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나르도 다 빈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로, 화가, 조각가, 건축가, 과학자, 기술자, 해부학자, 발명가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빈치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베로키오의 공방에서 미술 수업을 받았으며, 피렌체와 밀라노 등지에서 활동하며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등 걸작을 남겼다. 레오나르도는 예술과 과학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해부학 연구를 통해 인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스푸마토 기법을 개발하는 등 회화 기법을 발전시켰다. 그의 끊임없는 탐구 정신과 창의성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대중문화에서 널리 다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상학자 - 토머스 브라운 (작가)
토머스 브라운은 17세기 영국의 의사이자 작가로서, 종교, 과학,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독창적인 작품과 문체로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기", "환각" 등의 신조어를 만들어 영어 어휘 발전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토목공학자 -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초기의 건축가, 조각가, 기술자로, 피렌체 대성당 돔 설계 및 건설, 선 원근법 체계화 등 건축과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만능인이다. - 이탈리아의 토목공학자 - 조반니 바티스타 카프로니
조반니 바티스타 카프로니는 이탈리아의 항공 엔지니어, 항공기 설계자, 제조업자로서 복엽기부터 폭격기, 수송기, 수상 비행기 등 다양한 항공기를 설계, 제작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폭격기 개발과 대서양 횡단 여객 수상 비행기 개발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비술사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와 잠재력을 강조한 15세기 이탈리아 인문주의 철학자로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독교 카발라 전통 형성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비술사 - 율리우스 에볼라
율리우스 에볼라는 독일 관념론, 동양 사상, 전통주의를 혼합한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현대 사회를 비판하며 고대적 가치 회복을 주장한 이탈리아의 철학자, 화가, 시인, 에세이스트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레오나르도 디 세르 피에로 다 빈치 |
출생일 | 1452년 4월 15일 |
출생지 | (아마도 안키아노), 빈치, 피렌체 공화국 |
사망일 | 1519년 5월 2일 |
사망지 | 클로 뤼세, 앙부아즈, 프랑스 왕국 |
안장 장소 | 앙부아즈 성 |
국적 | 피렌체 공화국 |
가족 | 다 빈치 가문 |
활동 기간 | 1470년경–1519년 |
알려진 업적 | 회화 드로잉 공학 해부학 연구 수리학 식물학 광학 지질학 |
주요 작품 | 암굴의 성모 (1483년경–1493년) 흰 족제비를 안은 여인 (1489년경–1491년경)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1490년경) 최후의 만찬 (1495년경–1498년경) 모나리자 (1503년경–1516년경) |
사조 | 성기 르네상스 |
![]() | |
교육 | |
사사 |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
논란이 된 복제품 | 로베르토 구아텔리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계산기 복제품이 논란이 되었다. |
재정적 가치 | 4억 5,030만 달러 (추정) |
2. 생애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빈치 근처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빈치 출신 피에로의 아들 레오나르도'라는 뜻이다.[244] 아버지 세르 피에로 다 빈치는 피렌체의 법률 공증인이었고,[246][247] 어머니 카테리나는 농부로 추정되며, 두 사람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4]
어린 시절, 다빈치는 어머니와 함께 살다가[245] 1457년경부터 아버지, 조부모, 숙부의 집에서 자랐다.[246] 아버지는 피렌체에서 공증인으로 일하며 집을 자주 비웠다.[246][247] 레오나르도는 사생아였기 때문에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이탈리아어 등을 비공식적으로 배웠다.[255] 훗날 그는 라틴어를 독학으로 공부했다.[255]
1466년, 14세의 레오나르도는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 도제로 들어가 회화, 조각,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익혔다.[135][137] 1472년에는 성 루카 길드에 등록하여 독립적인 화가로 인정받았다.[127]
레오나르도는 1482년부터 1499년까지 밀라노에서 활동하며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일했다. 이 시기에 ''바위의 성모''와 ''최후의 만찬'' 등 대표작을 남겼다.[13] 또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를 위한 거대한 기마상 제작을 계획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주조에 필요한 금속이 부족해 실현되지 못했다.[193]
1499년 프랑스의 침공 이후, 레오나르도는 피렌체로 돌아와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했다.[26] 1506년부터는 다시 밀라노에서 활동하며 프란체스코 멜치를 제자로 받아들였다.
1513년부터 로마에서 활동하다가 1516년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프랑스로 건너갔다. 1519년 5월 2일, 프랑스 클로 뤼세에서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8] 그의 유해는 생 플로랑탱 교회에 묻혔으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 묘지가 훼손되어 현재는 유골이 남아있지 않다.[260] 레오나르도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으며, 그의 유산은 제자 프란체스코 멜치에게 상속되었다.
2. 1. 어린 시절 (1452년 ~ 1466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토스카나의 언덕 마을 빈치 근처에서 태어났다. 피렌체에서 약 32km 떨어진 곳이다.[244] "빈치 출신 피에로의 아들 레오나르도"라는 뜻을 가진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는 피렌체의 법률 공증인이었던[247] 아버지 세르 피에로 다 빈치와[246] 어머니 카테리나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4] L'Accattabriga|translation=말다툼하는 사람it라는 별명을 가진 카테리나는 현지 장인 안토니오 디 피에로 부티 델 바카와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다빈치는 처음에는 생모와 함께 생활하다가[245] 1457년경 아버지와 한 집에 살게 되었다.[246] 이 시기 다빈치를 양육한 이는 조부모와 숙부였다. 아버지 피에로는 피렌체에 사무실을 열고[247] 지역 공증인과 동업하면서 집을 자주 비웠다.[246]
레오나르도의 아버지는 레오나르도가 태어난 직후 알비에라라는 16세 소녀와 결혼했으나, 레오나르도와 계모의 관계는 좋았다.[127] 하지만 1464년 계모가 사망하면서[248] 아버지 피에로는 두 차례 더 재혼했고, 레오나르도는 12명의 이복 형제를 두게 되었다.[249][250][251] 서자였던 레오나르도는 이복 형제들과 사이가 원만하지 못했고, 훗날 숙부 프란체스코가 사망한 후에는 상속 문제로 이복 형제들과 민사소송을 하기도 했다.[252]
훗날 레오나르도는 유년 시절 독수리가 하늘에서 내려와[131] 자신의 입가를 꼬리로 여러 번 내리쳤다는 "신비한 체험"과, 산에서 동굴을 발견했을 때 괴물에 대한 두려움과 동굴 내부에 대한 호기심을 동시에 느꼈다고 기록했다.[127]
2. 1. 1. 사생아로서의 한계
다빈치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당시 피렌체에서는 혼외자에 대한 차별이 심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의 차별과 무시는 존재했다.[253] 귀족 가문 출신이 아닌 혼외자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거나 대학교에 진학할 수 없었고,[253] 의사, 약사, 법률가, 행정 공무원 등 직업 선택의 폭도 제한적이었다.[254] 부친이 속한 길드(조합)에서도 혼외자가 행정 관리나 공증인이 되는 것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았다.[254]다빈치는 정식 학교에서 읽고 쓰기를 배우지 못했고, 비공식적으로 모어이자 모국어인 이탈리아어 등을 배웠을 뿐, 당대 귀족이나 식자층 자녀들처럼 라틴어, 그리스어 등 여러 학문에 대한 정상적인 교육을 받지는 못했다.[255] 피렌체의 인문주의 학자들로부터 무시가 이어지자 마흔이 넘은 나이에 라틴어를 배웠고, 그 당시 라틴어를 연습했던 기록들이 현재에도 남아있다.[255]
2. 2. 베로키오 공방 시절 (1466년 ~ 1472년)
1466년, 14세의 레오나르도는 당시 피렌체에서 가장 뛰어난 공방 중 하나를 이끌던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 도제로 들어갔다.[135] 베로키오의 공방에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페루지노, 보티첼리 등 훗날 유명한 예술가들이 함께 있었다.[127][193]레오나르도는 이 공방에서 이론과 기술 모두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36] 회화, 조각뿐만 아니라 설계, 화학, 야금, 금속 가공, 석고주형 주조, 가죽 세공, 기계 공학, 목공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익혔다.[137]
베로키오 공방에서 제작된 그림 대부분은 제자나 공방 화가들의 작품이었다. 조르조 바사리에 따르면, 베로키오와 레오나르도가 함께 그린 <그리스도의 세례>에서 레오나르도는 그리스도의 옷을 들고 있는 어린 천사를 그렸는데, 스승 베로키오가 다시는 그림을 그리지 않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보였다고 한다.[138] 그러나 베로키오가 회화 제작을 중단한 것은 레오나르도와는 관계없이 단순히 조각에 전념하기 위해서였다는 설도 있다.

<그리스도의 세례>는 템페라 기법으로 그린 그림 위에 당시 새로운 기법이었던 유화로 덧칠한 작품이다. 현대의 분석에 따르면 풍경, 바위, 그리스도의 대부분도 레오나르도가 그린 것으로 보인다.[139]
또한 레오나르도는 베로키오의 작품 두 점의 모델이 되었다고도 전해진다. 피렌체 바르젤로 미술관의 청동 조각 <다비드상>과 런던 내셔널 갤러리의 <토비아스와 천사>에 그려진 대천사 라파엘이 그것이다.[123]
1472년, 20세의 레오나르도는 성 루카 길드에 등록하여 독립적인 화가로 인정받았다.
2. 3. 피렌체와 밀라노에서의 활동 (1472년 ~ 1499년)
레오나르도는 1482년부터 1499년까지 밀라노에서 활동했다. 그는 무염시태의 수태고지 성모 수도회를 위해 ''바위의 성모''를,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을 위해 ''최후의 만찬''을 그릴 것을 의뢰받았다.[13] 1485년 봄, 레오나르도는 스포르차 가문을 대표하여 헝가리로 여행하여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을 만났고, 그에게서 마돈나를 그릴 것을 의뢰받았다.[13] 1490년에는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와 함께 파비아 대성당 건설 현장의 자문으로 초청받았고,[14][15] 그곳에서 레지솔레의 기마상에 감명을 받아 스케치를 남겼다.[16]레오나르도는 특별한 행사를 위한 마차와 행렬 준비와 같이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많은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 밀라노 대성당 돔 디자인 공모전을 위해 --과 목제 모형을 제작했으며,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전임자 프란체스코 스포르차를 위한 거대한 기마상 모형도 제작했다. 이 기마상은 르네상스 시대의 두 개의 대형 기마상인 파도바의 돈나텔로의 ''가타멜라타''와 베네치아의 베로키오의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를 능가하는 규모였으며, ''그란 카발로''로 알려지게 되었다. 레오나르도는 말 모형을 완성하고 주조를 위한 상세한 계획을 세웠지만, 1494년 11월 루도비코는 프랑스의 샤를 8세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한 대포를 제작하는 데 사용할 금속을 매제에게 주었다.
당시 서신 기록에 따르면, 레오나르도와 그의 조수들은 밀라노 공작으로부터 스포르차 성의 살라 델레 아세를 1498년경에 그림으로 장식하라는 의뢰를 받았다.[17] 이 프로젝트는 16그루의 뽕나무 가지가 얽혀 만든 퍼골라처럼 보이도록 하는 트롱프뢰유 장식이 되었고,[18] 천장에는 잎과 매듭의 복잡한 미궁이 있는 캐노피가 포함되었다.[19]
2. 3. 1. 제1 피렌체 시대 (1472년 ~ 1482년)
레오나르도는 1466년에서 1482년까지를 '''제1의 피렌체 시대'''라고 칭하며, 이 시기에 베로키오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수태고지〉, 〈베노바 가의 성모〉 등 초기 작품에서 이미 독창적인 구도와 분위기 표현 기술을 선보였다.[11]1472년, 레오나르도는 20세의 나이에 화가와 의사 조합인 성 루카 길드의 장인이 되었다.
하지만 아버지가 마련해준 작업실이 있었음에도 베로키오와의 유대감이 깊어 계속 협력하며 함께 살았다.[127]
레오나르도의 가장 초기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1473년 아르노 계곡을 그린 펜과 잉크 그림이다.[193]
바사리에 따르면, 레오나르도는 피렌체와 피사 사이의 아르노 강을 항해 가능한 수로로 만드는 것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이었다.[15]
1478년 1월, 레오나르도는 베키오 궁전의 성 베르나르두스 예배당을 위해 제단화를 그리는 독립적인 의뢰를 받았다.[12]
이는 그가 베로키오의 작업실에서 독립했음을 나타낸다. 아노니모 가디아노로 알려진 익명의 초기 전기 작가는 1480년 레오나르도가 메디치 가문과 함께 살면서 피렌체 산 마르코 광장 정원에서 자주 일했다고 주장한다.
이 정원은 메디치 가문이 조직한 신플라톤주의 예술가, 시인, 철학자 아카데미가 모이는 곳이었다.
1481년 3월, 산 도나토 인 스코페토 수도원으로부터 ''동방박사의 경배'' 의뢰를 받았다.
이 초기 의뢰들은 레오나르도가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자신의 봉사를 제공하기 위해 떠나면서 완성되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알베르티와 함께 레오나르도는 메디치 가문의 집을 방문했고, 그들을 통해 마르실리오 피치노, 크리스토포로 란디노, 존 아르기로풀로스 등 고령의 인문주의 철학자들을 알게 되었다.[8]
메디치의 플라톤 아카데미와도 관련이 있는 레오나르도의 동시대인으로는 뛰어난 젊은 시인이자 철학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가 있다.
1482년, 레오나르도는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루도비코 일 모로에게 사절로 파견되었는데, 그는 1479년부터 1499년까지 밀라노를 통치했다.
레오나르도는 베로키오와 함께 그린 ''그리스도의 세례'' 작품으로 처음 주목을 받았다. 베로키오의 작업실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그린 것으로 보이는 다른 두 점의 그림도 있는데, 모두 수태고지이다. 하나는 작은 그림으로, 59cmx14cm이다. 더 큰 작품의 바닥에 놓이는 "프레델라"로, 로렌초 디 크레디의 그림에서 분리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훨씬 큰 작품으로, 217cm이다.
두 수태고지에서 레오나르도는 프라 안젤리코의 두 점의 유명한 그림과 같은 형식의 구성을 사용했다. 그림의 오른쪽에 앉거나 무릎을 꿇고 있는 성모 마리아와, 왼쪽에서 다가오는 옆모습의 천사가 풍성하게 흘러내리는 의복을 입고 날개를 펼친 채 백합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전에는 기를란다요의 작품으로 여겨졌지만, 더 큰 작품은 현재 일반적으로 레오나르도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작은 그림에서 마리아는 눈을 돌리고 손을 모아 하느님의 뜻에 복종하는 것을 상징하는 제스처를 취한다. 그러나 더 큰 그림에서 마리아는 복종적이지 않다. 예상치 못한 사자의 방문으로 독서가 방해받은 소녀는 손가락으로 성경의 위치를 표시하고, 인사나 놀라움을 표현하는 공식적인 제스처로 손을 든다.
이 차분한 젊은 여성은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체념이 아닌 자신감으로 받아들이는 듯하다. 이 그림에서 젊은 레오나르도는 하느님의 강생에 있어 인류의 역할을 인식하며 성모 마리아의 인본주의적 모습을 제시한다.
2. 3. 2. 제1 밀라노 시대 (1482년 ~ 1499년)
1481년에 밀라노의 스포르차 귀족 가문의 화가로 초빙된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82년부터 1499년까지 밀라노에서 활동했다. 이 시기를 '''제1 밀라노 시대'''라고 부른다. 레오나르도가 밀라노에 간 목적은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기마상 제작과 음악 교수 때문이었다. 약 17년 동안 화가, 조각가, 건축가, 기사로서 다방면에 걸친 천재성을 발휘했다.이 시기에 세계 미술사에서 가장 뛰어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바위의 성모〉(1483년, 루브르 박물관)와 〈최후의 만찬〉(1495년~1498년, 밀라노)이 제작되었다. 〈바위의 성모〉에서는 레오나르도 특유의 화법인 스푸마토(Sfumato)가 첫선을 보이게 되며, 뒤에 이 화법을 바탕으로 유명한 〈모나리자〉(1500년~1503년, 루브르 박물관)가 그려졌다. 스푸마토는 원거리에서 물체를 둘러싼 공기(대기)까지 그림으로써 완전한 삼차원의 세계를 그리는 기법으로 대기 원근법(aerial perspective)이라고도 불렸다.
또한 당시 로마 가톨릭의 통제에 따라 제작되던 교회 미술계의 풍토를 깨고,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는 등 자신의 소신에 따른 작품 활동을 했다. 1489년 인체와 말의 해부학적 연구에 몰두하고, 인체의 해부와 조류의 비상에 관한 논문, 광학에 대한 연구에도 전심하였다.

레오나르도는 무염시태의 수태고지 성모 수도회를 위해 ''바위의 성모''를,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을 위해 ''최후의 만찬''을 그릴 것을 의뢰받았다. 1485년 봄, 레오나르도는 스포르차 가문을 대표하여 헝가리로 여행하여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을 만났고, 그에게서 마돈나를 그릴 것을 의뢰받았다.[13] 1490년에는 프란체스코 디 조르조 마르티니와 함께 파비아 대성당 건설 현장의 자문으로 초청받았고,[14][15] 그곳에서 레지솔레의 기마상에 감명을 받아 스케치를 남겼다.[16]
레오나르도는 밀라노 공 루도비코 스포르차로부터 다양한 기획을 명령받았다. 특별한 날에 사용하는 마차와 퍼레이드 준비, 밀라노 대성당 돔의 설계,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거대한 기마상 제작 등이었다. 하지만 이 기마상은 이후 수년간 제작이 시작되지 않았다. 기마상의 원형이 되는 점토로 만든 말 조각이 완성된 것은 1492년이다.
이 프란체스코의 기마상을 크기 면에서 능가하는 르네상스 시대 조각 작품은 도나텔로의 『가타멜라타 기마상』(1453년, 산탄토니오 다 파도바 성당 앞 산토 광장)과 베로키오의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 기마상』(1496년, 산 조반니 에 파올로 교회 앞 광장) 두 작품뿐이며, 레오나르도가 제작한 점토로 만든 말 조각은 ""로 알려지게 되었다.[193]
레오나르도는 이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 기마상』의 주조를 구체적으로 추진하려고 했지만,[193] 미켈란젤로는 레오나르도가 이러한 큰 일을 할 수 없다고 모욕했다고 전해진다.[127] 이 기마상 제작을 위해 17톤의 청동이 준비되었지만, 1494년 11월 프랑스 국왕 샤를 8세의 밀라노 침공에 대항하기 위한 대포 재료로 사용되었다.[193]
당시 서신 기록에 따르면, 레오나르도와 그의 조수들은 밀라노 공작으로부터 스포르차 성의 살라 델레 아세를 1498년경에 그림으로 장식하라는 의뢰를 받았다.[17] 이 프로젝트는 16그루의 뽕나무 가지가 얽혀 만든 퍼골라처럼 보이도록 하는 트롱프뢰유 장식이 되었고,[18] 천장에는 잎과 매듭의 복잡한 미궁이 있는 캐노피가 포함되었다.[19]
2. 4. 제2 피렌체 시대 (1500년 ~ 1508년)
1499년 프랑스 왕 루이 12세의 밀라노 침입으로 다 빈치는 1500년 피렌체로 돌아왔다. 피렌체에서 제단화 <성 모자와 성 안나>를 그렸고, 1502년에는 체잘레와 보르지아에서 토목 사업, 운하 개발, 도시 계획을 위해 초청되었다. 1503년에는 다시 피렌체로 돌아와 <모나리자>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과학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 새가 나는 방법, 지질학과 물의 운동, 해부 등에 관한 수기를 남겼다.[26]2. 5. 제2 밀라노 시대 (1506년 ~ 1513년)
1506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당시 밀라노를 통치하던 프랑스 왕 루이 12세의 궁정 화가가 되었다. 이 시기를 그의 '제2의 밀라노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프란체스코 멜치를 제자로 받아들였다.2. 6. 로마와 프랑스에서의 말년 (1513년 ~ 1519년)
1516년 이후 프랑스에서 계속 거주하며 활동하던 다빈치는 서서히 기력이 약해지자 소일거리를 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1519년 4월 23일, 죽음을 직감한 듯 유언장을 작성하였다.[253][256] 유언장에서 그는 사후 프랑스에 묻히길 희망했고, 그의 연애상대였던 살라이와 다빈치의 하인 바티스타에게 밀라노 공작에게 받은 포도밭을 반씩 나누어 상속하며,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모나리자' 등의 그림과 메모가 적힌 노트들을 제자인 멜치에게 상속한다는 내용 등을 기록하였다.[257]1519년 5월 2일, 67세의 나이로 프랑스 클로 뤼세(Clos Lucé)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사망했다.[258] 조르조 바사리(1511~1574)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전기에서 다빈치가 프랑수아 1세의 품 안에서 숨을 거뒀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의 임종 시 그 자리에 없었다.[259] 유해는 다빈치의 유언에 따라 생 플로랑탱 교회에 묻혔다. 그런데 프랑스 혁명으로 혼란스럽던 시기인 1802년 교회 건물이 해체되면서 그곳에 있던 모든 묘지들이 파묘된 후 모두 훼손되어 버렸기 때문에 그의 유골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260]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평생 독신으로 살아 자식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제자이자 동반자였던 프란세스코 멜지(Francesco Melzi)가 그의 유산을 상속하였다. 1570년 프란세스코 멜지의 죽음으로 그가 평생 간직하고 있었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엄청난 양의 크로키와 그림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3. 주요 작품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회화, 조각, 건축,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작품을 남겼지만, 현존하는 회화 작품은 15점 내외로 알려져 있다.[114] 1490년대에 이미 "신성한" 화가로 묘사될 정도로,[185] 400년 이상 그의 명성은 화가로서의 업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에게 귀속되거나 귀속된다고 여겨지는 소수의 작품들은 위대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레오나르도의 작품을 독특하게 만드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혁신적인 채색 기법
- 해부학, 빛, 식물학 및 지질학에 대한 상세한 지식
- 인상학에 대한 관심과 표정, 몸짓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
- 인물 구성에서 인체의 혁신적인 사용
- 미묘한 색조의 변화
이러한 특징들은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동굴의 성모와 같은 그의 대표작에 집약되어 있다.[186]
3. 1. 회화
레오나르도의 화가로서의 경력은 스승 베로키오와의 협력 작품인 〈그리스도의 세례〉로 시작된다.[44] 레오나르도의 수업 시절 작품으로는, 두 점의 〈수태고지〉가 있다. 그 중 한 점은 세로 14cm, 가로 59cm의 작은 회화로, 원래는 로렌초 디 크레디의 큰 제단화의 장식 그림이었던 것이 소실된 작품이다. 또 다른 〈수태고지〉는 세로 98cm, 가로 217cm의 대규모 작품이다.[187]두 점의 〈수태고지〉 모두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 등과 매우 비슷한 전통적인 구도로 그려져 있다. 앉아 있거나 무릎을 꿇은 성모를 화면 오른쪽에 배치하고, 등 뒤의 날개를 높이 펼치고 화려한 의상을 입은 옆모습의 천사가 순결을 의미하는 백합과 함께 화면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큰 〈수태고지〉(1472년~1475년, 우피치 미술관)는 과거에는 기를란다요의 작품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레오나르도의 진품이라고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188] 작은 〈수태고지〉에서는 마리아는 천사의 시선을 피하고, 두 손을 꼭 잡고 있다. 이 포즈는 신의 뜻에 대한 복종을 상징한다.
그러나 큰 〈수태고지〉의 마리아는 이러한 복종을 보여주는 포즈를 취하고 있지 않다. 예상치 못한 천사의 방문으로 독서를 중단하게 된 마리아의 오른손은 지금까지 읽고 있던 성서 위에 놓여 있고, 왼손은 환영 또는 놀라움을 의미하는, 곧게 펴진 상태로 그려져 있다.[162] 냉정하다고도 할 수 있는 이 젊은 마리아의 포즈는 성모로서의 역할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감에 차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젊은 레오나르도는 이 〈수태고지〉에서 마리아를 신격화하지 않고, 인간 여성으로 그렸다. 이것은 신의 현현에서 인간이 수행하는 역할을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레오나르도는 1480년대에 매우 중요한 회화 작품 두 점의 제작을 맡았고, 혁신적인 구성을 가진 또 다른 중요한 회화 작품 한 점의 제작을 시작했다. 이 세 점의 회화 중 두 점은 미완성으로 끝났고, 나머지 한 점은 완성도와 대금 지불을 둘러싼 오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미완성으로 끝난 회화 중 하나가 〈황야의 성 히에로니무스〉이다.
〈황야의 성 히에로니무스〉는 착수 단계에서 중단된 작품이지만, 매우 이례적인 구성으로 그려져 있다. 히에로니무스는 고행자로서 화면 중앙에 가득 차게 그려져 있으며, 기울어진 얼굴은 약간 위를 향하고 있다. 왼쪽 무릎은 땅에 닿아 있으며, 오른손은 화면 끝까지 뻗어 있고, 시선은 오른손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앞면에는 히에로니무스의 상징인 큰 사자가 드러누워 있고, 그 몸통과 꼬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배경에 거칠게 그려진 바위산 풍경이 히에로니무스의 신체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황야의 성 히에로니무스〉와 마찬가지로 대담한 구성, 풍경 묘사, 그리고 인물 묘사가 그려져 있는 것이 〈동방박사의 경배〉(1481년, 우피치 미술관)이다. 산 도나토 스코페토 수도원의 수도승으로부터 의뢰받은 작품이었다. 250cm 정사각형으로 매우 복잡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1482년 로렌초 데 메디치로부터 밀라노 공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사절로 파견될 것을 명령받았기 때문에, 〈동방박사의 경배〉의 제작도 미완성 상태로 중단되었다.[123][188]
이 시기에 그려진 또 다른 중요한 회화가 〈동굴의 성모〉로, 밀라노의 성모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신앙회의 의뢰로 제작된 작품이다. 〈동굴의 성모〉는 이미 완성된 제단을 장식하는 큰 제단화로 그려졌다.[191] 레오나르도는 이 작품을 성 안나, 성모, 유아 예수의 성가정이 천사의 보호를 받으며 애굽으로 도피하는 중에 어린 세례자 요한을 만나는, 성서 정경에는 없는 장면으로 설정했다. 더욱이 어린 요한은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인정하고 기도를 올리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무너질 듯한 바위와 소용돌이치는 강을 배경으로, 창백한 얼굴의 아름다운 사람들이 유아 예수를 애정 어린 마음으로 숭배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192] 〈동굴의 성모〉는 200cm × 120cm의 비교적 대규모 작품이지만, 〈동방박사의 경배〉와 같은 복잡한 화면 구성은 아니다. 〈동방박사의 경배〉에는 약 15명의 인물상과 상세한 건축물이 그려져 있지만, 〈동굴의 성모〉에 그려져 있는 것은 4명의 인물상과 바위 동굴뿐이다. 〈동굴의 성모〉는 서로 다른 버전으로 두 점 제작되었고, 한 점은 성모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신앙회의 예배당에 (런던 내셔널 갤러리가 현재 소장하는 버전), 또 한 점은 레오나르도의 손에 남아 있다가 후에 레오나르도와 함께 프랑스로 가져가졌다 (현재 파리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는 버전). 그러나 성모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신앙회가 공식적으로 〈동굴의 성모〉를 입수하거나 제작 대금을 지불한 것은 16세기 이후였다.[193][147]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1490년대에 그린 그림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 수도원 식당에 있는 벽화 〈최후의 만찬〉이다. 이 작품에는 그리스도가 체포되어 처형되기 직전 12명의 제자들과 함께 한 최후의 만찬 장면이 그려져 있으며, 그리스도가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라고 말하는 순간이 묘사되어 있다.[194] 레오나르도는 그리스도의 이 말에 12명의 제자들이 당황했다는 『요한복음서』의 한 장면을 이 벽화에 그려낸 것이다.[193]
완성된 〈최후의 만찬〉은 구성과 인물 표현 모두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었지만,[197] 빠르게 상태가 악화되어 완성 후 100년 후에는 "완전히 붕괴되었다"라고 말해질 정도였다.[198] 레오나르도는 이 벽화를 제작할 때 신뢰할 수 있는 프레스코 기법이 아닌, 석고를 주재료로 한 바탕칠 위에 템페라 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작품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고 안료가 탈락하게 된 것이다.[199] 이처럼 매우 큰 손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만찬〉은 가장 많이 모사되고 복제된 그림 작품 중 하나이며, 그림뿐만 아니라 융단이나 카메오 등 다양한 매체에 복제되어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16세기에 그린 소규모 초상화로,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는 〈모나리자〉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회화 작품으로 일컬어진다. 그려진 여성이 띠고 있는 알 수 없는 미소가 높이 평가되는 작품으로, 입가와 눈에 표현된 미묘한 음영이 이 여성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미묘한 음영 기법은 "스푸마토" 또는 "레오나르도의 연기"라고 불린다.
그 외 〈모나리자〉의 특징으로는, 수수한 의상, 굽이치며 흐르는 듯한 배경 풍경, 억제된 색조, 극도로 높은 사실적 기법 등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안료에 유화 물감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지만, 회화 기법은 템페라와 유사한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림 표면에서 안료를 섞은 붓자국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르네상스기에 제작된 판화로서는 〈모나리자〉의 보존 상태는 완벽에 가깝고, 복원 보수의 흔적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204]
자연의 풍경 속에 인물상을 그리는 〈성 안나와 성모자〉의 구성은, 〈황야의 성 예로니무스〉의 기울어진 인물상을 연상시킨다. 〈성 안나와 성모자〉가 뛰어난 점은, 두 인물이 비스듬히 겹쳐져 있는 구도에 있다. 어머니 안나의 무릎에 앉은 성모가, 자신이 장래 마주할 고난의 상징인 어린 양을 거칠게 다루는 그리스도를 타이르려고, 몸을 기울여 팔을 뻗고 있다.[193] 〈성 안나와 성모자〉도 많은 모사가 제작된 그림으로,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안드레아 델 사르토 등에도 영향을 주었고,[206], 더 나아가 그의 제자인 폰토르모, 코레조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성 안나와 성모자〉의 화면 구성은 베네치아의 화가 틴토레토와 파올로 베로네세 등이 즐겨 채택했다.
레오나르도는 다작의 화가는 아니었지만, 많은 데생과 드로잉을 남겼다.
회화 작품의 습작과 밑그림도 많이 현존하고 있으며, 〈동방박사의 경배〉, 〈동굴의 성모〉, 〈최후의 만찬〉 등의 습작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것도 있다.[207] 제작 시기가 밝혀진 초기 드로잉은 1473년의 〈아르노 강의 풍경〉으로, 강, 산, 몬테루포 성, 농지가 매우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127][207]
레오나르도가 그린 드로잉 중 유명한 작품으로는 인체의 조화를 표현한 〈비트루비우스적 인체 비례도〉( 아카데미아 미술관), 〈동굴의 성모〉 습작 〈천사의 머리〉(루브르 박물관), 식물이 그려진 습작 〈베들레헴의 별〉( 윈저 성왕립 컬렉션), 160cm × 100cm의 〈성 안나와 성모자와 어린 세례자 요한〉(내셔널 갤러리) 등이 있다.[207]
색깔이 있는 종이에 검은 초크로 그려진 〈성 안나와 성모자와 어린 세례자 요한〉에는, 명암 표현에 〈모나리자〉에서 볼 수 있는 스푸마토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성 안나와 성모자와 어린 세례자 요한〉을 직접적인 습작으로 그려진 회화 작품은 존재하지 않는다고도 하지만, 루브르 박물관이 소장하는 〈성 안나와 성모자〉는 구성이 매우 유사하다.[208]
3. 2. 과학 및 공학 연구
르네상스 인문주의에서는 과학과 예술을 서로 동떨어진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 레오나르도가 남긴 과학 및 공학 관련 연구는 그의 예술 작품과 마찬가지로 인상적이고 혁신적이었다.[193] 이러한 연구는 1만 3천 페이지에 달하는 저서에 그림과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현대 과학의 선구자라고도 할 수 있는 예술과 자연철학이 융합된 것이다. 저서에는 레오나르도가 일상생활이나 여행지에서 관심을 가졌던 사항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레오나르도는 평생 자신을 둘러싼 세상에 대한 예리한 관찰력을 유지했다.[193]레오나르도의 필체는 대부분 초서체 거울글씨로 쓰여 있다. 레오나르도가 왼손잡이였기 때문에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씨를 쓰는 것이 더 편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레오나르도의 저서와 그림에는 레오나르도가 관심과 흥미를 가졌던 모든 분야의 사건들이 적혀 있다. 식료품점이나 자신의 하인 목록과 같은 일상적인 것부터 날개나 수상 보행용 신발 연구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장르에 걸쳐 있다. 그 외에도 회화 구성안, 세밀한 표현과 의복의 습작, 얼굴, 감정 표현, 동물, 유아, 해부, 식물 습작 및 연구, 암석의 구성, 강의 소용돌이, 무기, 헬리콥터, 건축 연구 등이 저서에 기록되어 있다.[210]
레오나르도의 과학적 접근 방식은 관찰에 기반했다. 어떤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상세한 기록과 이미지화를 반복했고, 실험이나 이론은 중시하지 않았다. 레오나르도는 라틴어나 수학에 대한 정식 교육을 받지 않았고, 독학으로 라틴어를 습득했지만 당시 많은 학자들에게는 과학자로 여겨지지 않았다.
레오나르도는 1495년 수도사이자 수학자인 루카 파치올리의 수학 서적 『수마』를 구입했고, 1496년에는 파치올리와 밀라노에서 만나 그에게서 수학(순수 수학)과 복식부기(회계학)를 배웠다.[212] 파치올리는 레오나르도의 지적 탐구심에 감명을 받았고, 함께 기하학적 입체 도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1509년에 출판될 파치올리의 저서 『신성비례』의 삽화에 사용할 판화의 밑그림으로 정다면체 골격 모델의 드로잉을 여러 점 그렸다.[213][214][193]
제자인 프란체스코 멜치가 편찬한 해부학, 빛과 풍경의 표현 기법에 관한 레오나르도의 필사본이 1651년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회화론』으로 출판되었다. 1724년에는 독일에서도 출판되었다.[217] 『회화론』은 프랑스에서 출판된 후 50년 동안 62판까지 인쇄될 정도로 인기를 얻으면서 레오나르도는 "프랑스 예술 학 교육의 시조"로 여겨지게 되었다.[193]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인체 해부학에 대한 정식 교육을 시작한 것은 베로키오의 제자 시절이었는데, 이는 스승 베로키오가 모든 제자에게 해부학 지식 습득을 권장했기 때문이다. 레오나르도는 화가에게 필요한 국소 해부학 지식을 곧 익히고, 근육, 힘줄 등 인체 내부 구조를 그린 많은 드로잉을 남겼다.[219]
저명한 예술가였던 레오나르도는 피렌체 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에서 시체 해부에 참석하는 것을 허가받았으며, 나중에는 밀라노와 로마의 병원에서도 마찬가지로 허가를 받았다.
레오나르도는 1510년부터 1511년까지 파도바 대학교 해부학 교수 마르칸토니오 델라 토레와 함께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레오나르도는 200장 이상의 종이에 드로잉을 그리고, 그중 많은 것에 해부학에 관한 메모를 적었다.
레오나르도는 근육과 힘줄과 마찬가지로 인체 골격을 다룬 수고도 많이 제작했다. 골격과 근육의 기능에 관한 이러한 연구는 현대 과학에서 말하는 생체역학의 초보에도 적용 가능한 선구적인 연구라고 일컬어진다.[221] 레오나르도는 심장과 순환기계, 생식기, 장기 등의 수고도 남겼고, 태아를 그린 초기의 과학적인 드로잉을 남겼다.[207] 예술가로서 레오나르도는 면밀한 관찰을 통해 노화에 따른 영향, 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감정 표출을 기록하고, 특히 강렬한 감정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얼굴에 기형이나 질병 흔적이 있는 사람의 드로잉도 많이 그렸다.[193][207]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생전에 공학 기술자로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보낸 서한에서 레오나르도는 도시 방위와 공략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무기를 만들 수 있다고 적고 있다.
1499년 프랑스군에 패한 밀라노 공국에서 베네치아로 피신한 레오나르도는 그곳에서 공학 기술자 직책을 얻어 도시 방위를 위한 이동식 요새를 고안했다. 또한 니콜로 마키아벨리도 참여했던 아르노 강 수로 변경 계획에도 토목 기술자로 참여했다.[223][224]
레오나르도의 필사본에는 수많은 현실적 또는 비현실적인 발명품이 있으며, 악기 , 수압 펌프, 박격포, 증기포 등의 발명품이 포함되어 있다.[127][193]
1502년 레오나르도는 오스만 제국 술탄 바예지드 2세가 구상한 토목 공사 계획을 위해 길이 200m에 달하는 다리 설계도를 제작했다. 이 다리는 보스포루스 해협 만의 골든 혼에 걸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바예지드 2세는 이러한 대규모 토목 공사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이 공사 계획을 승인하지 않았다. 레오나르도가 디자인한 이 다리는 2001년 노르웨이에서 실시된 레오나르도 브리지 프로젝트에서 실제로 건설되었다.[225][226]
레오나르도는 평생 하늘을 나는 것을 꿈꿨다. 1505년경의 『새의 비행에 관한 필사본』 등에서 새의 비행을 연구하고, 행글라이더와 헬리콥터와 같은 비행 장치의 개념도를 제작했다.[193]
다 빈치는 파동 운동 이론, 연통관 내의 압력, 유체에 미치는 압력의 발견자이기도 하다.[240] 그 응용면에 있어서 양수기와 수압의 발견자였다. 새의 나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 비행기의 원리를 생각하고 공기의 연구에서 바람의 발생과 구름과 비의 발생도 이론적으로 연구했다. 또 공기 역학, 조류의 비행 등의 연구 노트에는 낙하산, 헬리콥터, 플레이트 날개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해부학에 있어서도 인체 각 부분의 작용을 역학적 원리로서 분명히 하였다. 그 밖에 식물학 등에 관해서도 연구를 하였다. 그는 예술과 과학의 창조에 대한 비밀을 밝힌 천재였다.
4. 사회적 활동 및 영향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인물로, "끊임없는 탐구심"과 "무한한 독창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13]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동시에, 인류 역사상 가장 다재다능한 인물이라는 찬사를 받는다.[114]
미국의 미술사가 헬렌 가드너는 레오나르도의 관심 분야가 매우 넓고 깊었으며, 그의 지성과 성격은 초인적이고 신비로우며 고독하다고 평가했다.[113] 반면 마르코 로시는 레오나르도의 사고방식은 신비적인 것이 아니라 매우 논리적이며, 그의 실증적인 방법론은 시대를 훨씬 앞섰다고 주장한다.[115]
1490년대 레오나르도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식당을 위해 제작 의뢰된 ''최후의 만찬''이다. 이 작품은 예수가 체포되어 죽기 전 제자들과 함께한 마지막 만찬을 묘사하고 있으며, 예수가 "너희 중 한 사람이 나를 팔 것이다"라고 말한 순간과 그 말에 제자들이 보인 당황스러움을 보여준다. 작가 마테오 반델로는 레오나르도가 작업하는 것을 관찰하고, 어떤 날에는 새벽부터 해질녘까지 쉬지 않고 그림을 그리다가 그 후 3일이나 4일 동안 그림을 그리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고 기록했다.[57] 바사리는 레오나르도가 그리스도와 배신자 유다의 얼굴을 적절하게 묘사하는 능력에 대해 고민했다고 묘사한다.[57]
이 그림은 디자인과 인물 묘사의 걸작으로 칭송받았지만,[58] 빠르게 훼손되어 100년도 안 되어 "완전히 망가졌다"고 묘사될 정도였다. 레오나르도는 프레스코화의 안정적인 기법 대신 주로 회벽으로 된 바탕 위에 템페라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로 인해 표면이 곰팡이와 박리되기 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은 가장 많이 복제된 예술 작품 중 하나이며, 다양한 매체로 수많은 사본이 제작되었다.
1498년, 레오나르도는 밀라노 공작을 위해 스포르체스코 성의 살라 델레 아세에 트롱프뢰유 장식을 그렸다.
4. 1. 예술 세계 입문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공방에서 도제 생활을 했던 레오나르도는 1466년, 14세에 피렌체에서 가장 뛰어난 공방 중 하나를 이끌던 화가 베로키오의 문하에 들어갔다.[135] 베로키오의 제자 또는 협업 관계였던 유명한 예술가로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이오, 페루지노, 보티첼리, 로렌초 디 크레디 등이 있다.[127][193]레오나르도는 이 공방에서 이론적, 기술적으로 눈부신 재능을 보였다.[136] 그의 재능은 드로잉, 회화, 조각 등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설계, 화학, 야금학, 금속 가공, 석고주형 주조, 가죽 세공, 기계 공학, 목공 등 다양한 분야에 이르렀다.[137]
베로키오 공방에서 제작된 그림 대부분은 제자나 공방의 고용 화가의 작품이었다. 조르조 바사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그리스도의 세례』는 베로키오와 레오나르도의 합작품이며, 레오나르도가 맡은 부분은 그리스도의 로브를 받치고 있는 어린 천사라고 밝혔다. 그리고 제자 레오나르도의 기량이 너무 뛰어났기에, 스승 베로키오는 다시는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138]
『그리스도의 세례』는 템페라 기법으로 그린 그림 위에 당시 새로운 기법이었던 유화로 덧칠한 작품이며, 근대의 분석에 따르면 풍경, 바위, 그리스도의 대부분도 레오나르도의 손으로 그려진 것이라고 한다.[139]
또한, 레오나르도는 베로키오의 미술 작품 두 점의 모델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 작품들은 피렌체 바르젤로 미술관이 소장한 청동 조각 『다비드상』과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가 소장한 『토비아스와 천사』에 그려진 대천사 라파엘이다.[123]
1473년, 레오나르도는 피렌체 화가 조합에 등록하여 한 사람의 화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4. 2. 예술, 과학, 공학의 융합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예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는 해부학 연구를 통해 인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사막의 성 예로니무스''와 같은 회화 작품에서 인물을 더욱 사실적으로 묘사했다.[62] J. 와서만은 이 그림과 레오나르도의 해부학 연구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하기도 했다.또한, 광학 연구를 통해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탐구하고, 스푸마토 기법을 개발하여 ''모나리자''와 같은 회화에 깊이와 신비감을 더했다.[60] 바사리는 ''모나리자''의 미소가 "매우 기분 좋게 보여 인간적이라기보다는 신성해 보이며, 살아있는 원본의 미소처럼 생생하다는 것은 놀라운 일로 여겨졌다"고 묘사했다.[61]
레오나르도는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계 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예술 작품의 표현력을 확장했다. 그는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보낸 편지에서 공학 및 무기 설계 분야에서 자신이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을 설명하고, 그림을 그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레오나르도의 저널에는 비올라 오르가니스타와 같은 기계식 기사, 수압 펌프, 가역식 크랭크 메커니즘, 날개가 달린 박격포 포탄, 증기 대포를 포함하여 실용적인 것과 비실용적인 것을 망라한 수많은 발명품이 기록되어 있다.
4. 3. 르네상스 인문주의와의 관계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과학과 예술을 서로 배타적인 것으로 보지 않았다. 레오나르도의 과학 및 공학 연구는 그의 예술 작품만큼이나 인상적이고 혁신적이었다.[113] 이러한 연구는 예술과 자연철학(현대 과학의 전신)을 융합한 1만 3천 페이지에 달하는 필기와 그림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평생 여행을 하면서 매일 관찰한 세상을 기록했다.[113] 레오나르도의 필기와 그림은 식료품 목록이나 그에게 돈을 빚진 사람들과 같이 평범한 것부터 날개나 물 위를 걷는 신발 디자인과 같이 흥미로운 것까지 광범위한 관심사와 고민을 보여준다. 그림 구성, 세부 묘사와 드레이핑 연구, 얼굴과 감정, 동물, 아기, 해부도, 식물 연구, 암석 형성, 소용돌이, 전쟁 기계, 비행 기계, 건축물 등이 있다.[113]레오나르도는 여러 분야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많은 친구들을 두었다. 예를 들어, 근대 회계학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수학자 루카 파치올리는 1490년대에 레오나르도와 함께 수학 논문을 공동 집필했다.[173]
4. 4. 종교와의 관계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종교적인 주제의 작품을 많이 남겼지만, 전통적인 종교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독자적인 해석을 시도했다.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의 식당에 그려진 ''최후의 만찬''은 예수가 마지막 만찬에서 "너희 중 한 사람이 나를 팔 것이다"라고 말한 순간과 그 말에 제자들이 보인 당황스러움을 묘사하고 있다.[57] 작가 마테오 반델로는 레오나르도가 작업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어떤 날은 새벽부터 해질녘까지 쉬지 않고 그림을 그리다가 3, 4일 동안 그림을 그리지 않기도 했다고 기록했다.[57] 바사리에 따르면, 레오나르도는 그리스도와 배신자 유다의 얼굴을 제대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 고민했다고 한다.
''최후의 만찬''은 디자인과 인물 묘사의 걸작으로 칭송받았지만,[58] 빠르게 훼손되어 100년도 안 되어 "완전히 망가졌다"는 묘사가 나올 정도였다. 레오나르도는 프레스코화 대신 회벽 바탕 위에 템페라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표면이 곰팡이와 박리에 취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은 가장 많이 복제된 예술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인물로, "끊임없는 탐구심"과 "무한한 독창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13]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동시에, 인류 역사상 가장 다재다능한 인물이라는 찬사를 받는다.[114]
미국의 미술사학자 헬렌 가드너는 레오나르도의 관심 분야가 매우 넓고 깊어 전례가 없으며, "레오나르도의 지성과 성격은 초인적이며, 신비롭고 고독한 것이다"라고 평가했다.[113] 반면 마르코 로시는 "레오나르도에 대한 여러 가지 고찰이 있지만, 레오나르도의 사고방식은 신비적인 것이 아니라 매우 논리적이며, 그 실증적인 방법론이 시대를 훨씬 앞서 있었다"고 주장한다.[115]
레오나르도는 베로키오의 공방에서 해부학과 인체 연구를 시작했으며, 예술가로서 빠르게 '표면 해부학'의 대가가 되었다.[75] 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 등에서 인체 해부를 허가받아 연구를 진행했고, 파비아 대학교의 마르칸토니오 델라 토레와 함께 해부학 논문을 위한 그림과 글을 남겼다.[77] 그의 해부학 그림에는 인체 골격, 근육, 힘줄 등에 대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심장과 혈관계, 생식기 및 기타 내부 기관을 그리고, 자궁 내 태아를 그린 최초의 과학적 그림 중 하나를 그렸다.[62] 그는 골격의 기계적 기능과 근육의 힘을 연구하여 현대 생체역학을 예고했다.[76] 또한 동맥경화증과 간경변증을 처음으로 정의한 사람 중 한 명이다.[78]
레오나르도는 나이와 인간 감정이 생리에 미치는 영향, 특히 분노의 영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했다. 그는 얼굴에 심각한 기형이나 질병의 징후가 있는 많은 인물을 그렸으며, 소, 새, 원숭이, 곰, 개구리 등 많은 동물의 해부학을 연구하고 그림을 그려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와 비교했다.[62] 또한 녹인 밀랍을 사용하여 뇌실 모델을 만들고, 유리 대동맥을 만들어 물과 잔디 씨앗을 사용하여 혈류 패턴을 관찰함으로써 대동맥 판막을 통한 혈액 순환을 관찰했다.[78]
레오나르도의 명성은 흔히 생전부터 한결같았다고 오해받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를 전리품처럼 프랑스로 데려갔고, 레오나르도는 프랑수아 1세의 보살핌을 받으며 그의 품에서 숨을 거두었다는 전승이 남아 있다.
오늘날에도 레오나르도의 유명한 미술 작품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고, 티셔츠에는 그의 그림이 인쇄되며, 작가들은 레오나르도의 놀라운 박식함과 사생활에 대한 고찰을 계속해서 쓰고 있다. 그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성을 가진 인물로 여겨진다.[193]
조르조 바사리는 『화가·조각가·건축가 열전』 1568년판[232] 서문에서 레오나르도를 "많은 사람들이 각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이 세상에 태어나지만, 때때로 한 사람에게 인간의 지혜를 훨씬 뛰어넘는, 다른 사람들이 훨씬 미치지 못하는 놀라울 정도의 아름다움, 우아함, 재능을 하늘로부터 받는 경우가 있다. 영감이라고 할 만한 그 언행은 인간의 기술이 아니라, 마치 신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19세기는 레오나르도의 재능에 대한 찬사가 특히 높아진 시기였다. 이폴리트 탱은 1866년에 "이렇게 다재다능한 인간은 아마도 다른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지치는 것을 모르고, 그 탐구심은 무한하며, 타고난 세련됨을 지닌, 동시대는 물론 그 이후 수세기에 걸쳐 뛰어난 인물이다"라고 말했다.[237] 미술사가 베르나르 베렌손은 1896년에 "레오나르도는 진정한 천재라고 할 수 있는 유일한 예술가이다. 그가(레오나르도) 손댄 것은 모두 영원한 아름다움으로 변했다."라고 적었다.[238]
5. 1. 후대에 미친 영향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과학자로, 그의 작품과 연구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레오나르도의 최후의 만찬은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수도원 식당에 그려진 벽화로, 예수가 제자들에게 배신을 예고하는 순간의 긴장감과 제자들의 심리적 동요를 생생하게 묘사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58] 이 작품은 디자인과 인물 묘사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지만, 템페라 기법을 사용하여 빠르게 훼손되었다.[57]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만찬''은 가장 많이 복제된 예술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레오나르도는 해부학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베로키오의 도제 시절부터 인체 해부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근육, 힘줄 등 해부학적 특징을 상세히 묘사하는 수준에 이르렀다.[75] 산타 마리아 누오바 병원 등에서 인체 해부를 허가받아 연구를 진행했으며, 마르칸토니오 델라 토레와 함께 해부학 논문을 위한 그림과 글을 남겼다.[77] 그의 해부학 그림은 인체 골격, 혈관계, 생식기 등을 다루며, 태아의 모습을 최초로 과학적으로 묘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2] 그는 생체역학적 관점에서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연구하고, 동맥경화증과 간경변증을 처음으로 정의하기도 했다.[78]
레오나르도는 엔지니어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루도비코 스포르차에게 보낸 편지에서 도시 방어와 공격을 위한 기계를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베네치아에서는 이동식 바리케이드 시스템을 고안했다.[80] 아르노 강의 흐름을 바꾸는 계획을 세우고, 롬바르디아 평야와 루아르 강의 운하 건설을 고려하기도 했다.[81] 그의 저널에는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기계식 기사, 수압 펌프, 증기 대포 등 다양한 발명품이 기록되어 있다.[79]
비행에 대한 레오나르도의 관심은 ''새의 비행에 관한 저서''와 오르니톱터, 로터를 가진 비행 기계 설계도로 이어졌다.[82] 그의 설계 중 일부는 성공적이었지만, 일부는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는 마찰 법칙을 처음으로 언급한 인물 중 하나이기도 하다.[85]
레오나르도는 “끊임없는 탐구심”과 “무한한 독창성”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으며,[113]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이자 가장 다재다능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칭송받는다.[114] 조르조 바사리는 레오나르도를 "인간의 지혜를 훨씬 뛰어넘는" 인물로 묘사했으며, 발다사레 카스티글리오네는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화가"라고 칭송했다.[233] 19세기에 들어 레오나르도의 필사본이 연구되면서 그의 과학적 업적도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레오나르도의 작품과 과학적 아이디어는 시대를 앞선 선구적인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현대 과학 기술 발전에 영감을 주고 있다.
5. 2. 대중문화 속 다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소설 《다빈치 코드》의 중요한 모티브이다.[193] 그의 작품은 수많은 소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193]다음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다.
종류 | 제목 | 연도 | 설명 |
---|---|---|---|
영화 | 다 빈치 프로젝트 (Da Vinci Project) | 2004년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명화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을 둘러싼 범죄 미스터리 영화. |
영화 | 다빈치 코드 (The Da Vinci Code) | 2006년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명화에 숨겨진 암호를 풀고 기독교를 둘러싼 비밀을 파헤치는 영화. |
영화 | 다 빈치 트레저 (Da Vinci Treasure) | 2006년 |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제작했다고 여겨지는 「토리노의 수의」에 숨겨진 수수께끼를 추적하는 연구자들의 모험을 그린 영화. |
영화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름다움과 지식의 미궁 (Leonardo da Vinci: Beauty and Knowledge's Labyrinth) | 2016년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고향 빈치에서 피렌체, 밀라노로 이주한 그의 일생을 다룬 영화. |
영화 | 다 빈치는 누구에게 미소짓는가 (To Whom Da Vinci Smiles) | 2021년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마지막 작품으로 여겨지는 《세계의 구세주》를 둘러싼 수수께끼와 미술계의 어둠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
드라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생애 | 1972년 | |
드라마 | 다 빈치와 금단의 수수께끼 (다른 이름: 다빈치 데몬) | 2013년 | |
드라마 | 레오나르도 ~알려지지 않은 천재의 초상~ | 2021년 | |
다큐멘터리 | 다 빈치: 신비로운 생애 | 1972년 | |
다큐멘터리 | 다 빈치 코드의 수수께끼 | 2004년 | |
다큐멘터리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코드 | 2006년 | |
다큐멘터리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름다움과 지식의 미궁 | 2015년 | |
다큐멘터리 | 다 빈치는 누구에게 미소짓는가 | 2021년 | |
애니메이션 | 발명가 | 2023년 |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
소설 | 다빈치 코드 (댄 브라운) | ||
소설 | 역광의 메디치 (후지모토 히토미 신초문고) | ||
만화 | 학습만화 인물관 레오나르도 다 빈치 (쇼가쿠칸) | ||
만화 | 레오나르도 다 빈치 (포플라사 세계의 전기 코믹판 47) |
5. 3.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과 사상은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예술 작품은 한국 미술계에 영감을 주었으며, 과학적 업적은 과학 기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 빈치의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며, 그의 삶과 업적은 끊임없이 재조명되고 있다.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소설 《다빈치 코드》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97]
참조
[1]
웹사이트
A portrait of Leonardo c. 1515–18
https://www.rct.uk/c[...]
Royal Collection Trust
2020-09-26
[2]
웹사이트
Roberto Guatelli's Controversial Replica of Leonardo da Vinci's Adding Machine
http://192.220.96.16[...]
2013-08-19
[3]
논문
Anecdotes
https://ieeexplore.i[...]
2022-07-09
[4]
뉴스
Da Vinci's mother was a slave, Italian study claims
https://www.theguard[...]
2008-04-12
[5]
뉴스
Tuscan archives yield up secrets of Leonardo's mystery mother
https://www.theguard[...]
2017-05-21
[6]
서적
The Great Artists: Da Vinci
Funk & Wagnalls
[7]
서적
On Perspective for Painting (De Prospectiva Pingendi)
[8]
서적
The Renaissance, an Illustrated Encyclopedia
[9]
서적
[10]
서적
[11]
논문
The Mind of Leonardo da Vinci, Part 1
Center for Inquiry
2019
[12]
서적
Leonardo da Vinci
https://books.google[...]
Penguin
2015-11-26
[13]
서적
Michelangelo Buonarroti und Leonardo Da Vinci: Republikanischer Alltag und Künstlerkonkurrenz in Florenz zwischen 1501 und 1505
Wallstein Verlag
[14]
웹사이트
Amadeo, Bramante and Leonardo and the Cupola of Milan Cathedral
https://www.academia[...]
[15]
웹사이트
Leonardo a (e i rapporti con) Pavia: una verifica sui documenti
https://www.academia[...]
2020-01-01
[16]
서적
Leonardo da Vinci: drawings of horses and other animals
Windsor Castle. Royal Library
[17]
논문
Leonardo's "Sala delle Asse" and the Primordial Origins of Architecture
https://www.jstor.or[...]
Vita e PensieroPubblicazioni dell’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18]
웹사이트
Episode 142 – Leonardo da Vinci's Sala delle Asse
https://rockyruggier[...]
2021-10-06
[19]
웹사이트
Segui il restauro
http://www.saladelle[...]
[20]
뉴스
Found: the studio where Leonardo met Mona Lisa
https://www.thetimes[...]
2005-01-12
[21]
웹사이트
Mona Lisa – Heidelberg discovery confirms identity
http://www.ub.uni-he[...]
University of Heidelberg
[22]
방송
Télématin
2008-01-15
[23]
서적
The World of Michelangelo: 1475–1564
https://archive.org/[...]
Time-Life Books
[24]
서적
Michelangelo: paintings, sculptures, architecture
Phaidon Press
[25]
논문
Achademia Leonardi Vinci
[26]
서적
Integrated Land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History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2005
[27]
서적
Leonardo da Vinci: Pathfinder of Science
https://books.google[...]
Prabhat Prakashan
[28]
논문
Leonardo nella Roma di Leone X
Giunti
2004
[29]
서적
Léonard de Vinci et la France
CB Edizioni
2009
[30]
웹사이트
Reconstruction of Leonardo's walking lion
http://www.ancientan[...]
[31]
뉴스
Newly identified sketch of Leonardo da Vinci to go on display in London
https://www.theguard[...]
2019-05-01
[32]
뉴스
What caused Leonardo da Vinci's hand impairment?
https://www.cnn.com/[...]
2019-05-04
[33]
뉴스
Da Vinci 'paralysis left Mona Lisa unfinished'
https://www.theguard[...]
2005-05-01
[34]
뉴스
Did a Stroke Kill Leonardo da Vinci?
https://www.seeker.c[...]
2016-05-10
[35]
뉴스
A Portrait of Leonardo da Vinci May Reveal Why He Never Finished the Mona Lisa
https://www.livescie[...]
2019-05-04
[36]
뉴스
Leonardo da Vinci never finished the Mona Lisa because he injured his arm while fainting, experts say
https://www.telegrap[...]
2019-05-04
[37]
논문
A physical sign of stroke sequel on the skeleton of Leonardo da Vinci?
http://www.neurology[...]
2017-04-04
[38]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t and Artis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Leonardo da Vinci: The Tragic Pursuit of Perfection
The Viking Press
[40]
harvnb
[41]
서적
Leonardo: The First Scientist
[42]
웹사이트
Hair believed to have belonged to Leonardo on display in Vinci
http://www.thefloren[...]
2019-05-02
[43]
서적
Leonardo, Codex C. 15v
Institut of France. Trans. Richter
[44]
harvnb
[45]
웹사이트
Could this be the secret of her smile?
https://www.telegrap[...]
2003-07-04
[46]
서적
Leonardo da Vinci: l'Angelo incarnato & Salai = the Angel in the flesh & Salai
Cartei & Bianchi
2009
[47]
harvnb
[48]
웹사이트
The Mind of Leonardo da Vinci
http://www.ivu.org/h[...]
[49]
harvnb
[50]
서적
Beatrice d'Este, Duchess of Milan, 1475–1497; Isabella D'Este, Marchioness of Mantua, 1474–1539
J.M. Dent
[51]
서적
Eine Kindheitserinnerung des Leonardo da Vinci
[52]
웹사이트
Leonardo, ladies' man: why can't we accept that Da Vinci was gay?
http://www.theguardi[...]
2021-03-26
[53]
서적
Forbidden Friendships
[54]
웹사이트
The Mysterious Virgin
http://www.nationalg[...]
National Gallery, London
[55]
웹사이트
Da Vinci's Lady with an Ermine among Poland's "Treasures" – Event – Culture.pl
http://culture.pl/en[...]
[56]
서적
The Lady with an Ermine in the exhibition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57]
harvnb
[58]
harvnb
[59]
웹사이트
The Secret Lives of Paintings
https://www.ted.com/[...]
2012
[60]
harvnb
[61]
harvnb
[62]
서적
The Drawings of Leonardo da Vinci
[63]
학술지
Leonardo da Vinci's Influence on Renaissance Anatomy
[64]
서적
Drawings from New York Collections I: The Italian Renaissanc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65
[65]
서적
Archaeologia: Or Miscellaneous Tracts Relating to Antiquity, Volume 40, Part 1
https://books.google[...]
The Society
1866
[66]
서적
Leonardo & the Age of the Eye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67]
웹사이트
Sketches by Leonardo
http://www.bl.uk/onl[...]
British Library
[68]
서적
The Notebooks of Leonardo da Vinci
https://archive.org/[...]
New American Library
[69]
서적
The Golden Ratio: The Story of Phi, the World's Most Astonishing Numbe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Broadway Books
[70]
뉴스
Da Vinci was ambidextrous, new handwriting analysis shows
https://www.foxnews.[...]
2019-04-15
[71]
문서
Windsor Castle, Royal Library, sheets RL 19073v–74v and RL 19102.
[72]
서적
The Curves of Life
https://archive.org/[...]
Constable and Company Ltd
[73]
간행물
Da Vinci's ''Paleodictyon'': the fractal beauty of traces
http://www.tracemake[...]
2019-05-11
[74]
서적
Leonardo on the Human Body
Dover Publications
[75]
백과사전
Leonardo da Vinci
https://www.britanni[...]
2022-08-09
[76]
서적
A History of the Sciences
https://archive.org/[...]
Collier Books
[77]
뉴스
Leonardo da Vinci: Anatomy of an artist
https://www.telegrap[...]
Daily Telegraph
2013-07-28
[78]
학술지
Leonardo da Vinci: anatomist
[79]
학술지
Reconsidering Leonardo
[80]
서적
Machiavelli, Leonardo and the Science of Power
[81]
서적
Fortune is a River: Leonardo Da Vinci and Niccolò Machiavelli's Magnificent Dream to Change the Course of Florentine History
Simon & Schuster
[82]
웹사이트
Leonardo's Dream Machines (TV Movie 2003)
https://www.imdb.com[...]
2018-06-30
[83]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online gallery
http://www.bl.uk/onl[...]
2019-11-21
[84]
서적
Leonardo da Vinci Spirits of Invention. A Search for Traces
A.TE.M.
[85]
학술지
Leonardo da Vinci׳s studies of friction
http://www.sciencedi[...]
2021-01-22
[86]
학술지
Men of Tribology: Leonardo da Vinci (1452–1519)
https://asmedigitalc[...]
2021-01-22
[87]
학술지
The Mind of Leonardo da Vinci, Part 2
[88]
서적
Art through the Ages
[89]
문서
See the quotations from the following authors, in section "Fame and reputation": Vasari, Boltraffio, Castiglione, "Anonimo" Gaddiano, Berensen, Taine, Fuseli, Rio, Bortolon.
[90]
웹사이트
Il Cortegiano
https://archive.org/[...]
[91]
문서
"Anonimo Gaddiani", elaborating on ''Libro di Antonio Billi'', 1537–1542
[92]
서적
(Vasari reference, year and page needed)
[93]
서적
Lectures
[94]
웹사이트
L'art chrétien
https://archive.org/[...]
2021-05-19
[95]
웹사이트
Voyage en Italie
https://archive.org/[...]
Paris, Hachette et cie
2021-05-19
[96]
서적
The Italian Painters of the Renaissance
[97]
웹사이트
ArtNews article about current studies into Leonardo's life and works
http://www.artnewson[...]
Art News Online
2010-01-10
[98]
간행물
The Elmer Belt Library of Vinciana
[99]
뉴스
NonFiction: Biography honors 'fun, joyous' sides of genius da Vinci
2018-01-07
[100]
뉴스
Leonardo da Vinci Painting 'Salvator Mundi' Sells for $450.3 Million
https://www.wsj.com/[...]
2017-11-16
[101]
뉴스
Leonardo da Vinci painting 'Salvator Mundi' sold for record $450.3 million
https://www.foxnews.[...]
Fox News
2017-11-16
[102]
잡지
Leonardo da Vinci's Unexamined Life as a Painter
https://aleteia.org/[...]
2019-12-01
[103]
웹사이트
Louvre exhibit has most da Vinci paintings ever assembled
https://aleteia.org/[...]
Aleteia
2019-12-01
[104]
웹사이트
Vitruvian Man
https://www.italian-[...]
2020-10-02
[105]
웹사이트
Scientists may have cracked the mystery of da Vinci's DNA
https://www.livescie[...]
2021-07-09
[106]
뉴스
Léonard de Vinci est-il vraiment enterré au château d'Amboise?
https://www.ouest-fr[...]
2019-05-04
[107]
뉴스
Leonardo da Vinci paintings analysed for DNA to solve grave mystery
https://www.telegrap[...]
2017-08-21
[108]
뉴스
Researchers Are Planning to Sequence Leonardo da Vinci's 500-Year-Old Genome
https://slate.com/te[...]
2016-05-06
[109]
뉴스
Leonardo da Vinci's 'hair' to undergo DNA testing
https://www.cnn.com/[...]
2019-04-30
[110]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Italian artist, engineer, and scientist
https://www.britanni[...]
[111]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 上(文春文庫)
文藝春秋
[112]
웹사이트
山口智子、リアル『ダ・ヴィンチ・コード』体験に大感激|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18-04-14
[113]
서적
Art through the Ages
[114]
문서
Vasari, Boltraffio, Castiglione, "Anonimo" Gaddiano, Berensen, Taine, Fuseli, Rio, Bortolon.
[115]
서적
Leonardo
[116]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という神話
角川選書
[117]
뉴스
The Moving of the Mona Lisa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5-04-02
[118]
웹사이트
Vitruvian Man
http://www.italian-r[...]
[119]
웹사이트
The Controversial Replica of Leonardo's Adding Machine
http://192.220.96.16[...]
[120]
문서
Capra, pp.5–6
[121]
문서
His birth is recorded in the diary of his paternal grandfather Ser Antonio, as cited by Angela Ottino della Chiesa in ''Leonardo da Vinci'', p. 83
[122]
서적
Leonardo da Vinci: Renaissance Man
[123]
서적
The Complete Paintings of Leonardo da Vinci
[124]
뉴스
Experts Reconstruct Leonardo Fingerprint
http://www.foxnews.c[...]
Fox
2006-12-12
[125]
뉴스
「ダビンチの子孫14人 85歳~1歳 伊・家系図で判明」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7-16
[126]
웹사이트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の生涯(本名や妻、子孫等)解説
https://davincist.co[...]
桜川 Daヴィんち
[127]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Leonardo
Paul Hamlyn
[128]
문서
Rosci, p. 20.
[129]
문서
資料から確認できるレオナルドの幼少期の正式な教育記述は、祖父母からのイタリア語の教育のみである。
[130]
문서
正式な教育を受けたのは成人(1496年43歳前後)の後であるが、数学者ルカ・パチョーリのもとで数学(純粋数学)、複式簿記(会計学)を教わった(レオナルドは、手稿に弟子のサライ(後述)の無駄遣いなど、会計学に基づいた手記を記している。)。これがレオナルドの最初で最後の正式な教育である。成人の頃には既に学者並みの知識や教養を得ていたと伝わる。当時の科学者たちから、正式な教育を施されていないレオナルドは一生涯に渡り認められる事はなかった。レオナルドを唯一理解し認めたのは、解剖学を教えた師・芸術家アンドレア・デル・ヴェロッキオと、純粋数学と会計学を教えた第二の師とも呼べる数学者ルカ・パチョーリのみであり、生前時のレオナルドのバチカンや科学者たちの評価は、異端児・異端者『悪魔的』である。
[131]
문서
フロイトが、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を分析した際に、ハゲワシを元にしていたが、ハゲワシは翻訳時の誤訳であり、実際にはトビである。
[132]
문서
Rosci, p.21
[13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he Western Art
[134]
서적
Lives of the Artists
Penguin Classics
[135]
문서
Rosci, p.13
[136]
문서
Rosci, p.27
[137]
서적
The Rise of the Artist
[138]
문서
Vasari, p.258
[139]
문서
della Chiesa, p.88
[140]
서적
The Everything Da Vinci Book
[141]
서적
Leonardo da Vinci
[142]
서적
Leonardo Da Vinci As a Musician
[143]
서적
The Birth of Modern Science
[144]
웹사이트
Leonardo's Letter to Ludovico Sforza
http://www.leonardo-[...]
Leonardo-History
2010-01-05
[145]
서적
Leonardo
[146]
문서
Codex II, 95 r, Victoria and Albert Museum, as cited by della Chiesa p. 85
[147]
문서
della Chiesa, p.85
[148]
문서
Vasari, p.256
[149]
서적
Epistolario Buonarroti
Florence
[150]
문서
The minutes of the meeting were published in Giovanni Gaye, Carteggio inedito d'artisti del sec. XIV, XV, XVI, Florence, 1839–40, 2: 454–463. For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document, see Seymour, Michelangelo's David, 140-155 and for an analysis, see Saul Levine, "The Location of Michelangelo's David: The Meeting of January 25, 1504, Art Bulletin 56 (1974): 31-49; N. Randolph Parks, "The Placement of Michelangelo's David: A Review of the Documents," Art Bulletin, 57 (1975) 560-570; and Rona Goffen, Renaissance Rivals: Michelangelo, Leonardo, Raphael, Titian, New Haven, 2002, 123–127.
[151]
문서
della Chiesa, p.86
[152]
서적
Michelangelo: paintings, sculptures, architecture
Phaidon Press
[153]
문서
della Chiesa, pp.106–107
[154]
방송
ダ・ヴィンチの生涯
[155]
백과사전
François I
Robert Appleton Company
2007-10-04
[156]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Antoine du Prat
http://www.fiu.edu/~[...]
2007-10-04
[157]
문서
Vasari, p.265
[158]
웹사이트
Reconstruction of Leonardo's walking lion
http://www.ancientan[...]
2010-01-05
[159]
문서
Vasari, p.270
[160]
웹사이트
Leonardo's will
http://www.leonardo-[...]
Leonardo-history
2007-09-28
[161]
서적
Technolog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Models in the Evolution of Modern Engineering Systems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2007-10-03
[162]
서적
A History of Italian Renaissance Art
[163]
문서
Rosci, Leonardo, chapter 1, the historical setting, pp.9–20
[164]
서적
On Perspective for Painting (De Prospectiva Pingendi)
[165]
서적
De Pictura
http://www.liberlibe[...]
[166]
문서
Hartt, pp.391–2
[167]
서적
Lorenzo the Magnificent
[168]
서적
Renaissance Florence
[169]
서적
The Renaissance, an Illustrated Encyclopedia
[170]
문서
Vasari, p.253
[171]
문서
Vasari, p.257
[172]
서적
Leonardo da Vinci Artist, Thinker, and Man of Science
http://www.ivu.org/h[...]
[173]
웹사이트
Leonardo, Left-Handed Draftsman and Writer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9-10-18
[174]
서적
Isabella D'Este, Marchioness of Mantua, 1474–1539
J.M. Dent
[175]
웹사이트
http://www.corriere.[...]
[176]
서적
Eine Kindheitserinnerung des Leonardo da Vinci
[177]
문서
로렌조 데 메디치의 어머니 루크레치아
[178]
웹사이트
How do we know Leonardo was gay?
http://www.bnl.gov/b[...]
Bnl.gov
2001-05-03
[179]
서적
Forbidden Friendships
[180]
뉴스
Art Historian Silvano Vinceti Claims Male Model Behind Leonardo da Vinci's Mona Lisa
http://www.artdaily.[...]
Associated Press
2011-02-02
[181]
문서
Codex C. 15v
Institut of France
[182]
문서
della Chiesa
[183]
웹사이트
Mona Lisa Goes Topless
http://www.paintings[...]
Paintingsdirect.com
[184]
웹사이트
Could this be the secret of her smile?
http://www.telegraph[...]
Telegraph.co.UK
2003-07-04
[185]
서적
Leonardo da Vinci
[186]
서적
A History of Italian Renaissance Art
[187]
문서
della Chiesa
[188]
서적
The Uffizi
[189]
서적
Painting and Experience in Fifteenth Century Italy
[190]
문서
Wasserman
[191]
문서
Wasserman
[192]
웹사이트
The Mysterious Virgin
http://www.nationalg[...]
National Gallery, London
[193]
서적
Leonardo da Vinci
[194]
성경
요한복음 13:21
[195]
문서
Wasserman
[196]
문서
Vasari
[197]
문서
Vasari
[198]
문서
della Chiesa
[199]
문서
della Chiesa
[200]
문서
Vasari
[201]
뉴스
The Mona Lisa had brows and lash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0-22
[202]
문서
Wasserman
[203]
문서
Vasari
[204]
문서
della Chiesa
[205]
문서
Wasserman
[206]
문서
della Chiesa
[207]
서적
The Drawings of Leonardo da Vinci
[208]
문서
della Chiesa
[209]
문서
Vasari
[210]
웹사이트
Sketches by Leonardo
http://www.bl.uk/onl[...]
British Library
[211]
문서
Windsor Castle, Royal Library, sheets RL 19073v-19074v and RL 19102 respectively.
[212]
문서
資料から確認できるレオナルドの唯一の正式な教育記録である。レオナルドはこの頃、1496年43歳前後。
[213]
논문
ルカ・パチョーリ『神聖比例論』(一五〇九年)におけるマニエリスム的造形原理
https://hdl.handle.n[...]
弘前大学人文学部
2005-08
[214]
논문
フラ・ジョヴァンニ・ダ・ヴェローナの多面体 : ルーカ・パチョーリ著『神聖比例論』挿図の影響について
イタリア学会
2009
[215]
문서
正式な教育を施されていないレオナルドの[[バチカン]]や科学者たちの評価は、異端児・異端者『悪魔的』であり、自らが研究の助手をおこなう以外にレオナルドの才能が認められる術がなかった。
[216]
서적
Leonardo on the Human Body
Dover Publications
1982
[217]
문서
della Chiesa, p.117
[218]
서적
The Science of Leonardo; Inside the Mind of the Genius of the Renaissance
Doubleday
2007
[219]
문서
Leonardo da Vinci, Copulation, c. 1493, pen and ink. The Royal Collection, London
[220]
논문
Leonardo da Vinci's Influence on Renaissance Anatomy
http://www.ncbi.nlm.[...]
1964
[221]
서적
A History of the Sciences
Collier Books
1962
[222]
서적
美術解剖学とは何か
株式会社トランスビュー
2020-07-30
[223]
서적
Machiavelli, Leonardo and the Science of Power
1996
[224]
서적
Fortune is a River: Leonardo Da Vinci and Niccolò Machiavelli's Magnificent Dream to Change the Course of Florentine History
1998
[225]
웹사이트
The Leonardo Bridge Project
http://www.vebjorn-s[...]
Vebjorn-sand.com
[226]
뉴스
Dream of the Master
http://www.vebjorn-s[...]
''Time'' magazine
1999-10-04
[227]
웹사이트
Leonardo's Dream Machines
https://www.imdb.com[...]
[228]
문서
Cremante, 53
[229]
웹사이트
Fiesole And Da Vinci's Airport
https://crea.bunshun[...]
[230]
웹사이트
天才ダ・ヴィンチの美しき技術遺産を巡る Walking ダ・ヴィンチ設計の有人飛行装置が飛び立ったフィレンツェ近郊の山へ
https://crea.bunshun[...]
[231]
서적
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
創元社
1998-11
[232]
문서
Vasari, p.255
[233]
논문
Il Cortegiano
1528
[234]
문서
"Anonimo Gaddiani", elaborating on ''Libro di Antonio Billi'', 1537–1542
[235]
논문
Lectures
1801
[236]
논문
L'art chrétien
1861
[237]
논문
Voyage en Italie
1866
[238]
논문
The Italian Painters of the Renaissance
1896
[239]
웹사이트
ArtNews article about current studies into Leonardo's life and works
http://www.artnewson[...]
Art News Online
[240]
Youtube
다빈치의 위대한 유산
https://www.youtube.[...]
[241]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242]
웹인용
Vinci: A Visit to Leonardo’s Home Town
http://www.offbeattr[...]
Offbeattravel.com
[243]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44]
서적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공사
2007
[245]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46]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47]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48]
서적
레오나르도 다빈치
시공사
2007-00-00 #날짜 정보가 부족합니다.
[249]
서적
다 빈치의 유산
말글빛냄
2004-12-01
[250]
서적
Leonardo
Bay Books Pty Ltd
1977-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합니다.
[251]
서적
Leonardo
Mondadori Arte
2007-00-00 # 날짜 정보가 부족합니다.
[252]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53]
웹사이트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거장
https://terms.naver.[...]
[254]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55]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56]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57]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58]
서적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2006-12-26
[259]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260]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261]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62]
서적
레오나드로 다빈치와 마키아벨리
세종서적
1988-10-30
[263]
서적
세계명화 비밀
생각의 나무
2006-12-26
[264]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265]
서적
유럽인 이야기 1
휴머니스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BTS 제이홉, 신곡 ‘모나리자’ 발표···“오랜만에 선보이는 퍼포먼스 곡”
[씨네멘터리] 티모시 샬라메의 수상 소감과 '한 사람'의 힘
'쌍둥이 모나리자' 발견에 미술계 들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