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신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신론은 신의 존재를 믿지 않거나, 신의 존재 여부에 대한 특정 입장을 취하지 않는 사상이나 입장을 의미한다. 조지 홀리오크는 무신론 용어가 갖는 부정적 인식 때문에 비신론이라는 용어를 처음 제안했으며,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비신론자를 "신자가 아닌 사람"으로 정의한다. 비신론적 사상은 불교, 기독교, 힌두교, 자이나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유신론 -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은 "보이지 않으며, 분홍색"이라는 모순된 속성을 통해 종교적 믿음과 주장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인식론적 한계를 드러내는 데 사용되는 풍자적 존재이자 무신론의 상징이다. - 비유신론 - 라엘교
라엘교는 엘로힘이라 불리는 외계 종족이 인류를 창조했다는 믿음을 중심으로 과학적 창조론과 인간 복제 기술을 옹호하며, 라엘이 받은 메시지를 통해 묵시록 시대와 엘로힘의 귀환, 유토피아적 미래 사회를 예언하는 새로운 UFO 종교 운동이다. - 유신론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신론 - 다신교
다신교는 여러 신을 숭배하는 신앙 체계로, 신들의 본질과 역할,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포함하며 고대 종교와 현대 종교에서 나타나고, 일신교 내에서도 다신교적 해석이 가능하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비신론 | |
---|---|
비유신론 | |
![]() | |
정의 | |
유형 | 신에 대한 믿음이 없는 것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무신론 불가지론 세속주의 무종교 |
2. 용어의 기원과 정의
'''비신론'''(Non-theism)이라는 용어는 1852년 영국의 사회 개혁가 조지 홀리오크가 처음 사용했다.[5] 홀리오크는 '무신론'이라는 용어가 부도덕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하며,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를 보다 중립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 용어를 제안했다. 그는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고대와 현대 모두 "신이 없고, 도덕성도 없는 자"로 이해되어 왔기 때문에, 이 용어가 부도덕과 관련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신론' 또는 '반신론'이라는 용어와의 연관성을 원치 않는 맥락에서 '비신론' 용어의 사용이 증가했다.[8]
2. 1. 초기 사용
조지 홀리오크(George Holyoake)는 1852년에 '무신론'이라는 용어가 부도덕하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하며, '비신론'(Non-theism)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5] 그는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고대와 현대 모두 "신이 없고, 도덕성도 없는 자"로 이해되어 왔기 때문에, 이 용어가 부도덕과 관련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신자의 설명을 단순히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의미의 '비신론'이 이러한 오해를 덜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했다.1853년, 조지 제이콥 홀리오크는 하이픈이 붙은 Non-theism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2]
제임스 뷰캐넌은 1857년 자신의 저서에서 홀리오크의 '비신론' 개념을 '세속주의'로 대체하여 사용했다.[6] 그는 '세속주의'가 오해의 소지가 적고, 이론의 실제 의미를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고 설명했다.
2. 2. 20세기 이후
20세기 후반, 하비 콕스(Harvey Cox)와 같은 신학자들은 '비신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숨겨진 신' 개념과 비신론의 '신 없음'을 구분하고자 했다.[7] 1990년대 이후, '무신론'이나 '반신론'과의 연관성을 피하고자 하는 맥락에서 '비신론'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증가했다.[8]옥스퍼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에는 'non-theist'(비신론자)라는 항목이 있으며, 이는 "신자가 아닌 사람"으로 정의되어 있다.[5]
불교의 맥락에서 페마 초드론(Pema Chödrön)은 비신론을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찾지 않고 현재 순간의 모호함과 불확실성과 함께 편안하게 있는 것"으로 설명하며, "결국 의지할 수 있는 보모는 없다"는 깨달음이라고 말한다.[9]
3. 비신론적 종교 및 사상
비신론적 사상은 불교[10], 기독교[11][12], 힌두교[13], 자이나교, 도교 등 다양한 종교 전통에서 나타난다. 불교는 창조주나 절대적인 신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으며, 기독교 일부 분파에서도 비신론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힌두교는 다신교적인 특징을 갖지만, 일부 철학 학파에서는 비신론적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는 브라만을 강조한다.
또한, 창조성, 듀디즘, 라엘리즘[14], 인본주의 유대교[15], 라베이 사탄주의, 사탄 사원[16],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17][18], 윤리 문화[19] 등 현대의 다양한 종교 및 철학적 운동에서도 비신론적 관점을 찾아볼 수 있다.
3. 1. 불교
불교는 창조주나 절대적인 신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는 대표적인 비신론적 종교이다.[10] 불교의 핵심 가르침은 연기(緣起) 사상에 기반하며,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것을 강조한다.3. 2. 기독교
일부 기독교 분파에서는 전통적인 유신론적 신 개념을 벗어나 비신론적인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11][12] 예를 들어, 비신론적 퀘이커 교도들은 신의 존재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내면의 빛을 강조한다.3. 3. 힌두교
힌두교는 다양한 신들을 숭배하는 다신교적인 특징을 갖지만, 일부 힌두 철학 학파에서는 브라만(Brahman)이라는 궁극적인 실재를 강조하며, 이는 특정 인격신으로 규정되지 않는 비신론적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13]3. 4. 기타 종교 및 사상
불교[10], 기독교[11][12](비신론적 퀘이커 교도 포함), 힌두교[13], 자이나교, 도교, 창조성, 듀디즘, 라엘리즘[14], 인본주의 유대교[15], 라베이 사탄주의, 사탄 사원[16],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17][18], 윤리 문화[19] 등에서 비신론적 사상을 찾아볼 수 있다.4. 한국 사회와 비신론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 불교, 개신교, 천주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해 왔으며, 최근에는 무종교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비신론은 개인의 종교적 자유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점차 주목받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Nature of Religion
Blackwell Publishing
[2]
웹사이트
The Godless Rise As A Political Force
http://www.lexisnexi[...]
The National Journal
2010-07-29
[3]
논문
Worshipping an Unknown God
[4]
서적
Atheism: The Case Against God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5]
간행물
"The Reasoner", New Series, No. VIII. 115
[6]
서적
Modern Atheism under its forms of Pantheism, Materialism, Secularism, Development, and Natural Laws
https://archive.org/[...]
Sheldon, Blakeman & co .; [etc., etc.]
[7]
서적
Secular City
https://archive.org/[...]
New York, Macmillan
[8]
서적
Baker Encyclopedia of Christian Apologetics
[9]
서적
When Things Fall Apart
Shambhala Publications, Inc.
[10]
문서
B. Alan Wallace, ''Contemplative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pages 97-98.
[11]
문서
Spong, John Shelby, ''A New Christianity for a New World: Why Traditional Faith Is Dying and How a New Faith Is Being Born''
[12]
문서
Tillich, Paul. (1951) ''Systematic Theology'', p.205.
[13]
문서
Catherine Robinson,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Routledge Press, 1992, page 51.
[14]
잡지
Who Are the Raelians?
http://www.time.com/[...]
2003-01-04
[15]
웹사이트
SHJ Philosophy
http://www.shj.org/m[...]
2013-08-18
[16]
웹사이트
Satanic Temple: IRS has designated it a tax-exempt church
https://apnews.com/6[...]
2019-07-30
[17]
웹사이트
Humanism: Theological Diversity in Unitarian Universalism
http://www.uua.org/b[...]
2013-08-18
[18]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Part of the Theological Diversity Within Unitarian Universalism
http://www.uua.org/b[...]
2013-08-18
[19]
웹사이트
American Ethical Union
http://aeu.org/
2013-08-18
[20]
논문
The Nature of Religion
Blackwell Publishing
[21]
웹사이트
The Godless Rise As A Political Force
http://www.lexisnexi[...]
The National Journal
2010-07-29
[22]
간행물
"The Reasoner", New Series, No. VIII. 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