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작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의 손녀로, 1634년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와 결혼하여 토스카나 대공비가 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우르비노 공국을 상속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교황령에 합병되면서 로베레와 몬테펠트로 공작령과 미술품 컬렉션을 상속받았다. 그녀는 남편과의 불화, 며느리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와의 권력 다툼을 겪었으며, 코시모 3세 등 자녀를 두었다. 비토리아는 토스카나의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녀 교육에도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스카나 대공비 -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페르디난트 1세와 안나의 딸로,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무관심과 정부의 총애로 불행했으며, 8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아들이 없어 갈등을 겪다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사망했고, 척추측만증으로 인한 출산의 어려움이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 밝혀졌다.
  • 토스카나 대공비 - 마르그리트루이즈 도를레앙
    프랑스 공주 마르그리트 루이즈 도를레앙(1645–1721)은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 데 메디치의 아내로 토스카나 대공비였으나, 결혼 후 궁정 생활 부적응, 남편과의 불화, 프랑스 귀환 실패 등으로 불안정한 삶을 살았다.
  • 페사로 출신 - 아르날도 포를라니
    아르날도 포를라니는 기독교민주당 소속으로 이탈리아 총리, 당 서기, 장관 등을 역임했으나, 이르피니아 지진 복구 부패 스캔들과 P2 스캔들에 연루되었고, 뇌물 수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으며 정계에서 은퇴한 이탈리아의 정치인이다.
  • 페사로 출신 - 조아키노 로시니
    조아키노 로시니는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로, 《세비야의 이발사》, 《탄크레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 등의 오페라와 《스타바트 마테르》 등의 종교 음악을 작곡했으며, 미식가로도 알려져 20세기 후반 이후 작품들이 재평가받고 있다.
  • 델라 로베레가 - 펠리체 델라 로베레
  • 델라 로베레가 - 교황 율리오 2세
    율리오 2세는 1503년부터 1513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세속 권위 견제, 교황령 중앙 집권화, 그리고 르네상스 예술가 후원을 통해 로마를 예술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스투스 수스테르만스의 초상화, 1640-1645년경
이름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전체 이름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배우자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자녀코시모 3세,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마리아, 로베레 공작
가문메디치 가문
델라 로베레 가문
출생일1622년 2월 7일
출생지우르비노, 페사로 공작 궁전
사망일1694년 3월 5일
사망지토스카나, 피사 공작 궁전
아버지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
어머니클라우디아 데 메디치
배우자 정보
정배토스카나 대공비
재위1637년 4월 6일 ~ 1670년 5월 23일

2. 유년 시절

어린 시절의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티베리오 디 티토 작, 우피치 미술관 소장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자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클라우디아 데 메디치의 외동딸로 페사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페데리코 우발도가 사망한 후, 어머니 클라우디아가 오스트리아 대공 레오폴트 5세와 재혼했기 때문에 비토리아는 델라 로베레 가문에서 양육되었다. 그녀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성장했다.[1]

한 살 때, 메디치 가문 사촌인 페르디난도 2세, 토스카나 대공과 약혼했다. 피렌체로 보내져 토스카나 궁정에서 성장했는데, 이는 어머니 클라우디아 데 메디치의 영향이었다. 이 결혼은 로렌 공녀 크리스티나에 의해 성사되었다. 크리스티나는 1621년부터 며느리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막달레나 대공비와 공동 섭정으로 활동해 왔으며, 페르디난도 2세가 1628년에 성년이 되었음에도 1636년 사망할 때까지 권력의 배후에 있었다.[2]

2. 1. 우르비노 공국 상속 문제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당시 우르비노 공작이었던 프란체스코 마리아 2세 델라 로베레의 아들 페데리코 우발도 델라 로베레의 외동딸이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의 누이이자 만토바 공작부인인 클라우디아 데' 메디치였다. 어린 시절 비토리아는 할아버지의 우르비노 공국을 상속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교황 우르바노 8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를 설득하여 공국을 교황령에 양도하게 했다.[1] 결국 우르비노 공국은 교황 우르바노 8세에 의해 교황령에 합병되었다.[1] 대신, 비토리아는 1631년, 아홉 살의 나이에 로베레와 몬테펠트로 공작령과 미술품 컬렉션을 상속받았다.[2]

3. 토스카나 대공비

유스투스 수스터만스의 작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와 남편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


1634년 8월 2일, 비토리아는 페르디난도와 비공개 결혼식을 올렸고, 1637년 4월 6일에 공식 결혼식을 올렸다. 그해 7월 5일에 대관식을 가졌다. 비토리아의 상속 재산은 지참금에 포함되어 메디치 가에 제공되었다. 가문의 풍부한 미술품 컬렉션은 우피치 미술관과 피티 궁전에 소장되었으며, 토스카나 대공국의 재산이 되었다.[1] 크로체타 수녀원에서 자란 비토리아는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앙 교육을 받았는데,[1] 이는 자유주의적인 성향의 남편 페르디난도를 매우 짜증나게 했다.[3]

결혼 6년 후 부부 관계가 성립되었으나, 첫 아들은 생후 이틀 만에 사망했고, 1640년에 태어난 아들 역시 출생과 동시에 사망했다. 1642년에 코시모 3세가 태어나 토스카나 대공자 칭호를 받았다. 코시모 3세 탄생 직후, 비토리아는 남편과 시종의 부적절한 관계를 목격하고 소원해졌다.[5] 비토리아가 화해를 시도했지만 페르디난도는 거부했고, 불화는 거의 20년 동안 이어졌다. 1659년에 잠시 화해하여 1660년에 프란체스코 마리아가 태어났다.[6] 이후 부부는 수년간 별거했다.

1670년 페르디난도 2세가 사망하고 코시모 3세가 대공위를 계승했다. 코시모 3세는 프랑스의 루이 14세의 사촌인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와 1661년에 결혼했다.[9] 비토리아는 아들 코시모 3세에게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며느리와의 권력 다툼에서 승리했다. 코시모 3세는 어머니에게 토스카나의 일상 행정을 맡기고,[7] 비토리아는 대공의 ''Consulta'' (추밀원)에 입회했다.[8] 두 대공비는 자주 다투었지만, 코시모 3세는 항상 어머니 편을 들었다.[9]

3. 1. 자녀 교육 문제

비토리아는 페르디난도 2세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1642년에 태어난 장남 코시모 3세만이 성인으로 성장했다. 코시모 3세의 교육 방식을 두고 비토리아와 페르디난도 2세는 대립했는데, 비토리아는 아들에게 깊은 로마 가톨릭 신앙 교육을 시키고자 했다.[4] 이는 자유주의적인 성향의 남편 페르디난도 2세와 갈등을 빚는 원인이 되었다.[3]

결국 비토리아의 뜻대로 코시모 3세는 엄격한 가톨릭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러한 교육 배경은 코시모 3세의 통치 방식과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1660년에는 차남 프란체스코 마리아 데 메디치가 태어났다.[6]

한편, 며느리인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가 1675년 토스카나를 떠나 프랑스로 돌아가면서, 비토리아는 손주들인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 안나 마리아 루이사 데 메디치,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의 양육을 맡게 되었다.[13]

3. 2. 남편과의 불화

페르디난도 2세와의 결혼 생활은 불행했다. 결혼 6년 후 부부 관계가 성립되어 아들을 낳았지만 생후 이틀 만에 사망했다. 1640년에는 또 다른 아들이 태어났지만 출생과 동시에 사망했다. 1642년에 부부는 코시모 3세를 낳았고, 코시모 3세는 토스카나 대공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코시모 3세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독실한 로마 가톨릭 교육을 받았으며, 대공 부부 사이에는 대공자의 교육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논쟁이 벌어졌다.[4]

코시모 3세가 태어난 직후, 비토리아가 남편과 시종인 브루토 델라 몰레라 백작이 함께 침대에 있는 것을 발견하면서 부부는 소원해졌다.[5] 이 사건으로 비토리아는 한동안 남편과 대화하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비토리아가 화해를 시도했을 때, 페르디난도 2세는 거부했고, 그들의 불화는 거의 20년이 지나서야 제대로 해결되었다. 1659년에 잠시 화해하여 1660년에 마지막 자녀인 프란체스코 마리아가 태어났다.[6] 소원해진 부부는 수년간 상호 합의하에 별거했다.

3. 3. 며느리와의 권력 다툼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는 1661년에 프랑스의 루이 14세의 사촌인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와 결혼했다.[9] 이로 인해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와 며느리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권력을 두고 경쟁하기 시작했다. 비토리아는 아들 코시모 3세에게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권력 다툼에서 승리하였다. 코시모 3세는 어머니에게 토스카나의 일상적인 행정을 맡겼고,[7] 비토리아는 공식적으로 대공의 ''Consulta'' (추밀원)에 입회했다.[8] 반면,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소외되었다.[8]

두 대공비는 ''Consulta''와 우선 순위를 놓고 자주 다투었지만, 코시모 3세는 항상 어머니 비토리아의 편을 들었다.[9] 1671년 초, 두 사람의 싸움이 격렬해져서 한 사람은 "피티 궁전은 악마의 거처가 되었고, 아침부터 자정까지 싸움과 학대의 소리만 들을 수 있었다"고 언급할 정도였다.[10]

3. 3. 1. 며느리의 프랑스 귀국

1674년 며느리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가 프랑스로 떠날 예정이라는 소식이 들려오자 비토리아는 크게 기뻐했다. 젊은 대공비는 한동안 피렌체 외곽의 메디치 포조 카이아노 빌라에서 사실상 감금된 채 살았다. 결국, 대공 부부는 마르게리트 루이즈가 몽마르트르 생 피에르 수도원에 머무르는 조건으로 헤어지기로 결정했다.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1675년 토스카나를 떠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 결과,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자녀를 버리고 간 며느리를 대신하여 손주들인 대공자 페르디난도, 공주 안나 마리아 루이사, 프린스 잔 가스토네의 보호자가 되었다.[13]

4. 말년과 사망



1685년경 토스카나 과부 대공비,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1670년 페르디난도 2세가 사망하자, 코시모 3세가 대공위를 계승했다. 코시모 3세는 1661년에 프랑스의 루이 14세의 사촌인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트 루이즈와 결혼했다.[9] 이들 사이에서 아들 페르디난도와 딸 안나 마리아 루이사가 태어났으며, 코시모 3세 즉위 몇 주 후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다시 임신했다.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와 며느리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권력을 놓고 경쟁했으나, 아들 코시모 3세에 대한 영향력 덕분에 비토리아가 승리했다. 코시모 3세는 어머니에게 토스카나의 일상 행정을 맡겼고,[7] 비토리아는 대공의 ''Consulta''(추밀원)에 공식적으로 입회했다.[8] 두 대공비는 우선 순위와 ''Consulta''를 놓고 자주 다퉜지만, 코시모 3세는 항상 어머니 편을 들었다.[9] 1671년 초, 마르게리트 루이즈와 비토리아 사이의 싸움은 매우 격렬해져, "피티 궁전은 악마의 거처가 되었고, 아침부터 자정까지 싸움과 학대의 소리만 들을 수 있었다"는 언급이 있을 정도였다.[10]

1664년, 비토리아는 카테리나 안지올라 피에론치니를 시녀로 고용하여 자수 훈련을 위해 파리로 보냈다.[11][12]

1674년, 며느리가 프랑스로 떠날 것이라는 소식이 들리자 비토리아는 승리했다. 마르게리트 루이즈는 피렌체 외곽의 메디치 포조 카이아노 빌라에서 사실상 감금된 채 생활했다. 결국, 대공 부부는 오를레앙이 몽마르트르 생 피에르 수도원에 머무르는 조건으로 별거하기로 결정했다. 오를레앙은 1675년 토스카나를 떠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자녀를 버린 며느리 대신 손주들인 대공자 페르디난도, 공주 안나 마리아 루이사, 잔 가스토네의 보호자가 되었다.[13]

정계에서 은퇴한 비토리아는 노년에 빌라 라 키에테로 알려진 몬탈베 수녀원과 빌라 델 포조 임페리알레에서 오랫동안 머물렀으며, 상속받은 미술품 컬렉션의 일부를 이곳으로 옮겼다.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1694년 피사에서 72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피렌체 산 로렌초 대성당에 묻혔다. 1686년부터 추기경이었던 아들 프란체스코 마리아가 로베레 공작령을 상속받았다. 이 칭호는 1737년 손자 토스카나 대공 잔 가스토네 데 메디치의 사망으로 메디치 가문이 단절되면서 소멸되었다. 외손녀 팔라틴 선제후 안나 마리아 루이사는 1743년에 메디치 재산의 내용을 토스카나 주에 유증했다. "가족 협약"으로 3세기에 걸친 메디치 예술품과 보물이 비토리아의 상속 재산과 함께 피렌체에 남게 되었다.[14]

5. 자녀

6. 참고 문헌


  • 아델린다 모데스티, Women's Patronage and Gendered Cultural Networks in Early Modern Europe: The Grand Duchess of Tuscany, Vittoria Della Rovere|여성 후원과 근대 유럽 초기 젠더 기반 문화 네트워크: 토스카나 대공비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영어, 2019, 전자책, 인쇄본 298쪽, 출판사: 테일러 앤 프랜시스, ISBN 978-1-351-77811-4.

참조

[1] 서적 Acton
[2] 서적 Acton
[3] 서적 Young
[4] 서적 Acton
[5] 서적 Acton
[6] 서적 Acton
[7] 서적 Acton
[8] 서적 Acton
[9] 서적 Acton
[10] 서적 Acton
[11] 서적 Vivir entre bastidores: bordado, mujer y domesticidad en la España de la Edad Moderna https://books.google[...] Univeridad de Cantabria 2022
[12] 서적 Women Artists in the Early Modern Courts of Europe: c. 1450-1700 https://www.cambridg[...]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1
[13] 웹사이트 Anna Maria Luisa de' Medici - Biografia https://web.archive.[...] www.polomuseale.firenze.it 2006
[14] 서적 You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