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완전 경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완전 경쟁은 완전 경쟁의 조건을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하는 시장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판매자 수 부족, 상품 차별화, 정보 비대칭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불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기업이 가격 결정에 어느 정도 통제력을 가지며, 시장 구조에 따라 경쟁의 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수요 곡선, 시장 지배력, 경제적 효과, 정부 규제 및 국제 무역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허핀달 지수는 시장 내 기업 집중도를 측정하여 가격 경쟁 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쟁 - 궁술
    궁술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화살을 쏘는 기술로, 수렵과 전쟁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발전했고 한국에서는 전통 무예이자 스포츠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경쟁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불완전 경쟁 - 과점
    과점은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구조로, 높은 진입 장벽, 상호 의존성, 비가격 경쟁 등의 특징을 보이며, 경쟁법과 반경쟁적 행위 규제를 받는다.
  • 불완전 경쟁 - 진입 장벽
    진입 장벽은 신규 기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진입할 때 겪는 어려움으로, 규모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자본 요건, 기존 업체의 우위, 유통 채널 접근성, 정부 규제 등이 주요 원인이며 시장 구조와 한국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그 강도가 달라진다.
  • 시장 구조 -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고 개별 참여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제품의 동질성,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완전한 정보 공유 등의 특징을 갖는 시장 형태이다.
  • 시장 구조 - 경제적 균형
    경제적 균형은 경제 주체들이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수요와 공급의 일치로 나타나고, 시간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며, 시장의 불균형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불완전 경쟁
시장 구조
유형시장 구조
특징
특징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지배함
제품 차별화 존재
진입 장벽 존재
가격 결정력 존재
유형
독점적 경쟁다수의 기업
제품 차별화
낮은 진입 장벽
과점소수의 기업
상호 의존적인 의사 결정
독점단일 기업
높은 진입 장벽
담합기업들이 가격이나 생산량을 담합하는 행위
경제적 효과
비효율성자원 배분의 비효율성 초래
가격이 한계 비용보다 높게 책정됨
소비자 잉여 감소독과점 기업이 가격을 높게 책정하여 소비자 잉여 감소
사회적 후생 손실생산량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사회 전체의 후생 손실 발생
정부 규제
반독점법시장 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 규제
기업 간 담합 행위 금지
가격 규제독점 기업의 가격 상한 설정
소비자 보호
시장 개방신규 기업 진입 장벽 완화
경쟁 촉진
관련 개념
시장 실패시장 실패
완전 경쟁완전 경쟁
게임 이론게임 이론

2. 불완전경쟁의 조건

완전경쟁의 세 조건 중 하나라도 결여되면 경쟁은 불완전하게 된다. 공급 측면에서 순수경쟁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판매자의 수가 적어져 개별 판매자의 공급량 증감이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요의 무차별성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소비자들은 특정 회사 상표를 선호하거나 특정 가게를 이용하는 등 수용의 편향성을 보인다. 그 결과 같은 상품이라도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4]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경제 시장에서 충족되면 해당 시장은 "불완전"하다고 간주된다.


  • 시장 기업이 가격 수용자가 아니고, 상품 및 서비스 가격 결정에 대한 통제력을 가진다.
  • 시장에 판매자가 한 명이거나 아예 없다.
  • 시장 진입과 퇴출에 장벽이 있다.
  •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정보 비대칭이 존재한다.
  • 시장의 상품 및 서비스가 이질적이거나 제품 차별화되어 있다.[4]

3. 불완전경쟁 시장의 유형

완전경쟁의 조건 중 하나라도 결여되면 경쟁은 불완전해진다. 공급 측면에서 판매자 수가 적으면 개별 판매자의 공급량 변화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수요 측면에서,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수요의 편향)는 동일 상품에 대해 약간의 가격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시장을 불완전경쟁 시장이라고 한다.

불완전경쟁 시장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독점: 공급자가 1명인 경우.
  • 과점: 공급자가 소수인 경우.
  • 독점적 경쟁: 품질의 차이가 있는 상품을 파는 여러 공급자가 있는 경우.
  • 수요 독점: 수요자가 1명인 경우.
  • 수요 과점: 수요자가 소수인 경우.
  • 정보 비대칭: 어느 한 쪽이 정보의 이점을 가진 경우.


다음은 불완전 경쟁을 초래하는 네 가지 시장 구조의 특징을 보여주는 표이다.

불완전 시장 구조의 특징
시장 구조구매자와 판매자 수제품 차별화 정도가격 통제 정도
독점적 경쟁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어느 정도어느 정도
과점소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어느 정도어느 정도
복점두 명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완전완전
독점한 명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완전완전


3. 1. 독점 시장



독점 시장은 공급자가 1명인 경우이다. 독점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수량은 한계 비용과 한계 수입이 일치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서 생산량은 완전 경쟁 시장 수준보다 낮지만, 가격은 한계 비용보다 높다.[10]

정부는 독점 기업의 높은 이윤이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세금이나 반독점법으로 규제하기도 한다. 그러나 독점 기업의 이윤 제한은 기업의 혁신을 억제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14]

3. 1. 1. 독점 시장의 특징

독점 시장은 공급자가 단 하나이고 구매자는 많은 시장으로, 해당 산업에 경쟁자가 없는 기업이다.[12] 경쟁이 있더라도 주로 시장에서 소규모 기업이 차지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시장 점유율의 30~40%를 가진다. 소규모 기업의 결정은 독점 기업의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독점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지며, 상품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독점 기업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유일한 공급자이므로 생산 시장에서 경쟁에 직면하지 않는다. 특허, 시장 규모, 일부 원자재 통제 등 시장 진입 장벽이 높게 존재한다. 독점의 예로는 공공 유틸리티(수도, 전기) 및 호주 우체국이 있다.[12] 독점 기업은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에 직면하므로, 가격을 올리면 판매량이 줄어든다. 가격이 상승하면 독점 기업조차도 고객을 잃고 제품 판매량이 감소한다. 독점과 다른 모델의 차이점은 독점 기업이 다른 기업의 전략적 결정을 고려하지 않고 제품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수량은 한계 비용과 한계 수입이 일치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 '''생산량'''은 완전 경쟁 시장 수준보다 낮다.
  • '''가격'''은 한계 비용보다 높다.[10]


기업이 생산 시장 중 하나에서 경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면, 해당 기업은 매점이다. 자연 독점은 단일 기업이 시장의 모든 생산량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 발생한다.[13]

3. 1. 2. 한국의 독점 시장 사례

한국의 독점 시장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나타나 있지 않다. 원본 소스는 독점 시장의 일반적인 특징과 정부 규제의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독점 시장의 일반적인 특징을 제시하되, 예시는 호주 우체국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독점 시장은 단 하나의 공급자와 다수의 구매자로 구성되며, 해당 산업 내 경쟁자가 없는 기업을 의미한다. 경쟁이 존재하더라도, 시장 점유율이 30-40% 정도인 소규모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소규모 기업들의 결정은 독점 기업의 이익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독점 기업은 시장 지배력을 가지며,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유일한 공급자이므로 생산 시장에서 경쟁에 직면하지 않는다. 이러한 독점은 특허, 시장 규모, 특정 원자재 통제 등 시장 진입 장벽으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공 유틸리티(수도, 전기) 및 호주 우체국과 같은 경우가 독점의 예시이다.[12]

독점 기업은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을 가진다. 즉, 독점 기업이 가격을 올리면 판매량은 감소한다. 이는 가격이 상승하면 독점 기업조차도 고객을 잃고 더 적은 제품을 판매하게 됨을 의미한다. 독점 기업은 다른 기업의 전략적 결정을 고려하지 않고 제품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시장 모델과 차이가 있다.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수량은 한계 비용과 한계 수입이 일치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서 생산량은 완전 경쟁 시장 수준보다 낮지만, 가격은 한계 비용보다 높다.[10]

만약 기업이 생산 시장 중 하나에서 경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면, 해당 기업은 매점이다. 자연 독점은 단일 기업이 시장 전체의 생산량을 공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때 발생한다.[13]

3. 2. 과점 시장

과점은 공급자가 소수인 경우를 말한다.Oligopoly영어

과점 시장은 소수의 기업이 상품을 공급하는 시장 구조이다. 과점 시장에서 기업들은 서로 의존하며, 한 기업의 행동은 다른 기업에 영향을 준다. 이들은 가격 인하를 위험한 전략으로 여기며, 제품은 차별화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시장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9]

3. 2. 1. 과점 시장의 특징

과점 시장은 소수의 기업(2개 이상)이 상품을 공급하는 시장 구조이다. 기업의 수가 적기 때문에 한 기업의 행동은 다른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시장에 판매자가 적으므로, 한 기업이 제품 수량이나 가격을 조정하면 경쟁업체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전체 시장의 공급과 가격에 영향을 준다. 과점 시장에서는 주로 광고나 제품 특성 변경과 같은 가격 외적인 경쟁 방법을 사용한다.[9]

여러 대기업이 산업 생산에서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기업은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에 직면한다. 산업은 종종 광범위한 비가격 경쟁으로 특징지어진다. 과점 시장에서 가격 인하는 위험한 전략으로 여겨진다. 기업들은 서로 의존하며, 제품의 차별화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9] 기업들이 판매하는 제품은 서로 비슷할 수도, 다를 수도 있으며, 시장 진입에는 다음과 같은 장벽이 존재한다.[9]

과점 시장에서는 새로운 기업이 시장에 들어오거나 기존 기업이 시장에서 나가는 것이 어렵다.[10]
복점두 기업이 시장에서 독점적인 권력과 통제력을 갖는 과점의 특별한 유형을 복점이라고 한다. 두 회사는 같은 종류의 상품을 생산하며, 다른 회사는 이와 동일하거나 대체 가능한 상품을 생산하지 않는다. 생산된 상품은 단일 시장에서만 유통되며, 다른 회사는 시장에 진입할 의사가 없다. 두 회사는 시장 가격에 대해 상당한 통제력을 갖는다.[11] 복점은 과점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독점완전 경쟁 시장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다.[4]

3. 2. 2. 한국의 과점 시장 사례

과점 시장 구조에서 시장은 소수의 기업(2개 이상)에 의해 공급된다. 기업이 너무 적어서 한 기업의 행동이 다른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장에 판매자가 적기 때문에 기업의 제품 수량 및 가격 조정은 경쟁업체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전체 시장의 공급과 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친다.[9] 과점은 일반적으로 광고 또는 제품 특성 변경과 같은 비가격 경쟁에 의존한다.

과점에서는 시장 진입 및 퇴출 장벽이 높다. 주요 장벽은 다음과 같다.[10]

3. 3. 독점적 경쟁 시장

불완전 경쟁에는 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 수요 독점, 수요 과점, 정보 비대칭 등이 있다. 독점적 경쟁은 품질이 서로 조금씩 다른 상품을 여러 공급자가 판매하는 시장 형태이다.[3]

3. 3. 1. 독점적 경쟁 시장의 특징

수많은 기업이 약간씩 다른 제품으로 경쟁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기업들은 대체 가능성이 높지만 완전 대체는 아닌 차별화된 제품을 판매하여 경쟁한다. 따라서 독점적 경쟁 하에서의 시장 지배력 수준은 제품 차별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독점적 경쟁은 기업들이 비가격 경쟁에 참여할 것임을 나타낸다.[3]

독점적 경쟁은 시장의 두 가지 주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정의된다.[3]

번호특징
1시장에 많은 판매자가 있다. 각 판매자는 자신의 제품 가격의 약간의 변화가 전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경쟁업체가 시장의 판매자가 제품 가격을 변경했기 때문에 가격을 변경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2시장의 판매자는 모두 비동질적인 제품을 제공한다. 기업은 제품 가격에 대한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갖는다.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는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자신이 좋아하는 제품을 구매할 것이다.



제품 차별화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3]


  • '''수직적 차별화''': 제품이 경쟁 제품보다 명확하게 더 좋거나 나쁜 경우(예: 효율성 또는 효과가 다른 제품). 고객은 객관적인 척도(예: 가격 및 품질)를 사용하여 최상에서 최악까지 선택 항목을 순위 매겨 제품을 선택한다.
  • '''수평적 차별화''': 일부 소비자만 경쟁 제품보다 선호하는 제품(예: 메르세데스 벤츠BMW). 고객은 제품의 품질을 구별할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무엇을 구매할지에 대해 주관적인 선택을 한다. 위치와 취향은 소비자의 특별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 진입하는 기업은 단기적으로 이익 증가 또는 손실을 실현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상 이윤을 실현할 것이다. 기업의 가격이 한계 비용보다 고정 비용을 상쇄할 만큼 높으면 더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면 경제적 이윤이 0에 도달할 때까지 제품 가격을 낮추어 더 많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것이다.[3]

또한 각 기업은 전체 독점 시장의 작은 비율을 차지하므로 지배적인 시장 가격에 대한 통제력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각 기업의 수요 곡선(완전 경쟁과 달리)은 평평하지 않고 하향 기울기이다. 독점 경쟁과 완전 경쟁의 주요 차이점은 초과 생산 능력과 가격이 한계 비용을 초과한다는 역설에 있다.[8]

3. 3. 2. 한국의 독점적 경쟁 시장 사례

한국에서는 수많은 기업이 약간씩 다른 제품으로 경쟁하는 독점적 경쟁 시장의 사례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기업들은 대체 가능성은 높지만 완전 대체는 불가능한, 차별화된 제품을 판매하며 경쟁한다.[3]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 지배력은 제품 차별화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기업들은 가격 외적인 요소로 경쟁하는 경향을 보인다.

독점적 경쟁 시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특징을 갖는다.[3]

1. 시장에 많은 판매자가 존재한다. 각 판매자는 자신의 제품 가격 변화가 전체 시장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며, 경쟁업체가 가격을 변경해도 자신은 가격을 변경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는다.

2. 판매자들은 모두 비동질적인 제품을 제공한다. 기업은 제품 가격에 대한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가지며, 다양한 유형의 소비자는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선호하는 제품을 구매한다.

제품 차별화에는 수직적 차별화와 수평적 차별화 두 가지 유형이 있다.[3]

  • 수직적 차별화: 제품이 경쟁 제품보다 명확하게 더 좋거나 나쁜 경우이다. (예: 효율성 또는 효과가 다른 제품). 고객은 객관적인 척도(예: 가격 및 품질)를 사용하여 제품을 선택한다.
  • 수평적 차별화: 일부 소비자만 경쟁 제품보다 선호하는 제품이다. (예: 메르세데스-벤츠BMW). 고객은 객관적인 기준 없이 주관적인 선택을 하며, 위치와 취향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독점적 경쟁 시장에 진입하는 기업은 단기적으로 이익이나 손실을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상 이윤을 얻게 된다. 기업의 가격이 한계 비용보다 고정 비용을 상쇄할 만큼 높으면, 더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한다.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면 경제적 이윤이 0에 도달할 때까지 제품 가격을 낮추어 더 많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다.[3]

각 기업은 전체 독점 시장의 작은 비율을 차지하므로 시장 가격에 대한 통제력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각 기업의 수요 곡선은 완전 경쟁과 달리 평평하지 않고 아래로 기울어진다. 독점 경쟁과 완전 경쟁의 주요 차이점은 초과 생산 능력과 가격이 한계 비용을 초과한다는 점이다.[8]

3. 4. 기타 불완전경쟁 시장

불완전 경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독점: 공급자가 1명인 경우이다.
  • 과점: 공급자가 소수인 경우이다.
  • 독점적 경쟁: 품질의 차이가 있는 상품을 파는 여러 공급자가 있는 경우이다.
  • 수요 독점: 수요자가 1명인 경우이다.
  • 수요 과점: 수요자가 소수인 경우이다.
  • 정보 비대칭: 어느 한 쪽이 정보의 이점을 가진 경우이다.

4. 불완전경쟁 시장의 수요 곡선

(a) 완전 경쟁 시장에서의 수요 곡선 (b) 불완전 경쟁 시장에서의 수요 곡선


불완전 경쟁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의 완전 탄력적인 수요 곡선과는 대조적으로 우하향하는 수요 곡선에 직면한다.[3] 이는 시장에서 제품 차별화와 대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판매자를 바꾸는 것이 매우 쉬우며, 이는 소비자를 가격에 민감하게 만든다. 수요의 법칙 또한 이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격이 상승하면, 해당 제품의 수요량은 감소한다. 완전 경쟁 시장과 불완전 경쟁 시장에서의 수요 곡선은 왼쪽에 있는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다.[3]

5. 불완전경쟁과 시장 지배력

완전경쟁의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으면 경쟁은 불완전해진다. 공급 측면에서 판매자의 수가 적어지면 개별 판매자의 공급량 변화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현실에서는 동일 상품에 대해 특정 상표나 가게를 선호하는 경향(수요의 편향)이 나타나 가격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경쟁이 불완전해지는 시장을 불완전경쟁 시장이라고 한다.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는 시장은 시장 지배력을 갖는다고 하며, 이는 시장이 자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3]

5. 1. 시장 지배력의 원천

수요 곡선이 우하향하는 시장은 시장 지배력을 갖는다고 한다. 이는 시장이 자체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특정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3] 기업은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하면 수요량 감소를 예상해야 한다.[3] 이러한 시장 지배력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서 발생한다.

# '''투입 요소 통제''': 조직이 중요한 투입 요소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 시장 지배력을 갖게 된다.[3] 예를 들어, 시드니 하버 브리지 운영을 감독하는 회사는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

# '''저작권 및 특허''': 제약 산업은 주요 의약품의 연구 개발을 수행한다. 정부는 이 산업에서 종종 특허를 발급하여 회사가 해당 의약품의 유일한 합법적 판매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3]

# '''네트워크 경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사용할수록 제품의 가치가 증가한다. 이는 종종 해당 시장에서 독점을 만들어낸다.[3]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의 인기는 소비자들이 더 많이 사용함에 따라 증가했다.

# '''정부 허가''': 미국의 요세미티 호스피탈리티(Yosemite Hospitality)는 요세미티 국립공원에 있는 숙소를 운영할 수 있는 정부 허가를 받았다. 이는 정부가 국립공원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루어졌지만, 이 시장에서 독점을 만들어냈다.[3]

6. 불완전경쟁과 경제적 효과

완전경쟁의 조건 중 하나라도 결여되면 경쟁은 불완전하게 된다. 공급 측면에서 판매자의 수가 적어지면 개별 판매자의 공급량 증감이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수요의 무차별성이 결여되어도 불완전경쟁이 발생한다. 현실에서는 특정 상표를 선호하거나, 익숙한 가게에서 구매하는 등 수요의 편향이 나타나 동일 상품이라도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을 불완전경쟁 시장이라고 한다.

불완전 경쟁 이론가들은 거시 경제에서 어떤 시장도 완전 경쟁의 조건을 만족시킨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6]



불완전 경쟁은 자본주의 경제에 내재되어 있다.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며, 시장 효율성을 희생하더라도 P > MC를 설정하여 최대 수익을 얻는 전략을 취한다.[6] 독점의 경우, 생산자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고 생산량은 부족해진다. 따라서 불완전 경쟁적 가격 책정 전략은 소비자 선호도, 구매, 사업 운영, 수익,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경제학자들은 경제 정책이 완전 경쟁 또는 불완전 경쟁 중 어떤 가정에 기초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불완전 경쟁 이론가들은 완전 경쟁을 가정한 정책은 현실성이 부족하여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반면, 완전 경쟁을 가정하는 주장은 널리 사용되는 논리에 근거하며, 현재 실질적이고 일관된 불완전 경쟁 경제 모델이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한다.[5]

7. 불완전경쟁과 국제 무역

불완전 경쟁 이론가들은 거시 경제에서 어떤 시장도 완전 경쟁의 조건을 나타낸 적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6]

불완전 경쟁은 자본주의 경제에 내재되어 있다. 기업은 이윤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으며, 따라서 거시 경제적 시장 효율성을 희생하면서 P > MC를 설정하여 가장 큰 수익을 얻는 경쟁 전략을 수행한다.[6] 가장 극단적인 경우인 독점에서는 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과도한 요금을 청구하고 생산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불완전 경쟁적 가격 책정 전략은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 사업 운영 및 수익,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경제학자들은 경제 정책이 완전 경쟁 또는 불완전 경쟁의 가정에 기초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다. 불완전 경쟁 이론가들의 관점은 완전 경쟁의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은 순수한 완전 경쟁 조건에서 시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경제 의사 결정에서 완전 경쟁을 가정하는 주장은 널리 사용되는 논리에 근거하며, 현재 실질적이고 일관된 불완전 경쟁 경제 모델이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한다.[5]

완전 경쟁의 가정을 활용하는 외국 무역 정책은 최소한의 개입을 옹호한다. 완전 경쟁 시장에서 보조금은 해로우며, 교역 조건 개선은 수입 보호를 위한 첫 번째 요구 사항이다.[7]

반대로, 불완전 경쟁의 가정은 국제 무역 시장에 대한 개입을 촉진한다. 불완전 경쟁을 가정하면, 불완전 경쟁 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억제하거나, 국익을 위해 독점력을 강화하는 정책의 경제 모델링이 가능하다.[7]

따라서 완전 경쟁 또는 불완전 경쟁의 가정은 국내 및 국제 정책 선택과 그 효과의 효능에 영향을 미친다.

8. 가격 경쟁의 강도

가격 경쟁의 강도는 시장 구조 내 기업이 가격에 대해 얼마나 많은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시장이 더 집중될수록 허핀달 지수의 값은 더 커진다.[4] 아래 표는 4가지 주요 시장 구조에서 가격 경쟁과 강도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다.

4가지 시장 구조에서의 가격 경쟁 강도
시장 구조허핀달 지수 범위가격 경쟁 강도
완전 경쟁0.20 미만치열함
독점적 경쟁0.20 미만제품 차별화에 따라 강도가 약하거나 치열할 수 있음
과점0.20 ~ 0.60간섭 경쟁에 따라 강도가 약하거나 치열할 수 있음
독점0.60 초과약하거나 없음

[4]

8. 1. 허핀달 지수

가격 경쟁의 강도는 시장 구조 내의 기업이 가격에 대해 얼마나 많은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척도이다. '''허핀달 지수'''는 시장 내 기업 집중도를 측정하며, '''시장에 있는 모든 기업의 시장 점유율의 제곱의 합'''이다(허핀달 지수 = (Si)2, 여기서 Si = 기업 i의 시장 점유율). 큰 기업일수록 지수에서 더 많은 가중치를 받는다(N-집중률과는 다름).[15] 지수 값의 범위는 1/N에서 1까지이다(여기서 ''N''은 시장 내 기업의 수). 따라서 시장이 더 집중될수록 허핀달 지수의 값은 더 커진다.[4]

8. 1. 1. 시장 구조별 가격 경쟁 강도 (참고)

가격 경쟁의 강도는 시장 구조 내의 기업이 가격에 대해 얼마나 많은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훌륭한 척도이다. '''허핀달 지수'''는 시장 내 기업 집중도를 측정하며, '''시장에 있는 모든 기업의 시장 점유율의 제곱의 합'''이다(허핀달 지수 = (Si)2, 여기서 Si = 기업 i의 시장 점유율). 큰 기업일수록 지수에서 더 많은 가중치를 받는다(N-집중률과는 다름).[15] 지수 값의 범위는 1/N에서 1까지이다(여기서 ''N''은 시장 내 기업의 수). 따라서 시장이 더 집중될수록 허핀달 지수의 값은 더 커진다.[4]

4가지 시장 구조에서의 가격 경쟁 강도
시장 구조허핀달 지수 범위가격 경쟁 강도
완전 경쟁0.20 미만치열함
독점적 경쟁0.20 미만제품 차별화에 따라 강도가 약하거나 치열할 수 있음
과점0.20 ~ 0.60간섭 경쟁에 따라 강도가 약하거나 치열할 수 있음
독점0.60 초과약하거나 없음

[4]

참조

[1]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https://archive.org/[...] Pearson Prentice Hall 2003
[2] 서적 Economics of Strategy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3] 서적 Principles of Microeconomics https://www.mheducat[...] McGraw-Hill US Higher Ed ISE
[4] 간행물 "Lecture 5: Competitors and Competition (Part I) [PowerPoint Slides]" 2020
[5] 서적 The World of Economics Palgrave Macmillan
[6] 논문 Imperfect Competition and Its Implications http://www.jstor.org[...] 1935
[7] 서적 Imperfect Competition and International Trade MIT Press
[8] 서적 Economics of Strategy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9] 웹사이트 3 Different Forms of Imperfect Competition http://www.economics[...] Saqib Shaikh 2015-11-16
[10] 간행물 Lecture 6: Competitors and Competition (Part II) [PowerPoint Slides] 2020
[11] 웹사이트 Imperfect Competition https://corporatefin[...] 2022-04-25
[12] 서적 Microeconomics PEARSON INDIA 2013
[13] 서적 Economics of the Public Sector Joseph E. Stiglitz 2000
[14] 서적 Economics of Strategy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15] 서적 Economics of Strategy Hoboken, NJ : John Wiley & Sons
[16]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