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꼬리바위왈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붓꼬리바위왈라비는 1827년 처음 기술된 바위왈라비속에 속하는 종이다. 털이 빽빽하고 붓 모양의 꼬리를 가지며, 몸길이는 수컷 52.9-58.6cm, 암컷 51-57cm, 몸무게는 5~8kg 정도이다. 주로 험준한 암석 지형에 서식하며, 초식성으로 수피, 나뭇잎, 풀 등을 먹는다. 호주 동부 지역에 분포하며, 뉴질랜드에 도입되었으나 해충으로 간주되어 박멸되었다. 서식지 파괴, 포식, 경쟁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2019년 산불로 서식지의 70%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수마트라오랑우탄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에 서식하며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날씬하고 붉은 털을 가졌으며 과일을 선호하고 도구를 사용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1827년 기재된 포유류 - 오록스
오록스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아대륙에 서식했던 멸종된 소과 동물이며, 17세기에 멸종되었으나 오록스를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 캥거루과 - 왈라비
왈라비는 캥거루과에 속하며 몸무게 25kg 미만의 유대류를 통칭하는 용어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주로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했고 일부 종은 다른 지역에 도입되어 번성하기도 하며 문화적으로도 활용된다. - 캥거루과 - 붉은캥거루
붉은캥거루는 캥거루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수컷은 붉은 갈색, 암컷은 푸른 회색 털을 가지며 호주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초본을 먹고 딩고와 맹금류에게 포식되며, 개체 수가 많아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붓꼬리바위왈라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etrogale penicillata |
명명자 | J. E. Gray, 1827 |
영명 | Brush-tailed rock-wallaby |
한국어명 | 오그로이와와라비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캥거루목 |
아목 | 캥거루아목 |
과 | 캥거루과 |
속 | 이와와라비속 |
분포 | |
![]() | |
보전 상태 | |
IUCN | 취약종 |
IUCN 3.1 | VU |
기타 정보 | |
ISBN | 0-19-550870-X |
ACT 포유류 상징 | ACT가 새로운 포유류 상징을 받았다 |
2. 분류
''붓꼬리바위왈라비''는 1827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이 분류군은 종 복합체인 ''Petrogale penicillata-lateralis'' 그룹으로 명명되었으며, 이 그룹의 계통 분류는 지속적으로 해결되고 있다.
붓꼬리바위왈라비는 바위왈라비속에 속하는 종으로, 털이 빽빽하고 텁수룩하며 적갈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윗부분 털은 전체적으로 적갈색을 띠거나, 등과 어깨는 회갈색, 허벅지와 엉덩이는 갈색 털로 덮여 있다. 옅은 색의 아랫부분에는 가슴에 흰색 무늬가 있을 수 있다. 매우 어두운 털은 팔다리, 발, 발바닥의 아랫부분과 앞다리 아래쪽 측면을 덮고 있으며, 몸 측면을 따라 흰색 줄무늬가 나타날 수 있다. 뺨에는 밝은 색의 띠가 있으며, 어깨 뒤쪽에는 검은 띠가 있다. 개체군 북부 지역에 서식하는 종의 색상은 더 옅고 털의 길이는 짧다.
붓꼬리바위왈라비는 주로 바위 지대에 서식한다. 보통 2마리에서 30마리 정도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무리의 크기는 분포 지역이나 서식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컷은 자신의 세력권을 형성한다.
3. 형태
꼬리 길이는 500mm에서 700mm 사이로, 머리와 몸통을 합친 길이(510mm~580mm)를 초과한다. 꼬리는 갈색 또는 검은색이며, 털은 텁수룩하고 끝으로 갈수록 숱이 많아져 붓과 같은 모양을 이룬다. 이는 영어 이름 'brush-tailed'(붓 모양 꼬리)의 유래가 되었다. 또한 꼬리는 대부분 검은 털로 덮여 있어 일본어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성별에 따른 크기와 무게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몸무게는 5kg에서 8kg 정도이다.
발바닥은 잘 발달되어 있고 거친 질감으로 인해 바위 표면에서 좋은 접지력을 제공한다.
호주 중부에 서식하는 검은발바위왈라비(''Petrogale lateralis'')는 붓꼬리바위왈라비보다 크기가 더 크고, 꼬리와 뒷부분의 털이 더 짧고 어둡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허버트바위왈라비(''P. herberti'')는 서식지가 북부 지역에서 겹치는데, 붓꼬리바위왈라비의 따뜻한 갈색보다 더 회색을 띠며 팔다리의 어두운 부분이 더 밝다. 또한 허버트바위왈라비의 꼬리에는 검은색 특징과 숱이 많은 끝부분이 없다.
4. 생태
식성은 초식성으로, 나무껍질(수피), 나뭇잎, 풀 및 그 뿌리 등을 먹는다. 필요한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통해 섭취한다.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 어린 새끼는 태어난 후 약 200일 동안 어미의 육아낭 안에서 생활하며, 3개월 후에 젖을 뗀다.
4. 1. 행동
붓꼬리바위왈라비는 험준한 바위 지형을 매우 민첩하게 이동할 수 있다. 작지만 튼튼한 몸과 균형을 잡는 긴 꼬리, 그리고 미끄러운 바위 표면에서도 잘 지탱하는 발 덕분이다. 주로 야행성이지만, 겨울에는 햇볕을 쬐기 위해 잠시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북쪽을 향한 은신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번식은 암컷 한 마리가 수컷 한 마리와 짝을 이루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출산은 연중 가능하다. 다만, 추운 지역이나 고지대에 사는 무리는 주로 2월에서 5월 사이에 번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무리 내 암컷들은 어미와 새끼 중심의 집단을 이루며, 수컷 새끼는 자라면 원래 무리를 떠나 다른 무리나 지역으로 이동한다.
개체별 먹이 활동 영역은 약 15ha 정도이며, 수컷의 활동 영역이 더 넓을 수 있다.
5. 분포
붓꼬리바위왈라비는 과거 분포 지역이 동쪽과 남쪽으로 축소된 후,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을 따라 단편적인 개체군으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의 남쪽 끝은 빅토리아 주의 그램피언스 국립공원이며,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워럼벙글스 산맥보다 더 서쪽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가장 북쪽에 위치한 집단은 퀸즐랜드주 남동부에서 발견되며, 이 지역의 개체군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생태적 변화의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붓꼬리바위왈라비는 낮 동안 바위가 많은 서식지나 식물, 동굴 등에서 지낸다. 이들은 서늘한 온도를 유지하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복잡한 지형을 선호하며, 뛰어난 점프와 등반 능력을 이용해 벼랑, 절벽, 돌출부, 동굴, 바위 틈새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간다.
5. 1. 도입된 개체군

1800년대 후반, 뉴질랜드에서는 귀화 운동의 일환으로 뉴질랜드 총독 조지 에드워드 그레이가 붓꼬리바위왈라비를 포함한 네 종류의 왈라비(희귀한 파르마왈라비 포함)를 오클랜드 인근 하우라키 만의 섬들에 들여왔다. 이 왈라비들은 새로운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은 토착 동식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도입종 해충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 정부는 초기 보호 조치를 재검토하고, 일부 왈라비를 호주로 돌려보낸 뒤 박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관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967년부터 1975년까지 카와우 섬에서 210마리의 바위왈라비가 포획되어 수천 마리의 다른 왈라비와 함께 호주로 반환되었다.[5]
- 1990년대에는 랑기토토 섬과 모투타푸 섬에서 바위왈라비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 현재 카와우 섬에서는 박멸 작업이 진행 중이며, 2000년대에는 박멸 시작 전에 33마리의 바위왈라비가 추가로 포획되어 호주로 보내졌다.[6][7]
2003년에는 사육 번식을 목적으로 카와우 섬에 서식하던 일부 붓꼬리바위왈라비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 시드니 북쪽에 위치한 워터폴 스프링스 보존 공원으로 옮겨졌다.
한편, 1916년에 동물원에서 탈출한 한 쌍의 붓꼬리바위왈라비가 하와이 오아후 섬의 칼리히 계곡에 정착하여 작은 규모의 번식 개체군을 이루고 있다.
호주 본토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이 종을 복원하려는 노력도 있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그램피언스 국립공원에 재도입을 시도했으나, 주로 여우의 포식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3월에는 네 번째 새끼가 태어나 그램피언스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바위왈라비 개체수가 총 8마리로 늘어났다.[9]
6. 인간과의 관계
인간의 개발 활동에 따른 서식지 파괴와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은 붓꼬리바위왈라비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또한, 인간이 인위적으로 들여온 토끼, 양, 염소 등과의 먹이 경쟁 및 서식지 다툼, 그리고 붉은여우나 딩고와 같은 포식자의 증가 역시 개체수 급감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7. 보존
붓꼬리바위왈라비는 한때 호주 남동부 전역에서 흔하게 발견되었으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남부 및 서부 지역 상당수에서 멸종되었다. 주요 원인으로는 토착 서식지 개간, 외래 식물 도입, 외래종에 의한 포식, 그리고 기후 변화로 인한 화재 패턴 변화 등이 꼽힌다.
특히 2019년 말,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를 휩쓴 격렬한 산불은 붓꼬리바위왈라비가 서식하는 보호 구역을 태웠다. 이 산불로 인해 붓꼬리바위왈라비 서식지의 약 70%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빅토리아주에서는 20세기 초 정착민들이 털과 가죽을 얻기 위해 사냥하면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70년 그램피언스 국립공원에서 생존한 개체가 발견되었고,[10] 이후 그램피언스 국립공원에서 13마리의 개체군이, 스노위 강 국립공원에서 50마리가 더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1]
참조
[1]
MSW3
[2]
iucn
"''Petrogale penicillata''"
2016
[3]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Melbourne
2001
[4]
웹사이트
ACT receives new mammal emblem
https://www.act.gov.[...]
2018-11-29
[5]
간행물
Management of North Island weka and wallabies on Kawau Island
http://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Wellington
2002
[6]
뉴스
Rock wallabies
http://www.abc.net.a[...]
ABC
2004-03-04
[7]
웹사이트
Saving the Brush-tailed Rock Wallaby
http://www.waterfall[...]
Waterfall Springs Wildlife Sanctuary
2012-03-02
[8]
학술지
Reintroduction methods and a review of mortality in the brush-tailed rock-wallaby, Grampians National Park, Australia
[9]
뉴스
Joey marks end of 'tough times' for resurgent rock-wallabies in western Victoria
http://www.abc.net.a[...]
2017-03-12
[10]
서적
"''Gariwerd: An Ecological History of the Grampians,'' "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020
[11]
뉴스
"'Incredibly exciting': These marsupials are endangered. Now, there's new life and hope"
https://www.theage.c[...]
The Age
2020-10-20
[12]
MSW3
[13]
IUCN
Petrogale penicillata
[1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Melbourn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