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주법은 알코올 음료의 생산, 판매, 유통, 소비를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함무라비 법전에서 맥주 판매 제한이 있었고, 20세기 초 북미와 북유럽을 중심으로 여성 참정권 운동과 연계되어 금주 운동이 일어났다. 20세기 전반에 여러 국가에서 금주법이 시행되었으나, 밀주와 조직 범죄의 만연, 사회적 반발 등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에도 일부 국가에서는 종교적 이유 등으로 알코올 소비를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으며, 선거 기간이나 특정 공휴일에도 일시적으로 금주령이 시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주 - 금주 운동
금주 운동은 알코올 음료 소비를 줄이거나 금지하려는 사회 운동으로, 개인의 도덕적 개혁, 사회 문제 해결, 공중 보건 개선 등을 목표로 서구 사회에서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금주법 제정으로 이어졌으나 현재는 알코올 관련 문제 인식 개선과 예방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 금주 - 미국 수정 헌법 제21조
미국 수정 헌법 제21조는 1933년에 비준되어 미국의 금주법을 폐지하고 주류 규제 권한을 각 주에 다시 부여한 헌법 수정 조항으로, 일자리 창출과 세수 확보에 기여했지만 주류 규제 권한의 범위에 대한 법적 논쟁이 현재까지도 존재한다. - 주류법 - 음주측정기
음주측정기는 호흡 속 알코올 양을 측정해 혈중알코올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장치로, 다양한 기술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측정 정확도는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고 법 집행 및 개인용으로 사용되며 법적 논쟁도 존재한다. - 주류법 - 음주 운전
음주운전은 알코올이나 약물에 취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는 행위로, 법적 처벌과 사회적 제재를 받으며 심각한 교통사고와 인명 피해를 초래하는 사회 문제이다.
금주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금주법 |
다른 명칭 | 주류 금지법 금주령 주류 단속법 |
영어 명칭 | the prohibition law |
로마자 표기 | Geumjubbeop |
개념 | 알코올의 생산, 판매 및 수송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 |
역사 | |
시행 국가 | 미국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캐나다 러시아 인도 일본 그린란드 페로 제도 |
국가별 금주법 | 미국의 금주법 핀란드의 금주법 아이슬란드의 금주법 노르웨이의 금주법 캐나다의 금주법 |
기타 | 금주법의 개념은 서구 문화권에서 기독교적 도덕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특징 | |
일반적인 특징 | 알코올을 완전히 금지하거나 특정 시간 또는 장소에서만 금지하는 것 일반적으로 도덕적, 종교적, 공공 건강상의 이유로 시행됨. 사회적 문제(범죄, 빈곤 등)를 줄이기 위한 목적. |
사회적 영향 | 금주법 시행은 종종 사회적 변화와 논쟁을 야기 금주법의 성공 여부는 사회의 특성과 정치적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짐 금주법은 때로는 밀주와 같은 불법 행위를 초래할 수 있음 |
결과 | 금주법은 종종 실패로 끝나거나 많은 사회적 부작용을 일으켰음. 미국의 금주법처럼 범죄 조직을 성장시키거나 밀주를 성행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함. 금주법의 실패는 결국 주류 소비를 완전히 금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함.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금주 운동, 절주 운동, 주류 규제 |
2. 역사
함무라비 법전에서는 돈을 받고 맥주를 파는 것을 금지하고 보리와만 교환할 수 있도록 했다. 만약 맥주 판매자가 돈을 받거나 받은 보리보다 적은 양의 맥주를 제공하면 물에 빠뜨리는 형벌을 내렸다.[1]
무로마치 막부 제4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모토는 쇼군 재임 중 여러 차례 선종 사찰 등에 금주령을 내렸다. 또한 아들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신하들에게도 요시마사에게 술을 권하지 말 것을 명령했다.[93] 하지만 요시모토 본인은 술을 많이 마시고 매일 밤 잔치를 벌였다.[93]
전국 시대에는 각 전국 다이묘가 금주령을 내렸는데, 아시나 모리우지(『아이즈 규지잡고』, 1562년과 1571년 두 차례)와 쵸소가베 모토치카의 『쵸소가베 모토치카 백가조』(1597년 제정, 나중에 철회됨)가 그 예이다.
에도 시대 겐로쿠 9년(1696년) 에도 막부는 과음 금지령을 내렸다. 이는 당시 생류연민의 령이 시행되었는데, 술에 취해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엄격한 처벌보다는 개와 고양이 보호와 풍기 단속을 목적으로 한 "오후레(お触れ)"였다.
1926년(다이쇼 15년) 4월 1일, 이시카와현 카와이야마촌에서 노후화된 가미카와이 소학교(후의 쓰바타정립 카와이야마 소학교)의 개축비 45000JPY을 마련하기 위해 전 주민에게 5년간의 금주를 제안하고, 금주로 절약한 금액을 매일 5JPY 이상 저축하도록 제창하여, 결과적으로 금주는 약 20년간 지속되었다. 마을 내에 있던 8개의 술집은 자발적으로 폐업했다.[94]
현대에도 1953년 공포된 주세법에서 주류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해 제한을 두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우세한 종교가 알코올 사용을 금지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알코올 음료의 생산, 판매 및 소비가 금지되거나 제한된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와 리비아에서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으며, 파키스탄과 이란에서는 예외를 제외하고 불법이다.[10] 이슬람 국가 중에는 코란의 가르침에 어긋난다 하여 오늘날에도 알코올을 금지하는 나라가 있다.
2. 1. 고대
중국에서 발표된 가장 오래된 금주령은 주나라 주공이 내린 「주고(酒誥)」이다. 은나라의 주왕, 하나라의 걸왕이 술 때문에 나라를 망친 것을 교훈 삼아, 왕후제후는 술자리에서 예의를 어겨서는 안 되며, 백성들은 모여서 술을 마시는 것을 금지했다. 위반하면 사형에 처하는 엄격한 금령이었지만, 오랫동안 유지할 수는 없었다.[91] 이후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금주령은 자주 발표되었지만, 대개는 무산되는 것이 보통이었다.후한 말기 중국에서는 조조와 유비가 금주령을 내렸다. 조조의 금주령은 표면적으로는 술의 해악을 이유로 했지만, 실제로는 군량미 부족이 배경이었던 것 같으며, 그 점을 공융에게 풍자당했다. 또한 그다지 엄격한 것도 아니었던 것 같다. 유비의 경우에는, 단속이 지나쳐 술 양조 도구를 가지고 있었을 뿐인 사람이 금주령 위반으로 체포된 일이 있었다. 이때, 유비가 거병한 이래의 원로인 간옹이 유비에게 말했기 때문에 양조 도구를 가지고 있던 자는 석방되었다.[91]
일본에서는 대화 2년(646년)에 최초의 금주령이 발령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금주령 발령이나 주조(酒造) 제한이 이루어졌다.[78]
금주령은 아니지만, 가마쿠라 막부 시대 1252년(겐초 4년)에 술 판매를 금지하는 "고주(沽酒)의 금"이 발령되었다. 각 가정에서 소유가 허용된 술 항아리는 자가용으로 하나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부숴졌다.[92]
2. 2. 20세기 초 금주 운동
20세기 초, 북유럽 국가[2]와 북미에서 일어난 금주 운동은 경건한 개신교의 도덕적 신념에서 비롯되었다.[3] 서구의 금주 운동은 여성 참정권의 도래와 일치했으며, 새롭게 권한을 얻은 여성들은 정치 과정의 일부로서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는 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했다.[4][5]20세기 전반기에는 여러 국가에서 알코올 음료의 금주 기간이 있었다.
국가 | 기간 |
---|---|
캐나다 | 1918년 ~ 1920년 (전국), 주별 상이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 1901년 ~ 1948년[6] |
퀘벡 | 1919년 |
페로 제도 | 1907년 ~ 1992년 (1928년부터 덴마크로부터의 제한적인 개인 수입 허용) |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 1914년 ~ 1925년[7] |
아이슬란드 | 1915년 ~ 1935년 (1922년부터 와인은 합법, 맥주는 1989년까지 금지)[8] |
노르웨이 | 1916년 ~ 1927년 (1917년부터 1923년까지 강화 와인과 맥주도 금지)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 1919년 3월 21일 ~ 8월 1일 (szesztilalom이라고 불림) |
핀란드 | 1919년 ~ 1932년 (kieltolaki, "금주법"이라고 불림) |
미국 | 1920년 ~ 1933년 |
몇 년 후, 북미와 다른 지역에서 금주는 실패했다. 밀주가 만연해졌고 조직 범죄가 알코올 유통을 장악했다. 캐나다, 멕시코 및 카리브해의 증류소와 양조장은 미국인 방문객이 그들의 제품을 소비하거나 미국으로 불법 수출되었기 때문에 번창했다. 디트로이트와 시카고는 흥청거리는 20년대로 알려진 시대에 금주법 회피자들의 안식처로 악명이 높았다. 미국으로 밀수된 모든 알코올의 75%가 디트로이트-윈저 국경을 넘었다.[9]
2. 3. 20세기 주요 국가들의 금주법
20세기 초, 여러 국가에서 알코올 음료의 금주 기간이 있었다. 이러한 금주법은 주로 북유럽 국가와 북미에서 경건한 프로테스탄트의 도덕적 신념에서 비롯되었으며, 여성 참정권 운동과도 관련이 있었다. 새롭게 권한을 얻은 여성들은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는 정책을 강력하게 지지했다.[4][5]20세기 주요 국가들의 금주법 시행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국가 | 금주법 시행 기간 |
---|---|
캐나다 | 1918년~1920년 (전국), 주별로 상이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 1901년~1948년 |
퀘벡 | 1919년 |
페로 제도 | 1907년~1992년 (1928년부터 덴마크로부터 제한적 개인 수입 허용) |
러시아 제국 및 소비에트 연방 | 1914년~1925년 |
아이슬란드 | 1915년~1935년 (1922년부터 와인 합법, 맥주는 1989년까지 금지) |
노르웨이 | 1916년~1927년 (1917년부터 1923년까지 강화 와인과 맥주도 금지)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 1919년 3월 21일~8월 1일 (szesztilalom) |
핀란드 | 1919년~1932년 (kieltolaki) |
미국 | 1920년~1933년 |
그러나 금주법은 밀주의 성행과 조직 범죄의 확산 등 여러 부작용을 낳았다. 캐나다, 멕시코, 카리브해 등지의 증류소와 양조장은 미국인 관광객과 불법 수출로 호황을 누렸다. 특히 디트로이트와 시카고는 금주법 회피자들의 안식처로 악명을 떨쳤다.[9] 결국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 대부분의 북미와 유럽 국가에서 금주법은 폐지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수년 동안 금주가 계속되었다.
2. 3. 1. 캐나다
캐나다 원주민들은 1876년에 제정된 ''인디언법''에 따라 주류 금지법의 적용을 받았다.[46] 이 법의 주류 관련 조항은 1985년까지 100년 이상 폐지되지 않았다.[46]1898년, 금주법에 대한 비구속적인 연방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윌프리드 로리어 총리의 정부는 퀘벡의 강한 반대를 의식하여 연방 금주법을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결과적으로 캐나다의 금주법은 20세기 초, 특히 1910년대에 각 주들이 통과시킨 법률을 통해 제정되었다. 그러나 캐나다는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임시 조치로 전국적인 금주법을 시행했다.[47][48] 금주법 시대의 밀주는 대부분 온타리오주 윈저에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주들은 1920년대에 금주법을 폐지했지만, 일부 지역은 여전히 금주 지역으로 남아 있다.
2. 3. 2.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제국에서는 1914년에 제한적인 금주령이 시행되었다.[87] 이는 러시아 혁명·러시아 내전의 혼란기 이후에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치면서 1925년까지 유지되었다. 19세기 무렵부터 전통적인 저알코올 음료인 크바스는 모르스나 레모네이드 등 다른 과일 음료에 밀려 존재감이 희미해졌지만, 금주령의 예외가 되었기에 주목을 받았다.[88]금주령 폐지 후에는 근무 시간 중 음주가 만연하는 등의 문제가 심각해졌고, 과도한 음주는 서구에 비해 평균 수명이 현저히 낮았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다. 1985년에는 미하일 고르바초프 공산당 서기장이 주류 생산 제한 및 가격 인상을 단행했지만, 극도로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 서민들이 집에서 보드카를 밀조하기 위해 대량의 설탕을 사용함으로써 설탕 부족이 만성화되었고, 귀중한 수입원이었던 주세가 감소하는 등 재정에도 타격을 주었다.
2. 3. 3. 미국

과도한 알코올 소비에 대한 우려는 미국의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당시에는 음주 행위와 무허가 주류 판매에 대해 벌금이 부과되었다.[51] 19세기 중반, 복음주의 개신교도들은 음주를 죄악으로 규정하고 맥주, 와인, 주류 판매 금지를 요구했다. 메인주를 제외하고는 20세기 초까지 그들의 성공은 제한적이었다. 1840년대까지 금주 운동은 개인들이 즉시 음주를 중단하도록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노예제 문제, 그리고 그 후의 남북 전쟁은 1870년대까지 금주 운동을 압도했다.[52]
금주는 1870년대부터 1920년대 전국적인 금주가 시행될 때까지 주요 개혁 운동이었다. 특히 감리교도, 침례교도, 장로교도, 그리스도의 제자 교회, 합동 교회, 퀘이커교도, 스칸디나비아 루터교도 등 복음주의 개신교 교회들이 지지했다. 반대는 가톨릭, 성공회, 독일 루터교도들로부터 나왔다.[53] 1873년의 여성의 십자군 원정과 1874년에 설립된 (WCTU)[51]는 여성들이 투표권을 부여받기 훨씬 전에 정치적 행동을 조직하고 요구했던 수단이었다.[54] WCTU와 금주당은 20세기까지 주요 행위자였으며, 그 후 미국 금주회(Anti-Saloon League)가 이 운동의 지도자로 등장했다. 1913년까지 9개 주에서 주 전역의 금주가 시행되었고, 다른 31개 주에서는 지역 선택법이 시행되었다. 그 후 이 단체는 헌법 수정안과 전국적인 금주에 대한 풀뿌리 지지를 얻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51] 독일계 미국인 공동체는 맥주 산업의 기반이었으며, 1917년 미국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자 따돌림을 당했다. 새로운 헌법 수정안이 1917년 12월 의회를 통과했고, 1919년에 각 주에서 비준되었다.[55] 이는 "국내에서의 독주 제조, 판매 또는 운송, 그 수입 또는 수출"을 금지했다.[56] 1919년 10월 28일, 의회는 새로운 18조 수정안을 이행하기 위해 볼스테드법(Volstead Act)으로 알려진 국립 금주법을 통과시켰다.[57] 1년간의 필수적인 지연 기간 후, 전국적인 금주가 1920년 1월 16일에 시작되었다.[51]

처음에는 알코올 소비가 금주 이전 수준의 약 30%로 급감했지만, 몇 년 안에 불법 시장이 약 3분의 2로 성장했다.[58] 불법 밀주는 외딴 시골 지역뿐만 아니라 도시 빈민가에서도 번성했고, 캐나다에서 많은 양이 밀수입되었다. 밀주는 알 카포네가 시카고에서, 럭키 루치아노가 뉴욕시에서 활동하는 등 조직 범죄 집단에게 주요 사업 활동이 되었다.[59]
금주는 1929년부터 대공황 동안 지지를 잃었다.[60] 폐지 운동은 금주 반대 협회(Association Against the Prohibition Amendment)에 의해 시작되고 자금이 조달되었으며, 부유한 공화당원인 폴린 세빈(Pauline Sabin)은 전국 금주 개혁 여성 단체(WONPR)를 설립했다.[61][62] 미국 금주법 폐지는 1933년 12월 5일 제21조 수정안의 비준으로 달성되었다. 그 조항에 따라 각 주는 알코올 통제에 대한 자체 법률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다.[61][62]
1832년부터 1953년까지 연방법은 매우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알코올 판매를 금지했다. 1953년 이후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와 보호구역은 알코올 음료 판매를 규제하는 자체 지방 조례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되었다.[63]
21세기에도 미국에는 알코올 판매가 금지되거나 제한된 "건식 카운티"로 알려진 카운티와 패리시가 여전히 존재한다.[64]
2. 4. 금주법의 실패와 암시장
금주법은 완전히 효과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암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11] 금주법 기간 동안 밀주가 만연해졌으며, 조직 범죄가 알코올 유통을 장악하게 되었다. 캐나다, 멕시코, 카리브해의 증류소와 양조장은 미국인 방문객이 그들의 제품을 소비하거나 미국으로 불법 수출되었기 때문에 번창했다. 디트로이트와 시카고는 흥청거리는 20년대로 알려진 시대에 금주법 회피자들의 안식처로 악명이 높았다. 미국으로 밀수된 모든 알코올의 75%가 디트로이트-윈저 국경을 넘었다는 통계도 있다.[9]2. 4. 1. 밀주와 조직 범죄
미국에서는 1920년대에 금주법이 시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미국 수정헌법 제18조 및 볼스테드법을 참조하면 된다.3. 각국의 금주법
20세기 초, 북유럽 국가[2]와 북미의 금주 운동은 경건한 프로테스탄트의 도덕적 신념에서 비롯되었다.[3] 서구의 금주 운동은 여성 참정권 운동과 맞물려, 새롭게 권한을 얻은 여성들은 알코올 소비 억제 정책을 지지했다.[4][5]
20세기 전반기에는 여러 국가에서 알코올 음료 금지 기간이 있었다.
- 캐나다: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1901년~1948년)[6], 퀘벡(1919년) 등 대부분의 주에서도 시행되었다.
- 페로 제도: 1907년부터 1992년까지 시행되었으며, 1928년부터 덴마크로부터의 제한적인 개인 수입이 허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1914년부터 1925년까지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금주법이 시행되었다.[7]
- 아이슬란드: 1915년부터 1935년까지 아이슬란드의 금주법이 시행되었으며, 1922년부터 와인은 합법화되었으나 맥주는 1989년까지 금지되었다.[8]
- 노르웨이: 1916년부터 1927년까지 시행되었으며, 1917년부터 1923년까지는 강화 와인과 맥주도 금지되었다.
-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1919년 3월 21일부터 8월 1일까지 ''szesztilalom''이라는 금주법이 시행되었다.
- 핀란드: 1919년부터 1932년까지 ''kieltolaki''(금주법)가 시행되었다.
- 미국: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의 금주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북미 등지에서 금주는 실패했다. 밀주가 만연했고, 조직 범죄가 알코올 유통을 장악했다. 캐나다, 멕시코, 카리브해의 증류소와 양조장은 미국인 방문객이 제품을 소비하거나 미국으로 불법 수출하면서 번창했다. 디트로이트와 시카고는 흥청거리는 20년대에 금주법 회피자들의 안식처로 악명이 높았다. 미국으로 밀수된 알코올의 75%가 디트로이트-윈저 국경을 넘었다.[9] 금주는 1920년대 후반 또는 1930년대 초에 대체로 종식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수년간 지속되었다.
일부 국가에서는 우세한 종교가 알코올 사용을 금지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알코올 음료의 생산, 판매 및 소비가 금지되거나 제한된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와 리비아에서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으며, 파키스탄과 이란에서는 예외를 제외하고 불법이다.[10]
3. 1. 아시아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도 금주법이 시행되거나 특정 상황에서 주류 판매 및 소비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몰디브에서는 알코올 음료 수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리조트 섬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만 제한적으로 허용된다.[89] 방글라데시에서도 금주령이 시행되고 있지만, 일부 호텔이나 레스토랑에서는 외국인에게 알코올 음료를 판매할 수 있으며, 외국인은 소량의 알코올 음료를 개인적으로 음용하기 위해 수입할 수 있다.
브루나이에서는 공공장소에서의 알코올 음료 소비 및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다만, 비무슬림은 개인적인 음용을 위해 일정량의 알코올 음료를 구입할 수 있다.[89] 싱가포르에서는 2013년 리틀 인디아 폭동 사건 이후 2015년 4월 1일부터 "공공장소"에서 오후 10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음주 및 주류 소매 판매가 금지되었다.[89]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금주령은 주나라 주공이 내린 「주고(酒誥)」이다.[91] 은나라 주왕, 하나라 걸왕이 술 때문에 나라를 망친 것을 교훈 삼아 내려졌으나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후한 말 조조와 유비도 금주령을 내렸는데, 조조의 금주령은 군량미 부족이 배경이었고, 유비의 금주령은 지나치게 엄격하여 간옹의 풍자를 받았다.
일본에서는 646년 최초의 금주령이 발령된 이후 여러 차례 금주령이나 주조 제한이 있었다.[78] 가마쿠라 막부 시대에는 술 판매를 금지하는 "고주(沽酒)의 금"이 발령되었고,[92] 전국 시대에는 아시나 모리우지, 쵸소가베 모토치카 등이 금주령을 내렸다. 에도 시대에는 과음 금지령이 내려졌는데, 이는 생류연민의 령과 관련하여 술에 취해 동물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태국에서는 특정 시간대와 공휴일, 선거 기간 등에 알코올 판매를 금지한다. 학생들의 알코올 구매를 막기 위해 오후 시간대 판매를 금지하며,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의 계산대는 이 시간대에 알코올 음료를 처리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3. 1. 1. 대한민국
백제는 민간에서 사사로이 술 빚는 것을 금지했다는 기록[95]이 있다. 고려 시대에는 나라에서 민간과 절에서 사사로이 술 빚는 것을 금지한 기록[96]이 여러 건 보인다.조선에서는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금주령을 내렸다. 조선에서는 쌀로 술을 빚었기 때문에 쌀 소비를 줄여 식량 사정을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목적이었다. 조선 영조 시대의 금주법[97]이 대표적인 예이다. 가뭄 때문에 술 제조를 금지한 사례도 있다.[98] 태종 시대에는 거의 매년, 성종과 연산군 시대에는 자주 금주령이 내려졌다.[26] 영조 34년(1758년)에도 다시 금주령이 내려졌다.[26] 금주령은 주로 가뭄이 심했던 봄과 여름에 시행되었다.[26]
3. 1. 2.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주류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3. 1. 3.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에서는 이슬람교의 금주 규정에 따라 알코올이 어느 정도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슬람 율법은 특정 상황에서 예외를 허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로족은 쌀로 만든 맥주를 마시는 전통이 있으며, 방글라데시의 기독교인들은 성찬을 위해 포도주를 마시고 구매하는 것이 허용된다.3. 1. 4. 인도
인도에서는 주류가 주(州)의 관할 사항이며 각 주는 금주법을 제정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주에서는 금주법이 시행되지 않고 29개 주 중 24개 주에서 주류 판매 및 소비가 자유롭게 허용되고 있다. 미조람, 구자라트, 비하르, 나갈랜드 주와 마니푸르의 일부 지역, 그리고 연방 직할지인 락샤드위프에서는 금주법이 시행되고 있다. 다른 모든 인도의 주와 연방 직할지에서는 주류 판매가 허용된다.[15]선거일과 독립기념일과 같은 특정 국경일은 주류 판매가 허용되지 않는 “금주일”로 지정되어 있지만, 소비는 허용된다. 일부 인도 주에서는 해당 지역에서 축제의 인기에 따라 주요 종교 축제/기념일에 금주일을 시행한다.[16]
3. 1. 5. 몰디브
몰디브는 알코올 수입을 금지하며, 모든 수하물은 도착 시 X선 검사를 받는다.[89] 알코올 음료는 리조트 섬에 있는 외국인 관광객에게만 제공되며, 리조트 밖으로 반출할 수 없다.[89]3. 1. 6.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1947년부터 30년 동안 알코올의 자유로운 판매와 소비가 허용되었으나, 줄피카르 알리 부토가 1977년 총리직에서 해임되기 몇 주 전에 제한 조치가 도입되었다. 그 이후로는 힌두교도, 기독교인, 조로아스터교도와 같은 비무슬림 소수 민족 구성원만 알코올 허가를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17]월별 할당량은 소득에 따라 다르지만, 실제로는 주류 약 5병 또는 맥주 100병 정도이다. 1억 8천만 명의 인구를 가진 파키스탄에서 알코올을 판매할 수 있는 곳은 약 60곳에 불과하다. 라왈핀디의 무리 양조장은 한때 유일한 합법 양조장이었지만, 현재는 더 많아졌다. 이 금주령은 공식적으로 국가의 이슬람 이데올로기 위원회에 의해 시행되지만, 엄격하게 단속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종교적 소수 민족 구성원들은 종종 알코올 암시장 거래의 일환으로 무슬림들에게 주류 허가증을 판매한다.[17]
3. 1. 7. 스리랑카
1955년 스리랑카는 성인 여성이 주류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18] 2018년 1월, 망갈라 사마라위라 재무장관은 여성이 합법적으로 주류를 소비하고 주류 판매업소에서 일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19] 그러나 며칠 후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 대통령이 이 합법화를 무효화했다.[20]3. 1. 8. 브루나이
브루나이에서는 공개적으로 알코올의 소비 및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비무슬림은 자신의 개인 소비를 위해 해외 출발 지점에서 제한된 양의 알코올을 구입할 수 있으며, 18세 이상의 비무슬림은 1인당 주류 2병(약 2L)과 맥주 12캔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입할 수 있다.[89]3. 1. 9.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소규모 상점 및 편의점에서의 주류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3. 1. 10.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이슬람교와 샤리아 법에 따라 무슬림에게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다.[27] 그러나 전국의 슈퍼마켓, 전문점, 편의점에서는 알코올 제품을 쉽게 구할 수 있다. 할랄이 아닌 음식점에서도 일반적으로 알코올을 판매한다.3. 1. 11. 필리핀
필리핀에서는 선거 기간에만 알코올 판매에 제한이 있다. 선거일 이틀 전부터 알코올의 판매, 제공, 구매, 섭취가 금지된다.[28] 호텔과 식당은 사전에 면제를 받을 수 있지만, 그렇더라도 필리핀 국민이 아닌 외국인에게만 알코올을 제공할 수 있다.[28] 금주 기간 이전에 비축해 둔 알코올의 개인적인 소비는 허용된다.[28] 필리핀 선거위원회는 주류 판매 금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28] 2013년 선거에서는 금주 기간을 5일로 연장하는 제안이 있었으나,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28]선거 관련 금주 조치를 제외하고는, 법정 음주 연령 이상인 사람에게는 알코올이 자유롭게 판매된다.
3. 1. 12. 태국
태국에서는 선거 기간 중 투표 전날 오후 6시부터 투표 당일 종료 시까지 주류 판매가 금지된다. 주요 불교 공휴일에도 주류 판매가 금지되며, 국왕의 생일과 같은 왕실 기념일에도 때때로 금지된다.[29]태국에서는 또한 매일 시간 제한적인 주류 판매 금지 조치를 시행한다. 주류는 상점이나 식당에서 오전 11시~오후 2시, 오후 5시~자정 사이에만 합법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이 법은 대부분의 주요 소매업체(특히 세븐일레븐)와 식당에서 시행되지만, 작은 가게에서는 자주 무시된다. 호텔과 리조트는 규정에서 제외된다.
주유소(주류 판매도 불법인 곳) 200m 이내, 학교, 사찰, 병원, 그리고 운전자든 승객이든 관계없이 모든 유형의 도로 차량 내부에서는 언제든지 주류 소비가 금지된다.
태국 설날(송크란)과 같이 일년 중 특정 시기에 정부는 대규모 축제가 열리고 많은 군중이 예상되는 특정 공공장소에서 주류 판매 및 소비에 대한 임의적인 금지 조치를 시행할 수도 있다.
태국은 2008년 주류 통제법(ABCA)에 명시된 대로 주류 광고를 엄격하게 규제한다.[30][31] "전자 채널"(인터넷)을 통한 주류 판매는 금지되어 있다.[32]
태국에서는 학생들이 알코올 음료를 구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오후 시간대 알코올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의 전자계산기는 이 시간대에 알코올 음료를 처리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지만, 계산대 직원들은 종종 같은 금액의 다른 물건을 스캔하여 규제를 회피하고 있다. 또한 일부 공휴일, 선거 투표일과 전날에는 모든 상점, 레스토랑 등에서 알코올 판매가 금지된다.
3. 2. 중동
이슬람교 국가들은 코란의 가르침에 따라 오늘날에도 알코올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10] 코란에서는 술과 도박이 악마의 행위이며, 사람들 사이에 증오를 일으키고 알라를 기억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가르친다.[80][81]터키에서는 금주령이 시행되지 않으며, 18세 이상이면 술을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다. 다만, 총선거 기간에는 24시간 동안 술 판매가 금지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는 알코올 음료의 생산, 수입, 소비를 엄격하게 금지하며, 위반 시에는 징역, 태형 등 엄한 처벌을 받는다. 1991년 걸프전 당시 다국적군은 현지 관습을 존중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주둔 병사의 음주 행위를 처벌했다.
카타르는 알코올 음료 수입을 금지하며, 공공장소에서 술을 마시거나 취한 상태로 있는 것은 불법이다. 위반 시 징역형이나 추방형에 처해질 수 있다. 그러나 허가받은 호텔 레스토랑이나 바에서는 술을 마실 수 있으며, 카타르 거주 외국인은 허가를 받으면 음주가 가능하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주류 판매점에서 비무슬림 외국인에게 술을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지는 않지만, 거주 허가와 내무부의 음주 허가를 소지한 사람에게만 허용된다.
바레인은 페르시아만 국가 중 가장 먼저 알코올을 허용한 국가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육로로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술이 유통되고 있다.
이란은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알코올 음료 생산과 소비를 금지하고 있으며, 법 위반 시 가혹한 형벌이 부과된다. 그러나 이 법은 곳곳에서 어겨지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소수의 비무슬림은 종교적 행사를 위해 개인적으로 알코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탈레반 정권이 음주를 엄격하게 단속했다.[83] 2000년대부터 2010년대 탈레반 세력이 약해진 시기에는 외국인에 대한 금지가 폐지되어, 특정 상점에서 여권을 제시하면 외국인임을 증명하고 술을 구매할 수 있었다.
3. 2. 1. 이란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는 알코올 음료의 생산과 소비가 금지되었으며, 이를 위반하면 가혹한 형벌을 받는다.[21] 그러나 이 법은 곳곳에서 어겨지고 있다. 공식적으로 소수 비무슬림들은 성찬 등 종교적 행사를 위해 개인적으로 알코올 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허용된다.[22]3. 2. 2. 쿠웨이트
주류의 소비, 수입, 양조 및 밀거래는 법률에 따라 엄격히 금지된다.[23]3. 2. 3.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알코올의 판매, 소비, 수입, 양조 및 밀거래가 법률에 따라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24] 1991년 걸프전 당시 다국적군은 현지 관습을 존중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주둔 병사의 음주 행위를 처벌했다.3. 2. 4. 예멘
예멘에서는 주류가 금지되어 있다.[24]3. 3.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알코올 음료의 생산, 판매 및 소비가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리비아에서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으며, 파키스탄과 이란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법이다.[10] 리비아는 알코올 음료의 수입, 판매, 소비를 금지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튀니지에서는 와인을 제외한 알코올 음료가 제한되며, "여행객을 위한" 특별 지역이나 바, 대도시에서만 판매와 소비가 허용된다. 다만, 와인은 널리 구할 수 있다. 모로코는 라마단 기간 동안 알코올 음료 판매를 금지한다. 수단은 알코올 소비를 전면 금지하고 있으며, 위반 시 엄격한 처벌을 부과한다.[82]
3. 3. 1. 나이지리아
영국의 식민지였던 나이지리아에서는 선교사들이 주류 금지를 요구했지만, 이는 대중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다. 아프리카인과 영국인 모두 비밀리에 술을 증류하거나, 식민지 주류 허가를 얻거나, 밀수하는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술을 구했다. 이러한 금주 시도는 1890년에 시작되어 1939년에 폐지되었다.[12]3. 3. 2.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기간 동안 알코올 판매는 물론, 개인의 거주지 외부로 알코올을 운반하는 것까지 불법화되었다. 이 조치는 2020년 3월 27일 전국적인 봉쇄 조치와 함께 시행되었다. 금주령의 목적은 술에 취한 싸움을 예방하고, 가정 폭력을 줄이며, 음주 운전을 막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역에 만연한 주말 폭음을 없애는 것이었다.경찰, 의료진, 분석가들은 알코올이 응급 병원 입원의 최소 40%(보수적인 추정치)에 관여하거나 원인이 된다고 추산한다. 병원과 사회적 모임 내 인원수를 줄임으로써 금주령의 목표는 전염률을 낮추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늦추는 것이었다.[13]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금지 조치는 부상으로 인한 사망률을 최소 14%(보수적인 추정치) 감소시켰고 폭력 범죄를 크게 줄였다.[14]
3. 4. 유럽
20세기 전반기에 여러 유럽 국가에서 알코올 음료 금지 기간이 있었다.- 1907년부터 1992년까지 페로 제도; 1928년부터 덴마크로부터의 제한적인 개인 수입이 허용되었다.[2]
- 1914년부터 1925년까지: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금주법[7]
- 1915년부터 1935년까지: 아이슬란드의 금주법 (1922년부터 와인은 합법적이었지만 맥주는 1989년까지 금지됨)[8]
- 1916년부터 1927년까지 노르웨이 (1917년부터 1923년까지 강화 와인과 맥주도 금지됨)
- 1919년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3월 21일부터 8월 1일까지, ''szesztilalom''이라고 불림)
- 1919년부터 1932년까지 핀란드 (''kieltolaki'', "금주법"이라고 불림)
러시아 제국에서는 1914년에 제한적인 금주령이 시행되었다.[87] 이는 러시아 혁명·러시아 내전의 혼란기 이후에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치면서 1925년까지 유지되었다. 19세기 무렵부터 전통적인 저알코올 음료인 크바스는 모르스나 레모네이드 등 다른 과일 음료에 밀려 존재감이 희미해졌지만, 금주령의 예외가 되었기에 주목받았다.[88]
금주령 폐지 후에는 근무 시간 중 음주가 만연하는 등의 문제가 심각해졌고, 과도한 음주는 서구에 비해 평균 수명이 현저히 낮았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다. 1985년에는 미하일 고르바초프 공산당 서기장이 주류 생산 제한 및 가격 인상을 단행했지만, 극도로 좋지 않은 반응을 얻었다. 서민들이 집에서 보드카를 밀조하기 위해 대량의 설탕을 사용함으로써 설탕 부족이 만성화되었고, 귀중한 수입원이었던 주세가 감소하는 등 재정에도 타격을 주었다.
덴마크를 제외한 북유럽 국가들에는 오랜 금주 전통이 있었다.
3. 4. 1. 체코
2012년 체코 정부는 알코올 도수 20%가 넘는 모든 알코올 음료 판매를 금지했다.[33] 이는 상점, 슈퍼마켓, 바, 레스토랑, 주유소,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해당 알코올 음료 판매를 불법으로 규정한 조치였다. 이러한 조치는 체코에서 18명의 사망자를 낸 메탄올 중독 사례가 급증함에 따른 것이었다.[33] "메탄올 사건" 이후 사망자는 총 25명으로 늘었다. 금지 조치는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유효할 예정이었으나,[34] 9월 말 규제가 완화되었다.[35] 체코의 메탄올 중독 사건과 관련된 알코올 판매 금지는 2012년 10월 10일, 인근 슬로바키아와 폴란드가 다시 수입을 허용하면서 해제되었다.[36]3. 4. 2. 북유럽 국가
북유럽 국가는 덴마크를 제외하고 19세기 후반부터 강력한 금주 운동을 전개해 왔는데, 이는 19세기 후반의 기독교 부흥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여러 노동자 단체와도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1910년 스웨덴의 금주 단체 회원 수는 약 33만 명이었는데,[37] 이는 당시 550만 명의 인구의 약 6%에 해당한다.[38] 이는 20세기 초 북유럽 정치인들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1907년, 페로 제도는 모든 알코올 판매를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으며, 이 법률은 1992년까지 시행되었다. 1928년부터 덴마크로부터 매우 제한적인 개인 수입이 허용되었다.
1914년, 스웨덴은 1955년까지 시행된 브랫 시스템(Bratt System)이라는 배급 제도를 도입했다. 1922년 국민투표에서는 전면 금주를 시행하려는 시도가 부결되었다.
1915년, 아이슬란드는 전면 금주령을 선포했다. 와인에 대한 금지는 1922년, 증류주에 대한 금지는 1935년에 해제되었지만, 맥주는 1989년까지 금지되었다(저알코올 맥주와 증류주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우회).
1916년, 노르웨이는 증류주를 금지했고, 1917년에는 금주령이 강화 와인과 맥주까지 확대되었다. 와인과 맥주에 대한 금지는 1923년에 해제되었고, 1927년에는 증류주에 대한 금지도 해제되었다.

1919년,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최초의 행위 중 하나로 금주령을 시행했다. 20세기 초 금주령을 시행하려는 네 번의 이전 시도는 차르의 반대로 실패했다. 미국의 금주령 시대와 유사하게 대규모 밀수와 폭력 및 범죄율 증가가 발생하면서 여론이 금주령에 반대하게 되었고, 70%가 법 폐지를 찬성한 전국적인 국민투표 이후 1932년 초에 금주령이 폐지되었다.[39][40]
오늘날 덴마크를 제외한 모든 북유럽 국가는 알코올 판매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대중에게 높은 세금(관세)이 부과된다. 노르웨이(Vinmonopolet), 핀란드(Alko), 스웨덴(Systembolaget|스웨덴 주류 판매 회사sv), 아이슬란드(Vínbúðin), 페로 제도(Rúsdrekkasøla Landsins)에서는 증류주, 와인, 고농도 맥주의 판매를 위한 정부 독점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바와 레스토랑은 다른 회사를 통해 직접 또는 알코올 음료를 수입할 수 있다.
3. 4. 3. 영국
영국에서는 상업용 알코올 판매나 소비가 법으로 금지된 적은 없었지만, 퀘이커교, 영국감리교회 등 여러 비국교도(프로테스탄트) 단체들이 알코올 금주를 주장해 왔다. 19세기에는 희망 영국(Hope UK)과 차티즘 금주 운동도 있었다.[43] 번빌 마을은 설립자인 존 캐드버리의 퀘이커 신앙과 캐드버리 초콜릿 공장 노동자들을 위해 알코올이 없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 바람 때문에 전통적으로 술집이 없는 건조한 마을로 남아 있다.[43]1853년, 미국의 메인주법에서 영감을 받은 영국동맹은 영국에서 알코올 판매를 금지하는 법 제정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이들은 법적 금지보다는 도덕적 설득을 선호하는 다른 금주 단체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이러한 내부 분열은 금주 운동 전체의 효과를 제한했다. 1854년 일요일 영업 시간을 제한했던 1854년 맥주 판매법이 광범위한 폭동 이후 폐지되었고, 1859년 시범 금주 법안은 하원에서 압도적으로 부결되면서 입법의 무력함이 입증되었다.[44]
1917년 3월 22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런던 퀸스 홀에서 열린 집회(의장: 알프레드 부스)에서 애그니스 웨스턴을 포함한 많은 저명 인사들이 알코올 섭취에 반대하고 금주를 촉구하는 연설을 하거나 편지를 낭독했다. 리지널드 하트 장군은 편지에서 "모든 경험 많은 장교는 군대 내 거의 모든 불행과 범죄가 음주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썼다. 채닝 경은 1914년 전쟁 기간 동안 완전 금주를 촉구했던 조지 5세와 키치너 경의 예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 유감이라고 말했다.[45]
에드윈 스크림저는 1922년 11월 15일부터 1931년 10월 8일까지 던디 지역구의 국회의원이었다. 그는 금주주의 정책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유일한 인물이다. 1922년 영국 자유당 의원 윈스턴 처칠을 물리치고 자신이 1901년에 설립한 스코틀랜드 금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1905년 던디 시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1908년부터 1922년까지는 국회의원 후보로 여러 번 출마했으나 실패했다.
3. 4. 4. 러시아 제국과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제국에서는 1914년에 제한적인 금주령이 시행되었다.[87] 이는 러시아 혁명·러시아 내전의 혼란기 이후에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치면서 1925년까지 유지되었다. 19세기 무렵부터 전통적인 저알코올 음료인 크바스는 모르스나 레모네이드 등 다른 과일 음료에 밀려 존재감이 희미해졌지만, 금주령의 예외가 되었기에 주목받았다.[88]3. 5. 북미
20세기 초, 북유럽 국가[2]와 북미에서 일어난 금주 운동은 주로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교도들의 도덕적 신념에서 비롯되었다.[3] 서구의 금주 운동은 여성 참정권 운동과 시기가 맞물렸으며, 새롭게 참정권을 얻은 여성들은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4][5]20세기 전반, 여러 국가에서 알코올 음료를 금지하는 시기가 있었다.
- 캐나다의 금주법: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주에서도 시행되었다.
-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1901년부터 1948년까지[6]
- * 퀘벡: 1919년
- 미국의 금주법: 1920년부터 1933년까지
그러나 북미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금주법은 실패로 끝났다. 밀주가 성행하고 조직 범죄가 알코올 유통을 장악했다. 캐나다, 멕시코, 카리브해 지역의 증류소와 양조장은 미국인 관광객들이 제품을 소비하거나 미국으로 불법 수출하면서 호황을 누렸다. 디트로이트와 시카고는 흥청거리는 20년대라 불리는 시기에 금주법을 회피하는 사람들의 안식처로 악명을 떨쳤다. 미국으로 밀수된 알코올의 75%가 디트로이트-윈저 국경을 넘었다는 기록도 있다.[9] 결국 1920년대 후반 또는 1930년대 초, 북미와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금주법은 폐지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수년 동안 금주가 이어지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1920년대에 금주법이 시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미국 수정헌법 제18조'' 및 ''볼스테드법'' 참조)
1933년 미국 수정헌법 제21조가 발효되면서 연방 차원의 금주 권한은 사라졌지만, 주 차원의 금주 법령은 유지되었으며, 주 법에 어긋나게 주 내에서 소비할 목적으로 주류를 반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 1966년 이후로는 모든 주에서 금주법이 폐지되었지만, 주 법에 따라 금주 권한을 위임받은 기초자치단체 중에는 금주 조례를 제정한 곳도 있다. (''금주 군'' 참조) 또한, 유타주처럼 주류 판매점이나 판매 시간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주도 있다.
3. 5. 1. 멕시코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의 통제하에 있는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 주의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집단적 결정"이라는 과정을 통해 알코올 판매를 금지한다. 이러한 금주는 가정 폭력을 줄이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여성들에게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49] 그러나 사파티스타 운동이 연방 정부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멕시코 연방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베니토 후아레스 탄생일 및 혁명 기념일과 같은 특정 국경일 전날 밤과 당일에는 알코올 판매와 구매가 금지되며, 이는 전국적으로 금주가 시행되는 날이다. 6년마다 대통령 선거 전에도 같은 "금주법"이 적용된다.
3. 6. 남미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국가에서는 선거 전후 및 선거 기간에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85] 이는 소비를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3. 6. 1.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에서는 모든 선거 전 24시간 동안 주류 판매 및 유통이 전국적으로 금지된다. 이 제한 조치에는 주류 판매업체, 주류 판매점, 슈퍼마켓, 레스토랑, 와이너리, 선술집, 바, 공공 오락 시설, 클럽 및 주류를 판매하는 모든 업체가 해당된다.[65]성주간에도 같은 조치가 시행되는데, 이는 이 기간 동안 우려되는 수준의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다.[66][67]
3. 7.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금주법이 시행된 역사가 있다.호주에서는 일부 애버리진 공동체에서 알코올 음료가 금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주 지역에 알코올 음료를 반입하는 행위는 엄중한 처벌을 받는다. 노던 준주에서는 알코올 음료 반입에 사용된 차량이 몰수되기도 한다.[90] 일부 공동체에서는 알코올 남용으로 인한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바와 같은 대체재를 찾기도 하지만, 이러한 대책의 효과는 공동체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금주 운동이 시작되었으나, 전국적인 금주법 제정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술집의 6시 종료 시간과 일요일 영업 금지 조치는 유지되었다. 6시 영업 종료는 1967년에 밤 10시로 연장되었다.[73][74] 인버카길(Invercargill)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개별적인 투표를 통해 '건조 지역'을 설정하기도 했다.[75]
3. 7. 1.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당시 연방 수도 준주)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금주법을 처음으로 시행한 지역이었다. 1911년 당시 내무부 장관이었던 킹 오말리는 새 수도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 무질서한 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의회를 통해 주류 판매 허가증의 신규 발급 또는 양도를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68] 준주 외부에서 구입한 주류 소지는 여전히 합법적이었고, 기존 허가증을 보유한 몇몇 주점은 계속 영업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금주는 부분적이었다. 연방 의회는 1928년 주민투표에서 연방 수도 준주 주민들이 금주법 종식에 찬성표를 던진 후 해당 법률을 폐지했다.[68]
그 이후 일부 주 정부와 지방 의회는 건조 지역을 제정했다. 이는 주류 판매점, 클럽, 카페, 바, 호텔, 레스토랑 및 개인 주택과 같은 허가 지역에서만 주류 구입 또는 소비가 허용되는 지역이다. 거리, 공원, 광장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는 주류 소비가 허용되지 않지만, 허가된 장소에서 구입한 병에 담긴 주류를 소지하는 것은 허용된다. 거의 모든 건조 지역은 더 큰 도시 또는 농촌 지역 내에 있는 작게 정의된 구역이다.[69][70][71]
최근에는 많은 오지 원주민 지역 사회에서 주류가 금지되었다. 이러한 "건조" 지역으로 주류를 운반하는 데 대한 처벌은 매우 심각하며, 관련 차량의 압수로 이어질 수 있다. 노던 준주 내 건조 지역에서는 주류 운반에 사용된 모든 차량이 압수된다.[72]
3. 7. 2.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는 1880년대 중반, 프로테스탄트 복음주의 및 비국교회와 여자 기독교 금주 연합, 그리고 1890년 이후 금주 동맹에 의해 금주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개인의 미덕만으로 식민지를 개척 사회에서 더 성숙한 사회로 이끌 수 있다고 가정했지만, 전국적인 금주라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영국 성공회와 주로 아일랜드계 가톨릭 교회는 모두 금주를 교회 영역에 대한 정부의 간섭으로 거부했고, 성장하는 노동 운동은 알코올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적으로 보았다.[73][74]개혁가들은 뉴질랜드가 선구적인 여성 참정권을 통해 균형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랐지만, 여성들은 다른 나라만큼 조직화되지 않았다. 1911년 국민투표에서 금주는 다수의 지지를 받았지만, 통과에는 60%의 득표율이 필요했다. 이 운동은 1920년대에도 계속되어 세 차례의 국민투표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지만, 술집의 6시 종료 시간과 일요일 영업 금지 조치는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대공황과 전시는 이 운동을 사실상 종식시켰다.[73][74] 그러나 6시 영업 종료는 1967년 10월 밤 10시로 연장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수년 동안 개별 도시나 선거구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종종 총선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투표는 해당 지역이 "건조 지역"(dry)이 될지 여부, 즉 해당 지역에서 알코올을 공공장소에서 구입하거나 소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했다. 주목할 만한 예로, 1907년부터 1943년까지 건조 지역이었던 남부 도시 인버카길(Invercargill)이 있다. 알코올을 원하는 사람들은 보통 도시 밖(근처 마을인 로네빌이나 윈턴 등)으로 이동하여 현지 술집에서 술을 마시거나 집으로 가져갈 알코올을 구입했다. 이러한 '건조 지역'의 마지막 보루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버카길의 주류 판매를 관할하는 면허 신탁의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뉴질랜드 대부분 지역과 달리 이 도시에서는 슈퍼마켓에서 알코올(맥주와 와인 포함) 판매가 허용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알코올은 술집과 주류 판매점에서만 판매할 수 있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뉴질랜드에서도 금주는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는데, 조직적인 밀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에서 가장 유명한 밀주는 호코누이 언덕(Hokonui Hills)에서 생산된 것이었는데, 이곳은 고어(인버카길에서 가장 가까운 대도시) 마을 근처에 있다. 오늘날에도 "호코누이"라는 용어는 많은 뉴질랜드인들에게 불법 위스키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75]
4. 선거와 금주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국가, 필리핀, 태국, 터키, 인도, 그리고 미국의 여러 주에서는 선거 전후로 알코올 판매가 금지되지만, 소비는 허용되지 않는다.[76][77]
참조
[1]
서적
Arts and Culture, An Introduction to the Humanities
Pearson
[2]
웹사이트
Protestants and Catholics
https://alcohol.iu.e[...]
2024-03-01
[3]
서적
The winning of the Midwest: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 1888–1896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Ideas of the Woman Suffrage Movement, 1890–1920
[5]
서적
A history of the anti-suffrag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from 1895 to 1920: women against equality
[6]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n alcohol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7]
웹사이트
Sobering effect: What happened when Russia banned booze
http://rbth.com/opin[...]
2014-08-15
[8]
뉴스
Beer (Soon) for Icelander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8-05-11
[9]
웹사이트
Prohibition in Detroit: Inside the city's most infamous speakeasy
https://www.clickond[...]
2020-01-28
[10]
뉴스
Tipsy Taboo
http://www.economist[...]
2012-08-18
[11]
뉴스
Secret Gyms and the Economics of Prohibition
https://www.npr.org/[...]
2020-08-11
[12]
간행물
'We think prohibition is a farce': drinking in the alcohol-prohibited zone of colonial northern Nigeria
https://www.jstor.or[...]
[13]
뉴스
Is South Africa's alcohol ban working?
https://www.bbc.com/[...]
2020-04-22
[14]
간행물
Alcohol, Violence and Injury-Induced Mortality: Evidence from a Modern-Day Prohibition
2022
[15]
뉴스
States with total and phase-wise prohibition of alcohol in India
http://indianexpress[...]
[16]
웹사이트
A complete list of dry days in India in 2024
https://www.financia[...]
2024-01-03
[17]
뉴스
Lone brewer small beer in Pakistan
http://www.theage.co[...]
2003-03-11
[18]
뉴스
Sri Lanka removes ban on sale of alcohol to women
https://www.bbc.com/[...]
2018-01-10
[19]
뉴스
Sri Lanka removes 63-year-old ban on alcohol for women
https://www.dailysab[...]
2018-01-09
[20]
뉴스
Sri Lanka's president rejects move to allow women to buy alcohol
https://www.bbc.com/[...]
2018-01-14
[21]
서적
Christianity in Persia and the Status of Non-muslims in Ir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2]
웹사이트
Alcohol in Iran: A Complete Guide to Iran's Drinking Policy for Tourists
https://www.mahcard.[...]
2019-08-07
[23]
웹사이트
Living in Kuwait – GOV.UK
https://www.gov.uk/g[...]
2021-03-23
[24]
웹사이트
Saudi Arabia
https://web.archive.[...]
Travel.state.gov
2012-10-22
[25]
웹사이트
Indonesia's New Alcohol Ban
https://thediplomat.[...]
[26]
웹사이트
금주령(禁酒令) Prohibition of alcohol
https://encykorea.ak[...]
2024-02-18
[27]
웹사이트
Alcohol Policies in Malaysia
http://traveltips.us[...]
[28]
뉴스
Cheers! Here's to SC rule cutting liquor ban duration
https://newsinfo.inq[...]
2013-05-09
[29]
웹사이트
Thailand Public Holidays 2020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Regulations on Advertisement of Alcoholic Beverages
https://www.ilct.co.[...]
2020-07-23
[31]
웹사이트
Alcoholic Beverage Control Act, B.E. 2551 (2008)
http://web.krisdika.[...]
2008-02-06
[32]
뉴스
Thailand bans online sales of alcohol
https://www.nst.com.[...]
2020-09-09
[33]
뉴스
Nečas: Liquor needs new stamps before hitting the shelves
https://archive.toda[...]
2012-09-20
[34]
뉴스
Czechs ban sale of spirits after bootleg booze kills 19
https://web.archive.[...]
2012-09-14
[35]
뉴스
Czechs partially lift spirits ban after mass poisoning
https://www.bbc.co.u[...]
2012-09-26
[36]
뉴스
Slovakia, Poland lift ban on Czech spirits
http://www.eubusines[...]
2012-10-10
[37]
웹사이트
IOGT history
http://www.iogt.info[...]
2011-12-08
[38]
웹사이트
SCB Population statistics for 1910
http://www.scb.se/Gr[...]
2011-12-08
[39]
논문
Finland's Prohibition Experiment
[40]
간행물
Prohibition in Finland, 1919–1932; its background and consequences
1954-09
[41]
웹사이트
Imagine drinking water only: alcohol and Greenland
http://thefourthcont[...]
2013-07-26
[42]
서적
The Alcoholic Empire: Vodka & Politics in Late Imperial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43]
뉴스
'It's basically a Ladybird book': Inside Bournville, Cadbury's peculiar tee-total Victorian village
https://www.telegrap[...]
2024-02-07
[44]
서적
This is Alcohol
[45]
뉴스
1917-03-23
[46]
논문
Making Sober Citizens: The Legacy of Indigenous Alcohol Regulation in Canada, 1777–1985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12
[47]
서적
The Peoples of Canada: A Post-Confederation History, Third 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48]
논문
Brewers and Distillers Paradise: American Views of Canadian Alcohol Policies
[49]
웹사이트
The Zapatistas Reject the War on Drugs
http://www.narconews[...]
Narco News
2010-04-25
[50]
서적
The War on Alcohol: Prohibition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State
W. W. Norton & Company
[51]
웹사이트
History of Alcohol Prohibition
http://www.druglibra[...]
Schaffer Library of Drug Policy
2013-11-08
[52]
서적
The War on Alcohol: Prohibition and the Rise of the American State
[53]
서적
Interpreting the Prohibition Era at Museums and Historic Sit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4]
웹사이트
Women's Christian Temperance Movement
https://www.pbs.org/[...]
PBS
2014-12-04
[55]
뉴스
Prohibition wins in Senate, 47 to 8
https://timesmachine[...]
2013-10-22
[5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mendments 11–27: Amendment XVIII, Section 1
https://www.archives[...]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3-11-08
[57]
웹사이트
Volstead Act (National Prohibition Act of 1919)
https://www.alcoholp[...]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otsdam
2019-01-24
[58]
웹사이트
Alcohol Consumption During Prohibition (NBER Working Paper No. 3675 (Also Reprint No. r1563))
https://www.nber.org[...]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9-01-07
[59]
웹사이트
Prohibition Profits Transformed the Mob
http://prohibition.t[...]
The Mob Museum
2019-01-24
[60]
서적
Repealing National Prohibition
Th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61]
서적
Battling Demon Rum: The Struggle for a Dry America, 1800–1933
https://archive.org/[...]
Ivan R. Dee
[62]
백과사전
Alcohol Prohibition
http://eh.net/encycl[...]
Economic History Association
2013-11-08
[63]
논문
"The Greatest Evil:" Interpretations Of Indian Prohibition Laws, 1832–1953
http://digitalcommon[...]
2003-01
[64]
뉴스
Drink up 'Betsy
http://archives.star[...]
2017-06-09
[65]
웹사이트
¿Cuándo comienza la LEY SECA por las Elecciones Municipales?
http://www.eleccione[...]
2015-11-29
[66]
뉴스
En Gaceta decreto de "Ley Seca" para Semana Santa
http://www.el-carabo[...]
2012-03-30
[67]
뉴스
Expendio de bebidas alcohólicas estará suspendido los días 9, 13, 14 y 16 de abril
https://www.el-carab[...]
2017-06-13
[68]
웹사이트
Prohibition in Canberra
http://yourmemento.n[...]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16-04-17
[69]
웹사이트
Dry Areas Adelaide
http://www.sa.gov.au[...]
2019-08-16
[70]
웹사이트
Alcohol Restrictions Sydney
https://www.cityofsy[...]
2019-08-16
[71]
웹사이트
Dry Areas Victoria
https://www.vcglr.vi[...]
Victorian Commission for Gambling and Liquor Regulation
2019-08-16
[72]
논문
'Sly grog' and 'homebrew':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illicit alcohol and some of its impacts on Indigenous communities with alcohol restrictions in regional and remote Queensland (Australia)
2017-07-21
[73]
간행물
Drink and the Historians: Sober Reflections on Alcohol in New Zealand 1840–1914
2010-04
[74]
간행물
New Zealand's Vote for Prohibition in 1911
1975-04
[75]
웹사이트
Hokonui Moonshiners Museum
http://www.goredc.go[...]
Gore District Council
[76]
법률
Massachusetts General Laws 138 33
[77]
웹사이트
Prohibition
http://www.history.c[...]
[78]
서적
酒の話
講談社現代新書
1991-05-17
[79]
서적
War, Peace, and all that Jazz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80]
웹사이트
イスラームのホームページ クルアーン日亜対訳 第5章食卓章 al-Maidah 82-120
http://www2.dokidoki[...]
[81]
웹사이트
イスラームのホームページ クルアーン日亜対訳 第2章雌牛章 al-Baqarah 203-252
http://www2.dokidoki[...]
[82]
웹사이트
『外務省 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安全対策基礎データ、滞在時の留意事項 5-(4)
http://www.anzen.mof[...]
[83]
뉴스
アフガン情報機関、酒3000リットル運河に処分 写真1枚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ww.afpbb.co[...]
AFPBB News
[84]
뉴스
Lone brewer small beer in Pakistan
http://www.theage.co[...]
The Age
[85]
뉴스
Chilenos votan este domingo en elecciones municipales
http://www.laprensah[...]
La Prensa HN
[86]
웹사이트
3月1日はビールの日!
https://guidetoicela[...]
アイスランド観光情報
2019-03-04
[87]
서적
An Experience in Enforced Abstinence
http://www.tvereza.i[...]
Издание Московского Столичного Попечительства о Народной Трезвости
1915
[88]
서적
メイド・イン・ソビエト:20世紀ロシアの生活図鑑
水声社
2018
[89]
웹사이트
酒類規制法の施行について(注意喚起)
https://www.sg.emb-j[...]
在シンガポール日本国大使館
2024-08-24
[90]
뉴스
Kava Ban 'Sparks Black Market Boom'
http://www.abc.net.a[...]
ABC Darwin
2007-10-18
[91]
서적
君 当に酔人を恕すべし:中国の酒文化
農文協
2006
[92]
웹사이트
第五話:打ち壊された三万七千の酒壺
https://www.kikusui-[...]
菊水酒造 (新潟県)
2022-08-14
[93]
간행물
足利義持の禁酒令について
吉川弘文館
1999
[94]
웹사이트
津幡町観光ガイド{{!}}禁酒の碑
http://kankou.town.t[...]
津幡町
2020-11-16
[95]
서적
삼국사기
0038
[96]
서적
고려사
1010, 1021-07, 1278-03
[97]
서적
영조실록
1729-08-25
[98]
서적
태종실록, 세종실록, 세조실록, 중종실록
1407-05-08, 1420-04-10, 1457-05-18, 1520-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