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수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수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서초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0년 7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역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현재 4호선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은 이수(총신대입구)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수역은 곡선 승강장으로 인해 승·하차 시 주의가 필요하며, 주변에는 이마트, 백화점, 학교, 시장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전철역 - 반포역
    반포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 2000년 개통 이후 현재는 일평균 12,697명의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며 6개의 출구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건대입구, 상봉, 고속터미널, 석남 방면으로 운행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이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총신대입구(이수)역
한자 표기總神大入口(梨水)驛
로마자 표기Chongsindaeipgu(Isu)-yeok
역 번호 (4호선)432
역 번호 (7호선)736
주소 (4호선)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736-1 동작대로 지하 117
주소 (7호선)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144-4 사당로 지하 310
개업일 (4호선)1985년 10월 18일
개업일 (7호선)2000년 8월 1일
운영 정보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
노선 (7호선)서울 지하철 7호선
승강장 형태상대식 승강장
플랫폼 수2
선로 수2
AFC 코드0432
이미지 정보
4호선
7호선
역명판
승강장
역명판
승강장
노선 정보 (4호선)
기점진접(경복대)
영업 거리42.6 km
이전 역동작
이전 역 거리1.8
다음 역사당
다음 역 거리1.1
노선 정보 (7호선)
기점장암
영업 거리30.0 km
이전 역내방
이전 역 거리1.0
다음 역남성
다음 역 거리1.0

2. 역사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8]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건대입구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022년 8월 8일 수도권 집중호우로 인해 7호선 승강장이 침수되어 열차가 무정차 통과 운행하기도 했다.[3]

2. 1. 역명 변경 과정

서울 지하철 4호선 건설 당시, 노선 주변에 대학교가 많아 역명에 대학 이름을 사용하려는 요청이 많았다. 특히 1985년 4호선 개통 시기는 제5공화국 시절으로, 정부 차원에서 반정부 시위가 잦았던 대학들을 달래기 위해 대학 명칭을 역명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수역 역시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역명이 결정되었다. 계획 당시 가칭은 '이수'였으나, 약 1.6km 떨어진 총신대학교(당시 총회신학대학교)가 역명 사용 비용을 부담하면서 개통 직전인 1985년 9월 23일 '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7][9]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총신대입구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8] 1991년에는 부역명으로 '이수'가 추가되어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그러나 1993년 서울 지하철 7호선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총신대학교에서 불과 450m 거리에 새로운 역(남성역) 설치가 확정되자, 기존 '총신대입구(이수)역' 명칭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에 1997년 서울특별시는 '총신대입구(이수)역'을 '이수역'으로 변경하고, 신설되는 남성역에 '총신대입구'를 부역명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총신대학교 측은 이에 반발하여 7호선이 개통하는 2000년까지 4호선 역명 유지를 요청했다.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지하철공사)는 이를 받아들여 2000년 7월 31일까지 '총신대입구(이수)역' 명칭을 유지하다가, 2000년 8월 1일 7호선 신풍-건대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이수역'으로 공식 변경하고 환승역이 되었다.

총신대학교는 "15년간 사용해 온 역명을 갑자기 변경했다"며 서울시와 서울지하철공사를 상대로 역명 변경 취소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문제가 일단락되는 듯했으나, 서울시 지하철건설본부가 지명위원회에 '이수역'의 역명을 '총신대입구(이수)'로 재변경할 것을 요청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졌다. 2001년 2월 1일부터 4호선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 역명은 '이수역'으로 결정되었으며, 두 노선의 통합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이로 인해 환승역임에도 노선별로 역명이 다른 특이한 사례가 되었고, 동시에 남성역의 '총신대입구' 부역명은 삭제되었다.

이 결정은 당시 많은 논란을 낳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두 명칭 모두 사용되며 정착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총신대학교는 남성역에서 훨씬 가깝기 때문에, 7호선 개통 이후 '총신대입구'라는 역명은 실제 위치와 달라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6] 2019년 2월 1일에는 7호선 역명도 '이수역'에서 '이수(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날짜내용비고
1983년 9월 13일이수역으로 최초 역명 결정[7]계획 단계
1985년 9월 23일개통 전 총신대입구역으로 역명 변경[9]총신대학교 비용 부담
1985년 10월 18일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총신대입구역으로 영업 개시[8]
1991년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변경이수 부역명 추가
1997년서울시, 이수역 변경 및 남성역 부역명(총신대입구) 추가 결정7호선 계획 관련
2000년 8월 1일7호선 개통, 환승역이 되며 공식 역명을 이수역으로 변경
2000년총신대 측, 역명 변경 반발 소송 제기원고 패소
2001년 2월 1일4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 이수역으로 분리. 통합 역명 '총신대입구(이수)'남성역 부역명 삭제
2019년 2월 1일7호선 측 역명을 이수(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


3. 역 구조

4호선7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14개가 있으며, 이 중 4개는 4호선 측에, 10개는 7호선 측에 연결되어 있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넓은 편이다. 따라서 열차를 타고 내릴 때 발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1. 4호선 승강장

서울 지하철 4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위치하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동작 방면과 사당 방면 두 곳에 있다. 이 중 사당 방면 개찰구는 상행 승강장과 하행 승강장으로 가는 길이 나뉘어 있다. 화장실은 동작 방면 개찰구 안쪽에 있다. 4호선 역에 해당하는 출입구는 1, 2, 13, 14번으로 총 4개가 있다.

7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사당 방면 끝에 있는 계단을 통해 환승 통로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7호선 장암 방면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7호선 개찰구가 있는 층으로 한 번 올라가야 한다.

승강장 안내
방향노선행선지
상행-- 서울 지하철 4호선동작 · 한성대입구 · 상계 · 진접 방면
하행사당 · 대공원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3. 2. 7호선 승강장

7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이 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 시 발빠짐에 주의해야 한다. 승강장 번호는 따로 없다.

7호선 이수역 승강장 구조
내방
상행 하행
남성



상행7호선고속터미널 · 군자 · 노원 · 장암 방면
하행7호선보라매 · 대림 · 온수 · 석남 방면



4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온수 방면 승강장에서 내방 방향에 있는 연결 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반면, 장암 방면 승강장에서는 개찰구가 있는 지하 3층으로 한 번 올라가야 환승할 수 있다.

개찰구는 지하 3층에 있으며, 내방 방면과 남성 방면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곳이 있다. 7호선 역에 연결된 출입구는 3번부터 8번, 10번부터 12번까지 총 9개가 있다.

3. 3. 환승

4호선 승강장 쪽에서 환승 통로로 진입하는 부분


7호선 승강장 내방역 방면 끝과 4호선 승강장 사당역 방면 끝에 환승 통로가 있으며, 4호선이 위에, 7호선 석남 방면 승강장이 아래에 있다. 환승 통로에는 무빙 워크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7호선 장암 방면 승강장과 환승 통로는 대합실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4. 역명 논란

본래 역명은 '''이수역'''으로 1983년 9월 13일 결정되었으나[7],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전 총신대학교 측이 역명 변경을 요구하며 서울특별시에 1430여 만 원을 기부하는 조건[10]으로 역명을 '''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하여 1985년 10월 18일 영업을 시작하였다.[8][9] 1991년에는 부역명으로 '이수'가 추가되어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1993년 서울 지하철 7호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총신대학교에서 약 550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역(남성역) 건설이 결정되었다. 이에 서울특별시1997년 역명 혼선을 막기 위해 기존 4호선 역명을 다시 '''이수역'''으로 변경하고, 신설되는 7호선 역명을 '''남성(총신대입구)역'''으로 정하기로 결정하여, 2000년 8월 1일 7호선 개통과 함께 시행하였다.

총신대학교는 15년간 사용된 역명이 변경된 것에 반발하여 서울특별시와 당시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재의 서울교통공사)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하였다.[11] 그러나 총신대학교 측의 지속적인 반발과 요구가 이어졌고, 결국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현 도시기반시설본부)가 서울특별시 지명위원회에 4호선 역명을 다시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변경해달라고 요청했다. 지명위원회는 2000년 10월 2일 이 요청을 받아들여 4호선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 역명은 '''이수역'''으로 분리하여 정하기로 결정했다.[12] 이에 따라 7호선 개통 6개월 후인 2001년 2월 1일, 4호선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 역명은 '''이수역'''으로 최종 변경되었으며, 통합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13] 이 과정에서 각종 안내 시설물 변경에 약 3억의 예산이 소요되었다.[14] 이후 2019년 2월 1일에는 7호선 측 역명도 '''이수(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역명 변경 과정은 당시 지역 주민들과 네티즌 사이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총신대학교는 7호선 남성역에서 훨씬 가까우며, 이수역에서는 약 1.6km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총신대학교의 위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4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에 하차했다가 불편을 겪거나[15], 7호선 이용객이 환승 시 혼란을 겪는 경우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실제 위치와 역명의 불일치로 인해 '사기 역명'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6]

한편, 4호선 개통 당시인 1985년은 제5공화국 시기로, 수도권 대학들이 학교 이름을 역명에 넣어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정부 차원에서도 반정부 시위가 잦았던 대학들을 달래기 위해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총신대입구역의 역명 제정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이 있다.

5. 역 주변

출구는 1번부터 14번까지 있으며, 9번 출구는 이마트 메트로 이수점과 연결되어 있고, 13번 출구는 태평백화점과 연결되어 있다.


6. 이용객 변동

7호선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53일간의 집계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4호선승차27,75925,30324,89224,09224,74325,09425,38125,18025,08524,994[16]
하차28,41426,40126,49025,99426,65727,48628,06028,04828,03828,142
승하차56,17351,70451,38250,08651,40052,58053,44153,22853,12353,135
7호선승차9,79112,37413,52013,68314,00814,44714,77715,06815,30215,151[17]
하차9,31311,34412,34312,50712,85513,49513,93814,15114,53114,542
승하차19,10423,71825,86326,18926,86327,94228,71629,21929,83329,693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각주
4호선승차23,94523,86323,67923,41923,21023,18922,67222,04521,789[16]
하차27,19126,99726,35326,11725,81225,68925,33524,67424,338
승하차51,13650,86050,03249,53649,02248,87848,00746,17946,127
7호선승차15,23916,06116,51517,17317,89417,41517,30116,92716,920[17]
하차14,42215,32816,07316,76917,53817,27217,11816,81716,852
승하차29,66131,38832,58833,94235,43234,68734,41933,74433,772


7. 인접한 역

(진접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총신대입구(이수)사당
(오이도 방면)내방
(장암 방면)--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남성
(석남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총신대입구(이수)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7-03
[2] 웹사이트 Chongsin Univ. (Line 4)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7-07-03
[3] 웹사이트 【映像】浸水したソウル地下鉄のプラットフォーム…無停車で通過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22-08-09
[4]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5]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6] 웹사이트 "역 이름이 왜이래?" 지하철 4호선 미스테리 http://www.freezonen[...]
[7]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8]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9]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http://event.seoul.g[...] 1985-10-16
[10] 뉴스 국감지적사항「지각 답변」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9-05-31
[11] 뉴스 법원, "이름 쓰라고 할 권리 없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9-09
[12] 뉴스 지하철 4호선 이수역, 역명 말썽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00-12-02
[13] 뉴스 잦은 역이름 변경 지하철 승객 ‘허둥’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1-03-15
[14] 뉴스 [지하철 24시]역이름 변경잦아…한번 바꾸는데 3억원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1-01-19
[15] 뉴스 [집중취재] 'OO대 입구'에서 'OO대' 가려면?…"택시 타고 버스 타고"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5-11-28
[1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7]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