptera) diversity in a patch of Costa Rican cloud forest: Why inventory is a vital science
https://www.mapress.[...]
2018-03-27
[17]
논문
Quantifying the unquantifiable: why Hymenoptera, not Coleoptera, is the most speciose animal order
2018-07-12
[18]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4
[19]
서적
Flowering events and beetle diversity in Venezuel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0]
논문
Arboreal Beetles of Neotropical Forests:Agra ''Fabricius'', Larval Descriptions with Notes on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 (Coleoptera, Carabidae, Lebiini, Agrina)
[21]
논문
Polyphagy and florivory prevail in a leaf-beetle community (Coleoptera: Chrysomelidae) inhabiting the canopy of a tropical lowland rainforest in southern Venezuela
[22]
논문
Composition and Host-Use Patterns of a Scarab Beetle (Coleoptera: Scarabaeidae) Community Inhabiting the Canopy of a Lowland Tropical Rainforest in Southern Venezuela
https://digitalcommo[...]
[23]
웹사이트
Heaviest insect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7-02-01
[24]
웹사이트
Chapter 30 — Largest Insect
http://entnemdept.uf[...]
University of Florida
2001
[25]
논문
How small is the smallest? New record and remeasuring of Scydosella musawasensis Hall, 1999 (Coleoptera, Ptiliidae), the smallest known free-living insect
2015
[26]
논문
Evolution of the elytral venation and structural adaptations in the oldest Palaeozoic beetles (Insecta: Coleoptera: Tshekardocoleidae)
http://www.tandfonli[...]
2014-07-04
[27]
논문
Die Insektentaphozönose von Niedermoschel (Asselian, unt. Perm; Deutschland)
[28]
논문
On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supposed Permian beetles, Tshecardocoleidae, with a description of a new collection from Moravia
[29]
웹사이트
Phylogeny of the beetles
http://www.kerbtier.[...]
Kerbtier
2011-03-16
[30]
논문
A second specimen of ''Permocoleus'' (Coleoptera) from the Lower Permian Wellington Formation of Noble County, Oklahoma
http://fossilinsects[...]
[31]
논문
Early evolution of beetles regulated by the end-Permian deforestation
2021-11-08
[32]
문서
McHugh (2009)
[33]
논문
Insect 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http://129.123.92.20[...]
[34]
논문
Insect diversity in the fossil record
http://www.isez.pan.[...]
2011-03-16
[35]
논문
A new genus and two new species of fossil elaterids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Western Liaoning, China (Coleoptera: Elateridae)
http://202.204.209.2[...]
[36]
논문
Jurassic and Lower Cretaceous Buprestidae (Coleoptera) from Eurasia
http://www.zin.ru/An[...]
[37]
논문
Fossil insects from the Tithonian 'Solnhofener Plattenkalke' in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Vienna
http://www.landesmus[...]
[38]
논문
A new genus of elateriform beetles (Coleoptera, Polyphaga) from the Middle-Late Jurassic of Karatau
http://fossilinsects[...]
[39]
논문
New ommatids from the Late Jurassic of western Liaoning, China (Coleoptera: Archostemata)
http://fossilinsects[...]
[40]
논문
New beetles of the family Cupedidae from the Mesozoic of Mongolia. Ommatini, Mesocupedini, Priacmini
http://www.palaeoent[...]
[41]
논문
New Jewel Beetles (Coleoptera: Buprestidae) from the Cretaceous of Russia, Kazakhstan, and Mongolia
http://fossilinsects[...]
[42]
논문
Dinosaurs, dung beetles, and conifers; participants in a Cretaceous food web
[43]
논문
Did dinosaurs have any relation with dung-beetles? (The origin of coprophagy)
[44]
논문
Cretaceous beetles (Insecta: Coleoptera) in amber: the palaeoecology of this most diverse group of insects
https://academic.oup[...]
[45]
논문
The original colours of fossil beetles
[46]
논문
Late Cenozoic Fossil Coleoptera: Evolution, Biogeography, and Ecology
[47]
웹사이트
Polyphaga
http://tolweb.org/Po[...]
2016-02-27
[48]
서적
Handbook of Zoology, Band 4: Arthropoda, 2: Insecta, Coleoptera, Beetles. Volume 1: Morphology and Systematics (Archostemata, Adephaga, Myxophaga, Polyphaga partim)
[49]
서적
Handbook of Zoology, Band 4: Arthropoda, 2: Insecta, Coleoptera, Beetles. Volume 1: Morphology and Systematics (Archostemata, Adephaga, Myxophaga, Polyphaga partim)
[50]
웹사이트
Suborder Archostemata – Reticulated and Telephone-pole Beetles
http://bugguide.net/[...]
BugGuide
2017-01-26
[51]
논문
Sphaeriusidae (Coleoptera, Myxophaga): A new beetle family to the fauna of Serbia
http://scindeks.ceon[...]
[52]
서적
Handbook of Zoology. Volume 4. Part 38. Arthropoda. Morphology and Systematics (Archostemata, Adephaga, Myxophaga, Polyphaga partim)
Walter de Gruyter
[53]
논문
Phylogeny of the holometabolous insect orders: molecular evidence
[54]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suborders of Coleoptera (Insecta)
[55]
논문
Evolution of the hind wing in Coleoptera
[56]
논문
Monophyly of terrestrial adephagan beetles as indicated by three nuclear genes (Coleoptera: Carabidae and Trachypachidae)
[57]
웹사이트
Coleoptera. Beetle
http://tolweb.org/co[...]
tolweb.org
2011-03-18
[58]
논문
Genomic and Morphological Evidence Converge to Resolve the Enigma of Strepsiptera
[59]
논문
The beetle tree of life reveals that Coleoptera survived end-Permian mass extinction to diversify during the Cretaceous terrestrial revolution
[60]
논문
A Comprehensive Phylogeny of Beetles Reveals the Evolutionary Origins of a Superradiation
[61]
서적
Australian Beetles. Morphology, Classification and Keys
CSIRO
[6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Beetles (Coleoptera)
http://entnemdept.uf[...]
University of Florida
2017-03-15
[63]
논문
Sexual dimorphism in the compound eye of ''Rhagophthalmus ohbai'' (Coleoptera; Rhagophthalmidae): I.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64]
서적
A Guide to the Beetles of Australia
https://archive.org/[...]
CSIRO
[65]
논문
Morphological comparisons of compound eyes in Scarabaeoidea (Coleoptera) related to the beetles' daily activity maxima and phylogenetic positions
[66]
웹사이트
3. Antennae, Beetle morphology
http://www.kerbtier.[...]
Kerbtier.de (Beetle fauna of Germany)
2017-03-14
[67]
논문
Static antennae act as locomotory guides that compensate for visual motion blur in a diurnal, keen-eyed predator
[68]
논문
Convergent evolution in the antennae of a cerambycid beetle, ''Onychocerus albitarsis'', and the sting of a scorpion
[69]
웹사이트
Antennae Types
http://bugs.bio.usyd[...]
University of Sydney
2017-01-26
[70]
서적
American Beetles, Volume I: Archostemata, Myxophaga, Adephaga, Polyphaga: Staphyliniformia
CRC Press
[71]
논문
Male clasping ability, female polymorphism and sexual conflict: fine-scale elytral morphology as a sexually antagonistic adaptation in female diving beetles
2013-01-01
[72]
웹사이트
Flea beetles in home gardens
http://www.extension[...]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sion
2017-01-26
[73]
간행물
Leatherwing (Soldier) Beetles
http://pubs.ext.vt.e[...]
2017-03-14
[74]
웹사이트
Calopteron discrepans (Newman) (Insecta: Coleoptera: Lycidae)
http://entomology.if[...]
University of Florida
2017-03-15
[75]
서적
Insects, their structure and life
[76]
웹사이트
Elateriformia (Coleoptera): descriptions, illustrations,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for families and subfamilies
http://delta-intkey.[...]
2017-01-26
[77]
논문
Aantekeningen over Chrysomelidae in Nederland 5
2001-01-01
[78]
서적
American Beetles, Volume I: Archostemata, Myxophaga, Adephaga, Polyphaga: Staphyliniformia
https://books.google[...]
CRC Press
[79]
논문
Physical gills in diving insects and spiders: Theory and experiment
[80]
서적
Animal Physiology: Adaptation and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1-15
[81]
서적
Comprehensive Insect Physiology, Biochemistry and Pharmacology. Volume 3: Integument, Respiration and Circulation
Pergamom Press
1985-01-01
[82]
서적
The Lepidoptera: Form, function, and divers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A Book of Beetles
https://books.google[...]
Spring Books Science
[84]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Meloidae (Coleoptera) fauna of Turkey along with new record
https://www.research[...]
1998-01-01
[85]
논문
Mating behavior of the Chrysomelidae (Coleoptera)
1988-01-01
[86]
논문
Penetration mechanics of a beetle intromittent organ with bending stiffness gradient and a soft tip
2017-12-01
[87]
서적
The Biology of the Coleoptera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88]
논문
Reversed development and cellular ageing in an insect
[89]
웹사이트
Definition of 'Scarabaeiform'
https://www.amentsoc[...]
Amateur Entomologists' Society
2017-01-27
[90]
서적
Medical and Veterinary Entomology
Elsevier
2009-01-01
[91]
웹사이트
Hypermetamorphosis of Striped Blister Beetle – Epicauta vittata
http://bugguide.net/[...]
BugGuide
2017-01-27
[92]
웹사이트
Longest Life Cycle
http://entnemdept.if[...]
University of Florida
1995-01-01
[93]
논문
A molecular phylogeny of rose chafers (Coleoptera: Scarabaeidae: Cetoniinae) reveals a complex and concerted morphological evolution related to their flight mode
https://linkinghub.e[...]
2016-01-01
[94]
논문
Characteristics and Drivers of High-Altitude Ladybird Flight: Insights from Vertical-Looking Entomological Radar
2013-01-01
[95]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6]
서적
American Beetles, Volume 1
CRC Press
[97]
웹사이트
Mountain Pine Beetle – Beetle Love
http://www.pc.gc.ca/[...]
Parks Canada
2011-03-13
[98]
논문
Observations on stridulating Australian beetles (Hydrophilidae, Cerambycidae, Passalidae, Dynastinae)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techniques
1971-01-01
[99]
논문
Short review of the presocial evolution in Coleoptera
1992-01-01
[100]
논문
Parental care in the subsocial intertidal beetle, Bledius spectabilis, in relation to parasitism by the ichneumonid wasp, Barycnemis blediator
[101]
논문
Notes on the Behavior of Burying Beetles (Nicrophorus spp.)
1944-01-01
[102]
서적
Dung Beetle Ec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3]
웹사이트
Beetle San Diego Zoo Animals & Plants
http://animals.sandi[...]
2017-07-18
[104]
논문
Subsociality in leaf beetles (Coleoptera: Chrysomelidae: Cassidinae, Chrysomelinae)
[105]
논문
First report of immatures, genitalia and maternal care in Eugenysa columbiana (Boheman) (Coleoptera: Chrysomelidae: Cassidinae: Eugenysini)
[106]
논문
Natural History of a Subsocial Tortoise Beetle, Acromis sparsa Boheman (Chrysomelidae, Cassidinae) in Panama
[107]
논문
The morphology and biology of Pterodunga mirabile Daccordi, an unusual subsocial chrysomeline (Coleoptera: Chrysomelidae)
[108]
서적
Origins of parental care in chrysomelid beetl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9]
논문
The definition of eusociality
1995
[110]
논문
Eusociality in the beetle ''Austroplatypus incompertus'' (Coleoptera: Curculionidae)
[111]
잡지
Science: The Australian beetle that behaves like a bee
https://www.newscien[...]
1992-05-09
[112]
논문
Social behavior in Passalid beetles (Coleoptera: Passalidae): Cooperative brood care
http://journals.fcla[...]
2017-03-17
[113]
웹사이트
feeding
http://www.zin.ru/an[...]
Beetles (Coleoptera) and Coleopterologist
[114]
서적
Radical Mycology: A Treatise on Seeing & Working with Fungi
https://archive.org/[...]
Chthaeus Press
2016
[115]
논문
Forensically important insects associated with the decomposition of mice carrion in Bangladesh
http://banglajol.inf[...]
2016
[116]
논문
External exoskeletal cavities in Coleoptera and their possible mycangial functions
2010
[117]
논문
Evans & Bellamy (2000)
[118]
서적
Adaptive Coloration in Animals
https://archive.org/[...]
Methuen
1940
[119]
논문
Evans & Bellamy (2000)
[120]
논문
Evans & Bellamy (2000)
[121]
논문
McHugh (2009)
[122]
논문
Distribution and biology of the ectoparasitic beaver beetle ''Platypsyllus castoris'' Ritsema in North America (Coleoptera: Leiodidae: Platypsyllinae)
http://digitalcommon[...]
[123]
논문
The biology of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Coleoptera: Nitidulidae): Gaps in our knowledge of an invasive species
[124]
웹사이트
Coleoptera
http://www.cals.ncsu[...]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5-03-08
[125]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Springer Netherlands
[126]
논문
This amber-encased beetle may have been one of the first insects to pollinate flowers
https://www.science.[...]
2019-11
[127]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Wiley, John & Sons
2014
[128]
논문
The uses of pollen and its implication for entomology
[129]
논문
The pollination ecology of an assemblage of grassland asclepiads in South Africa
[130]
서적
Ceratocystis and Ophiostoma: Taxonomy, Ecology and Pathology
APS
[131]
논문
Bacterial protection of beetle-fungus mutualism
2008
[132]
서적
Symbiosis
Academic Press
[133]
논문
Review Article: Adult diapause in Coleoptera
2012
[134]
논문
Hibernation in the Arctic beetle, ''Pterostichus brevicornis'', in Alaska
1971
[135]
서적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Chapman and Hall
1994
[136]
논문
Cold tolerance of four species of bark beetle (Coleoptera: Scolytidae) in North America
http://www.dartmouth[...]
2000
[137]
논문
Deep supercooling, vitrification and limited survival to −100°C in the Alaskan beetle ''Cucujus clavipes puniceus'' (Coleoptera: Cucujidae) larvae
2010
[138]
뉴스
The life of extremophiles: Surviving in hostile habitats
https://www.bbc.co.u[...]
BBC Nature
2013-03-26
[139]
논문
Hyperactive antifreeze protein from beetles
1997-08
[140]
논문
A nonprotein thermal hysteresis-producing xylomannan antifreeze in the freeze-tolerant Alaskan beetle Upis ceramboides
[141]
논문
Cryoprotectant biosynthesis and the selective accumulation of threitol in the freeze-tolerant Alaskan beetle, ''Upis ceramboides''
[142]
논문
The body temperature of tenebrionid beetles in the Namib desert of southern Africa
http://jeb.biologist[...]
1971
[143]
논문
Seasonal activity and thermoregulatory behavior of ''Cicindela patruela'' (Coleoptera: Cicindelidae)
[144]
논문
Water capture by a desert beetle
2001-11-01
[145]
논문
Survival of immersion and anoxia by larval tiger beetles, ''Cicindela togata''
[146]
논문
Anaerobiosis in the overwintering beetle ''Pelophila borealis''
1973
[147]
웹사이트
Half of the UK sees start of pollen beetle migration
http://www.fwi.co.uk[...]
2015-03-17
[148]
논문
Migration of Terrestrial Arthropods in Relation to Habitat
[149]
서적
Migration: The Biology of Life on the Mo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50]
서적
Beetles
Michelle Bison
[151]
웹사이트
Beetles as religious symbols
http://www.insects.o[...]
Insects.org
2011
[152]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bestiary: Insects
http://www.reshafim.[...]
2002-01
[153]
웹사이트
Egyptian Symbols
http://www.all-about[...]
All-About-Egypt
[154]
서적
The New Archaeological Excavations at Lachish (1973–1994)
http://archaeology.t[...]
Institute of Archaeology of Tel Aviv University
2004
[155]
서적
Isis and Osiri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1936
[156]
서적
The Greek Magical Papyri in Translation (Including the Demotic Spel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157]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Book 11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158]
웹사이트
Natural History Book 11, Chapter 34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159]
서적
Insects and other Invertebrates in Classical Antiquity
University of Exeter
1988
[160]
서적
The Metamorphoses of Antoninus Liberalis: A translation with a commentary
Routledge
1992
[161]
논문
The Stag Beetle Lucanus Cervus (Coleoptera, Lucanidae) in Art and Mythology
2008
[16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oll Weevil in the United States
http://www.bollweevi[...]
[163]
논문
Nonindigenous species introductions: A threat to Canada's forests and forest economy
[164]
서적
The Elms
[165]
논문
Colorado potato beetle resistance to insecticides
[166]
뉴스
Bug bomb:Why our next terrorist attack could come on six legs
http://www.boston.co[...]
2007-10-21
[167]
서적
Pest Management and Phytosanitary Trade Barriers
https://archive.org/[...]
CABI
2008
[168]
웹사이트
Pests – Death watch beetle
http://www.bodley.ox[...]
University of Oxford
[169]
논문
Suitability of four palm spec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vasive pest ''Brontispa'' longissima(Coleoptera: Chrysomelidae) in the field
[170]
웹사이트
The Mountain Pine Beetle in British Columbia
http://mpb.cfs.nrcan[...]
Natural Resources Canada
2008-08-19
[171]
웹사이트
Insecta: Coleoptera: Coccinellidae
http://entnemdept.uf[...]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al Services, University of Florida
2014
[172]
뉴스
'Deadly ladybird' sighted in UK
http://news.bbc.co.u[...]
2004-10-05
[173]
논문
Carabid beetl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a review on pest control efficacy, cultivation aspects and enhancement
[174]
웹사이트
Beet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weeds
http://www.rothamste[...]
Rothamsted Research
[175]
웹사이트
Zygogramma bicolorata (Mexican beetle)
http://www.cabi.org/[...]
Invasive Species Compendium
2012
[176]
논문
Specific features of the methods of using ''Zygogramma'' Chevr. (Coleoptera, Chrysomelidae) in biological control of ragweeds (''Ambrosia artemisiifolia'' L., ''A. psilostachya'' D.C.)
1983
[177]
논문
Insectary Studies on the Control of Dung Breeding Flies by the Activity of the Dung Beetle, ''Onthophagus Gazella'' F. (Coleoptera: Scarabaeinae)
1970
[178]
논문
Dung beetles (Coleoptera: Scarabaeidae) can improve soil hydrological properties
[179]
논문
The economic value of ecological services provided by insects
http://www.xerces.or[...]
2011-07-17
[180]
서적
Wildlife Forensics: Method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181]
비디오
Dermestid Beetles working on a female Black Bear skull
https://www.youtube.[...]
2017-01-26
[182]
논문
Experimental taphonomy in museums: Preparation protocols for skeletons and fossil vertebrates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183]
서적
Creepy crawly cuisine: the gourmet guide to edible insect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mpany
[184]
잡지
U.N. Urges Eating Insects; 8 Popular Bugs to Try
http://news.national[...]
2013-05-14
[185]
논문
Therapeutic arthropods and other, largely terrestrial, folk-medicinally important invertebrates: a comparative survey and review.
2017-01
[186]
논문
World-Wide Species Richness Patterns of Tiger Beetles (Coleoptera: Cicindelidae): Indicator Taxon for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Studies
1992
[187]
논문
The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of bioindicators: A case study of dung beetles in a savanna ecosystem
[188]
논문
Saproxylic beetles as indicator species for dead-wood amount and temperature in European beech forests
[189]
논문
Staphylinid beetles as bioindicators
http://www.zin.ru/an[...]
[190]
블로그
Life cycle of the rounded jewel beetles, Sternocera spp. วงจรชีวิตของแมลงทับกลมใช้เวลานานถึง 2 ปี – Siam Insect Zoo-Museum
http://www.malaeng.c[...]
2008-10-20
[191]
서적
American Beetles: Polyphaga: Scarabaeoidea through Curculionoidea
https://archive.org/[...]
CRC Press
[192]
논문
Duels en miniature: la délicate mise en scène des combats de scarabées au nord de la Thaïlande
http://www7.inra.fr/[...]
[193]
논문
Entertainment with insects: singing and fighting insects around the world. A brief review
https://dialnet.unir[...]
2021-01-30
[194]
논문
The Korean water beetle game
1990
[195]
웹사이트
Predaceous Diving Beetles as Pets and the Self-Cleaning Aquarium
https://edis.ifas.uf[...]
University of Florida (IFAS Extension)
2017-01-27
[196]
논문
Thirty-foot telescopic nets, bug-collecting video games, and beetle pets: Entomology in modern Japan
http://www.flmnh.ufl[...]
2017-01-27
[197]
뉴스
Yen For Bugs
https://www.chicagot[...]
2017-01-27
[198]
뉴스
Vending machine beetles
https://www.theguard[...]
2017-01-27
[199]
서적
Victorian Animal Dreams: Representations of Animals in Victoria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0]
서적
The Malay Archipelago: The land of the orang–utan, and the bird of paradise. A narrative of travel, with sketches of man and nature
Macmillan
[201]
웹사이트
Swedish Biomimetics: The μMist Platform Technology
https://web.archive.[...]
[202]
뉴스
Namib Desert beetle inspires self-filling water bottle
https://www.bbc.co.u[...]
2012-11-23
[203]
잡지
The Army's Remote-Controlled Beetle
https://www.technolo[...]
2017-03-16
[204]
논문
Insect–computer hybrid legged robot with user-adjustable speed, step length and walking gait
2016
[205]
논문
Deciphering the Role of a Coleopteran Steering Muscle via Free Flight Stimulation
2015-03-16
[206]
논문
An Ultralightweight and Living Legged Robot
2017-11-03
[207]
논문
Efficient autonomous navigation for terrestrial insect-machine hybrid systems
https://www.scienced[...]
2023-02-01
[208]
논문
A Cyborg Insect Reveals a Function of a Muscle in Free Flight
https://spj.science.[...]
2022-01
[209]
논문
Wireless steerable vision for live insects and insect-scale robots
https://www.science.[...]
2020-07
[210]
뉴스
Scientists strapped a tiny camera to a beetle to test just how small video technology can get
https://edition.cnn.[...]
2020-07-15
[211]
논문
Species decline—but why? Explanations of carabi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declines in Europe
2003
[212]
논문
Deforestation and apparent extinctions of endemic forest beetles in Madagascar
2007
[213]
논문
A European monitoring protocol for the stag beetle, a saproxylic flagship species
2016
[214]
서적
Beetles in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15]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http://tolweb.org/St[...]
200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