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신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신교는 '많은'을 뜻하는 그리스어 'poly'와 '신'을 뜻하는 'theos'의 합성어로, 여러 신을 숭배하는 종교를 의미한다. 다신교는 자연물, 동물, 식물, 영웅 등을 신격화하며, 전쟁의 신 마르스, 사랑의 신 아프로디테,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등이 대표적이다. 다신교는 연성 다신교와 경성 다신교로 나뉘며, 힌두교, 고대 이집트 종교, 신토,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종교 등이 주요 다신교에 해당한다. 또한, 불교, 기독교, 몰몬교 등에서도 다신교적 요소가 나타나기도 한다. 다신교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와 같은 수니파 극단주의 단체에서 시아파 무슬림을 비하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폴리데이즘은 다신론적 자연신론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신교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다신교 - 신토
신토는 일본 고유의 종교적 관념으로, 창시자나 경전 없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미'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와 신앙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격변을 거쳐 현재는 신사신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유신론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유신론 - 창조론
창조론은 우주와 생명의 기원을 신의 창조 행위로 설명하는 종교적, 철학적 관점으로, 진화론의 등장 이후 다양한 해석과 입장을 보이며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있다. - 종교 - 교리
교리는 종교의 핵심 가르침을 의미하며, 신앙과 실천의 기초를 형성하고 종교와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종교 - 민족 종교
민족 종교는 특정 민족 집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문화, 언어, 관습을 규정하는 종교로, 민족의 정체성 유지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종교, 신토, 도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유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다신교 | |
---|---|
다신교 | |
개요 | |
정의 | 여러 신을 믿는 종교 형태 |
관련 개념 | 애니미즘, 정령 숭배, 다원주의 |
역사와 특징 | |
기원 | 인류 역사 초기부터 존재 |
특징 | 다양한 신들의 존재 각 신은 특정 영역 또는 자연 현상 담당 신화, 전설, 의례 발달 |
다양한 문화권 |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힌두교, 불교의 일부 전통적인 아프리카 종교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동아시아 전통 종교 |
현대의 다신교 | 네오파가니즘 (위카, 드루이드교) 일부 힌두교, 불교, 시크교 아프리카 및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부활 |
다신교와 다른 종교 | |
일신교 | 유일신을 믿는 종교 (예: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
범신론 | 모든 것이 신이라고 믿는 종교 |
단일신교 | 여러 신들 중 하나를 숭배하는 종교 |
다신교의 의미와 영향 | |
문화적 다양성 | 다양한 신앙과 문화적 표현 형성 |
윤리적 영향 | 다신교 윤리는 종종 지역 사회 및 자연과의 관계에 집중 |
현대 사회 | 다신교 신앙은 일부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 |
관련 용어 | |
다신론 | 여러 신을 믿는다는 이론 또는 사상 |
신화 | 신들의 이야기와 관련된 서사 |
종교 | 신앙과 의례를 포함하는 문화 체계 |
2. 용어
다신교(多神敎)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πολύ (poly, "많은")와 θεός (theos, "신")에서 유래했으며, 유대인 작가 필론이 그리스인들과 논쟁하기 위해 만들어낸 용어이다.[7] 기독교가 유럽과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비기독교인들은 이방인, 이교도 또는 우상 숭배자 등으로 불렸다.[7] 현대에 와서 이 용어는 1580년 장 보댕이 프랑스어로 처음 부활시켰고, 이어 1614년 새뮤얼 퍼처스가 영어로 사용했다.[7]
다신교는 태양, 비, 불과 같은 자연물이나 동물, 식물, 영웅 등을 신격화하는 특징이 있다. 인간의 행위 또한 신격화되는데, 고대 로마의 마르스는 전쟁의 신이었고, 그리스의 아프로디테와 인도의 카마는 사랑의 신으로 여겨졌다. 일본 신토의 아마테라스는 태양의 여신이며, 중국의 복희와 여와는 출생과 창조의 신이다.
현대 다신교 신앙에서 주요한 분류는 소위 연성 다신교와 경성 다신교로 나뉜다.[8][9]
3. 다신교의 특징
4. 다신교의 종류
"연성" 다신교는 서로 다른 신들이 심리적 원형이거나, 자연의 힘을 의인화한 것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문화를 통해 해석된 본질적으로 하나의 신일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예: 오딘, 제우스, 그리고 인드라는 각각 게르만, 그리스, 인도 민족에 의해 해석된 동일한 신임). 이는 만신론으로 알려져 있다.[10] 이러한 방식으로, 신들은 문화 전반에 걸쳐 서로 교환 가능할 수 있다.[9]
"경성" 다신교는 신들이 심리적 원형이나 자연의 힘의 의인화가 아니라, 별개의, 독립적인, 실제 신적 존재라고 믿는 것이다. 경성 다신교 신자들은 "모든 신은 하나의 본질적인 신이다"라는 생각을 거부하며, 자신의 신화 체계 외부에 존재하는 신들의 존재를 전적으로 거부하기도 한다.[9]
힌두교, 고대 이집트 종교, 신토,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의 종교, 중국 민속 종교 등이 주요 다신교에 해당한다. 일본 신화·신도, 류큐 신도, 도교, 불교, 중국 신화, 인도 신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 켈트 신화, 이집트 신화, 하와이 신화 등도 다신교의 형태를 보인다.
4. 1. 주요 다신교
힌두교, 고대 이집트 종교, 신토,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의 종교, 중국 민속 종교 등이 주요 다신교에 해당한다. 일본 신화·신도, 류큐 신도, 도교, 불교, 중국 신화, 인도 신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 켈트 신화, 이집트 신화, 하와이 신화 등도 다신교의 형태를 보인다.
5. 신과 신성
다신교의 신들은 대부분 태양, 비, 불 같은 자연물을 신격화한 것이 특징이다. 자연물 외에도 동물, 식물, 영웅을 신격화하기도 한다. 또한 인간의 행위를 신격화하기도 하는데, 고대 로마의 마르스는 전쟁의 신이었고, 사랑의 신으로 여겨진 그리스의 아프로디테, 인도의 카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본의 신토에서 믿는 아마테라스는 태양의 여신이다. 중국의 복희와 여와는 출생과 창조의 신들이다.
다신교의 신들은 종종 인간과 여러모로 유사한(인격화된) 성격 특성을 지녔지만, 개별적인 능력, 필요, 욕구, 그리고 역사를 가진 더 크거나 작은 지위를 가진 복잡한 인물로 묘사된다. 다만 신들은 추가적인 힘, 능력, 지식 또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다신교는 대부분의 민간 신앙에 널리 퍼져 있는 애니미즘적 신앙과 명확하게 구분될 수 없다. 다신교의 신들은 많은 경우 초자연적 존재 또는 영혼의 연속체에서 가장 높은 순서에 속하며, 조상, 악마, 요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영혼들이 천상의 또는 지저의 계급으로 나뉘며, 이 모든 존재의 실존에 대한 믿음이 모두 숭배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6. 신의 유형
다신교는 태양, 비, 불 같은 자연물이나 동물, 식물, 영웅을 신격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대 로마의 마르스, 그리스의 아프로디테, 인도의 카마처럼 인간의 행위를 신격화하기도 한다. 일본 신토의 아마테라스는 태양의 여신이다. 중국의 복희와 여와는 출생과 창조의 신들이다.
다신교에서 흔히 발견되는 신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7. 종교와 신화
고대 4세기 신플라톤주의자 살루스티우스는 신화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11] 신학적 신화는 크로노스가 자식들을 삼키는 이야기와 같이 신의 본질을 고찰하며, 신성의 본질을 우화적으로 표현한다. 물리적 신화는 세상에서 신들의 활동을 표현하고, 심리적 신화는 영혼 자체의 활동 또는 영혼의 사고 행위의 우화로 본다. 물질적 신화는 지구를 가이아, 바다를 오케아노스, 열을 티폰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물질적 대상을 신으로 간주한다. 혼합적 신화는 여러 설명 방식을 결합한 신화이다.
많은 역사적 다신교의 신앙은 일반적으로 "신화"라고 불리지만,[12] 문화가 그들의 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야기는 그들의 숭배 또는 종교적 실천과 구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신화에서 갈등을 묘사하는 신들은 종종 나란히 숭배되었는데, 이는 종교 내에서 신앙과 실천 사이의 구분을 보여준다. 야안 푸벨, J. P. 말로리, 더글러스 큐. 아담스와 같은 학자들은 다양한 인도유럽어족의 종교가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는 고대 원시 인도유럽어족 종교의 여러 측면을 재구성했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자연주의적인 누메니즘 종교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공유된 과거의 종교적 개념의 예로는 여러 인도유럽어 사용 민족의 여러 종교 체계에서 확인되는 ''*dyēus'' 개념이 있다.
8. 고대 및 역사적 종교
잘 알려진 역사적인 다신교 신화 체계에는 수메르 신들, 이집트 신들, 고전 시대(고대 그리스와 로마 종교에서)에 기록된 신들의 계보, 노르드의 아사와 바니르, 요루바의 오리샤, 그리고 아즈텍 신들이 포함된다.
많은 문명에서 신들의 계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는 경향이 있었다. 처음에는 도시나 다른 장소의 수호신으로 숭배되던 신들이 제국이 더 넓은 영토로 확장되면서 함께 모이게 되었다. 정복은 그리스의 티타노마키아에서와 같이, 그리고 아마도 노르드 신화의 아사-바니르 전쟁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 문화의 신화 체계를 침략자들의 신화 체계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문화 교류는 그리스인, 에트루리아인, 그리고 로마인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동일한" 신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두 곳에서 숭배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고, 고대 이집트 신 오시리스의 경우처럼, 후에 고대 그리스에서 숭배된 것과 같이 외부 종교 요소의 문화적 전파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대부분의 고대 신앙 체계는 신들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신들은 부패하지 않지만 물질적인 존재이며, 세계 사이의 빈 공간에 거주하며 인간의 일에 개입하지 않지만, 특히 수면 중에 정신으로 인식될 수 있는 행복한 존재라고 주장했다.
8. 1.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의 고전적인 체계에서 올림포스 12신은 제우스, 헤라, 포세이돈, 아테나, 아레스, 데메테르, 아폴론, 아르테미스, 헤파이스토스, 아프로디테, 헤르메스, 헤스티아였다.[13][14] 디오니소스가 올림포스 산에 초대되었을 때 헤스티아가 자리를 내놓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그리스 신화』는 헤스티아가 자리를 포기했다는 암시를 하지만,[15][16] 헤스티아가 자리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것을 분명히 시사하는 두 가지 출처를 인용한다. 하데스[17]는 저승에 거주했기 때문에 종종 제외되었다. 모든 신들은 힘을 가지고 있었으나, 고대에는 누가 그들의 수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유동성이 매우 컸다.[18] 다른 도시들은 종종 같은 신들을 숭배했는데, 때로는 그들을 구별하고 그들의 지역적 특성을 명시하는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헬레니즘 다신교는 그리스 본토를 넘어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섬과 해안, 마그나 그라이키아(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 그리고 마사리아(마르세이유)와 같은 서지중해의 산재한 그리스 식민지로 확장되었다. 그리스 종교는 에트루리아의 종교 의식과 신앙을 조화시켜 후대의 로마 종교의 많은 부분을 형성했다. 헬레니즘 시대 동안, 에피쿠로스 학파와 같은 철학 학파는 독특한 신학을 발전시켰다.[19] 헬레니즘은 실제로 주로 다신교와 애니미즘적 숭배를 중심으로 한다.
9. 민간 신앙
오늘날 세계의 소위 "민간신앙" (민족 종교와 구별됨)의 대다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발견된다.[20]
민간신앙은 종종 애니미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민간 신앙은 일신교 사회에 존재할 때 종종 미신으로 분류된다.[22] 민간신앙은 종종 사제직으로 알려진 조직된 권위자나 공식적인 경전이 없다.[23] 또한 종종 다른 종교와 공존한다. 아브라함계 일신교는 일반적으로 여러 종교의 관습을 행하는 것을 승인하지 않지만, 민간신앙은 종종 다른 종교와 겹친다.[22] 다신교 신자들은 여러 종교의 관습과 신앙을 따르는 것을 문제 삼지 않는 경우가 많다.
19세기 중반 독일의 헤켈이 환경을 ecology로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1] 안나 브람웰은 헤켈 이후의 생태학의 역사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는데, 그녀에 따르면 생태학에는 다신교의 한 부분을 이루는 애니미즘적 요소가 있다고 인정하고 있다. 생태학은 독일에서 탄생한 하나의 사고방식이며, 게르만 민족이 기독교화되기 이전의 자연과의 교류 방식에 대한 향수와 같은 측면도 있다. 독일에서는 18세기에 영국(Great Britain)의 영향을 받은 계몽주의에서 칸트, 헤겔의 독일 관념론이 전개되어 독일 근대화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근대화는 현재로 치면 세계화와 같은 것이어서 민족적 심층 의식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헤겔 이후 게르만적 회귀와 결부되는 사상 운동이 생겨났다. 자연과 친밀하게 지내는 반더폴크 운동과도 정신적인 친밀성이 있다. 이러한 것은 사실 세계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즉, 일신교가 다신교의 진화된 형태로 우월하다는 주장보다, 현대 사상에도 일신교적 사고방식과 다신교적 사고방식이 각각 적합한 면이 살아 있으며, 신약성서가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니라」고 말했듯이, 인류가 가진 보기에는 합리적이지 않다고 여겨질지도 모르지만 사실은 필요한 활동에도 계속 지지를 주고 있다.
10. 현대 종교
힌두교, 신토와 같은 일부 종교는 현재까지도 다신교 형태로 남아있다.
- '''힌두교'''
힌두교는 단일 종교나 조직화된 종교가 아니며, 다양한 종교적 전통과 관습을 포함한다.[55] 힌두교는 일신론적 경향과 다신론적 경향, 그리고 그 변형이나 혼합을 모두 포함한다.
힌두교도들은 ''pratima''(무르티) 또는 우상 형태로 신들을 숭배하며, ''푸자''(예배)는 형태 없는 추상적인 신(브라흐만)과 소통하는 방법이다.[56] 일부 힌두교 철학자들은 단일 신성 본질을 가진 초월적 형이상학적 구조(브라흐만, 아트만)를 주장한다. 일반 힌두교도들은 브라흐만에서 나온 다른 신들을 믿거나, 전통적인 다신교와 일신일주신앙을 실천한다.
상카라가 설명한 아드바이타 철학이 힌두교의 스마르타 종파에서 수많은 신들의 숭배를 허용한다. 비슈누, 시바, 가네샤등의 신들은 브라흐만의 현현으로 여겨진다. 많은 힌두교도들은 다신교를 선호하며, 리그베다는 다신교적 개념을 설명한다.[57][58]
> 그들은 그를 인드라, 미트라, 바루나, 아그니라고 부르고, 그는 하늘의 고귀한 날개 달린 가루트만이다. ''하나인 것에 대해'', 현자들은 많은 칭호를 부여한다. 그들은 그것을 아그니, 야마, 마타리스반이라고 부른다. '''리그베다 1권, 찬가 164, 46절'''
- '''신토'''
일본 신화·신도
- '''류큐 신도'''
- '''도교'''
- '''불교'''
수행되는 전통에 따라 불교는 다수의 신의 존재를 인정하기 때문에 다신교로 여겨질 수 있다. 부처는 지도자 인물이지만 신으로 숭배되어서는 안 된다.[24] 데바(Deva, 데바/देवsa '신'을 의미함) 또한 숭배되어서는 안 된다.[24] 데바는 불멸하지 않으며 능력이 제한적이다.[24] 데바는 전생에 긍정적인 업을 쌓았던 인간이 데바로 다시 태어난 존재일 수 있다.[24]
일반적인 불교 수행법으로는 밀교가 있는데, 이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의례의 사용을 의미한다.[25] 밀교는 초자연적 존재가 아닌 상징으로서의 신과 자신을 신으로 보는 데 중점을 둔다.[25]
불교는 다른 종교, 특히 민간 종교와 결합될 때 다신교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다. 예를 들어, 카미라고 불리는 신들을 숭배하는 일본의 신토 종교는 때때로 불교와 혼합된다.[26]
- '''중국 신화'''
- '''인도 신화'''
- '''그리스 신화'''
- '''로마 신화'''
- '''북유럽 신화'''
- '''켈트 신화'''
- '''이집트 신화'''
- '''하와이 신화'''
- '''기독교'''
그리스도교는 일반적으로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삼위일체 교리는 순수한 일신교를 배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27][28][29] 이 교리는 하느님이 성부, 성자, 성령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신이 세 명의 독립적인 인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교는 일종의 삼신론(다신론의 한 형태)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30][31] 그러나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은 세 위격이지만 한 본질이다"라고 주장하며,[32] 신은 개별적인 정체성을 가진 단일 인격이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리스도교는 유대교로부터 "한 분의 하느님"이라는 개념을 계승했으며, 그 일신론적 교리가 신앙의 중심이라고 주장한다.

서구 학자이자 자칭 다신교 신봉자인 조던 페이퍼는 다신교가 인간 문화의 정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는 "심지어 가톨릭교회도 성인을 '숭배'하는 측면에서 다신교적인 측면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반면 그는, 예를 들어 마테오 리치가 중국의 천과 지라는 짝에서 한 부분만을 취해 '하늘의 왕'이라고 부른 것처럼, 일신교 선교사와 학자들은 다신교에서 원형 일신교 또는 적어도 일신 우선주의를 보려고 열심이었다고 주장한다.[33] 1508년 런던의 롤라드파인 윌리엄 포티어는 여섯 신을 믿는다고 고발당했다.[34]
- '''몰몬교'''
몰몬교 창시자인 조셉 스미스는 “하나님의 다수성”을 믿었으며, “나는 항상 하나님이 독립된 인격체이며,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아버지와는 별개의 독립된 인격체이고, 성령 또한 독립된 인격체이자 영이라고 선포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 세 분은 세 개의 독립된 인격체이자 세 분의 하나님을 구성합니다.”라고 말했다.[35]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출현한 몰몬교는 승영을 가르치는데,[36] 이는 사람들이 모든 면에서 사후 세계에서 하나님과 같이 될 수 있다는 가설로 정의된다.[37] 몰몬교는 또한 천부모의 존재를 확언하며,[38] 몰몬교도들 사이의 지배적인 견해는 하나님 아버지가 한때 자신의 더 높은 하나님이 계신 행성에서 살았던 사람이었고, 이 더 높은 하나님을 따른 후 완전해졌다는 것이다.[39][40] 일부 몰몬교 비평가들은 몰몬경의 진술이 삼위일체적인 하나님 개념을 묘사한다고 주장하지만 (예: 니파이후서 31:21; 앨마서 11:44), 이는 후기의 계시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한다.[41]
몰몬교 신학은 성경의 아버지, 아들, 성령의 연합에 대한 진술은 본질이 아닌 목적의 연합을 나타낸다고 말한다.[48] 그들은 초기 기독교 교회가 비물질적이고 형태 없는 공유된 실체라는 측면에서 신성을 특징짓지 않았으며, 사도 이후 신학자들이 그리스형 이원론적 철학(예: 신플라톤주의)을 기독교 교리에 통합하기 시작할 때까지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믿는다.[49][50] 몰몬교도들은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진리가 현대의 계시를 통해 회복되었으며, 이는 자연적이고, 육체적이고, 불멸의 하나님이라는 원래의 유대-기독교 개념을 회복시켰다고 믿는다.[51] 그는 인간의 영의 문자 그대로 아버지이다.[52] 몰몬교도들은 그분이 항상 그들의 천부적인 아버지이며 최고의 "신들의 하나님"(신명기 10:17)이시기 때문에 그분에게만 기도한다. 몰몬교도들은 하나님 아버지께만 경배한다는 의미에서 자신들을 일신론자로 여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몰몬교도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받는 자들이 "신"이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고수한다(요한복음 10:33–36). 왜냐하면 하나님의 문자 그대로 자녀로서 그분의 신성한 속성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53] 몰몬교는 "하나님의 영광은 지성이다"(교리와 성약 93:36)라고 가르치며, 아버지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이해함으로써 예수와 성령 또한 신성하다고 한다.[54]
- '''조로아스터교'''
아후라 마즈다는 최고신이지만, 조로아스터교는 다른 신들을 부정하지 않는다. 아후라 마즈다에게는 야자타("선한 존재들")가 있는데, 그중에는 아나히타, 스라오샤, 미트라, 라슈누, 티쉬트리아 등이 있다.[59] 리처드 폴츠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인들이, 특히 미트라와 아나히타를 포함한 이 모든 존재들을 숭배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59]
프로즈 옥토르 스케르뵈는 조로아스터교가 일신교적 다신교이며 "이원론적이고 다신교적인 종교이지만, 질서 정연한 우주의 아버지인 최고신이 한 분 있다"고 말한다.[60] 다른 학자들은 역사적 텍스트가 "한 신, 두 신, 또는 최고신 일신교"에 대한 조로아스터교의 믿음에 이르기까지 상반되는 묘사를 제시하기 때문에 이것이 불분명하다고 말한다.[61]
- '''텐그리즘'''
텐그리즘의 본질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텐그리즘은 원래 다신교였지만, 하늘의 신인 큭-텐그리를 최고 존재로 하는 일신교적 분파가 왕조 정당성 확보를 위해 발전했다.[62][63] 텐그리즘이 귀족 계층의 제국 수준에서만 일신교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64][65] 어쩌면 12세기~13세기(몽골 제국의 시대에 고대 애니미즘 샤머니즘이 후기 형태로 발전한 시기)에만 그랬을 것이다. 장-폴 루에 따르면, 일신교 개념은 다신교 체계에서 진화했으며, 텐그리즘의 원래 형태는 아니었다. 일신교 개념은 왕조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늘에는 신이 하나뿐이듯, 지상에도 통치자는 하나뿐이다…". 다른 학자들은 텐그리 자체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니라, 다신교적 샤머니즘의 상위 세계의 많은 신들 중 하나였으며, 나중에 텐그리즘으로 알려진 하늘 신이라고 지적한다. 이 용어는 여러 현대 튀르크-몽골계 토착 종교 운동과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정치적" 텐그리즘의 모든 현대 신봉자들은 일신교 신앙을 따른다.[62][63]
- '''현대 이교'''
'''현대 이교'''는 '''네오페이건''' 또는 '''현대 이교'''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현대 종교 운동으로서 근대 이전 유럽의 다양한 역사적 이교 신앙에서 영향을 받거나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집단이다.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현대 이교 종교 운동은 다양하며, 모든 이교에서 공유하는 신앙, 관행 또는 종교 경전은 없다.
위카의 창시자 제럴드 가드너는 고대 다신교의 부흥에 기여했다.[66][67] 영국인 오컬티스트 다이온 포춘은 "부드러운 다신교"의 주요 대중화자였다. 그녀의 소설 ''바다의 여사제''에서 그녀는 "모든 신은 한 신이며, 모든 여신은 한 여신이며, 한 명의 개시자가 있다."라고 썼다.[68]
- '''재구성주의'''
다신교 재구성주의 문서 보기
재구성주의 다신교 신자들은 역사, 고고학, 그리고 언어학과 같은 학문 분야를 이용하여 노르드 신앙, 로마 및 켈트와 같이 단편화되거나, 손상되거나, 심지어 파괴된 고대 전통 종교들을 부흥시키려고 노력한다. 재구성주의자는 조상들의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현대 생활에서도 실현 가능한 진정한 종교적 실천을 부흥시키고 재구성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다신교 신자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단순히 역사적 종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만 여기지 않고, 많은 경우 그것들의 연속 또는 부흥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신이교도들과 뚜렷이 구별된다.[69]
- '''위카'''
위카는 제럴드 가드너에 의해 창시된 이원론적 신앙으로, 다신교를 허용한다.[70][71][72] 위카 신자들은 특히 섬의 주님과 여신을 숭배한다(그들의 이름은 서약으로 묶여 있다).[71][72][73][74] 그것은 정교주의적 신비 종교로, 자신을 위카 신자라고 생각하기 위해서는 사제 서품을 받아야 한다.[71][72][75] 위카는 이중성과 자연의 순환을 강조한다.[71][72][76]
- '''세레르 종교'''
아프리카에서 세레르 종교의 다신교는 신석기 시대 또는 그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세레르 민족의 고대 조상들은 타실리나제르에 그들의 '팡골(Pangool)'을 표현했다.[77] 세레르 종교의 최고 창조신은 루그(Roog)이다. 그러나 세레르 종교에는 많은 신들과[78] 팡골(Pangool)(단수: 팡골(Fangool), 신과 중재하는 자)이 있다.[77] 각각은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상에서 루그(Roog)의 대리인 역할을 한다.[78] 캉긴어(Cangin languages)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루그(Roog)를 쿡스(Koox)라고 부른다.[79]
10. 1. 불교
수행되는 전통에 따라 불교는 다수의 신의 존재를 인정하기 때문에 다신교로 여겨질 수 있다. 부처는 지도자 인물이지만 신으로 숭배되어서는 안 된다.[24] 데바(Deva, 산스크리트어로 '신'을 의미함) 또한 숭배되어서는 안 된다.[24] 데바는 불멸하지 않으며 능력이 제한적이다.[24] 데바는 전생에 긍정적인 업을 쌓았던 인간이 데바로 다시 태어난 존재일 수 있다.[24]일반적인 불교 수행법으로는 밀교가 있는데, 이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의례의 사용을 의미한다.[25] 밀교는 초자연적 존재가 아닌 상징으로서의 신과 자신을 신으로 보는 데 중점을 둔다.[25]
불교는 다른 종교, 특히 민간 종교와 결합될 때 다신교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다. 예를 들어, 카미라고 불리는 신들을 숭배하는 일본의 신토 종교는 때때로 불교와 혼합된다.[26]
10. 2. 기독교
그리스도교는 일반적으로 일신교로 묘사되지만, 삼위일체 교리는 순수한 일신교를 배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27][28][29] 이 교리는 하느님이 성부, 성자, 성령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한다. 신이 세 명의 독립적인 인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교는 일종의 삼신론(다신론의 한 형태)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30][31] 그러나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은 세 위격이지만 한 본질이다"라고 주장하며,[32] 신은 개별적인 정체성을 가진 단일 인격이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리스도교는 유대교로부터 "한 분의 하느님"이라는 개념을 계승했으며, 그 일신론적 교리가 신앙의 중심이라고 주장한다.서구 학자이자 자칭 다신교 신봉자인 조던 페이퍼는 다신교가 인간 문화의 정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는 "심지어 가톨릭교회도 성인을 '숭배'하는 측면에서 다신교적인 측면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반면 그는, 예를 들어 마테오 리치가 중국의 천과 지라는 짝에서 한 부분만을 취해 '하늘의 왕'이라고 부른 것처럼, 일신교 선교사와 학자들은 다신교에서 원형 일신교 또는 적어도 일신 우선주의를 보려고 열심이었다고 주장한다.[33] 1508년 런던의 롤라드파인 윌리엄 포티어는 여섯 신을 믿는다고 고발당했다.[34]
10. 2. 1. 몰몬교
몰몬교 창시자인 조셉 스미스는 “하나님의 다수성”을 믿었으며, “나는 항상 하나님이 독립된 인격체이며,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아버지와는 별개의 독립된 인격체이고, 성령 또한 독립된 인격체이자 영이라고 선포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 세 분은 세 개의 독립된 인격체이자 세 분의 하나님을 구성합니다.”라고 말했다.[35]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출현한 몰몬교는 승영을 가르치는데,[36] 이는 사람들이 모든 면에서 사후 세계에서 하나님과 같이 될 수 있다는 가설로 정의된다.[37] 몰몬교는 또한 천부모의 존재를 확언하며,[38] 몰몬교도들 사이의 지배적인 견해는 하나님 아버지가 한때 자신의 더 높은 하나님이 계신 행성에서 살았던 사람이었고, 이 더 높은 하나님을 따른 후 완전해졌다는 것이다.[39][40] 일부 몰몬교 비평가들은 몰몬경의 진술이 삼위일체적인 하나님 개념을 묘사한다고 주장하지만 (예: 니파이후서 31:21; 앨마서 11:44), 이는 후기의 계시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한다.[41]몰몬교 신학은 성경의 아버지, 아들, 성령의 연합에 대한 진술은 본질이 아닌 목적의 연합을 나타낸다고 말한다.[48] 그들은 초기 기독교 교회가 비물질적이고 형태 없는 공유된 실체라는 측면에서 신성을 특징짓지 않았으며, 사도 이후 신학자들이 그리스형 이원론적 철학(예: 신플라톤주의)을 기독교 교리에 통합하기 시작할 때까지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믿는다.[49][50] 몰몬교도들은 하나님의 본성에 대한 진리가 현대의 계시를 통해 회복되었으며, 이는 자연적이고, 육체적이고, 불멸의 하나님이라는 원래의 유대-기독교 개념을 회복시켰다고 믿는다.[51] 그는 인간의 영의 문자 그대로 아버지이다.[52] 몰몬교도들은 그분이 항상 그들의 천부적인 아버지이며 최고의 "신들의 하나님"(신명기 10:17)이시기 때문에 그분에게만 기도한다. 몰몬교도들은 하나님 아버지께만 경배한다는 의미에서 자신들을 일신론자로 여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몰몬교도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받는 자들이 "신"이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고수한다(요한복음 10:33–36). 왜냐하면 하나님의 문자 그대로 자녀로서 그분의 신성한 속성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53] 몰몬교는 "하나님의 영광은 지성이다"(교리와 성약 93:36)라고 가르치며, 아버지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이해함으로써 예수와 성령 또한 신성하다고 한다.[54]
10. 3. 힌두교
힌두교는 단일 종교나 조직화된 종교가 아니며, 다양한 종교적 전통과 관습을 포함한다.[55] 힌두교는 일신론적 경향과 다신론적 경향, 그리고 그 변형이나 혼합을 모두 포함한다.힌두교도들은 ''pratima''(무르티) 또는 우상 형태로 신들을 숭배하며, ''푸자''(예배)는 형태 없는 추상적인 신(브라흐만)과 소통하는 방법이다.[56] 일부 힌두교 철학자들은 단일 신성 본질을 가진 초월적 형이상학적 구조(브라흐만, 아트만)를 주장한다. 일반 힌두교도들은 브라흐만에서 나온 다른 신들을 믿거나, 전통적인 다신교와 일신일주신앙을 실천한다.
상카라가 설명한 아드바이타 철학이 힌두교의 스마르타 종파에서 수많은 신들의 숭배를 허용한다. 비슈누, 시바, 가네샤등의 신들은 브라흐만의 현현으로 여겨진다. 많은 힌두교도들은 다신교를 선호하며, 리그베다는 다신교적 개념을 설명한다.[57][58]
그들은 그를 인드라, 미트라, 바루나, 아그니라고 부르고, 그는 하늘의 고귀한 날개 달린 가루트만이다. ''하나인 것에 대해'', 현자들은 많은 칭호를 부여한다. 그들은 그것을 아그니, 야마, 마타리스반이라고 부른다. '''리그베다 1권, 찬가 164, 46절'''
10. 4. 조로아스터교
아후라 마즈다는 최고신이지만, 조로아스터교는 다른 신들을 부정하지 않는다. 아후라 마즈다에게는 야자타("선한 존재들")가 있는데, 그중에는 아나히타, 스라오샤, 미트라, 라슈누, 티쉬트리아 등이 있다.[59] 리처드 폴츠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인들이, 특히 미트라와 아나히타를 포함한 이 모든 존재들을 숭배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59]프로즈 옥토르 스케르뵈는 조로아스터교가 일신교적 다신교이며 "이원론적이고 다신교적인 종교이지만, 질서 정연한 우주의 아버지인 최고신이 한 분 있다"고 말한다.[60] 다른 학자들은 역사적 텍스트가 "한 신, 두 신, 또는 최고신 일신교"에 대한 조로아스터교의 믿음에 이르기까지 상반되는 묘사를 제시하기 때문에 이것이 불분명하다고 말한다.[61]
10. 5. 텐그리즘
텐그리즘의 본질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텐그리즘은 원래 다신교였지만, 하늘의 신인 큭-텐그리를 최고 존재로 하는 일신교적 분파가 왕조 정당성 확보를 위해 발전했다.[62][63] 텐그리즘이 귀족 계층의 제국 수준에서만 일신교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64][65] 어쩌면 12세기~13세기(몽골 제국의 시대에 고대 애니미즘 샤머니즘이 후기 형태로 발전한 시기)에만 그랬을 것이다. 장-폴 루에 따르면, 일신교 개념은 다신교 체계에서 진화했으며, 텐그리즘의 원래 형태는 아니었다. 일신교 개념은 왕조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늘에는 신이 하나뿐이듯, 지상에도 통치자는 하나뿐이다…". 다른 학자들은 텐그리 자체가 절대적인 존재가 아니라, 다신교적 샤머니즘의 상위 세계의 많은 신들 중 하나였으며, 나중에 텐그리즘으로 알려진 하늘 신이라고 지적한다. 이 용어는 여러 현대 튀르크-몽골계 토착 종교 운동과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정치적" 텐그리즘의 모든 현대 신봉자들은 일신교 신앙을 따른다.[62][63]10. 6. 현대 이교 (Modern Paganism)
'''현대 이교'''는 '''네오페이건''' 또는 '''현대 이교'''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현대 종교 운동으로서 근대 이전 유럽의 다양한 역사적 이교 신앙에서 영향을 받거나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집단이다.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현대 이교 종교 운동은 다양하며, 모든 이교에서 공유하는 신앙, 관행 또는 종교 경전은 없다.위카의 창시자 제럴드 가드너는 고대 다신교의 부흥에 기여했다.[66][67] 영국인 오컬티스트 다이온 포춘은 "부드러운 다신교"의 주요 대중화자였다. 그녀의 소설 ''바다의 여사제''에서 그녀는 "모든 신은 한 신이며, 모든 여신은 한 여신이며, 한 명의 개시자가 있다."라고 썼다.[68]
10. 6. 1. 재구성주의 (Reconstructionism)
다신교 재구성주의 문서 보기재구성주의 다신교 신자들은 역사, 고고학, 그리고 언어학과 같은 학문 분야를 이용하여 노르드 신앙, 로마 및 켈트와 같이 단편화되거나, 손상되거나, 심지어 파괴된 고대 전통 종교들을 부흥시키려고 노력한다. 재구성주의자는 조상들의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현대 생활에서도 실현 가능한 진정한 종교적 실천을 부흥시키고 재구성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다신교 신자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단순히 역사적 종교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만 여기지 않고, 많은 경우 그것들의 연속 또는 부흥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신이교도들과 뚜렷이 구별된다.[69]
10. 6. 2. 위카 (Wicca)
위카는 제럴드 가드너에 의해 창시된 이원론적 신앙으로, 다신교를 허용한다.[70][71][72] 위카 신자들은 특히 섬의 주님과 여신을 숭배한다(그들의 이름은 서약으로 묶여 있다).[71][72][73][74] 그것은 정교주의적 신비 종교로, 자신을 위카 신자라고 생각하기 위해서는 사제 서품을 받아야 한다.[71][72][75] 위카는 이중성과 자연의 순환을 강조한다.[71][72][76]10. 7. 세레르 종교 (Serer)
아프리카에서 세레르 종교의 다신교는 신석기 시대 또는 그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세레르 민족의 고대 조상들은 타실리나제르에 그들의 '팡골(Pangool)'을 표현했다.[77] 세레르 종교의 최고 창조신은 루그(Roog)이다. 그러나 세레르 종교에는 많은 신들과[78] 팡골(Pangool)(단수: 팡골(Fangool), 신과 중재하는 자)이 있다.[77] 각각은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상에서 루그(Roog)의 대리인 역할을 한다.[78] 캉긴어(Cangin languages)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루그(Roog)를 쿡스(Koox)라고 부른다.[79]11. 비하적 용어로서의 사용
"다신교 신봉자"라는 용어는 때때로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와 같은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시아파 무슬림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들은 시아파 무슬림들이 "이맘 알리와 같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이슬람의 일신교 신앙에서 벗어났다"고 여기기 때문이다.[80]
폴 비츠 교수는 자기중심주의(Selfism)에 반대하는 사람으로서 미국을 "가장 다신교적인 국가"로 보았다.[81]
12. 폴리데이즘 (Polydeism)
폴리데이즘(Polydeism)은 그리스어 πολύ(poly, "많은")와 라틴어 deus(신)에서 유래한 혼성어로, 다신론적 형태의 자연신론을 의미한다.[82] 이는 우주가 여러 신들의 집합적 창조물이며, 각 신이 우주 또는 다중우주의 일부를 창조한 후 그 진화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포함한다.[82] 이 개념은 자연신론의 모순점, 즉 일신론적 신이 우주를 창조했지만 우주에 대한 명백한 관심을 표명하지 않는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약 우주가 많은 신들의 창조물이라면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우주 전체에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을 제시한다.
크레이턴 대학교 철학교수 윌리엄 O. 스티븐스[82]는 C. D. 브로드가 1925년 논문 "개인 신에 대한 믿음의 타당성"에서 이 개념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83] 브로드는 신의 존재에 대한 논증이 "과거에 설계하는 마음이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할 뿐, 현재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신이 오래전에 죽었거나 우주의 다른 부분에 관심을 돌렸다는 것과 이 논증은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85] "단 하나의 존재만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사실은 없다"고 덧붙였다.[85] 스티븐스는 브로드가 이 개념을 데이비드 흄에게서 얻었다고 주장하며, 흄의 설계 논증 비판에는 "매우 강력하지만 전능하지는 않은 신성한 존재들의 위원회가 세상을 만드는 데 협력했지만, 그 후에는 그것을 내버려 두거나 심지어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포함된다고 설명한다.
이 용어는 적어도 로버트 M. 보먼 주니어의 1997년 에세이 "창세기부터 계시까지의 변증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86] 보먼은 유물론이 오늘날 무신론, 회의론, 자연신론으로 대표되며, 유물론자는 우월한 존재는 인정하지만 최고 존재는 믿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에피쿠로스의 세계관을 "폴리데이즘"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많은 신들이 있지만, 그들은 단지 초인적인 존재일 뿐"이고 "세상에 개입하지 않고, 인간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고 희망을 제공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했다.
사회학자 수잔 스타 세레드는 1994년 저서 "여사제, 어머니, 신성한 자매: 여성이 지배하는 종교"에서 "폴리데이즘"을 "하나 이상의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다양한 믿음"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다.[87] 그녀는 이 용어를 다신교 체계와 "영혼이나 조상"의 영향을 주장하는 비유신론적 체계를 모두 포착하기 위해 사용했다.[87]
참조
[1]
웹사이트
Polytheism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03
[2]
웹사이트
Polytheism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03
[3]
웹사이트
Polytheism
https://www.oxford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03
[4]
서적
Within the Four Seas...: Introduction to Comparative Philosophy
Peeters Publishers
[5]
웹사이트
Monotheism - Polytheism, Dualism, Henotheism
https://www.britanni[...]
2023-12-26
[6]
논문
The world of spirits and the respect for nature: towards a new appreciation of animism
2006-04-11
[7]
서적
The Inconceivable Polytheism: Studies in Religious Historiography
Gordon & Breach Science Publishers
[8]
논문
Modern Pagan religious conversion revisited
https://digilib.phil[...]
2019-02-05
[9]
서적
Seeking the mystery : an introduction to Pagan theologies
Patheos Press
2012
[10]
논문
The Igala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system: Between monotheism and polytheism
https://www.ajol.inf[...]
2014-01-01
[11]
서적
On the Gods and the World
[12]
서적
Evolution Vs. Creationism: An Introduction
[13]
백과사전
Greek mythology
[14]
백과사전
Dodekatheon
[15]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book 3, chapter 5, section 3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17]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Vol. 13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
[18]
서적
Handbook of the religion and mythology of the Greeks
Francis and John Rivington
[19]
웹사이트
On the Epicurean Gods
https://www.youtube.[...]
Society of Friends of Epicurus
2020
[20]
웹사이트
Folk Religionist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21-03-31
[21]
논문
Toward the scientific study of polytheism: beyond forced-choice measures of religious belief
https://onlinelibrar[...]
2021-03-31
[22]
웹사이트
Monotheism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1-04-12
[23]
웹사이트
Folk Religionists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21-03-31
[24]
서적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5]
웹사이트
The Role of Gods and Deities in Buddhism
https://www.learnrel[...]
2021-03-31
[26]
웹사이트
Buddhism and Shinto: The Two Pillars of Japanese Culture
https://japanology.o[...]
2021-04-15
[27]
서적
Christianit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Monotheism | Definition, Types, Examples,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5-24
[2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30]
웹사이트
Typical Jewish Misunderstandings of Christianity
http://www.ccjr.us/d[...]
2018-06-12
[31]
웹사이트
Muslims reject the Trinity because they do understand it
https://thedebateini[...]
2018-06-08
[3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33]
서적
The Deities are Many. A Polytheistic The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4]
서적
Lollards in the English Reformation: History, radicalism, and John Fox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5]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Mormonism
http://eom.byu.edu/i[...]
Macmillan Publishing
[36]
서적
Christians in a Secular World: The Canadi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22-11-13
[37]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Mormonism
https://web.archive.[...]
2014-11-12
[3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Mormonism
https://web.archive.[...]
2014-03-26
[39]
웹사이트
Religions: An explanation of Mormon beliefs about God
http://www.bbc.co.uk[...]
2014-10-28
[40]
서적
Mormonism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41]
서적
The Four Major Cults: Christian Science, Jehovah's Witnesses, Mormonism, Seventh-Day Adventism
Paternoster Press
[42]
서적
Is Mormonism Now Christian?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Pub.
2023-02-23
[43]
서적
Leaving Dirt Place: Love as an Apologetic for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Publishers
2023-02-23
[44]
서적
Atheism?: A Crit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Publishers
2023-02-23
[45]
서적
Mapping Apologetics: Comparing Contemporary Approach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23-02-23
[46]
서적
Everything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Mormonism
https://books.google[...]
ATRI
2023-02-23
[47]
서적
Knowing Christ in the Challenge of Heresy: A Christology of the Cults, A Christolog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Publishers
2023-02-23
[48]
간행물
The Only True God and Jesus Christ Whom He Hath Sent
https://www.churchof[...]
2007-11
[49]
간행물
Does God Have a Body In Human Form?
http://www.fairmormo[...]
Foundation for Apologetic Information & Research
[50]
간행물
The Reality of the Resurrection
https://www.churchof[...]
1994-04
[51]
간행물
Jesus Christ, Eternal God: Heavenly Flesh and the Metaphysics of Matter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24
[52]
간행물
God Is Truly Our Father
https://www.churchof[...]
2010-01
[53]
웹사이트
Relationships Between Man, Christ, and God
http://www.jefflinds[...]
[54]
간행물
Doctrine and Covenants Instructor's Guide: Religion 324–325
https://www.churchof[...]
Institutes of Religion, Church Educational System
[55]
웹사이트
Hinduism
http://www.encyclope[...]
2013-05-22
[56]
웹사이트
What is Consecration?
https://isha.sadhgur[...]
2024-09-07
[57]
서적
Defence of Hindu Society
https://web.archive.[...]
Voice of India
2011-08-23
[58]
서적
Defence of Hindu Society
https://web.archive.[...]
Voice of India
2011-08-23
[59]
서적
Religions of Iran: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Oneworld Publications
[6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Zoroastrianism
http://www.fas.harva[...]
[61]
서적
Four Testaments: Tao Te Ching, Analects, Dhammapada, Bhagavad Gita: Sacred Scriptures of Taoism, Confucianism, Buddhism, and Hinduis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62]
서적
Der Ursprung der Gottes
[63]
서적
Turkische und Mongolische Elemente im Neupersischen
[64]
웹사이트
Religions in the central Asian environment
http://unesdoc.unesc[...]
[65]
서적
Kazakhstan: Coming of Age
Stacey International
[66]
웹사이트
Gerald Gardner: Blue plaque for 'father of witchcraft' – BBC News
https://www.bbc.com/[...]
2023-02-22
[67]
서적
World Religions and Cults Volume 2: Moralistic, Mythical and Mysticism Religions
https://books.google[...]
New Leaf Publishing Group, Incorporated
2023-02-22
[68]
서적
The Sea Priestess
Weiser
2003-06-30
[69]
서적
Hellenismos Today
https://books.google[...]
Lulu.com
2015-08-23
[70]
서적
The Meaning of Witchcraft
Llewellyn Pubns
[71]
서적
The Triumph of the Moon: A History of Modern Pagan Witchcraft
Oxford Paperbacks
[72]
서적
Fifty Years of Wicca
Green Magic
[73]
서적
Gerald Gardner: Witch
Pentacle Enterprises
[74]
서적
The Meaning of Witchcraft
Llewellyn Pubns
[75]
서적
The Meaning of Witchcraft
Llewellyn Pubns
[76]
서적
The Meaning of Witchcraft
Llewellyn Pubns
[77]
서적
"La civilisation Sereer – Pangool"
Les Nouvelles Editions Africaines du Senegal
[78]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latest edition.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Werner
[79]
간행물
Diversité et unicité sérères: l'exemple de la région de Thiès
http://ethiopiques.r[...]
[80]
뉴스
ISIS Claims Responsibility for Baghdad Bombings
https://www.nytimes.[...]
2018-01-00
[81]
서적
Newman and the Intellectual Tradition: Portsmouth Review
https://books.google[...]
Sheed & Ward
2023-05-03
[82]
웹사이트
Article on "Bill" Stephens
https://web.archive.[...]
2018-07-07
[83]
웹사이트
article on C. D. Broad's concept projection
https://web.archive.[...]
2018-07-07
[84]
서적
The Validity of Belief in a Personal God
[85]
서적
Id.
[86]
웹사이트
Apologetics – From Genesis to Revelation
https://web.archive.[...]
2018-07-07
[87]
서적
Priestess, Mother, Sacred Sister: Religions Dominated by Women
[88]
일반
[89]
일반
[90]
일반
[91]
서적
エコロジー 起源とその展開
河出書房
[92]
백과사전
다신교
https://www.doopedia[...]
두산
2021-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