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는 빌리루빈 대사의 산물로, 다양한 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이 물질의 수치는 간 기능 이상, 듀빈-존슨 증후군, 유전 질환, 신생아 황달, 용혈성 황달, 뇌 손상 등 여러 의학적 상태와 관련이 있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소변 검사에서 발견될 경우 간 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다.

2. 임상적 중요성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의 수치는 다양한 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특히, 빌리루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이나 기능의 이상은 혈중 빌리루빈 농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44][4] 간 기능 저하로 간접 빌리루빈 대사가 원활하지 않으면 특정 약물의 체내 결합 및 대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44][4]

2. 1. 신장

신장을 통해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가 배설되어 소변 검사에서 검출된다면, 이는 상당량의 결합 빌리루빈이 혈액 속에 존재하며 순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74][32]

2. 2. 듀빈-존슨 증후군

듀빈-존슨 증후군은 다약제 내성 관련 단백질 2(MRP2)의 돌연변이로 인해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의 담즙 배설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증후군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간의 어두운 색소 침착은 빌리루빈 때문이 아니라, 중합된 에피네프린 대사산물에 의한 것이다.[75]

2. 3. 간 질환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의 생성 및 배설 과정은 다양한 간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과정의 이상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빌리루빈 대사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나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은 혈액 내 빌리루빈 축적을 유발할 수 있다.[44][4] 반대로, 간 기능 저하로 간접 빌리루빈 대사가 원활하지 않으면 특정 약물의 체내 결합 및 대사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44][4]

간 기능이 저하되면 간접 빌리루빈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및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하는 과정이나, 생성된 결합형 빌리루빈을 담즙으로 배설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고빌리루빈혈증이나 황달(특히 간내 또는 간세포성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74][32] 이는 간접 빌리루빈이 축적되는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이나,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및 다이글루쿠로나이드가 축적되는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기전은 로터 증후군이나 두빈-존슨 증후군과 같은 특정 질환과 연관되기도 한다.[74][32][77][35]

간부전간염은 이러한 간 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의 대표적인 원인이다.[74][32] 또한, 간 자체의 문제 외에도 담관 폐쇄(예: 담석)로 인해 결합 빌리루빈이 정상적으로 배설되지 못하고 혈액으로 역류하여 결합 고빌리루빈혈증(간후성 또는 폐쇄성 황달)이 발생하기도 한다.[74][76][32][34]

다만, 혈중 빌리루빈 농도만으로는 간 질환의 초기 상태를 민감하게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간은 비결합 빌리루빈이 급증할 경우, 평소 비축해 둔 처리 능력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여 혈중 농도를 정상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78][36]

2. 3. 1. 간부전 및 간염

간부전간염은 간에서 발생하는 고빌리루빈혈증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74][32] 간 기능이 저하되면 간접 빌리루빈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로, 더 나아가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떨어져 고빌리루빈혈증이나 간내(간세포성)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74][32]

구체적으로, 간이 간접 빌리루빈을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하는 속도가 정상보다 느려지면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난다.[74][32] 이는 빌리루빈이 간세포로 흡수되는 과정이 감소하거나(로터 증후군[77][35]), 세포 내 단백질 결합에 결함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74][32]

반대로, 간이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를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이 나타난다.[74][32] 이 경우는 세포 내 단백질 결합 결함이나, 생성된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다이글루쿠로나이드가 모세담관으로 제대로 분비되지 못할 때(두빈-존슨 증후군[77][35]) 발생할 수 있다.[74][32]

한편, 담관 폐쇄(예: 담석)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간 기능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생성된 빌리루빈 다이글루쿠로나이드(소량의 간접 빌리루빈 및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포함)가 담관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혈장으로 역류하기 때문이다. 이를 간후성(폐쇄성) 황달이라고 한다.[74][76][32][34]

그러나 혈중 빌리루빈 농도만으로는 간 질환을 민감하게 조기에 진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간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평소 빌리루빈 제거 능력을 일부 비축해 두었다가, 비결합 빌리루빈이 갑자기 증가하면 이 능력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 질환이 있더라도 일시적으로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78][36]

2. 3. 2. 담관 폐쇄

담관담석이나 종양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담관 폐쇄라고 한다.[32] 담관 폐쇄는 빌리루빈 대사 과정에 영향을 미쳐, 특히 에서 처리된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및 빌리루빈 디글루쿠로나이드의 정상적인 배출을 방해한다.

담관이 막히면 빌리루빈 디글루쿠로나이드가 담즙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간을 거쳐 혈장으로 역류하게 된다.[32][34] 이 역류 과정에서 소량의 간접 빌리루빈과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도 함께 혈액으로 들어갈 수 있다.[32][34] 결과적으로 혈중 접합 빌리루빈(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및 디글루쿠로나이드)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접합형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한다.[32]

담관 폐쇄는 내부(간내) 또는 외부(간외)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담석이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32] 이처럼 담관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고빌리루빈혈증과 그에 따른 황달 증상을 ''간후성 황달'' 또는 ''폐쇄성 황달''이라고 부른다.[32]

2. 4. 유전 질환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 효소의 유전적 결핍이나 활성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과 질베르 증후군을 들 수 있다.[74][32] 이러한 유전 질환들은 빌리루빈 글루쿠로나이드 생성을 감소시켜 체내 빌리루빈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2. 4. 1.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은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 효소가 유전적으로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74][32] 이로 인해 혈액 속에 비결합 빌리루빈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게 된다.[74][32] 또한, 이 증후군을 앓는 사람들은 핵황달(뇌에 빌리루빈 색소가 쌓이는 것)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뇌병증(신경 손상 또는 퇴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74][32]

2. 4. 2. 질베르 증후군

질베르 증후군은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 효소의 활성이 약 70% 감소하여 혈장에 비결합 빌리루빈이 약간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74][32]

2. 5. 신생아 황달

출생 시 신생아는 빌리루빈을 접합시키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는다.[79][37] 이로 인해 신생아의 약 8%에서 11%가 생후 첫 주에 고빌리루빈혈증을 겪게 된다.[79][58][37][18]

2. 6. 용혈성 황달

용혈로 인한 황달, 즉 용혈성 황달은 혈관 안팎에서 일어나는 용혈 때문에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생산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렇게 생성된 빌리루빈의 양이 이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게 되면 황달이 발생한다.[74][32] 간에서 흡수되어 접합(conjugation) 과정을 거치지 못한 빌리루빈은 혈장에 비결합형 상태로 남게 된다.[74][32] 이 경우, 혈청 속 총 빌리루빈 수치는 증가하지만, 담즙 내 빌리루빈의 96~99%가 정상적으로 접합되기 때문에 직접 빌리루빈(결합형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비결합형 빌리루빈)의 비율은 96:4로 유지된다.[48][41][8][1]

2. 7. 뇌 손상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은 유전적으로 글루쿠로닐트랜스퍼레이스가 결핍되어 혈장에 고농도의 비결합 빌리루빈이 나타나는 질환이다.[74][32] 이러한 상태는 뇌에 빌리루빈 색소가 침착되는 핵황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뇌증(신경 퇴행)을 유발하여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74][32]

특히 신생아는 출생 시 빌리루빈을 접합시키는 능력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79][37] 비결합 빌리루빈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 실제로 신생아의 약 8%에서 11%가 생후 첫 주 동안 고빌리루빈혈증을 경험한다.[79][58][37][18]

참조

[1] 서적 Equine Internal Medicine Elsevier
[2] 웹사이트 Dubin-Johnson syndrome is associated with inability of the hepatocytes to secrete conjugated bilirubin after it has been formed. https://web.archive.[...]
[3] 간행물 Two distinct mechanisms for bilirubin glucuronide transport by rat bile canalicular membrane vesicles. Demonstration of defective ATP-dependent transport in rats (TR-) with inherited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1992-11-01
[4] 간행물 Bilirubin Glucuronidation Revisited: Proper Assay Conditions to Estimate Enzyme Kinetics with Recombinant UGT1A1 2010-07-28
[5] 간행물 Studies of bilirubin kinetics in normal adults 1969-11-01
[6] 웹사이트 Heme metabolism in macrophages http://eclinpath.com[...] 2019-05-05
[7] 웹사이트 Bilirubin and hemolytic anemia http://eclinpath.com[...] 2019-05-05
[8] 웹사이트 Bilirubin metabolism https://www.uptodate[...] 2019-05-05
[9] 간행물 Definition of the Clinical Spectrum of Kernicterus an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2005-01
[10] 간행물 The Evolving Landscape of Neurotoxicity by Unconjugated Bilirubin: Role of Glial Cells and Inflammation 2012-05-29
[11] 간행물 Impact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on neurodevelopmental outcomes 2015-01-10
[12] 간행물 A modifie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M) algorithm is useful in evaluating severity of jaundice in a resource-limited setting 2015-04-01
[13] 간행물 The Clinical Syndrome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14] 간행물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15] 간행물 Acute bilirubin encephalopathy and its progression to kernicterus: cur - RRN https://www.dovepres[...] 2019-05-06
[16] 서적 The Digestive System Elsevier
[17] 간행물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amage — Mechanisms and Management Approaches 2013-11-21
[18] 간행물 Hyperbilirubinemia and Kernicterus
[19] 문서 Structure of bilirubin Bonnet RJ, Davis E, Hursthouse MB Nature. 1976; 262:326.
[20] 서적 The Liver: Biology and Pathobiology Wiley
[21] 웹사이트 Hereditary Jaundice and Disorders of Bilirubin Metabolism - The Online Metabolic and Molecular Bases of Inherited Disease - McGraw-Hill Medical https://ommbid.mhmed[...] 2019-05-06
[22] 웹사이트 Bilirubin https://library.med.[...] 2019-05-06
[23] 간행물 Genetic lesions of bilirubin uridine-diphosphoglucuronate glucuronosyltransferase (UGT1A1) causing Crigler-Najjar and Gilbert syndromes: correlation of genotype to phenotype.
[24] 웹사이트 Bilirubin must be conjugated to a water-soluble substance https://web.archive.[...]
[25] 간행물 Hepatic microsomal bilirubin UDP-glucuronosyltransferase. The kinetics of bilirubin mono- and diglucuronide synthesis. 1992-08-25
[26] 서적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Elsevier
[27] 간행물 A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 (cMOAT) antisense cDNA enhances drug sensitivity in human hepatic cancer cells. 1997-12-15
[28] 간행물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mediates low-affinity transport of reduced glutathione. 1999-03-01
[29] 웹사이트 Diseases Associated with Hyperbilirubinemia https://library.med.[...] 1995-01-05
[30] 간행물 Recent advances in bilirubin metabolism research: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patocyte bilirubin transport and its clinical relevance.
[31] 간행물 Inherited Disorders of Bilirubin Transport and Conjugation: New Insights Into Molecular Mechanisms and Consequences
[32] 서적 The Digestive System Elsevier
[33]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Elsevier
[34] 간행물 The Clinical Importance of a Protein-Bound Fraction of Serum Bilirubin in Patients with Hyperbilirubinemia 1983-07-21
[35] 간행물 Complete OATP1B1 and OATP1B3 deficiency causes human Rotor syndrome by interrupting conjugated bilirubin reuptake into the liver 2012-02-01
[36] 논문 Hepatic storage and excretion of bilirubin in man.
[37] 논문 Hyperbilirubinemia in Neonates: Types, Causes, Clinical Examinations,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A Narrative Review Article
[38] 논문 Serum bilirubin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middle-aged British men.
[39] 논문 Serum bilirubin and 10-year mortality risk in a Belgian population.
[40] 논문 Serum bilirubin levels in the U.S. population: Gender effect and inverse correlation with colorectal cancer
[41] 서적 Equine Internal Medicine Elsevier
[42] 웹사이트 Dubin-Johnson syndrome is associated with inability of the hepatocytes to secrete conjugated bilirubin after it has been formed. https://web.archive.[...]
[43] 저널 Two distinct mechanisms for bilirubin glucuronide transport by rat bile canalicular membrane vesicles. Demonstration of defective ATP-dependent transport in rats (TR-) with inherited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1992-11-01
[44] 저널 Bilirubin Glucuronidation Revisited: Proper Assay Conditions to Estimate Enzyme Kinetics with Recombinant UGT1A1 2010-07-28
[45] 저널 Studies of bilirubin kinetics in normal adults 1969-11-01
[46] 웹인용 Heme metabolism in macrophages http://eclinpath.com[...] 2019-05-05
[47] 웹인용 Bilirubin and hemolytic anemia http://eclinpath.com[...] 2019-05-05
[48] 웹인용 Bilirubin metabolism https://www.uptodate[...] 2019-05-05
[49] 저널 Definition of the Clinical Spectrum of Kernicterus an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2005-01
[50] 저널 The Evolving Landscape of Neurotoxicity by Unconjugated Bilirubin: Role of Glial Cells and Inflammation 2012-05-29
[51] 저널 Impact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on neurodevelopmental outcomes 2015-01-10
[52] 저널 A modified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M) algorithm is useful in evaluating severity of jaundice in a resource-limited setting 2015-04-01
[53] 저널 The Clinical Syndrome of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54] 저널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ysfunction (BIND)
[55] 저널 Acute bilirubin encephalopathy and its progression to kernicterus: cur - RRN https://www.dovepres[...] 2019-05-06
[56] 서적 The Digestive System https://archive.org/[...] Elsevier
[57] 저널 Bilirubin-Induced Neurologic Damage — Mechanisms and Management Approaches 2013-11-21
[58] 저널 Hyperbilirubinemia and Kernicterus
[59] 문서 Structure of bilirubin Bonnet RJ, Davis E, Hursthouse MB Nature. 1976; 262:326.
[60] 서적 The Liver: Biology and Pathobiology Wiley
[61] 웹인용 Hereditary Jaundice and Disorders of Bilirubin Metabolism - The Online Metabolic and Molecular Bases of Inherited Disease - McGraw-Hill Medical https://ommbid.mhmed[...] 2019-05-06
[62] 웹인용 Bilirubin https://library.med.[...] 2019-05-06
[63] 저널 Genetic lesions of bilirubin uridine-diphosphoglucuronate glucuronosyltransferase (UGT1A1) causing Crigler-Najjar and Gilbert syndromes: correlation of genotype to phenotype.
[64] 웹사이트 Bilirubin must be conjugated to a water-soluble substance https://web.archive.[...]
[65] 저널 Hepatic microsomal bilirubin UDP-glucuronosyltransferase. The kinetics of bilirubin mono- and diglucuronide synthesis. 1992-08-25
[66] 문서 C-MOAT는 간세포의 정단 부위 내에 모세담관막에 위치한다.
[67] 서적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Elsevier
[68] 저널 A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 (cMOAT) antisense cDNA enhances drug sensitivity in human hepatic cancer cells. 1997-12-15
[69] 저널 Canalicular multispecific organic anion transporter/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mediates low-affinity transport of reduced glutathione. 1999-03-01
[70] 웹인용 Diseases Associated with Hyperbilirubinemia https://library.med.[...] 2020-04-10
[71] 논문 Recent advances in bilirubin metabolism research: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patocyte bilirubin transport and its clinical relevance.
[72] 논문 Inherited Disorders of Bilirubin Transport and Conjugation: New Insights Into Molecular Mechanisms and Consequences
[73] 문서 결합 빌리루빈은 수용성이므로 혈액에서도 마찬가지로 수용성이다.
[74] 서적 The Digestive System https://archive.org/[...] Elsevier
[75]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Elsevier
[76] 논문 The Clinical Importance of a Protein-Bound Fraction of Serum Bilirubin in Patients with Hyperbilirubinemia 1983-07-21
[77] 논문 Complete OATP1B1 and OATP1B3 deficiency causes human Rotor syndrome by interrupting conjugated bilirubin reuptake into the liver 2012-02-01
[78] 논문 Hepatic storage and excretion of bilirubin in man. https://archive.org/[...]
[79] 논문 Hyperbilirubinemia in Neonates: Types, Causes, Clinical Examinations,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A Narrative Review Article
[80] 논문 Serum bilirubin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middle-aged British men. https://archive.org/[...]
[81] 논문 Serum bilirubin and 10-year mortality risk in a Belgian population.
[82] 논문 Serum bilirubin levels in the U.S. population: Gender effect and inverse correlation with colorectal canc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