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당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당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마을에 있던 사당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1914년 경기도 시흥군에 속했다가, 1963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편입되었고, 이후 관악구를 거쳐 1980년 동작구에 편입되었다. 사당동은 여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4호선, 7호선, 9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신대방동
신대방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서울에 편입되었으며,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의 시설과 신대방역,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 1963년 설치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1963년 설치 - 신림동
신림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관악산 아래에 위치하여 숲이 무성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주변 상업지역 발달로 번화한 지역으로 발전했다.
사당동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당동 |
한글 표기 | 사당동 |
한자 표기 | 舍堂洞 |
로마자 표기 | Sadang-dong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adang-dong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및 인구 | |
면적 | 2.93 km² |
인구 | 99,322명 |
인구 조사 기준 | 2001년 |
인구 밀도 | 33,898명/km² |
언어 | |
행정 정보 (사당제1동) | |
이름 | 사당제1동 |
한자 표기 | 舍堂第1洞 |
영어 표기 | Sadang 1(il)-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0.79 km² |
세대 | 11,867 |
세대 조사 기준 | 2017.5.31. |
인구 | 22,798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2월 |
법정동 | 사당동 |
통 | 32 |
반 | 201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17길 28 |
홈페이지 | 사당1동 주민센터 |
행정 정보 (사당제2동) | |
이름 | 사당제2동 |
한자 표기 | 舍堂第2洞 |
영어 표기 | Sadang 2(i)-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2.75 km² |
세대 | 11,822 |
세대 조사 기준 | 2017.5.31. |
인구 | 27,786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2월 |
법정동 | 동작동, 사당동 |
통 | 42 |
반 | 301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29길 52 |
홈페이지 | 사당2동 주민센터 |
행정 정보 (사당제3동) | |
이름 | 사당제3동 |
한자 표기 | 舍堂第3洞 |
영어 표기 | Sadang 3(sam)-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0.92 km² |
세대 | 9,780 |
세대 조사 기준 | 2017.5.31. |
인구 | 24,338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2월 |
법정동 | 사당동 |
통 | 38 |
반 | 206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17길 86 |
홈페이지 | 사당3동 주민센터 |
행정 정보 (사당제4동) | |
이름 | 사당제4동 |
한자 표기 | 舍堂第4洞 |
영어 표기 | Sadang 4(sa)-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0.38 km² |
세대 | 6,602 |
세대 조사 기준 | 2017.5.31. |
인구 | 14,155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2월 |
법정동 | 사당동 |
통 | 21 |
반 | 141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16아길 6 |
홈페이지 | 사당4동 주민센터 |
행정 정보 (사당제5동) | |
이름 | 사당제5동 |
한자 표기 | 舍堂第5洞 |
영어 표기 | Sadang 5(o)-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 | |
면적 | 0.57 km² |
세대 | 5,691 |
세대 조사 기준 | 2017.5.31. |
인구 | 14,470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2월 |
법정동 | 사당동 |
통 | 18 |
반 | 150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2가길 219 |
홈페이지 | 사당5동 주민센터 |
2. 역사
- 1914년 3월 1일: 사당동은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사당리, 동작동은 경기도 시흥군 북면 동작리였다.
- 1936년 4월 1일: 동작동은 경기도 영등포출장소 동작정회가 되었다.
- 1955년 4월 18일: 동작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동작동 (행정동: 흑석제2동)이 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사당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고, 행정동 남성동이 설치되었다.
- 1970년 5월 5일: 사당동은 행정동이 사당제1, 제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사당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로, 동작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동 (행정동: 동작동)이 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사당동은 사당제1동에서 법정동 방배동을, 사당제2동에서 사당제4동을 분동하였다.
- 1977년 9월 1일: 사당동은 사당제1동에서 사당제5동을 분동하였다.
- 1980년 4월 1일: 사당동과 동작동은 모두 서울특별시 동작구 소속이 되었다. 사당동은 일부를 관악구 남현동으로 분리하고, 방배동과 경계를 조정하였다.
- 2008년: 동작동의 행정동은 사당제2동으로 변경되었다.
2. 1. 지명 유래
사당동 지명은 마을에 있던 공자를 위한 궐리사 같은 사당(舍堂)에서 유래했으며, 현재 이수 교차로 근처이다. 공덕동도 공자와 관련된 서울 지명이다. 동작동은 흑석동에서 동작대교 방향 강변의 '동(銅)재기나루'에서 유래했다. 정금마을은 경문고등학교 근처로, 정(丁)씨 감사(監司) 거주설, 포방터 훈련 점검설이 있다. 갯마을(포촌)은 강물이 들어왔다는 데서 유래했다.[3]2. 1. 1. 사당동
사당동이라는 이름은 마을에 사당(舍堂)이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그 사당은 조선 철학의 근본인 유교의 창시자 공자를 위한 궐리사 같은 곳이다. 그 위치는 현재 이수 교차로 근처이다. 공자와 관련된 서울의 지역명으로는 공자의 덕을 추모하는 공덕동도 있다.[3]2. 1. 2. 동작동
흑석동 쪽에서 지금의 동작대교 방향으로 걸어가다 보면 강변에 구릿빛 돌들이 많이 있었다 하여 그 부근의 나루터를 ‘동(銅)재기나루’라고 불렀는데, 그 이름이 변하여 동작동이라는 지명이 붙었다.[3] 현재 전해지는 자연지명으로는 정금마을, 갯마을 등이 있다.[3] 정금마을은 지금의 경문고등학교 근처에 있었으며 달리 ‘정감우(丁監隅)’라고도 불렸는데, 정(丁)씨 성의 감사(監司)가 살았기 때문이라는 설과 인근의 포방터에서 훈련을 마치고 이곳에서 점검을 하였다는 것이 와전되었다는 설이 있다.[3] 갯마을 또는 포촌(浦村)은 예전에는 그 앞까지 강물이 들어왔다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3]2. 2. 연혁
- 1914년 3월 1일, 사당동은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사당리, 동작동은 경기도 시흥군 북면 동작리였다.
- 1936년 4월 1일, 동작동은 경기도 영등포출장소 동작정회가 되었다.
- 1955년 4월 18일, 동작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동작동 (행정동: 흑석제2동)이 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사당동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고, 행정동 남성동이 설치되었다.
- 1970년 5월 5일, 사당동은 행정동이 사당제1, 제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사당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로, 동작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동 (행정동: 동작동)이 되었다.
- 1975년 10월 1일, 사당동은 사당제1동에서 법정동 방배동을, 사당제2동에서 사당제4동을 분동하였다.
- 1977년 9월 1일, 사당동은 사당제1동에서 사당제5동을 분동하였다.
- 1980년 4월 1일, 사당동과 동작동은 모두 서울특별시 동작구 소속이 되었다. 사당동은 일부를 관악구 남현동으로 분리하고, 방배동과 경계를 조정하였다.
- 2008년, 동작동의 행정동은 사당제2동으로 변경되었다.
2. 2. 1. 사당동
- 1914년 3월 1일: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사당리였다.
-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사당동으로 편입되었고, 행정동 남성동이 설치되었다.
- 1970년 5월 5일: 행정동이 사당제1동, 제2동으로 나뉘었다.
-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사당동으로 소속이 바뀌었고, 행정동은 사당제1동, 제2동, 제3동으로 나뉘었다.
- 1975년 10월 1일: 사당제1동에서 법정동 방배동을 행정동으로 분리 독립시켰고, 사당제2동에서 사당제4동을 분리하였다.
- 1977년 9월 1일: 사당제1동에서 사당제5동을 분리하였다.
- 1980년 4월 1일: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으로 소속이 바뀌었고, 사당제1, 2, 5동의 일부를 관악구 남현동으로 분리하였으며, 방배동과 경계를 조정하였다.
2. 2. 2. 동작동
- 1914년 3월 1일: 경기도 시흥군 북면 동작리였다.
- 1936년 4월 1일: 경기도 영등포출장소 동작정회였다.
-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동작동이 되었고, 행정동은 흑석제2동이었다.
-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동(행정동: 동작동)이 되었다.
- 1980년 4월 1일: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행정동: 동작동)이 되었다.
- 2008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의 행정동이 사당제2동으로 변경되었다.
3. 법정동
사당동은 5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동 | 면적(1km2) | 세대 | 인구(명) |
---|---|---|---|
사당1동 | 0.85 | 13,445 | 29,773 |
사당2동 | 0.68 | 9,893 | 21,214 |
사당3동 | 0.49 | 6,294 | 13,899 |
사당4동 | 0.68 | 6,839 | 15,386 |
사당5동 | 0.54 | 5,761 | 12,383 |
동작동은 단일 법정동으로, 동작구와 서초구에 걸쳐있다. 동작구 관할 면적은 0.33km2이며, 세대 및 인구는 비공개이다.
4. 교육
사당동에는 남사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동작초등학교, 삼일초등학교, 신남성초등학교, 행림초등학교, 남성중학교, 사당중학교, 상도중학교, 동작고등학교, 총신대학교가 있고, 동작동에는 동작중학교, 경문고등학교가 있다.
4. 1. 사당동
4. 2. 동작동
5. 주거
사당동에는 단독 주택과 빌라가 밀집한 지역과 아파트 단지가 혼재되어 있다. 남해종합건설 사당 남해오네뜨는 2002년 12월에 입주하였다.
5. 1. 아파트
남해종합건설 사당 남해오네뜨는 2002년 12월에 입주하였다.6. 교통
사당동과 동작동에는 여러 지하철 노선과 주요 역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참조
[1]
웹사이트
사당동 (Sadang-dong 舍堂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7
[2]
뉴스
Gangnam Busiest Subway Station in Korea
http://english.chosu[...]
2012-04-23
[3]
뉴스인용
동작구의 심장이었던 동작동 (銅雀洞)
http://www.dongjakne[...]
동작뉴스
2014-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