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페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인드 페이스는 1968년 크림의 해체 이후 에릭 클랩튼, 스티브 윈우드, 진저 베이커, 릭 그레치로 결성된 슈퍼그룹이다. 1969년 7월 데뷔 앨범 《Blind Faith》를 발매하여 영국과 미국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지만, 밴드는 곧 해체되었다. 밴드는 짧은 기간 동안 활동했지만, 2000년대에 클랩튼과 윈우드의 재결합 공연을 통해 블라인드 페이스의 음악을 다시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릭 클랩튼 - 데릭 앤 더 도미노스
데릭 앤 더 도미노스는 에릭 클랩튼 등이 결성한 영국의 록 밴드로, 1970년에 결성되어 《Layla and Other Assorted Love Songs》를 발매했으나 1971년에 해체되었다. - 에릭 클랩튼 - 콘서트 포 방글라데시
조지 해리슨과 라비 샹카르가 1971년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방글라데시 난민을 돕기 위해 개최한 콘서트 포 방글라데시는 밥 딜런, 에릭 클랩튼 등이 참여하여 사회적 기여의 선구적인 사례가 되었고, 이후 자선 공연의 모델이 되었다.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비틀즈
1960년대 영국에서 결성되어 혁신적인 음악과 문화적 현상을 일으키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멤버 간의 갈등으로 1970년 해산한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로 구성된 록 밴드가 비틀즈이다.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사이먼 & 가펑클
사이먼 & 가펑클은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로 이루어진 미국의 남성 듀오로, 1960년대에 "The Sound of Silence", "Mrs. Robinson", "Bridge over Troubled Water" 등의 히트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포크 록 기반의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로 1990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블루스 록 밴드 - 도어스
1965년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 밴드 도어스는 짐 모리슨, 레이 만자렉, 로비 크리거, 존 덴스모어로 구성되어 사이키델릭 록과 하드 록을 선도하며 "Light My Fire" 등의 히트곡과 실험적인 사운드로 록 음악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블루스 록 밴드 - 야드버즈
1960년대 영국에서 결성된 록 밴드 야드버즈는 에릭 클랩튼, 제프 벡, 지미 페이지 등 유명 기타리스트들을 배출하며 블루스, R&B, 사이키델릭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선보였고, 지미 페이지는 레드 제플린을 결성했으며,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후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블라인드 페이스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결성지 | 잉글랜드 서리주 리플리 |
활동 기간 | 1969년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블루스 록 |
레이블 | 폴리도르 레코드 앳코 레코드 RSO 레코드 아일랜드 레코드 |
관련 활동 | 크림 트래픽 진저 베이커의 에어 포스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 데릭 앤 더 도미노스 패밀리 |
이전 멤버 | 스티브 윈우드 에릭 클랩튼 진저 베이커 릭 그레치 |
2. 결성과 초기
1968년 크림의 해체는 블라인드 페이스 결성의 시작이었다. 크림은 비평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베이시스트 잭 브루스와 드러머 진저 베이커 사이의 잦은 갈등으로 인해 해체되었고, 에릭 클랩튼은 이들을 중재하려 했지만 소용없었다. 클랩튼은 상업적인 블루스 연주에 지쳐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원했다.[3]
스티브 윈우드 역시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에서 비슷한 문제에 직면했다. 그는 재즈 요소를 도입하여 밴드의 사운드를 실험하고 싶어했지만, 음악적 견해 차이로 인해 그룹을 떠나 1967년에 트래픽을 결성했다. 1969년 초, 윈우드는 잉글랜드 서리에 있는 클랩튼의 지하실에서 클랩튼과 함께 잼 세션을 시작했다.[4] 클랩튼은 윈우드와의 잼 세션에 만족했지만, 새로운 그룹을 시작하는 데는 망설였다.
1969년 초, 클랩튼과 윈우드는 버크셔주 애스턴 티롤드에 있는 트래픽의 리허설 코티지로 이사했다.[4] 어느 날 베이커가 그들과 함께 연주하기 위해 나타났고, 세 사람은 그룹 결성을 진지하게 고려했다. 클랩튼은 베이커를 밴드에 합류시키는 것에 의문을 품었는데, 이는 크림 시절의 갈등과 해체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크림과 유사한 슈퍼 그룹을 다시 만들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윈우드는 베이커가 그들의 음악적 기량을 강화시키고 동등한 재능을 가진 드러머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하며 클랩튼을 설득했다.[23]
1969년 2월 8일, 그룹 결성이 언론에 발표되었다.[3]
2. 1. 슈퍼그룹의 탄생
1968년 크림 해체와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에서 스티브 윈우드의 탈퇴를 배경으로 블라인드 페이스가 탄생했다. 에릭 클랩튼과 스티브 윈우드는 1969년 초부터 잼 세션을 가지며 새 밴드 결성을 모색했다. 진저 베이커 합류는 클랩튼에게 고민을 안겨주었지만, 윈우드의 설득으로 밴드에 합류했다.[23] 패밀리에서 활동하던 릭 그레치가 베이시스트로 합류하며 밴드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밴드 이름은 "블라인드 페이스"로 확정되었는데, 이는 무슨 일이 있어도 밴드가 성공할 것이라는 모두의 자기 신념을 묘사한다고 클랩튼이 생각했기 때문이다.[4]3. 음반 녹음 및 발매
스티브 윈우드는 아일랜드 레코드와 계약되어 있었기 때문에, 영국에서 에릭 클랩튼과 진저 베이커가 계약되어 있던 폴리도르 레코드에서 활동하려면 레이블 소유주인 블랙웰의 허가를 받아야 했다.[5] 아일랜드 레코드에서는 홍보용 싱글을 발매했는데, 이는 레이블 자체 홍보용이었다. "1969년 6월 23일 주소 변경"이라는 제목의 이 싱글은 사무실 이전을 알리는 내용으로, 한 면에는 블라인드 페이스의 연주곡이 담겨 있었지만 레이블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 곡은 주로 영국 디스크 자키와 음악 업계 관계자들에게 배포되었으며, 2000년 ''블라인드 페이스'' 앨범의 2CD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Change Of Address Jam")으로 수록되면서 널리 공개되었다.[5]
3. 1. 유일한 정규 앨범 《Blind Faith》
1969년 7월, 밴드의 유일한 정규 앨범 《Blind Faith》가 발매되었다.[36] 이 앨범은 영국과 미국의 ''빌보드'' 팝 앨범 차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6] 발매 첫 달에 5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6] 앨범의 성공은 크림 앨범 판매량 회복에도 기여하여, ''베스트 오브 크림''은 ''블라인드 페이스''가 정점에 있는 동안 ''빌보드'' 차트에서 3위에 올랐다. 한국에서는 《슈퍼 자이언츠》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앨범 커버는 사진 작가 밥 사이데만이 제작했으며, 그는 재니스 조플린과 그레이트풀 데드의 사진으로도 알려져 있다.[7] 커버에는 11세 소녀가 상반신을 노출한 채 은색 우주선을 들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어 논란이 되었다.[28] 미국의 음반 회사는 밴드의 사진을 담은 대체 커버를 발매하기도 했다. 커버 모델은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촬영했으며, 촬영 대가로 40파운드를 받았다.
2000년에는 앨범 전체가 리마스터링되어 2CD 디럭스 에디션으로 재발매되었으며, 여기에는 1969년 초에 제작된 밴드의 음악의 대체 테이크, 아웃 테이크 및 스튜디오 리허설 버전이 포함되었다.[8]
3. 2. 앨범 커버 논란
앨범 커버는 상반신을 노출한 어린 소녀가 은색 우주선을 들고 있는 사진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28] 이 우주선은 왕립 예술 학교의 보석 세공인 믹 밀리건(Mikko Milligan)이 디자인한 것으로,[29] 남성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30] 미국에서는 밴드의 사진이 담긴 대체 커버가 발매되었다.[28][31] 커버 모델은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촬영했으며, 촬영 대가로 40파운드를 받았다.에릭 클랩튼의 친구이자 이전 플랫 동거인이었던 사진작가 밥 사이데만(Bob Seidemann)이 커버 아트를 담당했다.[7] 그는 재니스 조플린이나 그레이트풀 데드의 사진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 밴드와 소녀의 관계에 대한 소문은 논쟁을 더욱 부추겼는데, 그녀가 진저 베이커의 사생아이며 밴드의 그룹피였고 노예처럼 취급받았다는 소문도 있었다. 하지만 그녀는 실제로는 런던 교외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부모의 동의하에 모델로 기용되었다.[33]
4. 투어와 해체
블라인드 페이스의 결성 소식은 대중과 언론의 큰 주목을 받으며 "슈퍼 크림"이라는 별칭까지 얻었다. 1969년 6월 7일 런던 하이드 파크에서 무료 콘서트를 열고 데뷔, 1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24] 그러나 에릭 클랩튼은 공연의 질이 낮다고 생각했고[25], 밴드가 충분히 준비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투어를 망설였다.
윈우드는 아일랜드 레코드와 계약된 상태였기 때문에, 클랩튼과 베이커가 영국에서 계약한 폴리도르 레코드에 대여되는 형식이었다. 이들은 아일랜드 레코드의 사무실 이전을 알리는 프로모션 싱글[26] ''Change Of Address From 23 June 1969''를 발매했는데, 한 면에만 연주곡이 담겨 있었고 밴드 정보는 없었다. 이 곡은 31년 후 ''슈퍼 자이언츠''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CD로 공개되었다.
하이드 파크 공연 이후, 밴드는 앨범 녹음을 진행하며 스칸디나비아에서 단기 투어를 가졌다. 이는 미국과 영국 투어를 위한 리허설 성격의 소규모 공연이었다. 이후 밴드는 미국 투어를 시작, 7월 12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2만 명 앞에서 공연했다. 미국 투어는 7주간 진행, 8월 24일 하와이에서 마무리되었다.[27]
투어의 가장 큰 문제는 레퍼토리가 부족하여 1시간을 채우기 어려웠다는 점이었다. 관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신곡 대신 인기 있던 크림과 트래픽의 곡을 연주해야 했는데, 이는 클랩튼이 원치 않던 상황이었다. "슈퍼 크림"은 매디슨 스퀘어 가든 첫날 공연에서 관객 폭동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신곡 부족을 메우기 위해 크림의 곡을 연주했다.
4. 1. 데뷔 공연과 짧은 활동
블라인드 페이스는 1969년 6월 7일 런던 하이드 파크에서 10만 명의 팬들 앞에서 무료 콘서트를 열며 데뷔했다.[4] 이 공연에는 믹 재거, 마리안느 페이스풀 등 유명 인사들도 참석했다. 공연 세트리스트는 데뷔 앨범 수록곡 6곡과 롤링 스톤스, 트래픽, 샘 마이어스의 커버곡으로 구성되었다. 공연은 팬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에릭 클랩튼은 밴드의 연주가 형편없다고 생각하여 불안해했다. 그는 공연 대부분 앰프 가까이에 머물렀고, 진저 베이커만이 쇼맨십을 보였다.밴드는 아직 발전 단계였지만, 매니지먼트는 수입을 위해 투어를 강행했다. 클랩튼은 밴드가 충분히 준비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투어를 꺼렸지만, 스티브 윈우드와의 협업 기회 때문에 동의했다. 앨범 녹음과 함께 스칸디나비아에서 짧은 투어가 진행되었고, 밴드는 작은 규모의 공연을 통해 미국과 영국에서의 더 큰 공연을 위한 리허설을 할 수 있었다. 이후 밴드는 7월 12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데뷔하며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
투어의 가장 큰 문제는 밴드의 레퍼토리가 부족하여 1시간을 채우기 어려웠다는 점이었다. 클랩튼은 크림 시절의 긴 즉흥 연주를 싫어했기에, 밴드는 오래된 크림과 트래픽의 곡들을 연주해야 했고, 이는 새로운 곡보다 이전 히트곡을 선호하는 관중들을 만족시켰다. 클랩튼은 조용한 프로젝트를 원했기에, 다시 슈퍼그룹의 일원이 된 것에 불만을 느꼈고, 관객을 달래기 위해 크림 시절의 곡을 연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클랩튼은 투어 중 열린 우드스탁 페스티벌에서 연주하고 싶어했지만, 다른 멤버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투어는 프리, 테이스트, 델라니 앤 보니 등의 밴드가 오프닝을 맡았다. 클랩튼은 델라니 앤 보니의 음악을 좋아하여 그들과 많은 시간을 보냈고, 윈우드가 밴드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클랩튼은 심지어 델라니 앤 보니의 오프닝 공연에 참여하여 퍼커션을 연주하기도 했으며, 자신의 밴드보다 그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델라니 앤 보니가 블라인드 페이스 대신 헤드라이너가 되기를 바라기도 했다.
밴드는 7주 동안 미국 투어를 진행했고, 8월 24일 하와이에서 마지막 공연을 가졌다.[4] 공연 후, 클랩튼과 윈우드는 그룹 해체를 결정했다. 릭 그레치는 즉시 통보받았지만, 베이커는 휴가 후 영국으로 돌아와서야 이 사실을 알게 되었고, 윈우드를 만나 밴드 해체에 대해 분노했다.
4. 2. 해체와 이후 활동
1969년 10월, 밴드는 공식적으로 해체를 발표했다.[3] 스티브 윈우드의 1995년 회고 앨범 ''더 파이너 씽스''에 밴드의 여러 트랙이 수록되었고, 2005년에는 공원에서 열린 전체 콘서트를 기록한 라이브 앨범 ''런던 하이드 파크 1969''가 발매되었다.[10]에릭 클랩튼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에 참여한 후, 델라니 & 보니 앤 프렌즈의 세션 멤버로 활동하다가 데릭 앤 더 도미노스를 결성했다. 그는 블라인드 페이스의 레퍼토리를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았으며, 솔로 활동 동안 "Presence of the Lord"와 "Can't Find My Way Home"을 가끔 공연했다.
진저 베이커는 블라인드 페이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저 베이커의 에어 포스를 결성했다. 스티브 윈우드는 솔로 앨범 녹음 후 트래픽을 재결성하여 ''존 바클리콘 머스트 다이'' 앨범을 냈다. 1970년에는 에릭 클랩튼이 트래픽 공연에 참여하여 윈우드와 함께 "Dear Mr. Fantasy"에서 듀얼 리드 기타를 연주하기도 했다. 릭 그레치는 트래픽에 합류하여 ''The Low Spark of High Heeled Boys''와 ''Welcome to the Canteen'' 앨범에 참여했다. 윈우드는 이후 성공적인 솔로 활동을 이어갔고, 그레치는 1990년 사망하기 전까지 다양한 그룹에서 활동했다.[4] 베이커는 2019년 10월 6일에 사망하여, 윈우드와 클랩튼이 블라인드 페이스의 유일한 생존 멤버가 되었다.[11]
5. 멤버
6. 재결합
2007년 7월, 에릭 클랩튼과 스티브 윈우드는 일리노이주 브리지뷰의 토요타 파크에서 열린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에 함께 출연하여 "Presence of the Lord", "Can't Find My Way Home", "Had to Cry Today" 세 곡을 연주하며 블라인드 페이스 재결성에 대한 큰 기대를 모았다.[4] 이 공연은 DVD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 2007》에 수록되었다.
6. 1. 클랩튼과 윈우드의 협연
2007년 7월, 에릭 클랩튼과 스티브 윈우드는 일리노이주 브리지뷰의 토요타 파크에서 열린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에 함께 출연하여 "Presence of the Lord", "Can't Find My Way Home", "Had to Cry Today" 세 곡을 연주하며 블라인드 페이스 재결성에 대한 큰 기대를 모았다.[4] 이 공연은 DVD 《크로스로드 기타 페스티벌 2007》에 수록되었다.
이후 두 사람은 2008년 2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3일간 합동 공연을 가졌다. 이는 공식적인 블라인드 페이스 재결성은 아니었지만 "윈우드와 크랩튼"의 합동 공연으로, 블라인드 페이스의 곡들 외에도 트래픽, 데릭 앤 더 도미노스, 클랩튼의 솔로, 지미 헨드릭스의 커버곡을 연주했다. 윌리 위크스(베이스), 이안 토마스(드럼), 크리스 스테인턴(키보드)이 참여했다. 이 공연은 2009년 라이브 앨범 및 영상 작품 《라이브 프롬 매디슨 스퀘어 가든》으로 발표되었다.
2009년 6월 10일, 뉴저지주 아이조드 센터를 시작으로 14일간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백 밴드는 전년도와 유사했으나, 이안 토마스 대신 에이브 랩보리엘 주니어가 드럼을 맡았고, 미셸 존, 샤론 화이트가 백 보컬로 합류했다. 2010년에는 스티브 개드를 드러머로 영입하여 유럽 투어를 진행했다. 2011년에는 5월 26일부터 6월 1일까지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5차례, 11월부터 12월까지 일본에서 15차례 공연을 가졌다.[4]
7. 음반 목록
블라인드 페이스는 1969년 유일한 정규 음반 ''Blind Faith''를 발매했다.[36][18] 이 음반은 미국과 영국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에서는 플래티넘, 영국에서는 골드 앨범을 기록했다. 싱글 〈Well All Right〉와 〈Can't Find My Way Home〉은 네덜란드에서 20위를 기록했고,[19] 프로모션 싱글 〈Change of Address〉도 발매되었다.[5]
7. 1. 정규 음반
- ''Blind Faith'' (1969)[36][18]
- ''슈퍼 자이언츠'' ''Blind Faith'' - 미국: 1위 (1969년 8월, 플래티넘 앨범), 영국: 1위 (1969년 9월, 골드 앨범)
7. 2. 싱글
아일랜드 레코드에서 발매한 홍보용 싱글은 레이블 자체 홍보를 위한 것으로, "1969년 6월 23일 주소 변경"이라는 제목으로 사무실 이전을 알리는 내용이었다. 이 한 면짜리 프로모션에는 블라인드 페이스의 연주곡이 담겨 있었지만, 레이블에는 언급되지 않았다.[5]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데뷔 앨범 세션 동안 녹음된 이 싱글은 약 500장 정도 제작되어 주로 영국 디스크 자키와 음악 업계 관계자들에게 배포되었다. 이 트랙은 2000년 ''블라인드 페이스'' 앨범의 2CD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면서 비로소 널리 공개되었으며, 제목은 "Change Of Address Jam"이다.[5]제목 | 상세 정보 | 네덜란드 순위[19] |
---|---|---|
"Well All Right" / "Can't Find My Way Home" | 1969년 | 20위 |
"Change of Address" / "Sales Office" | 1969년 (프로모션 싱글)[5] | - |
8. 영상 작품
연도 | 제목 | 감독 |
---|---|---|
1970 | 오이 성 | 휴 글래드위시 |
참조
[1]
웹사이트
Blind Faith
https://www.udiscove[...]
uDiscover Music
2020-02-11
[2]
웹사이트
Blind Faith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9-09-13
[3]
웹사이트
Blind Faith: The Meteoric Rise & Rapid Fall Of Clapton, Baker, Winwood, And Grech's 1969 Super-Group
https://liveforlivem[...]
2017-08-16
[4]
간행물
Born Under A Bad Sign
http://www.gingerbak[...]
1996-06
[5]
AV media notes
Change of Address from 23 June 1969
https://www.discogs.[...]
Island Records
[6]
웹사이트
Blind Faith
http://www.classicro[...]
Classic Rock Review
2014-01-03
[7]
뉴스
Bob Seidemann, 75, Photographer of Rock Stars and Aviators, Dies
https://www.nytimes.[...]
2017-12-17
[8]
웹사이트
Blind Faith (2000 Deluxe Edition)
https://www.allmusic[...]
[9]
웹사이트
The Finer Things
https://www.allmusic[...]
[10]
웹사이트
London Hyde Park 1969
https://www.allmusic[...]
[11]
뉴스
Cream drummer Ginger Baker dies aged 80
https://www.bbc.com/[...]
2019-10-06
[12]
간행물
Clapton and Winwood break out Blind Faith and Hendrix at first Supergig
https://www.rollings[...]
2008-02-26
[13]
AllMusic
[14]
간행물
Eric Clapton & Steve Winwood / June 10, 2009 / East Rutherford, NJ (IZOD Center)
https://www.billboar[...]
2009-06-11
[15]
웹사이트
Clapton at the Royal Albert Hall: The 2011 "Dust Up" Begins
https://www.whereser[...]
Where's Eric
2011-05-18
[16]
웹사이트
Eric Clapton To Team With Santana, Steve Winwood & Gary Clark Jr. In London
https://www.jambase.[...]
2017-11-27
[17]
간행물
Final tickets for Eric Clapton's Ginger Baker tribute show up for grabs
https://www.musicrad[...]
[18]
웹사이트
Blind Faith – Blind Faith
https://www.allmusic[...]
AllMusic
[19]
웹사이트
Blind Faith – Well All Right
https://dutchcharts.[...]
[20]
웹사이트
スーパーグループとして知られるブラインド・フェイス唯一のアルバム『スーパー・ジャイアンツ』
https://web.archive.[...]
Okmusic
2018-04-13
[21]
웹사이트
唯一の作品が英米で首位を獲得したスーパーグループ、ブラインド・フェイス
https://www.udiscove[...]
U discovermusic.jp
2019-09-20
[22]
문서
アメリカに本社がある[[エレクトラ・レコード]]がイギリスに進出した記念の一環として制作した英米バンドのセッション・オムニバス・アルバム『[[:en:What's Shakin'|ホワッツ・シェイキン]]』の為に結成されたセッション・バンド。メンバーは[[ジョン・メイオール&ザ・ブルースブレイカーズ]]を脱退したクラプトン、[[スペンサー・デイヴィス・グループ]]のウィンウッドと[[ピート・ヨーク]]、[[マンフレッド・マン (バンド)|マンフレッド・マン]]の[[ポール・ジョーンズ (シンガー)|ポール・ジョーンズ]]とジャック・ブルースだった。
[23]
서적
Clapton
Broadway Books
2007
[24]
웹사이트
Blind Faith's Concert Performances
http://www.angelfire[...]
[25]
서적
Clapton
Broadway Books
2007
[26]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7]
웹사이트
Official Steve Winwood Website
http://www.stevewinw[...]
[28]
서적
Rolling Stone Encyclopedia of Rock & Roll
Rolling Stone Press
2003
[29]
웹사이트
about BLIND FAITH
http://www.bobseidem[...]
Bobseidemann.com
[30]
웹사이트
Steve Winwood Fans' Site: Collaborations & Sessions: Collaborations
http://www.winwoodfa[...]
Winwoodfans.com
[31]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32]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33]
웹사이트
Blind Faith Website
http://www.angelfire[...]
[34]
웹인용
Blind Faith
https://www.udiscove[...]
uDiscover Music
2020-02-11
[35]
웹인용
Blind Faith biography
https://www.allmusic[...]
[36]
웹인용
Blind Faith – Blind Faith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9-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