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야리카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야리카산은 칠레 중앙 계곡 동쪽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3개의 성층 화산이 정렬된 서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솟아올라 현재와 비슷한 크기의 거대한 성층 화산을 형성했으며, 여러 차례의 분화와 붕괴를 겪었다. 비야리카산은 400km²의 면적과 약 250km³의 부피를 가지며, 화산 동굴과 스코리아 콘을 포함한다. 칠레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로, 분화 기록이 있으며, 특히 1963년, 1964년, 1971-1972년, 2015년에 대규모 분화가 있었다. 상부는 빙하로 덮여 있으며, 관광지로도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스키장 - 코이아이케
    칠레 아이센델헤네랄카를로스이바녜스델캄포 주의 주도인 코이아이케는 파타고니아의 아름다운 풍광과 "영원한 눈의 도시"라는 별칭을 가진 해양성 기후 지역으로, 플라이 낚시와 음악 축제 등의 관광 요소와 심각한 대기 오염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아이센 주의 중심지이다.
  • 칠레의 성층 화산 - 올카
    올카는 가스 배출과 화산 활동을 보이며, 고온 가스와 열수 유체가 혼합된 마그마 시스템을 나타내고, 1865-1867년 사이에 분화 가능성이 있었으며, 1989년과 1990년에 지진 활동이 보고되었다.
  • 칠레의 성층 화산 - 오호스델살라도산
    오호스델살라도산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활화산으로, 정상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호수가 있으며, 등산, 연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 지수 5 화산 - 훙가통가섬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는 통가 하파이 제도에 있는 해저 화산으로, 2022년 대규모 분화로 섬 대부분이 파괴되고 두 개의 섬으로 분리되었으며, 과거 분화로 형성된 칼데라와 구아노 매장량을 가진 화산이다.
  • 지수 5 화산 - 타라웨라산
    타라웨라 산은 뉴질랜드 북섬 오카타이나 칼데라 내에 위치한 유문암질 활화산으로, 1886년 대분출로 핑크 앤드 화이트 테라스를 파괴하고 와이망구 화산을 형성했으며, 15km에 달하는 현무암질 절리와 타우포 열곡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비야리카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비야리카 화산 전경
비야리카 화산 전경
다른 이름루카 필랸 (Ruka Pillañ)
의미풍요의 장소
언어스페인어
지리
위치칠레 남부
산맥안데스 산맥
좌표39°25′15″S 71°56′21″W
해발 고도2860m
최고점로스리오스 주
돌출 높이1575m
지질학적 정보
종류성층 화산
나이플라이스토세 후기
화산대남부 화산 지대
마지막 분화2020년
등반 정보
최초 등반1883년, 칠레 육군
가장 쉬운 경로비야리카 스키 센터 – 피에드라 네그라

2. 지리 및 지질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2. 1. 지형적 특징

비야리카산은 3개의 거대한 성층 화산이 나란히 늘어선 줄의 서쪽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칠레 중앙 계곡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화산 배열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은 모차-비야리카 단층대와 같은 오래된 지각 균열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3] 이 화산 연쇄에 속하는 다른 화산들, 즉 케트루필란과 라닌은 비야리카산에 비해 활동성이 훨씬 낮다. 비야리카산의 배열은 여러 활화산이 남북 방향으로 정렬된 리키네-오프키 단층을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독특하다.[5]

비야리카산이 차지하는 면적은 400km2에 달하며, 전체 부피는 약 250km3로 추정된다. 화산체에는 여러 개의 화산 동굴과 약 26개의 스코리아 콘이 포함되어 있다. 정상 분화구의 용암호에서는 끊임없이 가스가 빠져나가는데, 이로 인해 비교적 유동성이었던 용암의 점성이 점차 높아져 폭발적인 분화 가능성을 키운다. 비야리카산 주변에서는 두 개의 큰 점결응회암 층이 발견되는데, 하나는 리칸 점결응회암이고 다른 하나는 그보다 나중에 형성된 푸콘 점결응회암이다.[5]

비야리카산은 플라이스토세 중기에 처음 솟아올라, 현재의 화산과 비슷한 크기의 거대한 성층 화산을 이루었다. 약 10만 년 전, 에미안기 동안 이 선대(先代) 비야리카산은 큰 분화 끝에 붕괴하여 가로 6.5km, 세로 4.2km 크기의 거대한 타원형 칼데라를 남겼다. 이후 야키우에 빙하기 동안 비야리카산은 화쇄류 퇴적물, 빙하 밑에서 분출한 안산암 용암, 그리고 데이사이트 암맥 등을 만들었다. 약 13,700년 전, 화산은 다시 한번 붕괴하여 새로운 작은 칼데라를 형성했으며, 이때 발생한 여러 화쇄류 중 하나가 바로 리칸 점결응회암이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직후 분출된 리칸 점결응회암을 시작으로, 비야리카산은 비슷한 양상의 활동을 이어갔다. 약 3,700년 전에는 화산체 최상부의 성층 화산이 작은 규모로 붕괴하면서 푸콘 점결응회암이 분출되었다.[6]

2. 2. 지질학적 역사

성층 화산인 비야리카산은 3개의 거대한 화산이 정렬된 서쪽 끝에 위치하며, 칠레 중앙 계곡 바로 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정렬은 북서-남동 방향의 모차-비야리카 단층대와 같은 지각 내 오래된 균열의 존재에 기인하며,[3] 이 연쇄의 다른 화산인 케트루필란과 라닌은 활동성이 훨씬 덜하다. 이러한 정렬은 여러 활화산이 정렬된 N-S 방향의 리키네-오프키 단층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특이하다.[5]

비야리카산은 400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부피는 약 250km3로 추정된다. 화산 동굴과 약 26개의 스코리아 콘을 포함하고 있다. 용암호에서 지속적으로 가스가 배출되면서 비교적 유동적인 용암이 더욱 점성이 높아져 폭발 가능성이 커진다. 두 개의 큰 점결응회암 층이 관찰되는데, 리칸 점결응회암과 더 최근의 푸콘 점결응회암이 그것이다.[5]

비야리카산은 중기 플라이스토세 동안에 솟아올랐으며, 현재의 화산 구조와 비슷한 크기의 거대한 성층 화산을 형성했다. 100000년 전 발디비아 간빙기 동안 선조 비야리카산은 분화 후 붕괴되어 직경 6.5km와 4.2km의 거대한 타원형 칼데라를 형성했다. 야키우에 빙하기 동안 비야리카산은 화쇄류 퇴적물, 빙하 하부의 안산암 용암, 데이사이트 암맥을 생성했다. 13700년 전에 다시 한번 붕괴되어 새로운 작은 칼데라를 형성했으며, 여러 화쇄류 중에서 리칸 점결응회암이 이 사건과 관련이 있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직후에 생성된 리칸 점결응회암을 시작으로 활동이 유사한 방식으로 지속되었다. 푸콘 점결응회암은 3700년 전 최상부 성층 화산의 작은 붕괴 동안 분출되었다.[6]

2. 3. 빙하

비야리카산의 정상부는 영구적으로 눈으로 덮여 있으며 약 40km2 면적의 빙하가 존재한다.[7][8] 이 중 가장 규모가 큰 빙하는 남동쪽 사면에 위치한 피칠란카우에-투르비오 빙하이다.[7][8]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는 태양 복사를 흡수하여 눈과 얼음의 융해를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화산재 덮개가 5cm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단열 효과가 발생하여, 오히려 빙하의 융해를 늦추기도 한다. 1961년부터 2003년 사이에 비야리카산의 빙하 표면적은 25% 감소했으며, 이는 연평균 -0.4km2의 속도로 축소된 것이다.[9]

3. 분화 역사

비야리카산은 칠레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이며, 칠레 정복과 1552년 비야리카시 건설 이후 분화 기록이 있다.[11] 이 화산에서 발생하는 화산 가스 배출량은 다성분 가스 분석기 시스템을 통해 측정되며, 이는 상승하는 마그마의 분화 전 가스 방출을 감지하여 화산 활동 예측을 향상시킨다.[31]

3. 1. 초기 분화 기록 (16-17세기)

비야리카산은 칠레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 중 하나로, 칠레 정복과 1552년 비야리카 시 건설 이후부터 분화 기록이 남아 있다. 이 도시는 원래 현재의 푸콘 근처에 세워졌다.[11] 비야리카 화산은 16세기 후반에 스트롬볼리식 분화를 자주 일으켰으며,[12] 특히 1558년과 1562년에 활동이 가장 활발했다.[12] 1562년 분화 당시에는 화산에서 200km 떨어진 곳까지 얇은 화산재층이 쌓일 정도였다.[12]

초기 비야리카 시는 금과 은 채굴의 중요한 중심지였다.[13]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광업 활동은 점차 줄어들었는데,[11] 이는 16세기 중반 비야리카산 분화로 발생한 이류(laher) 아래 사광상이 묻혔기 때문일 수 있다.[11] 이 때문에 정착민들은 화산 위험이 덜한 서쪽의 현재 위치로 도시를 옮기게 되었다.[11] 17세기 전반의 분화 기록은 마푸체족과 위이체족의 봉기로 인해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 이 봉기는 7개 도시의 파괴로 이어져 스페인 정착지가 파괴되거나 버려지는 결과를 낳았다.[14]

3. 2. 1963년과 1964년 분화

비야리카 산은 1963년 3월 8일에 분화 활동을 재개했다.[15] 3월 12일에는 정상에서 250m 아래 측면 분화구에서 용암이 흘러나와, 길이 1000m, 폭 150m의 용암류를 형성했다.[15] 용암류는 3월 19일에 멈췄으며, 이와 동시에 정상 분화구에서는 스트롬볼리식 분화가 계속되었다.[15] 1963년 5월 2일에 폭발적인 분화가 다시 시작되었고, 5월 21일에는 분화가 확실히 분출성으로 바뀌었다. 이 일련의 분화의 마지막 결과는 5월 24일에 산을 따라 흘러내린 라하르였다.[15]

1964년 2월 마지막 2주 동안 비야리카 산은 작고 격렬한 용암 분출과 진동을 일으켰다. 3월 2일 오전 2시 45분에 스트롬볼리식 분화가 시작되었고, 벌목 마을인 코냐리페의 주민들은 주변 언덕으로 대피했다.[16] 얼마 후, 코냐리페 주민들은 폭우를 피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16] 자정에 새로운 용암류가 언덕 아래로 흘러내려 눈과 얼음을 녹였고, 특히 피칠란카우에-투르비오 빙하에서 녹은 물이 폭우와 합쳐지면서 다섯 개의 라하르를 유발했다.[16] 이 상황으로 인해 라하르 중 하나가 마을을 덮쳐 주민 27명이 사망하면서 코냐리페 주민들은 미처 대비하지 못했다.[16][17] 차이유펜 마을도 라하르로 파괴되어 30채의 가옥이 파괴되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17] 북쪽으로 흘러간 다른 라하르는 비야리카 호수로 들어가기 전에 비야리카와 푸콘 사이의 여러 다리를 파괴했다. 라하르가 갑자기 비야리카 호수로 유입되면서 수위가 상승하여 일부 저지대 목초지가 침수되었다.[16]

일부 마푸체 족은 정착민들이 코냐리페 마을을 저주하여 재앙을 유발했다고 비난했다.[18] 이러한 견해는 자연이 "원주민과 동맹"이라는 믿음을 반영한다.[19]

3. 3. 1971-1972년 분화

1971년 10월 29일 오전 3시, 화구에서 여러 차례 폭발이 일어나며 흰색과 검은색 연기 기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화가 시작되었다.[21] 한 달 뒤인 11월 29일 자정 15분 전, 비야리카산은 새로운 분화 주기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화산쇄설물이 분출되었고, 화구 주변의 눈이 녹았다. 활동이 잠시 멈춘 후, 북동쪽 측면에 새로 생긴 통풍구에서 용암이 흘러나왔다. 이 용암은 상당량의 눈과 얼음을 녹여 라하르를 발생시켰다. 발생한 라하르는 트란쿠라 강 유역의 피차예, 엘 투르비오, 콜렌타녜, 미네투에, 몰코, 보이피르, 쿠라레우에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독한 유황 가스가 퍼지면서 칠레 비야리카와 푸콘 지역의 공기가 숨쉬기 어려워졌으며, 이 분화로 최소 15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1] 이 분화는 스트롬볼리식 분화 유형으로 분류되며, VEI는 2등급이었다.[20] 분화는 1972년 2월 21일까지 이어졌다.

3. 4. 2015년 분화

2015년 2월 7일, 비야리카산은 국립 지질 및 광물 서비스[23][24] 와 오네미[25] 모두로부터 옐로우 경보를 받았다. 작은 폭발과 함께 적은 양의 화산재가 배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26] 열흘 뒤 또 다른 분화가 발생했으며, 국립 지질 및 광물 서비스(Sernageomin)는 화산 및 지진 활동 증가에 따라 옐로우 경보를 발령했고, 내무부 국가 비상 사무국(ONEMI) 역시 옐로우 경보를 유지했다.

2015년 3월 3일 오전 3시 1분경, 스트롬볼리식 분화가 일어나[27][28] 화산 주변 반경 10km 지역에 적색 경보가 발령되었다. 이 분화는 화산 높이 이상으로 분출했으며, 큰 폭발음으로 인근 주민들을 깨웠고, 결국 3,385명이 대피해야 했다.

남부 안데스 화산 관측소(OVDAS)는 새로운 분화가 임박했으며, 2015년 3월 19일 12시 29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29] 실제로 2015년 7월까지 분화는 계속되었다.[30] 이 화산에서 나오는 화산 가스는 다성분 가스 분석기 시스템을 통해 측정되는데, 이는 상승하는 마그마가 분출하기 전에 내뿜는 가스를 감지하여 화산 활동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31]

분화 전에 있었던 지진 활동을 분석한 결과, 임박한 분화를 직접적으로 예고하는 신뢰할 만한 지진 활동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32] 하지만 분화 후 45일 동안 비야리카산 지하 9km 지점에서 발생한 일련의 작은 지진들은 분화를 일으킨 공급 암맥이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32]

4. 관광 산업

비야리카산은 푸콘 마을에서 출발하여 분화구까지 가이드와 함께 등반하는 하이킹으로 인기가 많다. 그러나 구름이나 화산 활동으로 인해 등반이 중단될 수도 있다. 2007년부터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관광 비행도 가능해졌다. 겨울철(7월~9월)에는 산의 북쪽 경사면에 스키 리조트가 운영된다.[10] 1999년에는 미국 텍사스 출신의 Christopher Heisner|크리스토퍼 호이스너eng가 9세의 나이로 정상 등반에 성공하여 칠레 정부로부터 최연소 등반 기록을 인정받았다.

5. 갤러리

푸콘에서 바라본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Argentina and Chile, Central Ultra Prominences http://www.peaklist.[...] 2013-07-17
[2] 웹사이트 Volcán Villarrica: Chile http://www.geographi[...] 2015-03-04
[3] 논문 Seismicity near the slip maximum of the 1960 Mw 9.5 Valdivia earthquake (Chile): Plate interface lock and reactivation of the subducted Valdivia Fracture Zone 2012
[4] 웹사이트 DECADE Installations at Turrialba and Poás https://deepcarbon.n[...] 2016-09-26
[5] PDF Volcán Villarrica http://www2.sernageo[...]
[6] 서적 The Geology of Chile
[7] 웹사이트 Volcan_villarrica http://www2.sernageo[...] Southern Andean Volcano Observatory 2015-05-16
[8] 웹사이트 Volcan Villarrica http://docserver.ing[...] Ingentaconnect.com 2015-05-16
[9] 서적 Glacier variations in central Chile (32°S-41°S)
[10] 웹사이트 Villarrica volcano, Chile http://www.geographi[...] 2015-03-04
[11] 서적 2004
[12] 서적 2004
[13] 서적 2004
[14] 서적 2004
[15] 서적 2004
[16] 서적 2004
[17] 서적 2004
[18] 서적 2004
[19] 서적 2004
[20] 서적 2004
[21] PDF La erupción de 1971 http://www.povi.cl/f[...] Villarrica Volcano Visual Observation Project 2008
[22] 웹사이트 Onemi mantiene Alerta Roja mientras continúa disminuyendo actividad en volcán Villarrica http://www.biobiochi[...] BioBio Chile 2015-03-03
[23] 웹사이트 Volcanic Activity Special Report, Araucania Region http://www.sernageom[...] SERNAGEOMIN 2015-02-06
[24] 웹사이트 Mantienen Alerta Amarilla por comportamiento inestable de Volcán Villarrica http://www.biobiochi[...] BioBio Chile 2015-02-07
[25] 웹사이트 Onemi declara alerta amarilla por actividad en el volcán Villarrica http://www.24horas.c[...] 24 Horas 2015-02-07
[26] 웹사이트 Proyecto de Observación Villarrica http://www.povi.cl/
[27] 웹사이트 Volcano Villarrica erupts in southern Chile, villages evacuated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3-03
[28] 웹사이트 Volcán Villarrica entra en erupción durante la madrugada de este martes http://www.biobiochi[...] bibiochile.cl 2015-03-03
[29] 웹사이트 OVDAS: Monitoreo del volcán Villarrica en vivo http://www.sernageom[...] 2015-03-19
[30] 뉴스 Volcanoes are like buses… http://www.irishtime[...] 2015-07-20
[31] 논문 Volcanic gases emitted during mild Strombolian activity of Villarrica volcano, Chile
[32] 논문 Intra-Arc Crustal Seismicity: Seismotectonic Implicationsfor the Southern Andes Volcanic Zone, Chile https://oceanrep.geo[...] 2019-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