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더시티는 콜로라도 강에 건설된 후버 댐 건설 노동자들의 주거지로 1931년 연방 정부의 감독하에 건설된 회사 도시이다. 도시 계획가 사코 린크 드 보어의 설계를 바탕으로, 댐 노동자들의 생활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춰 계획되었으며, 1960년 자치시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도박 금지 조항을 유지하며, 후버 댐과 레이크 미드와 인접하여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14,885명이며, 11번 주간 고속도로 및 국도 93호선, 95호선 등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클라크군 (네바다주)의 도시 - 윈체스터 (네바다주) 윈체스터는 미국 네바다주 클라크 카운티에 위치한 CDP로, 라스베이거스 밸리의 동부 중앙에 있으며, 1953년 윈체스터로 명명되었고, 2020년 인구 조사 기준 36,403명이 거주한다.
클라크군 (네바다주)의 도시 - 노스라스베이거스 노스라스베이거스는 네바다주 클라크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로, 2020년 기준 262,527명의 인구를 가지며, 과거 파이유트족 거주지였으나 20세기 초 도시로 건설되어 넬리스 공군 기지와 함께 성장했고, 현재는 경제 구조가 다각화되고 있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불더시티는 후버 댐 건설이라는 특정 목적을 위해 탄생한 도시이다. 1930년대 초, 미국 연방 정부는 댐 건설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황량한 사막 위에 계획적인 회사 도시를 건설했다. 초기에는 연방 정부의 엄격한 관리 감독 아래 음주와 도박이 금지되는 등 통제가 이루어졌으며, 도시 설계 역시 정부의 의도와 사회 계층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1960년, 불더시티는 자치시로 승격되어 연방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벗어났지만, 네바다주에서 드물게 도박을 금지하는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1. 연방 정부 주도의 회사 도시
1932년 6월 30일의 볼더 시티 건설 현장 파노라마
볼더 시티(Boulder City)가 세워진 땅은 본래 거칠고 황량한 사막이었다. 이 도시가 생겨난 유일한 이유는 콜로라도 강에 건설될 후버 댐(1933년부터 1947년까지는 볼더 댐으로 알려짐) 건설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서였다. 1930년 미국 개척국이 댐 부지를 확정한 직후, 일자리를 찾는 사람들이 강가를 따라 텐트를 치고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의 임시 거주지는 '래그타운'(Ragtown)으로 불렸다.[9][10]
볼더 시티는 1931년 미국 개척국과 식스 컴퍼니즈, Inc.가 후버 댐 건설 노동자들의 주거지로 공식적으로 건설했다. 댐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가 크고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미국 개척국은 임시 시설 대신 반영구적인 도시 건설을 추진했다.[11] 볼더 시티는 연방 정부의 감독 아래 완전히 계획된 도시라는 점에서 매우 드문 사례이다. 이는 영국의 포트 선라이트나 미국시카고의 풀먼 (시카고)와 같이 19세기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회사 도시와는 구별된다.
초기 회사 도시들처럼 볼더 시티의 노동자들도 엄격한 통제를 받았다. 금주법 시대에 설립된 이 도시에서는 1969년까지 음주가 금지되었고, 도박은 처음부터 금지되었다.[20] 1931년에 문을 연 볼더 극장은 노동자들이 오락을 위해 라스베이거스까지 갈 필요가 없도록 만들어졌다. 이러한 조치는 술을 마시지 않고 건전한 오락을 즐기는 노동자들이 더 생산적일 것이라는 믿음 하에 19세기 회사 도시들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방식이었다.
볼더 시티의 음주 및 도박 금지는 부분적으로 악명 높은 유흥가로 유명했던 인근 라스베이거스의 영향을 차단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1] 도시 방문객은 허가를 받아야 했으며, 1932년까지 모든 방문객이 통과해야 하는 정문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22]
2. 2. 초기 (1930-1934)
볼더시티, 1932년
볼더시티는 네덜란드 출신의 도시 건축가 사코 린크 드 보어가 설계를 맡아 미국 연방 정부의 감독 아래 모델 커뮤니티로 신중하게 계획되었다. 드 보어는 콜로라도 덴버의 도시 계획가였으며, 로키 산맥 지역 주변의 많은 마을과 교외를 설계한 경험이 있었다. 후버 댐 건설 프로젝트 자체가 대공황으로 어려움을 겪던 미국 사회에 희망을 주는 상징이었기에, 볼더시티 역시 이러한 낙관론을 반영하는 도시로 계획되었다. 특히 댐 건설 노동자들을 위한 깨끗한 생활 환경 조성이 강조되었다. 1930년 드 보어가 제출한 초기 계획안은 두 개의 주요 축 끝에 공원과 미국 개척국 건물을 배치하는 공식적이고 대칭적인 형태였다.[12] 하지만 이 계획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원래 형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좀 더 규칙적인 블록 크기를 가지도록 수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 공간과 풍부한 녹지 조성을 통해 "네바다의 가든 시티"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13] 이러한 녹지 공간 확보는 미국 개척국이 추구했던 "미국 서부를 개척하고 '녹색'으로 만드는 사명"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14]
도시는 약 5,000명의 노동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후버 댐 건설 노동자들의 사회적 지위는 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규모와 위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가장 중요한 직원들은 가장 높은 언덕 위에 살았고, 관리자들은 그보다 아래쪽 언덕에 거주했다. 반면, 육체 노동자들의 거주지는 공공 건물이나 공원과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되었다.[15] 드 보어의 초기 계획안에서 가장 크게 수정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이 하층 계급 노동자들의 주거 구역이었는데, 이곳에서는 열린 공간과 공원이 대부분 사라졌다.
상업 시설 개발은 도시 관리자였던 심스 엘리(Sims Ely)의 지휘 아래 제한적이고 엄격하게 규제되었다. 도시에 들어설 수 있는 상점의 종류와 수가 제한되었으며, 사업을 시작하려는 모든 사람은 인성과 재정적 능력을 심사받아야 했다.[16] 한편, 이 급성장하는 도시에는 학교 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는데, 이는 미국 개척국이 주로 독신 남성 노동자들이 거주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일 수 있다.[17] 도시는 임시 교실로 버텨야 했고, 이후 볼더시티가 위치한 연방 보호 구역 내에 주 정부 예산으로 학교를 설립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 병원 시설 역시 부족했다. 부상을 입은 노동자들은 약 53.11km 떨어진 라스베이거스의 병원까지 가야 했으며, 나중에 도시에 병원이 설립된 후에도 여성들은 수년 동안 입원할 수 없는 차별을 겪기도 했다.[18]
2. 3. 1960년대 이후
미국 연방 정부는 1959년, 도시가 자치시로 승격될 때까지 불더시티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하지 않았다. 불더시티의 자치시 승격 기념식은 1960년 1월 4일에 열렸으며, 시의회는 약사 로버트 N. 브로드벤트(Robert N. Broadbent)를 도시의 초대 시장으로 선출했다.
시민들이 승인한 도시 헌장은 시 경계 내 도박을 금지했다. 이 조항은 여전히 유효하며, 불더시티는 네바다주에서 도박이 불법인 두 곳 중 한 곳이다 (다른 한 곳은 파나카 마을이다). 후버 댐 로지 호텔 카지노는 도박을 허용하고 불더시티 우편 주소를 가지고 있지만, 레이크 미드 국립 휴양지 경계 내의 사유지에 위치해 있어 시 경계 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시 반대편에 있는 또 다른 카지노인 철도 패스 카지노 역시 불더시티 전화 번호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인접한 도시 헨더슨의 경계 내에 있다.
알코올 판매는 1969년에 처음으로 허용되었다.
2018년 8월 9일, 11번 주간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불더시티 우회로가 개통되었다. 이 우회로는 불더시티 시 경계 내에 건설되었지만, 인구 밀집 지역을 지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지역 상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일부 사업체에서는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3. 지리
불더시티는 성장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유지하며, 매년 신규 건축에 대한 단독 주택 또는 다세대 주택 건축 허가를 120개로 제한한다. 호텔 또한 35개 객실 이하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 사항은 볼더 시티 시 조례에 명시되어 있다.[31]
3. 1. 면적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이 도시의 총 면적은 540.2km2이며, 이 중 0.1km2 (0.02%)는 수역이다.[29] 이는 볼더 시티를 네바다 주에서 육지 면적이 가장 넓은 도시이자 미국 전체에서 35번째로 큰 도시로 만들지만, 평방 마일당 약 72명에 불과한 낮은 인구 밀도를 보인다.[30]
3. 2. 기후
불더시티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라 사막 기후(BWh)로 분류된다. 겨울철에는 비교적 기온이 낮아 냉대 사막 기후(BWk)의 특징도 함께 나타난다.[45][32]
2000년 인구 조사[34]에 따르면, 불더시티에는 14,966명의 인구, 6,385가구, 4,277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인구 밀도는 제곱마일당 73.9명(28.5명/km²)이었다. 6,979가구의 주택이 있었고, 평균 밀도는 제곱마일당 34.4채(13.3채/km²)였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백인: 94.5%
아프리카계 미국인: 0.7%
아메리카 원주민: 0.7%
아시아인: 0.7%
태평양 섬 주민: 0.2%
기타 인종: 1.3%
둘 이상의 인종: 1.9%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 아메리카인은 인구의 4.3%를 차지했다.
전체 6,385가구 중 23.6%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었고, 55.8%는 결혼한 부부가 함께 살고 있었다. 7.4%는 남편 없이 여성 가장만 있는 가구였으며, 33.0%는 비가족 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27.6%는 개인이 단독으로 거주했으며, 이 중 13.1%는 65세 이상인 혼자 사는 노인이었다. 가구당 평균 인원은 2.30명이었고, 가족당 평균 인원은 2.79명이었다.
도시 인구의 연령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18세 미만: 20.4%
18세 ~ 24세: 5.3%
25세 ~ 44세: 21.3%
45세 ~ 64세: 29.3%
65세 이상: 23.7%
인구의 중앙 연령은 47세였다. 여성 100명당 남성은 97.8명이었으며, 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96.0명이었다.
도시의 가구 중위 소득은 50523USD였고, 가족 중위 소득은 60641USD였다. 남성의 중위 소득은 42041USD였고, 여성은 30385USD였다. 도시의 1인당 소득은 29770USD였다. 약 4.7%의 가족과 인구의 6.7%가 빈곤선 아래에 있었으며, 여기에는 18세 미만 인구의 9.4%와 65세 이상 인구의 5.3%가 포함되었다.
=== 2020년 인구 조사 ===
2020년 인구 조사[34]에 따르면, 불더시티에는 14,885명이 거주하고 6,156가구가 있었다. 인구 밀도는 제곱마일당 71.5명(27.6명/km²)이었다.
도시의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35]
백인: 88.9%
흑인: 1.1%
아메리카 원주민: 0.4%
아시아인: 1.4%
태평양 섬 주민: 0.0%
둘 이상의 인종: 6.8%
모든 인종의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인구의 8.4%를 차지했다.
전체 6,125가구 중 6.3%가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했으며, 거주자의 85.8%가 1년 전에 같은 집에 살고 있었다. 가구당 평균 구성원은 2.37명이었다.[35]
불더시티 인구의 연령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35]
5세 미만: 4.5%
18세 미만: 18.1%
65세 이상: 29.0%
인구의 50.6%가 여성이었고, 49.4%가 남성이었다.[35]
도시의 가구 소득 중간값은 69746USD였으며, 1인당 소득은 41421USD였다. 인구의 11.4%가 빈곤선 아래에 있었다.[35]
5. 경제
후버 댐이 오른쪽에 보이는 불더시티와 미드 호수
불더시티의 경제는 후버 댐과의 지리적 인접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는 역사적인 시내 중심가의 많은 상점들에서 잘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예로 불더 댐 호텔이 있으며, 이 호텔 내에는 불더시티/후버 댐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호텔의 이름은 후버 댐의 이전 명칭에서 비롯되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댐(dam)'이라는 단어를 활용한 독특한 마케팅과 행사도 주목할 만하다. 불더시티 상공 회의소는 "Best City By A Dam Site"(댐 옆 최고의 도시)라는 홍보 문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시에서는 매년 "댐 단편 영화제"를 개최한다. 또한 "That Dam Guy Stole My Dam Car"(그 댐 녀석이 내 댐 차를 훔쳤어) 자동차 경주나 "Get Off My Dam Lawn"(내 댐 잔디에서 나가) 정원 축제와 같이 후버 댐과 연관된 다양한 행사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6. 문화 및 여가
후버 댐과 불더시티의 근접성은 역사적인 시내 지구의 많은 사업체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곳에는 불더 댐 호텔과 불더시티/후버 댐 박물관이 있다. 호텔 이름은 댐의 이전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댐(damn)"이라는 단어를 이용한 말장난도 인기가 많다. 불더시티 상공 회의소는 홍보 문구로 "Best City By A Dam Site"라는 슬로건을 사용했으며, 시에서는 "댐 단편 영화제"라는 연례 단편 영화제를 개최한다. 불더시티는 또한 "That Dam Guy Stole My Dam Car" 자동차 경주 및 "Get Off My Dam Lawn" 정원 축제와 같은 여러 후버 댐 관련 행사를 개최한다.
1975년, 불더시티 팀은 ABC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올모스트 애니싱 고즈!''(Almost Anything Goes!영어) 전국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이듬해에는 펜실베이니아주 체임버스버그의 1976년 챔피언 및 유명인 올스타 팀과의 "슈퍼게임" 플레이오프에서도 우승했으나, 해당 프로그램은 얼마 지나지 않아 종영되었다.
레이크 미드가 내려다보이는 주택
불더시티에는 2개의 시립 골프 코스(불더시티 시립 골프 코스, 불더 크릭 골프 코스)와 1개의 개인 골프 코스가 있다. 또한 시립 수영장, 라켓볼 단지, 조명 시설을 갖춘 테니스 코트, 운동장, BMX 자전거 트랙, 다양한 산악 하이킹 코스가 마련되어 있으며, 레이크 미드와도 가깝다. 네바다주 최초의 공항인 불더시티 시립 공항은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개인 비행기 이착륙, 스카이다이빙 체험, 후버 댐과 그랜드 캐니언 상공을 비행하는 관광 투어 등을 제공한다.
7. 교통
볼더시티를 통과하는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주간 고속도로 11호선(Interstate 11)
국도 93호선(U.S. Route 93)
-- 국도 93호선 (볼더시티, 네바다) 비즈니스 노선(U.S. Route 93 Business (Boulder City, Nevada))
국도 95호선(U.S. Route 95)
네바다 주도 165호선(State Route 165)
네바다 주도 173호선(State Route 173)
8. 대중문화 속 볼더시티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 테일즈 프롬 더 루프 (롤플레잉 게임)에서 플레이 가능한 배경 중 하나로 등장한다.
1976년 지미 웹이 작곡한 노래 "하이웨이맨"에 언급된다. 노래의 두 번째 구절에는 "와일드 콜로라도의 불더라는 곳(a place called Boulder on the wild Colorado)"이라는 가사가 나오는데, 이는 후버 댐 건설 중 사망한 노동자의 시점에서 불린 것이다.
2010년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 ''폴아웃: 뉴 베가스''에는 축소된 모습의 불더 시티가 등장한다.
2016년 뮤지컬 영화 ''라라랜드''에서 여자 주인공 아멜리아 "미아" 돌란(엠마 스톤 분)의 고향으로 나온다. 미아는 영화 배우의 꿈을 안고 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기 전까지 이곳에서 살았다. 영화 속에서 미아는 ''안녕 불더 시티''라는 제목의 1인극을 공연하며, 이를 계기로 에이전트의 눈에 띄게 된다.
애니메이션 ''밀로 머피의 법칙'' 시즌 1 에피소드 6에서 언급된다.
잭슨 엘리스의 소설 ''세인트 토마스의 군주''(GWP, 2018)는 볼더 댐 건설 이후 1938년 인근 세인트 토마스를 마지막으로 떠난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다. 소설의 일부 배경이 불더 시티이며, 주인공 가족의 가장인 토마스가 식스 컴퍼니에 취직하여 살고 일하는 장소로 묘사된다.[42]
참조
[1]
웹사이트
Boulder City, NV – Official Website
http://www.bcnv.org/ [2]
웹사이트
Boulder Dam Hotel – Boulder City, NV Lodging
https://web.archive.[...]
2007-02-09
[3]
웹사이트
ArcGIS REST Services Directory
https://tigerweb.geo[...]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2-09-19
[4]
간행물
Boulder City
[5]
웹사이트
Boulder City Charter
https://www.leg.stat[...] [6]
웹사이트
QuickFacts Boulder City, Nevada
https://www.census.g[...]
2022-02-01
[7]
서적
Origin of Place Names: Nevada
http://dwgateway.lib[...]
W.P.A.
[8]
서적
Road Trip USA: Cross-Country Adventures on America's Two-Lane Highways
Avalon Travel Publishing
[9]
문서
Boulder City City Design
https://www.pbs.org/[...]
2011-04-05
[10]
웹사이트
The Controversial Naming of the Dam | American Experience | PBS
https://www.pbs.org/[...]
2012-08-22
[11]
문서
Boulder City Documentary Manuscript
https://www.pbs.org/[...]
2011-04-05
[12]
서적
Around Boulder City
Arcadia Publishing
[13]
문서
"Henry Kaiser"
http://homepage.mac.[...] [14]
문서
"Nevada: Landscaping of the Bureau of Reclamation Regional Office, Boulder City"
http://www.achp.gov/[...]
2011-04-10
[15]
서적
Las Vegas: The Social Production of an All-American City
Blackwell
[16]
서적
Building Hoover Dam: an Oral History of the Great Depression
University of Nevada Press
[17]
서적
[18]
서적
[19]
웹사이트
Amy Arnaz - Boulder City Ballet Company executive director
https://web.archive.[...]
2008-09-23
[20]
서적
[21]
웹사이트
In Las Vegas, Prohibition Was Sporadically Enforced
http://prohibition.t[...]
The Mob Museum
2019-04-04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웹사이트
DyeStatCAL.com
http://www.dyestatca[...] [26]
뉴스
Boulder City: A gateway to the past
http://www.lasvegass[...]
2008-05-15
[27]
웹사이트
Interstate 11's Boulder City bypass opens with much fanfare
https://news3lv.com/[...]
2018-08-09
[28]
웹사이트
The good. The bad. The interstate. Results of bypass's opening not as dire as expected
https://bouldercityr[...]
2019-08-14
[29]
웹사이트
Geographic Identifier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G001): Boulder City city, Nevada
https://archive.toda[...]
U.S. Census Bureau, American Factfinder
[30]
간행물
"Geographical Aspects of Construction Planning: Hoover Dam Revisted,"
[31]
웹사이트
Boulder City, Nevada: City Code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BOULDER CITY, NEVADA (261071)
http://www.wrcc.dri.[...]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
2020-05-05
[33]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www.census.go[...]
Census.gov
2016-06-04
[34]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8-01-31
[35]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QuickFacts: Boulder City city, Nevada
https://www.census.g[...]
2023-03-28
[36]
뉴스
14 schools earn five-star status in school district's high school ranking
http://www.lasvegass[...]
Las Vegas Sun
2012-05-24
[37]
웹사이트
Boulder City Private Christian School Grace Christian Academy
http://www.gracechri[...] [38]
웹사이트
Nevada Public Libraries
https://publiclibrar[...]
PublicLibraries.com
2019-06-14
[39]
웹사이트
La La Land (2016): Filming and Production
https://www.imdb.com[...]
IMDb.com
2020-02-14
[40]
웹사이트
Boulder City Review
http://bouldercityre[...] [41]
뉴스
Boulder City looks to make more than $1.6 million per year with new renewable energy plant
https://news3lv.com/[...]
2019-05-22
[42]
서적
New Historical Novel Tells Story Of Evacuation Of St. Thomas
http://mvprogress.co[...]
2018-05-16
[43]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27
[44]
웹인용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census.g[...]
Census.gov
2015-06-04
[45]
웹인용
BOULDER CITY, NEVADA (261071)
http://www.wrcc.dri.[...]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
2016-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