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기는 제4기 동안 여러 번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된 현상을 의미한다. 제4기는 약 260만 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지난 74만 년 동안 최소 8번의 빙하기 순환이 있었다. 최종 빙기 이전 빙기는 약 19만 4천 년 전에 시작되어 13만 5천 년 전에 끝났으며, 최종 빙기는 약 11만 년 전에 시작되어 약 1만 1700년 전에 끝났다. 최종 빙기 동안 빙하는 북반구의 많은 지역을 덮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하강하여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동식물 이동에 영향을 미쳤고, 기온 하강으로 식생대가 남하했다. 지구 공전 궤도의 변화에 따른 컴퓨터 모델은 미래 기후를 예측하며, 현재의 온난한 기후는 앞으로 5만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빙하기 - 간빙기
간빙기는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나타나는 짧고 온난한 시기로, 기온 상승, 숲 확장, 해수면 상승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며 지구 궤도 변화와 같은 천문학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 빙하기 - 베링 육교
베링 육교는 과거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를 연결했던 육지였으며, 해수면 저하로 인해 형성되어 동식물과 인류의 이동 통로 역할을 했다. - 빙하학 - 빙상
빙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중력, 온도, 기저 강도에 의해 역학이 결정되며, 빙하류나 빙붕을 통해 얼음을 배출하고 해양 빙상 불안정성, 해양 빙벽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과 지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과거 빙하기-간빙기 주기에 따라 성장과 붕괴를 반복했다. - 빙하학 - 해빙
해빙은 양극 해역에서 생성되어 계절에 따라 면적이 변하는 얼음으로, 북극의 다년빙과 남극의 일년빙으로 나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면적이 급감하여 극지방 생태계와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빙기 | |
---|---|
개요 | |
![]() | |
정의 | 빙하기 내의 추운 기후와 빙하 확장 기간 |
특징 | 기온 하락 빙하 확장 해수면 하강 생태계 변화 |
원인 | |
밀란코비치 주기 | 지구 자전축 경사 변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 변화 지구 자전축 세차 운동 |
태양 활동 변화 | 태양 흑점 수 변화 등 |
화산 활동 | 대규모 화산 폭발로 인한 에어로졸 증가 |
대기 조성 변화 | 온실가스 농도 변화 |
구분 | |
간빙기 | 빙하기 사이의 따뜻한 기간 |
아간빙기 | 빙하기 내의 비교적 따뜻한 기간 |
주요 빙기 | |
선캄브리아 시대 | 휴로니아 빙하기 스타르트 빙하기 마리노아 빙하기 가스키에르 빙하기 바랑기아 빙하기 |
고생대 | 안데스-사하라 빙하기 |
신생대 | 현재 진행 중 (제4기 빙하기) |
영향 | |
지형 변화 | U자곡, 빙퇴구, 빙하호 등 형성 |
해수면 변화 | 해안선 변화, 육지 면적 변화 |
생태계 변화 | 식물 분포 변화, 동물 이동 및 멸종 |
인류 활동 | 농경 방식 변화, 거주지 이동 |
연구 | |
빙핵 분석 | 과거 대기 조성 및 기온 추정 |
퇴적층 분석 | 과거 빙하 확장 범위 및 환경 변화 추정 |
지형 분석 | 과거 빙하 이동 경로 및 규모 추정 |
기타 | |
관련 용어 | 빙하 빙상 툰드라 영구 동토층 기후 변화 |
2. 제4기 빙하기
제4기 빙하기는 약 260만 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여러 번의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되는 특징을 보인다.[5] 지난 74만 년 동안 최소 8번의 빙하기 순환이 있었다.[6]
2. 1. 빙기와 간빙기의 순환
약 260만 년 전에 시작된 제4기에는 여러 번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있었다.[5] 지난 74만 년 동안만 해도 최소 8번의 빙하기 순환이 있었다.[6] Quaternary glaciation영어 동안, 여러 차례의 빙기와 간빙기가 존재했다.
3. 최종 빙기 이전 빙기 (Penultimate Glacial Period)
최종 빙기 이전에 발생한 빙하기로, 약 19만 4천 년 전에 시작되어 13만 5천 년 전에 끝났으며, 에엠 간빙기가 시작되었다.[7]
4. 최종 빙기 (Last Glacial Period)
최종 빙기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있었던 가장 최근의 빙기로, 약 11만 년 전에 시작되어 약 1만 1700년 전에 끝났다.[1] 이 빙기 동안 발생한 빙하는 북반구의 많은 지역을 덮었으며,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진다. 빙하는 약 2만 6500년 전 현재 기준에 최대 규모에 도달했으며, 유럽에서는 빙상이 독일 북부에까지 이르렀다. 지난 65만 년 동안 평균 7번의 빙하 전진과 후퇴 주기가 있었다.
4. 1. 각 지역별 최종 빙기 명칭
북반구의 많은 지역을 덮은 빙하는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지역 | 빙기 명칭 |
---|---|
북아메리카 | 위스콘신 빙기 |
영국 | 디베니안 빙기 |
아일랜드 | 미들랜디안 빙기 |
알프스 | 뷔름 빙기 |
중앙유럽 북부 | 바이켈 빙기 |
중국 동부 | {{lang|zh|大理|달리|} | } 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