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861년 로마에서 창간된 바티칸 시국의 공식 신문이다. 교황령 수호와 가톨릭 신학 논쟁, 교황청 입장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창간되었으며, 이탈리아 왕국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현재 8개 언어로 발행되며, 교황청 홍보처의 관리하에 있다. 신문의 내용은 교황청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공식 입장은 "Nostre Informazioni" 또는 "Santa Sede"라는 표기 아래에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티칸 시국의 신문 - 사도좌공보
    사도좌공보는 교황청의 공식 관보로서 교황과 로마 성성이 발표하는 주요 공문서를 담아 발행되며, 1909년부터 라틴어로 발행되고 1929년부터는 이탈리아어 부록을 함께 제공한다.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기본 정보
로고
모토Unicuique suum - Non prevalebunt
유형이탈리아어 일간지
다른 언어 주간지
형태광폭 신문
창간1861년 7월 1일 (년)
소유주교황청
정치 성향로마 가톨릭 교회
본사Via del Pellegrino - 00120
바티칸 시국
편집장안드레아 몬다
ISSN0391-688X
웹사이트osservatoreromano.va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L'Osservatore Romano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2. 역사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861년 창간 이래 여러 변화를 겪었다. 19세기에는 교황령교황의 입장을 옹호하는 역할을 주로 맡았으며, 20세기에는 교황청의 공식 기관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고 국제적인 독자층을 확보하였다. 21세기에는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보다 객관적이고 절제된 입장을 취하며, 교황청 홍보처 산하에서 교회의 가르침과 소식을 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1. 19세기

L'Osservatore Romanola의 최초 발행물은 1861년 3월 17일 이탈리아 왕국 선포 몇 달 후인 1861년 7월 1일 로마에서 발간되었다.[11] 창간 목적은 그리스도교 신학 논쟁과 교황령의 입장을 알리는 것이었으며, 프랑스 가톨릭 정통주의자 모임에서 자금을 지원받는 민간 팸플릿 형태였다.[11] 1860년 9월 8일, 교황군이 카스텔피다르도에서 패배하면서 교황의 세속 권력이 크게 약화되자, 로마의 가톨릭 지식인들은 교황 비오 9세를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기부금을 내고 그를 격려하였다.[11] L'Osservatore Romanola는 성좌의 입장을 옹호하는 내용을 매일 발행하여 지원하였다.[11]

1860년 7월, 내무차관 마르칸토니오 파첼리는 반공식 회보인 《수사학》 발행과 더불어 공식 회보인 《조르날레 디 로마》를 보충하는 계획을 세웠다. 1862년 초, 논변가 니콜라 잔키니와 저널리스트 주세페 바스티아는 파첼리의 신문에 사설 경향을 부여하였다. 1861년 6월 22일 교황에게 신문 공식 허가를 요청하는 발표가 있었으며, 4일 후인 6월 26일 비오 9세는 표준판 L'Osservatore Romanola를 승인하였다.[11]

초판 제목은 ‘L'Osservatore Romanola - 정치와 도덕의 신문’이었고, 가격은 5바이오키였다. ‘정치와 도덕의 신문’이라는 형용어는 1862년 전에 폐기되었고, 발행인란 밑에 두 개의 라틴어 표어가 추가되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11] 신문 편집자들은 상티 아포스톨리 광장의 살비우키 인쇄소에서 처음 만나 신문을 인쇄하였다. 편집부는 크로치펠리 광장에 있는 페트리 궁전에 자리를 잡았고, 3월 31일 그곳에서 최초 발행물이 인쇄되었다. 이때 신문 상단에 ‘일간신문’이라는 말이 추가되었다.[27]

1870년 9월 이탈리아군이 포르타 피아를 돌파하자, L'Osservatore Romanola는 교황에게 복종하고 그의 지시만을 따를 것을 맹세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대리자의 유일한 보관인이자 주장자로서 변함없이 종교와 도덕의 원칙”을 지키고 이탈리아 왕국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고히 하였다.[11] 이후 L'Osservatore Romanola는 《조르날레 디 로마》를 대체하여 교황청의 공식 기관지가 되었다. 이러한 입장은 1885년에 신문사 소유권을 획득하여 공식적으로 소유권의 법률상 지위를 굳힌 교황 레오 13세 재임 동안에 더욱 발전하였다.[27]

교황 레오 13세 치하인 1885년에 교황청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의 소유권을 획득했다.

2. 2. 20세기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표지 (2015년 8월 19일)


1904년, 1865년부터 존재해 온 ''Acta Sanctae Sedis''가 모든 문서가 "진실하고 공식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교황청의 공식 기관으로 선포되었다.[12] ''Acta Sanctae Sedis''는 4년 후 발행이 중단되었고, 1908년 9월 29일 ''Acta Apostolicae Sedis''가 교황청의 공식 간행물이 되었다.[13]

영어 주간판은 1968년 4월 4일에 처음 발행되었다.[11] 1998년 1월 7일, 이 판은 로마 외부에서 인쇄된 최초의 판이 되었는데, 북미 구독자들을 위해 볼티모어에서 인쇄되기 시작했다.[14] 이 판은 ''가톨릭 리뷰''의 발행인인 대성당 재단에서 인쇄했다.[14]

2. 3. 21세기

21세기 들어서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창간 당시보다 더 객관적이고 절제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2006년 10월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은 신문의 창간과 역사에 관한 새로운 전시회를 개막하는 연설에서 "교회의 진정한 모습과 자유의 이상을 제시"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16] 그는 이 간행물을 "베드로의 후계자의 가르침을 전파하고 교회 행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라고 묘사했다.[16]

2015년 6월 27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사도 서한을 통해 로마 교황청의 새로운 부서인 교황청 홍보처를 설립하고,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를 이 부서의 관리하에 두었다.[17][18]

2011년 7월 1일부로 북미 구독자를 위한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의 영어판은 다시 로마에서 발행되고 있다.[15] 그 이전에는 1998년부터 볼티모어의 카테드랄 재단에서 출판하고 있었다.[28]

2022년 6월 29일부터 또 다른 판의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인 《거리의 관찰자》(L'Osservatore di Strada)가 발행되고 있다. 《거리의 관찰자》는 매월 첫 번째 일요일에 발행된다.[7][8] 2022년 6월 29일, 첫 번째 인쇄본이 성 베드로 광장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배포되었다. 같은 날, 교황의 미사가 끝날 무렵, 교황은 성모 신심 기도 후 신문을 칭찬하는 말을 했다.[9][10]

3. 발행 현황

L'Osservatore Romanoit는 현재 총 8개 언어로 발행된다.[11][5][27][26] 각 언어판별 발행 현황은 다음과 같다.

언어발행 주기최초 발행일
이탈리아어일간, 주간1861년 (일간), 1950년 (주간)
프랑스어주간1949년
영어주간1968년
스페인어주간1969년
포르투갈어주간1970년
독일어주간1971년
폴란드어월간1980년
말라얄람어주간2007년



L'Osservatore Romanoit 이탈리아어판 일간 신문은 오후에 출판되지만, 표지에는 다음 날의 날짜가 인쇄되는 관습이 있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2][23] 영어 주간판은 영어권 국가와 영어가 공용어인 국가 목록을 포함, 영어가 일반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는 129개 이상의 국가에서 배포된다.[11][27]

L'Osservatore della Domenicait는 L'Osservatore Romanoit의 일요 부록으로, 바티칸 시국에서 발행되는 주간 간행물이다. 1934년에 창간되었으며, 1951년부터 현재의 제호로 발행되고 있다. 1979년에 일요 부록으로 축소되었다.[6]

4. 교도권과의 관계

일반적으로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의 내용이 교도권, 즉 교황청의 공식 입장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는 것은 흔한 오류이다. 이는 대체로 사실이 아니며,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 교황청의 입장을 나타내는 부분은 "Nostre Informazioni" 또는 "Santa Sede"라는 제목 아래에 나타나는 내용뿐이다.[19][20]

때때로 교도권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의 내용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8년의 한 기사에서는 의학계의 새로운 발전에 따라 뇌사에 대한 논쟁을 다시 열어주기를 바란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공식 대변인은 해당 기사가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한 것이며 "가톨릭 교회의 입장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21]

저널리스트나 신학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의 기사를 교도권, 즉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권위에 대해 공적인 가치가 있는 것처럼 해석하는 것이다. 고위 주교가 더 엄격한 문장을 작성하여 단순한 신학적 의견을 표명한 것이 아닌 한, 그 기사는 그러한 가치를 가질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회칙이나 allocution|공식 연설영어을 게재할 권위를 갖지 못할 것이다.

2008년의 한 기사는 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이 있으므로 뇌사에 대한 논의가 재개되기를 바라는 의사를 표명했다. 공식 대변인은 이 기사가 개인적인 견해를 나타낸 것이며, "교회의 입장의 변경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30]

5. 역대 편집장

이름재임 기간
니콜라 잔키니(Nicola Zanchini)와 주세페 바스티아(Giuseppe Bastia)1861년–1866년
아우구스토 바비에라(Augusto Baviera)1866년–1884년
체사레 크리스폴티(Cesare Crispolti)1884년–1890년
조반 바티스타 카소니(Giovan Battista Casoni)1890년–1900년
주세페 안젤리니(Giuseppe Angelini)1900년–1919년
주세페 달라 토레 디 산구이네토(Giuseppe Dalla Torre di Sanguinetto)1920년–1960년
라이몬도 만치니1960년–1978년
발레리오 볼피니(Valerio Volpini)1978년–1984년
마리오 아녜스1984년–2007년
조반니 마리아 비안2007년–2018년[22]
안드레아 몬다2018년–현재[22]


참조

[1] 웹사이트 Osservatore Romano http://www.vaticanst[...] Vatican City State 2014-02-27
[2] 웹사이트 L'Osservatore Romano http://www.cwnews.co[...] Trinity Publications 2010-10-19
[3] 서적 Papal Elections in the Age of Transition, 1878-1922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0
[4] 뉴스 Behind the scenes at the pope's newspap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7-20
[5] 뉴스 L'Osservatore Romano to be published in India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08-02-08
[6] 문서 L'Osservatore Romano https://www-treccani[...] Treccani
[7] 웹사이트 Nasce L'Osservatore di strada, il mensile che dà voce agli scartati https://www.vaticann[...] 2023-02-07
[8] 웹사이트 L'Osservatore di Strada – Comunicato https://press.vatica[...] 2023-02-07
[9] 웹사이트 Distribuyen primer ejemplar de nuevo periódico del Vaticano: L'Osservatore di Strada https://es.zenit.org[...] 2023-02-07
[10] 웹사이트 Il Papa: l'Osservatore di strada, gli ultimi i veri protagonisti https://www.vaticann[...] 2023-02-07
[11] 뉴스 The origins of "L'Osservatore Romano" https://www.vatican.[...] 2008-02-08
[12] 간행물 Acta Sanctæ Sedis
[13] 문서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14] 뉴스 Newspaper for Vatican published in Baltimore https://www.baltimor[...] 2011-11-05
[15] 웹사이트 Notice to our subscribers in the U.S. and in Canada https://www.vatican.[...] 2011-11-05
[16] 뉴스 L'Osservatore Romano: 145 years as 'genuine face of the church' http://arquivo.pt/wa[...] Catholic News Service 2008-02-08
[17]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Issued Motu Proprio by the Supreme Pontiff Franc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retariat for Communication http://m.vatican.va/[...]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8-12-27
[18] 뉴스 Francis creates Secretariat to elevate, consolidate Vatican communications http://www.lastampa.[...] 2015-06-29
[19] 서적 The Pope Encyclopedia Crown Publishing 1995
[20] 서적 The Papacy: An Encyclopedia Routledge Publishers 2002
[21] 웹사이트 Vatican newspaper says new questions raised about brain death http://webarchive.lo[...] Catholic News Service 2010-02-24
[22] 뉴스 Pope names Italian journalists to key posts in Vatican communications https://web.archive.[...] 2018-12-18
[23] 웹사이트 L'Osservatore Romano http://www.cwnews.co[...] Trinity Publications 2010-10-19
[24] 문서 Matthew 16:18 Vulgate
[25] 뉴스 L'Osservatore Romano: 145 years as 'genuine face of the church'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Service 2008-02-08
[26] 뉴스 L'Osservatore Romano to be published in India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Agency 2008-02-08
[2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L'Osservatore Romano" http://www.vatican.v[...] L'Osservatore Romano 2008-02-08
[28] 웹사이트 Newspaper for Vatican published in Baltimore http://articles.balt[...] The Baltimore Sun 2011-11-05
[29] 웹사이트 Notice to our subscribers in the U.S. and in Canada http://www.vatican.v[...] 2011-11-05
[30] 웹사이트 Vatican newspaper says new questions raised about brain death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Service 2010-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