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 오보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오보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오보에 디자인을 결합한 악기로, 19세기 초 요제프 셀너의 교본과 스테판 코흐의 제작을 통해 발전했다. 카를 프리드리히 골데의 디자인을 거쳐 요제프 하제크와 헤르만 줄레거에 의해 키 메커니즘이 개선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식 오보에에 밀려 쇠퇴했으나, 1980년대 야마하의 생산과 고음악 운동의 부활로 다시 주목받았다. 현재는 안드레 콘스탄티니데스, 크리스티안 라우흐, 군트람 볼프 등 여러 제작자들이 빈 오보에를 제작하고 있으며, 넓은 내부 관과 짧고 넓은 리드를 사용하여 독특한 음색을 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보에 - 주르나
    주르나는 중앙아시아와 고대 소아시아에서 유래한 과일 나무 경목으로 만든 관악기로, 오보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크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특징이 있고 서아시아 민속 음악과 오스만 제국 메흐테르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쑈옴, 수오나, 태평소 등 다양한 악기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오보에 - 잉글리시 호른
    잉글리시 호른은 오보에족 목관악기로, 영국 유래도 아니고 호른 종류도 아니지만, 오보에보다 낮은 음역과 독특한 음색으로 관현악곡에서 애절하고 목가적인 분위기를 내는 데 쓰인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빈 오보에
기본 정보
빈 오보에
악기 분류
종류관악기
목관악기
겹리드 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422.112-71
호른보스텔-작스 분류법 설명키로 소리 내는 겹리드 기명악기
개발 및 음역
개발19세기 후반, 고전 오보에에서 파생
음역[[파일:Oboe range2.png|130px|가운데]]
관련 악기
관련 악기오보에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 호른
오보에 다 카치아
바로크 오보에
베이스 오보에
헤켈폰
콘트라베이스 오보에
피스톤

2. 역사

빈 오보에는 19세기 초 빈에서 요제프 셀너와 스테판 코흐가 개발한 코흐/셀너 오보에에서 기원한다. 이후 드레스덴의 카를 프리드리히 골데는 더 깊고 풍부한 음색을 추구하며 코흐/셀너 오보에와는 다른 디자인을 개발했다.[10] 1880년, 리하르트 바움게르텔이 골데 오보에를 빈으로 가져왔고, 요제프 하제크가 이를 개량하여 빈 오보에의 기초를 다졌다. 요제프 하제크와 헤르만 줄레거 등은 키 메커니즘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현대 빈 오보에의 모습을 완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콘서바토리 오보에가 널리 사용되면서 빈 오보에는 쇠퇴기를 맞았으나, 1980년대 야마하가 생산을 시작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20세기 후반 고음악 운동이 부활하면서 빈 오보에는 바로크 오보에 등의 대체 악기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 1. 19세기: 빈 오보에의 탄생과 발전

19세기 초, 빈의 오보이스트 요제프 셀너는 스테판 코흐와 함께 코흐/셀너 오보에를 개발했다.[10] 이 오보에는 당시 중부 유럽에서 매우 좋은 악기로 여겨졌으며, 최대 13개의 키를 사용하는 현대적인 메커니즘과 좁은 관을 통해 밝은 음색을 냈다. 이는 19세기 말까지 빈 음악가들의 요구를 충족시켰다.[10]

카를 프리드리히 골데는 깊고 풍부하며 따뜻한 음색을 가진 오보에를 개발했다.[10] 그는 "프랑스와 빈의 코흐 오보에와 같이 얇은 비음이 아니라 강력한 깊이의 완전한 소리가 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0] 그의 디자인은 코흐 오보에를 대체하고 20세기의 새로운 빈 오보에가 되었다.

2. 2. 20세기: 위기와 부활

1880년에 오보이스트 리하르트 바움게르텔(1858-1941)은 빈으로 그의 골데 오보에를 가져왔으며, 이후 요제프 하제크(1849-1926)에 의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사용되던 국제 표준음으로 조율하기 위해 그 근본이 되는 디자인을 채택했다. 이후 하제크와 헤르만 줄레거(Hermann Zulegar, 1885-1949)는 특히 키 메커니즘의 변화와 개선을 위주로 새 악기를 만들었다. 새 악기는 고전 오보에의 내부 관뿐만 아니라 작은 기둥(Baluster)과 장식(Finial)과 같은 우아하고 간결화된 고전적인 외부 특색을 유지했으나 키 체계는 크게 늘어났다.[10]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콩세르바투아르 오보에가 확산되면서 독일에서는 '독일 오보에'가 단계적으로 퇴출되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빈 오보에가 전체적인 쇠퇴기에 직면했고, 1949년 줄레거가 사망함에 따라 우수한 악기 공급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어 악기 제작이 거의 중단될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1980년대 일본의 야마하가 빈 오보에를 제조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유례없는 품질의 악기를 공급하고 있다.

20세기 후반 고음악에 대한 관심이 부활함에 따라, 빈 오보에는 큰 제약 없이 고음악 시절 악기의 음색을 유지하여 옛 오보에 또는 바로크 오보에의 대체품으로 부각됐다. 최근 빈 오보에에 대한 흥미와 사용이 조금씩 증가함에 따라 빈 오보에는 André Constantinides, Karl Rado, Guntram Wolf, 그리고 Christian Rauch와 같은 다수의 제조사들이 만들고 있다.

3. 소리

빈 오보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디자인을 결합한 결과물이다. 넓은 내부 관, 짧고 넓은 리드, 콩세르바투아르 오보에와는 다른 운지법을 사용한다. 제프리 버지스와 브루스 헤인스는 저서 《오보에》(The Oboe)에서 "그 차이점은 중간 음역에서 더 날카롭고 고음이며, 상부 음역에서는 화성적으로 더 풍부하게 만들어준다"라고 표현했다. 군트람 볼프는 "관의 개념에서 볼 때, 빈 오보에는 역사적인 오보에의 마지막 대표 주자이며 더 커진 오케스트라에 적응했고 광범위한 메커니즘을 가졌다. 주된 장점은 최저음역에서도 불기 쉽고 표현력이 좋으며 다른 악기들과도 잘 어울린다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11]

4. 소재

현대의 빈 오보에는 대개 그라나딜라로 만들어진다. 간혹 일부 제작자들은 전통적인 유럽의 회양목(Boxwood)으로 오보에를 만들기도 한다.

5. 제작사

빈 오보에는 현재 앙드레 콘스탄티니데스, 군트람 볼프, 크리스티안 라우흐, 칼 라도 등의 회사에서 제작되고 있다. 야마하를 비롯한 일부 회사는 빈 오보에 생산을 중단했다.[6][7][8]

5. 1. 현재 제작 중인 회사


  • 앙드레 콘스탄티니데스 (오스트리아)
  • 군트람 볼프 (독일)
  • 크리스티안 라우흐 (오스트리아)
  • 칼 라도 (오스트리아)

5. 2. 과거에 제작했거나 현재는 중단한 회사


  • 야마하 (일본)[6][7][8]
  • 후베르트 슉 (Hubert Schück) (오스트리아 빈)
  • 줄레거 앤 코 (Zuleger & Co.) (오스트리아 빈)

참조

[1] 웹사이트 Guntram Wolf http://www.guntramwo[...]
[2] 웹사이트 Rauch 1999 http://www.woodwind.[...]
[3] 간행물 DIE LITURGISCHEN AUFFÜHRUNGEN DER HOFKAPELLE IM SPIEGEL DER WIENER MUSIKZEITUNGEN http://dx.doi.org/10[...] Hollitzer Verlag 2023-09-10
[4] 웹사이트 Wiener Instrumente http://www.wienerins[...] 2022-01-18
[5] 웹사이트 Geschichte {{!}} Guntram Wolf Holzblasinstrumente GmbH https://www.guntramw[...] 2022-01-18
[6] 웹사이트 YOB-804 - Brass & Woodwinds - Display collection - INNOVATION ROAD - Yamaha Corporation https://www.yamaha.c[...] 2022-01-18
[7] 웹사이트 Trivia:The Wiener oboe that survived an existential crisis - Musical Instrument Guide - Yamaha Corporation https://www.yamaha.c[...] 2022-01-18
[8] 웹사이트 The Oboe BBoard http://test.woodwind[...] 2022-01-18
[9] 웹사이트 easyname {{!}} Domain geparkt http://www.woodwind.[...] 2022-01-18
[10] 웹인용 Rauch 1999 http://www.woodwind.[...] 2020-09-06
[11] 웹인용 Guntram Wolf http://www.guntramwo[...] 202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